KR200234362Y1 - 진공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62Y1
KR200234362Y1 KR2020010006364U KR20010006364U KR200234362Y1 KR 200234362 Y1 KR200234362 Y1 KR 200234362Y1 KR 2020010006364 U KR2020010006364 U KR 2020010006364U KR 20010006364 U KR20010006364 U KR 20010006364U KR 200234362 Y1 KR200234362 Y1 KR 200234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ver
vacuum container
valv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안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2020010006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6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덮개에 구성되는 고무재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진공용기에 대해서도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면서 진공이 유지되도록;
진공용기를 덮개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중심에 진공용기내의 공기유출입이 가능하게 구비한 진공밸브와,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으로부터 외향측으로 두께를 달리하면서 다수개의 층을 형성한 고무재의 단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진공용기 덮개{COVER FOR VACUUM RECEPTACLE}
본 고안은 진공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의 고무재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진공용기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면서 진공을 유지하게 한 진공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용기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덮개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밸브와, 진공용기와 접촉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실리콘재의 고무패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덮개에 적용된 고무패드는 진공용기와 접촉되는 덮개의 저면에 평면형태로 부착되거나 고무패드를 구비한 고무패드틀에 의해 조립되엉 ㅣ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고무패드가 평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진공용기상에 적당하게 위치시킨 후 진공펌프와 연결된 진공흡기밸브를 덮개의 진공밸브에 삽입하여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서 진공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덮개는 고무패드가 평면인 까닭에 진공용기에 대해 사용자의 짐작으로 올려 놓아 진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위치되지 못한 상태에서 진공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진공용기를 덮는 덮개의 자세가 편심되어 덮개되거나 하므로서 여러 진공용기의 적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덮개의 사이즈보다 크기가 작은 진공용기를 덮개되는 경우에는 중심을 맞추기가 어려워 반복적으로 중심을 맞추게 되는 불편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진공용기에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면서 적용할 수 있게 덮개에 적용되는 고무재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개선한 진공용기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에 적용된 진공확인튜브의 수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덮개 4:덮개판
6:진공밸브 8:단차부
10:진공용기 12:밸브홈
14:공기유출입공 16:시일링돌기
18:밸브판 20:투명관
22:진공확인튜브 24:상밸브판
26:하밸브판 28:가이드축
30:기밀돌기 32:진공홀
34:공기구멍 36:수축유도홈
38: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공용기를 덮개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중심에 진공용기내의 공기유출입이 가능하게 구비한 진공밸브와,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으로부터 외향측으로 두께를 달리하면서 다수개의 층을 형성한 고무재의 단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덮개에 적용된 진공확인튜브의 수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진공용기 덮개(2)는 덮개판(4), 진공밸브(6), 단차부(8)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덮개판(4)은 진공용기(10)를 덮을 수 있게 여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에 밸브홈(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홈(12)에는 공기유출입공(14)을 뚫어 형성하고 있고, 주변에 실리콘재의 시일링돌기(16)를 형성하고 있다.
진공밸브(6)는 덮개판(4)의 중심에 진공용기(10)내의 공기유출입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있다.
진공밸브(6)는 밸브홈(12)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유출입공(14)에 조립되는 밸브판(18)과, 이 밸브판(18)상에 부착 설치된 투명관(20)과, 이 투명관(20)내 진공유무에 따라 수축 변형되게 내장한 진공확인튜브(22)로 이루어지고 있다.
밸브판(18)은 공기유출입공(14)을 상부에서 기밀하게 개폐하는 상밸브판(24)과, 공기유출입공(14)의 저부에 위치하면서 승강을 안내하게 형성한 하밸브판(26)과, 상기 상밸브판(24)과 하밸브판(26)을 연결하는 가이드축(2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밸브판(24)은 밸브홈(12)의 시일링돌기(16)와 어긋나게 형성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저면에 기밀돌기(30)를 두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축(28)은 진공확인튜브(22)에 부압이 형성되게 진공홀(32)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투명관(20)에는 대기압이 작용하게 공기구멍(34)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진공확인튜브(22)에는 내주면을 반분하는 수축유도홈(36)을 형성하여 수축을 타원형으로 유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단차부(8)는 실리콘등의 고무재로 덮개판(4)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12)으로부터 외향측으로 두께를 달리하면서 다수개의 단(3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단(38)은 외측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거나, 반대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단(38)은 진공용기(10)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폭이면 되고, 용도에 따라 폭을 단마다 달리하여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40)은 공기의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진공용기(10)를 덮기 위한 덮개(2)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12) 주변에 실리콘등으로 형성된 고무재에 단차부(8)를 둠으로서 진공용기(10)의 크기에 따라 정확하게 중심을 맞춰 덮을 수 있게 된다.
