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41U -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41U
KR20080000641U KR2020080003945U KR20080003945U KR20080000641U KR 20080000641 U KR20080000641 U KR 20080000641U KR 2020080003945 U KR2020080003945 U KR 2020080003945U KR 20080003945 U KR20080003945 U KR 20080003945U KR 20080000641 U KR20080000641 U KR 20080000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flange
stopper
bas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985Y1 (ko
Inventor
원 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손
Priority to KR20080003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8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포장용 팩에 설치되는 것으로 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밸브의 재질은 연성 플라스틱재로 하고, 기저부의 공기배출구 통공에 얇은 공기흡입방지막을 거치하고, 체크밸브의 마개에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연결고리를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와 연결하여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마개에 플랜지결합용 홈을 설치하여 체크밸브의 마개를 원터치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것임.
체크밸브의 마개에 연결고리를 달아 마개가 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를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체크밸브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마개에 원통형 지지대를 길게 돌출시켜서 공기흡입방지막을 기저부에 밀착시킴으로서 기밀도 진공도를 현저하게 개선시킨 것이다.
진공, 포장, 팩, 체크밸브, 패킹, 플랜지, 마개

Description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CHECK VALVE FOR VACUUM PACK}
본 고안은 진공포장용 팩에 설치되는 것으로 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부피가 큰 의복이나 이불 등을 포장하거나 보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하고, 공기중의 습기를 방지하여 이불이나 옷을 보호하기 위하여 진공포장용 팩을 사용한다. 부피가 큰 의복이나 이불 등을 보관하는 플라스틱제 팩에서 공기를 빼내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데, 진공포장용 팩은 보통 비닐 등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팩으로 되어 있고, 이불이나 옷 등을 넣고 슬라이드 훼스너를 잠그고, 공기를 빼 낼 수 있는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는 유연성이 거의 없는 딱딱한 경화 플라스틱제 프레임 구조에 링형태의 가드를 갖는 통기구를 구비하고, 밸브 통기구에는 유연한 고무 또는 유연한 플라스틱제 심을 갖는 패킹을 설치하고, 공기 배출 후 통기구 패킹을 고정하기 위하여 경화 플라스틱 프레임에는 원형 돌기형 수나사가, 마개에는 암나사가 설치되고, 수나사부는 포장용 팩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수나사부가 형성된 프레임 가장자리 평면부분에는 관통된 팩의 내면을 양면 접착제로 접착하고, 그 상면에는 링형태의 경화 플라스틱제 원판이 수나사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며, 경화 플라스틱제 마개에는 암나사와 패킹지지대가 형성되어 마개를 돌려 닫으면 마개에 달린 패킹지지대가 패킹을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체크밸브는 매우 딱딱한 경화 플라스틱 프레임과 나사구조를 갖는 경화 플라스틱 마개를 사용함으로써 진공흡입기의 사용 등 진공포장용 팩으로부터 공기배출 조작시 체크밸브의 부품이 분리되거나, 체크밸브의 밀폐조작시 마개를 돌려 닫는 등 조작에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 사용이 불편하고, 포장 해제후에는 마개 등 부품이 이탈 분실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진공포장 용 팩을 전체로 폐기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체크밸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의 재질을 연성 플라스틱재로 하고, 제작 및 조립이 어려운 공기배출구 통공에 삽입되는 심을 갖는 패킹구조를 얇은 공기흡입방지막으로 대체하고, 체크밸브의 마개에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연결고리를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와 연결하여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마개에 플랜지결합용 홈을 설치하여 체크밸브의 마개를 원터치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체크밸브의 마개에 연결고리를 달아 마개가 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를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체크밸브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마개에 원통형 지지대를 길게 돌출시켜서 공기흡입방지막을 기저부에 밀착시킴으로서 기밀도 진공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본 고안의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이하 체크밸브라 한다)는 진공포장용 팩에 원형의 구멍을 통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팩 구멍의 가장자리와 기저부 윗면의 가장자리 원판부분이 열접착 또는 접착제 팩킹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저면에는 원형의 공기배출구 통공과 통공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수개의 공기유로편을 구비하고, 윗면에는 원형의 공기배출구 통공의 주변으로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함몰형 홈과 함몰형 홈의 주변에는 원형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와 플랜지결합용 돌기의 외주면에는 마개 연결고리 결합용 홈을 구비한 기저부와;
