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681B1 -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681B1
KR102123681B1 KR1020190013535A KR20190013535A KR102123681B1 KR 102123681 B1 KR102123681 B1 KR 102123681B1 KR 1020190013535 A KR1020190013535 A KR 1020190013535A KR 20190013535 A KR20190013535 A KR 20190013535A KR 102123681 B1 KR102123681 B1 KR 10212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eck valve
exposed portion
hole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9001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통공의 내에 구획막이 형성된 씨일베이스; 상기 씨일베이스의 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막의 상단에서 각 진공홀을 개폐하는 밀폐부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상기 씨일베이스의 노출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을 가압하는 기밀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진공팩의 진공 보관 기간을 최대한 늘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check valve assembly for a vacuum package}
본 발명은 진공팩이나 진공용기와 같은 진공보관용 물품에 적용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진공보관용 물품 내부의 진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공 해제가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보관용 물품은 내부에 음식물이나 식품 및 물품 등의 보관물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물품으로써 진공팩이나 진공용기, 진공믹서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공보관용 물품 중 진공팩은 어느 한 측 둘레가 개방되게 형성된 봉투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개방되게 형성된 부위에는 밀봉부가 구비되면서 해당 부위를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어느 한 면에는 진공팩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진공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면서 상기 진공홀을 통한 진공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진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당 진공홀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한 체크밸브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36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50호, 등록특허 제10-133697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927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밸브의 설치 구조는 체크밸브가 원치않게 진공홀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잦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체크밸브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해당 체크밸브를 덮도록 이루어진 다양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구조들은 외부 충격이나 걸림 등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부위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밸브는 진공팩의 보관시 체크밸브의 뒤틀림과 같은 변형 발생뿐 아니라 체크밸브가 그 설치 부위에 기밀하게 밀착되지 못함으로 인해 미세한 진공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써 진공 보관하는 기간이 충분히 길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36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50호 등록특허 제10-133697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927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진공보관용 물품 내부의 진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공 해제가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진공보관용 물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빈 관체의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보관용 물품 내에 위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노출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연통공의 내측에는 구획막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 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막의 중앙에는 밸브설치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구획막의 둘레에는 복수의 진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씨일베이스; 상기 씨일베이스의 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막의 상단에서 각 진공홀을 개폐하는 밀폐부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상기 씨일베이스의 노출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밀폐부가 받침부의 상면 및 구획막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기밀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받침부에 형성된 연통공의 내경은 상기 노출부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출부 내의 하측에 얹힘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밀폐부의 둘레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씨일베이스를 이루는 노출부 내의 얹힘면에 얹히는 얹힘단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밀폐부의 저면 내측 부위에는 상기 연통공 내의 구획막을 향해 하향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얹힘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얹힘단의 저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씨일베이스를 이루는 연통공 중 상기 노출부와 연통되는 입구측의 모서리 부위 및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얹힘단과 돌출단 간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각각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재의 기밀유지돌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 중 상기 연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막에 형성된 밸브설치공 사이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마개부재의 제공에 의해 체크밸브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체크밸브가 씨일베이스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진공보관용 물품 내부가 진공된 상태를 이룰 경우 체크밸브가 얹힘면 및 구획막의 각 진공홀 상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이중의 기밀 유지로 인한 진공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마개부재에 형성되는 기밀유지돌기와 체크밸브의 각 모서리 및 얹힘면과 연통홀 사이의 모서리가 제공하는 경사 구조로 인해 정확한 면접촉에 따른 기밀 유지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마개부재에 설치되는 패킹링에 의해 씨일베이스로부터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진공팩에 설치된 상태로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진공팩에 설치된 상태로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진공보관용 물품에 적용되면서 해당 진공보관용 물품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구성이며, 이때 상기 진공보관용 물품은 진공팩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진공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크게 씨일베이스(100)와 체크밸브(200) 및 마개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체크밸브(200)는 구획막(의 각 진공홀을 2중으로 밀폐하면서 기밀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씨일베이스(100)는 진공팩(10)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씨일베이스(100)는 