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11B1 -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711B1
KR101511711B1 KR20140130579A KR20140130579A KR101511711B1 KR 101511711 B1 KR101511711 B1 KR 101511711B1 KR 20140130579 A KR20140130579 A KR 20140130579A KR 20140130579 A KR20140130579 A KR 20140130579A KR 101511711 B1 KR101511711 B1 KR 10151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heck valve
opening
contact pad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문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문제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2014013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가 중첩 삽입되며,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공기가 통과되도록 공기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공기 통과홀을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개폐 상태 가변을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밀폐 상태를 전환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 용기{FOOD CASE}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 및 형태의 용기를 다 단으로 수납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하나의 덮개를 이용해 여러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용기는 식품의 종류, 상태, 종류 등에 적합한 형태와 재질 등으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최근의 식품 용기 중에는,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각종 세균이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밀폐 용기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 용기는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 또는 덮개에는 밀폐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부재 등이 설치되는 형태도 사용된다.
또한, 종래의 밀폐 용기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데, 이를 위해 종래의 밀폐 용기는 본체의 하단과 덮개의 상단을 대응되는 수평면으로 형성시키며, 본체가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 단턱을 형성시킨 형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밀폐 용기는 용도 및 용량이 다른 용기들을 다 단으로 적층시켜 보관하는 경우, 보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하므로 수납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밀폐 용기는 별도의 잠금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용기들 마다 사이즈가 맞는 덮개들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므로 분리된 덮개와 용기의 사이즈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결합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0673호(2005년 06월 2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식품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도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는 용기들이 하나의 덮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 사용시 하나의 덮개에 중첩된 상태로 부착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 및 형태의 용기를 다 단으로 수납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하나의 덮개를 이용해 여러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 패드와 덮개의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의 입구 부위가 뒤틀리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가 중첩 삽입되며,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공기가 통과되도록 공기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공기 통과홀을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개폐 상태 가변을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밀폐 상태를 전환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과 긴밀한 밀착을 위한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체크 밸브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패드는 중심 부위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고, 상단 테두리 부위가 상기 덮개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패드는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이 측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단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중심 위치에는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크 밸브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방이 오목한 밸브 설치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통과홀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밸브 설치홈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링 형상의 패킹과, 상기 패킹의 상단에 암수로 대응 결합되며, 중심 부위에 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유로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상태로 유지하며, 상방에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몸체의 상방을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방에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로 눌러 개방시키는 누름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는 용기들이 하나의 덮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 사용시 하나의 덮개에 중첩된 상태로 부착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용기를 수납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하나의 덮개를 이용해 여러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접촉 패드와 덮개의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의 입구 부위가 뒤틀리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모두 수납한 후 덮개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 내부 본체만을 덮개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 접촉 패드와 덮개의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모두 수납한 후 덮개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 내부 본체만을 덮개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외부 본체(100)와, 다수의 내부 본체(200)와, 덮개(300) 및, 체크 밸브(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외부 본체(100)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수용공간(110) 내에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본체(100)는 원, 사각, 다각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본체(100)는 합성수지, 도자기 용기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내부 본체(200)는, 외부 본체(100)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가 중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본체(20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공간(210) 내에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내부 본체(200)들은 직경이 큰 내부 본체(200) 순으로 중첩시켜 다수가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외부 본체(100) 내에 중첩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본체(200)들은 서로 중첩되는 경우, 도 1에서처럼 상단이 높일 높이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부 본체(200)들의 상단에는 후술 될 덮개(300)의 하단이 수평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덮개(300)는,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들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들의 상단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덮개(300)에는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기 통과홀(3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0)의 중심 위치에는 후술 될 체크 밸브(400)를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밸브 설치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설치홈(320)은 덮개(300)의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크 밸브(40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방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300)의 테두리 부위에는 외부 본체(100)와 상기 내부 본체(200)의 상단이 측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단(350)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단(350)은 덮개(300)를 외부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단(350)의 내주에 외부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 부위가 밀착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덮개(300)의 저면에는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의 상단과 긴밀한 밀착을 위한 접촉 패드(3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330)는, 체크 밸브(400)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33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331) 내에는 전술한 밸브 설치홈(320)의 하단이 상하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 패드(330)는 도 4에서처럼 중심 부위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패드(330)의 상단 테두리 부위가 덮개(3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패드(330)의 상면과 덮개(300)의 하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에 의해 간격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패드(330)는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한정하지 않도록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340)는 접촉 패드(330)가 상방으로 변형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간격부(340)의 넓이는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처럼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의 상단이 외적인 요인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패드(330)는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체크 밸브(400)는, 밸브 설치홈(320) 내에서 공기 통과홀(310)을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400)는 외력에 의한 개폐 상태 가변을 통해 제1수용공간(110)과 제2수용공간(210)의 밀폐 상태를 전환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체크 밸브(400)는, 삽입홈(410)과, 패킹(420)과, 몸체(430)와, 개폐부재(440) 및, 누름버튼(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10)은, 공기 통과홀(31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밸브 설치홈(320)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410)의 외곽에는 도 1에서처럼 펌핑장치(10)의 하단이 밸브 설치홈(3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410)은 원, 사각, 다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킹(420)은, 하단이 삽입홈(4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420)은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한정하지 않도록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몸체(430)는, 패킹(420)의 상단에 암수로 대응 결합되며, 상기 몸체(430)의 중심 부위에 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후술 될 개폐부재(400)가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에 개방되며, 개방되는 경우 공기 통과홀(310)의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킨다.
개폐부재(440)는, 유로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440)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해 제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재(440)는 도 1에서처럼 상단이 몸체(430)에 형성된 중공의 상단에 걸림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40)의 중단이 상기 몸체(430)에 형성된 중공 내에 위치되며, 상기 개폐부재(440)의 하단이 중공의 하단을 차단하는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40)의 중단은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상하로 유통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버튼(450)은, 몸체(430)의 상방을 통해 개폐부재(4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방에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개폐부재(440)를 하부로 눌러 개방시킨다.
예를 들어, 펌핑장치(10)의 하단을 누름버튼(450)의 상단에 위치시킨 후, 상기 펌핑장치(10)를 하방으로 누르는 경우, 누름버튼(450)과 개폐부재(440)의 하단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개폐부재(440)의 하단이 유로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상태로 전환되며, 펌핑장치(10)에 의해 상방으로 펌핑 압력이 작용한다.
이때, 개폐부재(440)의 하단이 유로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공기가 유통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펌핑장치(10)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후술 될 상기 개폐부재(440)의 형태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450)이 상승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40)의 하단은 유로의 하단에 밀착되어, 공기가 유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수용공간(110)과 제2수용공간(210)의 내부 압력이 증가된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의 상단이 덮개(300)의 하면에 긴밀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된 체크 밸브(400)는, 제1수용공간(110)과 제2수용공간(210)의 압력 형성 및 압력 해지를 이룰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용도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는 하부 본체(200)들이 하나의 덮개(300)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 사용시 하나의 덮개(300)에 하부 본체(200)들을 중첩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직경의 하부 본체(200)들을 수납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하나의 덮개(300)를 이용해 여러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패드(330)와 덮개(300)의 사이에 간격부(340)를 형성시킴으로써, 외부 본체(100)와 내부 본체(200)의 입구 부위가 뒤틀리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식품 용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펌핑장치 100: 외부 본체
110: 제1수용공간 200: 내부 본체
210: 제2수용공간 300: 덮개
310: 공기 통과홀 320: 밸브 설치홈
330: 접촉 패드 331: 중공
340: 간격부 350: 걸림단
400: 체크 밸브 410: 삽입홈
420: 패킹 430: 몸체
440: 개폐부재 450: 누름버튼