즉, 진공용기(10)의 직경이 작은 경우(A)에는 밸브홈(12)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형성된 단차부(8)의 단(38)에 위치시킨 후 진공을 하면되고, 좀더 큰 직경을 갖는 진공용기(10)일 경우(B) 이 직경에 근접하는 단(38)에 위치시킨 후 진공용기 흡기밸브(V)를 이용 진공을 하면된다.
다시말해 덮개(2)를 진공용기(10)에 올려 놓을때 진공용기(10)의 직경에 해당하는 단(38)에 접촉시켜 위치하게 하므로서 진공용기(10)에 대한 덮개(2)의 센터가 자연스럽게 맞춰지게 된다.
즉, 단차부(8)의 단(38)에 단차를 둠으로서 진공용기(10)는 동일 선상에 있는 단(38)과만 접촉하게 되며, 이를 벗어나면 덮개(2)의 자세가 기울어지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하여 바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덮개(2)를 이용 진공용기(10)를 덮을때 편심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올려 놓을 수 있음이 편리하며, 이 상태에서 진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진공력을 향상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2)의 밸브홈(12)에 위치한 투명관(20)을 통해 진공확인튜브(22)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하므로서 진공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덮개를 진공용기의 중심에 맞춰 위치 시킴이 편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를 이용한 진공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진공용기에 적용하더라도 덮개를 각기 다른 진공용기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준하여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진공용기를 덮개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중심에 진공용기내의 공기유출입이 가능하게 구비한 진공밸브와,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으로부터 외향측으로 두께를 달리하면서 다수개의 층을 형성한 고무재의 단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단차부는 실리콘등의 고무재로 덮개판의 저면에 돌출되는 밸브홈으로부터 외향측으로 두께를 달리하면서 다수개의 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단은 외측으로 두께가 점점 얇아지게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덮개.
  4. 제2항에 있어서, 단은 외측으로 두께가 점점 두껍게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덮개.
KR2020010006364U 2001-03-09 2001-03-09 진공용기 덮개 KR200234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64U KR200234362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용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64U KR200234362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용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62Y1 true KR200234362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64U KR200234362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용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62B1 (ko) * 2009-05-19 2009-12-01 이영웅 온수기
KR101511711B1 (ko) * 2014-09-29 2015-04-13 주식회사 로이첸 식품 용기
KR20180001244U (ko) * 2016-10-24 2018-05-03 유승석 다목적 결합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62B1 (ko) * 2009-05-19 2009-12-01 이영웅 온수기
KR101511711B1 (ko) * 2014-09-29 2015-04-13 주식회사 로이첸 식품 용기
KR20180001244U (ko) * 2016-10-24 2018-05-03 유승석 다목적 결합 용기
KR200486413Y1 (ko) 2016-10-24 2018-05-15 유승석 다목적 결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WO2018062436A1 (ja) 吐出容器
US8555925B2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a packaging container
WO2008154774A1 (fr) Capuchon de scellement
KR20040101541A (ko) 호스 직결 캐니스터 리드
KR10198760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0234362Y1 (ko) 진공용기 덮개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JP2019018917A (ja) ポンプ式液体密閉容器
US20120042975A1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small dimensions
KR101616879B1 (ko)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US20070017846A1 (en) Valve gear
KR200232016Y1 (ko) 날자표시 진공용기 밸브
KR970064529A (ko) 진공용기 뚜껑
WO2021015434A1 (ko) 진공밸브를 갖는 식품 진공보관 용기용 멀티 푸시버튼
KR20100122345A (ko)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200343148Y1 (ko)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JP6816895B2 (ja) 吸盤
CN108910136A (zh) 一种用于米袋的抽真空装置
US20220061613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US20230204085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KR102060768B1 (ko) 밀폐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형성 장치
JP4822758B2 (ja) 逆止弁、アダプター及び圧縮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