진공팩(10)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110) 및 진공팩(10) 내에 위치되는 받침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노출부(110)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노출부(110)의 외주면에는 나사식 결합을 위한 나선형의 결합돌기(111)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부(120)는 상면 중앙으로 상기 노출부(110)가 돌출 형성되는 평판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부(120)의 중앙에는 상기 노출부(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통공(121)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120)의 저면에는 진공팩(10)의 두 겉지(11,12)를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격돌기(12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121)의 내경은 상기 노출부(1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노출부(110) 내의 하측 끝단에 얹힘면(123)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받침부(120)에 형성되는 연통공(121)의 내부에는 해당 부위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막(130)이 형성되고, 이 구획막(131)의 중앙측 부위에는 밸브설치공(131)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구획막(131)의 둘레측 부위에는 복수의 진공홀(132)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통공(121) 중 상기 노출부(110)와 연통되는 입구측의 모서리 부위(C1)는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200)는 상기 구획막(130)의 각 진공홀(1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200)는 상기 씨일베이스(100)의 밸브설치공(131)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설치부(210) 및 상기 설치부(2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막(130)의 상단에서 각 진공홀(132)을 개폐하는 밀폐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210)는 상기 밸브설치공(131)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하측 끝단 부위에 걸림턱(211)이 형성된 후크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밀폐부(220)에는 둘레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얹힘단(230) 및 상기 밀폐부(2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돌출단(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얹힘단(230)은 상기 씨일베이스(100)를 이루는 노출부(110) 내의 얹힘면(123)에 얹히면서 해당 부위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돌출단(240)은 연통공(121) 내로 돌출되면서 구획막(130)의 상면에 밀착되어 각 진공홀(132)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 얹힘단(230)과 돌출단(240) 간 사이의 모서리 부위(C2)는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씨일베이스(100)를 이루는 얹힘면(123)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00)를 이루는 얹힘단(230)의 저면(231)(첨부된 도 5의 확대 부위 참조)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순히 체크밸브(200)가 얹혀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의 대향면이 일치되지 않고 상기 얹힘단(230)의 끝단만 상기 얹힘면(123)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진공팩(10) 내부가 진공 상태를 이룰 경우 이러한 진공의 영향에 의한 체크밸브(200)의 변형시 씨일베이스(100)와 체크밸브(200) 간의 대향면이 서로 온전히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부재(300)는 상기 씨일베이스(100)의 노출부(110)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마개부재(300)는 상기 노출부(110)를 덮는 캡(cap)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나사홈(310)이 형성되면서 상기 노출부(110)와는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마개부재(300)를 나사식으로 씨일베이스(1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마개부재(300)가 씨일베이스(100)로부터 원치않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마개부재(300) 내에는 상기 체크밸브(200)의 상면을 가압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유지돌기(32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개부재(300)의 기밀유지돌기(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00) 중 상기 연통공(121)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막(130)에 형성된 밸브설치공(131) 사이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기밀유지돌기(320)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00)를 이루는 밀폐부(220)의 돌출단(240)이 구획막(130)의 각 진공홀(132) 상면에 정확히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얹힘단(230)과 돌출단(240) 사이의 모서리 부위(C2)가 얹힘면(123)과 연통공(121) 사이의 모서리 부위(C1)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인 2중 기밀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부재(300)의 내면 중 씨일베이스(100)를 이루는 노출부(110)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장착홈(33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30)에는 패킹링(340)이 요입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킹링(340)은 체크밸브(200)의 상태 불량에 의해 각 진공홀(132)의 기밀이 해제된다 하더라도 상기 노출부(110) 내의 공간을 외부 공간과 차단함으로써 기밀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패킹링(340)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마개부재(300)와 노출부(110) 간의 나사식 결합이 원치않게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개부재(300)를 상기 씨일베이스(10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4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결부재(400)는 상기 마개부재(3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양단이 마개부재(300) 및 씨일베이스(100)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400)는 휨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마개부재(300)를 상기 씨일베이스(100)에 결합할 경우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보관물을 진공 보관하고자 할 경우 진공팩(10) 내에 상기 보관물을 담은 상태에서 밀봉한다.
이의 상태에서 첨부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재(300)를 씨일베이스(100)의 노출부(110)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상기 노출부(110)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노출부(110)에 휴대용 진공기 혹은, 여타 진공기(도시는 생략됨)의 흡입측을 밀착시킨 상태로 전원을 공급하여 진공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씨일베이스(100)의 각 진공홀(132)을 덮고 있던 체크밸브(200)는 상기 진공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각 진공홀(132)로부터 이격됨과 더불어 노출부(110) 내의 얹힘면(123)으로부터도 이격된 상태를 이루며, 이로 인해 각 진공홀(132)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진공팩(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각 진공홀(132)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기로 흡입된다.
그리고, 전술된 작업에 의해 진공팩(10) 내부의 공기 배출이 완료되어 진공기의 동작을 중단하게 되면 상기 진공팩(10)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00)의 얹힘단(230)은 상기 얹힘면(123)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00)의 돌출단(240)은 상기 각 진공홀(13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각 진공홀(132)을 폐쇄하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마개부재(300)를 씨일베이스(100)의 노출부(110)에 덮어서 결합한다.