Claims (7)

  1.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가 중첩 삽입되며,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공기가 통과되도록 공기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공기 통과홀을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개폐 상태 가변을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밀폐 상태를 전환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통과홀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밸브 설치홈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링 형상의 패킹과, 상기 패킹의 상단에 암수로 대응 결합되며, 중심 부위에 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유로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상태로 유지하며, 상방에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몸체의 상방을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방에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로 눌러 개방시키는 누름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과 긴밀한 밀착을 위한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체크 밸브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중심 부위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고, 상단 테두리 부위가 상기 덮개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외부 본체와 상기 내부 본체의 상단이 측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단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중심 위치에는,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크 밸브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방이 오목한 밸브 설치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7. 삭제
KR20140130579A 2014-09-29 2014-09-29 식품 용기 KR10151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579A KR101511711B1 (ko) 2014-09-29 2014-09-29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579A KR101511711B1 (ko) 2014-09-29 2014-09-29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711B1 true KR101511711B1 (ko) 2015-04-13

Family

ID=5303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0579A KR101511711B1 (ko) 2014-09-29 2014-09-29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62Y1 (ko) * 2001-03-09 2001-10-06 안중근 진공용기 덮개
KR20090031063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대우테크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KR101308231B1 (ko) 2013-06-18 2013-09-13 김진우 능동형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62Y1 (ko) * 2001-03-09 2001-10-06 안중근 진공용기 덮개
KR20090031063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대우테크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KR101308231B1 (ko) 2013-06-18 2013-09-13 김진우 능동형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721B2 (en) Vapor-tight container
EP3480130A1 (en) Discharge container
CN106458382A (zh) 具有自闭阀的水瓶
JP6093909B2 (ja) 缶蓋の密閉構造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CN106864973B (zh) 食品容器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JP2015127236A (ja) 二重容器
JP5965580B2 (ja) 容器口部のシール構造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511711B1 (ko) 식품 용기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KR200433727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JP6165664B2 (ja) 二重容器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2068261B1 (ko) 일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용기 구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JP4974063B2 (ja) 保存容器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102652196B1 (ko) 밀폐용기
KR102123681B1 (ko)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JP6510887B2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