이때, 마개부재(300)는 상기 노출부(110)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패킹링(34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마개부재(300)의 나사홈(310)과 노출부(110)의 결합돌기(111)가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첨부된 도 2 및 도 6 참조)되며, 이로써 진공팩(10)의 보관이나 운반 중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 등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마개부재(300)가 씨일베이스(100)로부터 원치않게 결합 해제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특히, 상기 마개부재(300)가 상기 노출부(11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마개부재(300) 내에 돌출 형성된 기밀유지돌기(320)가 체크밸브(200)를 이루는 밀폐부(220)의 상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200)의 원치않는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기밀유지돌기(320)는 상기 체크밸브(200) 중 상기 연통공(121)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막(130)에 형성된 밸브설치공(131) 사이의 부위를 가압하기 때문에 밀폐부(220)에 형성된 돌출단(240)이 상기 각 진공홀(132) 상면에 정확히 밀착되면서도 얹힘단(230)과 돌출단(240) 사이의 모서리 부위(C2)와 얹힘면(123)과 연통공(121) 간의 모서리 부위(C1)가 정확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마개부재(300)의 제공에 의해 체크밸브(200)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체크밸브(200)가 씨일베이스(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진공팩(10) 내부가 진공된 상태를 이룰 경우 체크밸브(200)가 얹힘면(123) 및 구획막(130)의 각 진공홀(132) 상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이중의 기밀 유지로 인한 진공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마개부재(300)에 형성되는 기밀유지돌기(320)와 체크밸브(200)의 각 모서리 및 얹힘면(123)과 연통홀(121) 사이의 모서리가 제공하는 경사 구조로 인해 정확한 면접촉에 따른 기밀 유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마개부재(300)에 설치되는 패킹링(340)에 의해 씨일베이스(100)와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진공팩 11,12. 겉지
100. 씨일베이스 110. 노출부
111. 결합돌기 120. 받침부
121. 연통공 122. 이격돌기
123. 얹힘면 130. 구획막
131. 밸브설치공 132. 진공홀
200. 체크밸브 210. 설치부
211. 걸림턱 220. 밀폐부
230. 얹힘단 240. 돌출단
300. 마개부재 310. 나사홈
320. 기밀유지돌기 330. 장착홈
340. 패킹링 400. 연결부재

Claims (5)

  1. 진공보관용 물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빈 관체의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보관용 물품 내에 위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노출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연통공의 내측에는 구획막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 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막의 중앙에는 밸브설치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구획막의 둘레에는 복수의 진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씨일베이스;
    상기 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막의 상단에서 각 진공홀을 개폐하는 밀폐부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상기 노출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밀폐부가 받침부의 상면 및 구획막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기밀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마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통공의 내경은 상기 노출부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출부 내의 하측에 얹힘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둘레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얹힘면에 얹히는 얹힘단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의 저면 내측 부위에는 상기 연통공 내의 구획막을 향해 하향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얹힘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얹힘단의 저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 중 상기 노출부와 연통되는 입구측의 모서리 부위 및 상기 얹힘단과 돌출단 간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각각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노출부를 덮는 캡 구조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노출부와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내면 중 상기 노출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패킹링이 요입 장착되며, 상기 기밀유지돌기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 중 상기 연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밸브설치공 사이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3535A 2019-02-01 2019-02-01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212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35A KR102123681B1 (ko) 2019-02-01 2019-02-01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35A KR102123681B1 (ko) 2019-02-01 2019-02-01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681B1 true KR102123681B1 (ko) 2020-06-18

Family

ID=7114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35A KR102123681B1 (ko) 2019-02-01 2019-02-01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6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641U (ko) * 2008-03-26 2008-04-23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080005769U (ko) * 2007-05-25 2008-11-28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포장백
KR20100054366A (ko) 2008-11-14 2010-05-25 (주)포에스텍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KR101001750B1 (ko) 2008-06-11 2010-12-15 (주)엘하이코 진공패드가 부착된 진공팩과 진공흡입기를 갖는진공보관장치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200479274Y1 (ko) 2015-02-25 2016-01-12 (주)포에스텍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769U (ko) * 2007-05-25 2008-11-28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포장백
KR20080000641U (ko) * 2008-03-26 2008-04-23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101001750B1 (ko) 2008-06-11 2010-12-15 (주)엘하이코 진공패드가 부착된 진공팩과 진공흡입기를 갖는진공보관장치
KR20100054366A (ko) 2008-11-14 2010-05-25 (주)포에스텍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101336972B1 (ko) 2012-02-08 2013-12-04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200479274Y1 (ko) 2015-02-25 2016-01-12 (주)포에스텍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6600B2 (en) Discharge container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US7101107B1 (en) Cosmetics brush
JP5281697B2 (ja) 半導体ウエハ収納容器
WO2018062436A1 (ja) 吐出容器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KR20150099066A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2123681B1 (ko)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JP5041486B2 (ja) 錠剤容器
JP2012131553A (ja) 容器口部のシール構造
JP5164114B2 (ja) 錠剤容器
KR200479274Y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JP2018108832A (ja) 吐出容器
JP6389624B2 (ja) Oリングの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容器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6629124B2 (ja) 吐出容器
KR20050009173A (ko) 밸브기구
KR20110052267A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US11399614B2 (en) Airless cosmetic container
KR20210129883A (ko) 유골함
KR101876324B1 (ko) 진공 데시케이터
JP2001106262A (ja) 押出し容器
KR102274526B1 (ko) 진공펌핑방식의 밀폐용기
KR20170025090A (ko)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20140034664A (ko)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