기저부의 원형돌기가 설치된 함몰형 홈위에 거치시켜서 공기흡입을 방지하는 공기흡입방지막과;
기저부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저면에는 공기배출시 공기흡입방지막을 제어하는 링형 가드와 기저부결합용 홈과 마개 연결고리 안내홈을 구비하고, 윗면에는 원형의 마개결합용 2단 돌기를 구비하여 마개와 억지끼움으로 닫히는 플랜지와;
원형의 마개의 일측면에 고리를 구비하고 내면 중앙에는 마개의 닫힘시 플랜지의 링형 가드를 통과하여 공기흡입방지막을 기저부에 밀착시키는 원통형 지지대와 내면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결합용 홈을 구비하고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에 고리로 연결되는 마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종래의 체크밸브와 대비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종래 체크밸브와 다른 점은 종래의 체크밸브는 유연성이 거의 없 는 딱딱한 경화 플라스틱제 프레임 저면 중앙에 형성된 통공의 원통형 내부공간에 링형 가드가 설치되고 링형의 가드위에 패킹이 설치되고, 경화 플라스틱 프레임에는 원형 돌기형 수나사가, 마개에는 암나사가 설치되어 마개를 돌려 닫으면 마개에 달린 패킹지지대가 본체의 링형 가드위의 패킹을 압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식인 데 비하여, 이건 고안은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제 프레임 저면 중앙에 형성된 함몰형 원통형 내부공간의 통공 위에 얇은 꽃잎형 막을 거치하고, 그 위에 플랜지 중앙의 원통형 내부공간에 링형의 가드를 설치하여 원터치식 마개에 달린 원통형 지지대가 링형 가드를 관통하여 그 아래에 있는 패킹을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된 바, 기저부와 공기흡입방지막과 플랜지와 마개로 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분해조립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체크밸브 마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체크밸브의 마개가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그러면 아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저부(10)는 저면에 원형의 공기 배출구 통공(11)과 통공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수개의 공기유로편(12)을 구비하고 윗면에는 원형의 공기배출구 통공(11)의 주변으로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함몰형 홈(13)과 함몰형 홈의 주변에는 원형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기저부 저면의 통공(11)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수개의 공기유로편(12)은 진공포장용 팩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 팩 자체 또는 옷이나 이불의 천 등이 저면에 원형의 공기 배출구 통공을 막지 못하게 저지하고, 공기가 통공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수개의 공기유로편(12) 사이를 원할히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저부 윗면에는 원형의 공기 배출구 통공(11)의 주변으로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함몰형 홈(13)이 설치된다. 함몰형 홈 안의 통공 주변으로는 낮은 원형돌기(13-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형 홈 안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낮은 원형돌기(13-1)는 공기흡입방지막을 원형돌기위에 거치시킴으로써 공기배출시에는 공기의 배출을 원할히 하고 반면에 공기가 배출된 후에는 진공상태의 팩으로의 공기흡입력을 돌기에 집중시키고, 후술하는 밸브마개(40)를 닫았을 때 마개의 원통형 지지대(41)가 공기흡입방지막(20)을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낮은 원형돌기(13-1)와 맞닿아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진공포장용 팩의 진공상태를 강하게 오래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기저부의 함몰형 홈(13)의 주변에는 원형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를 설치하고, 플랜지결합용 돌기의 외주면으로는 밸브마개의 연결고리결합용 홈(14-1)이 설치된다.
플랜지결합용 돌기(14)는 포장용 팩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플랜지결합용 돌기가 형성된 기저부 윗면의 가장자리 원판부분은 관통된 팩을 개재하고 열접착 또는 접착제 팩킹으로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플랜지(30)가 플랜지결합용 돌기(14)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공기흡입방지막(20)은 기저부의 원형돌기가 설치된 함몰형 홈(13)위에 놓여서 진공포장용 팩이 공기흡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공기흡입방지막의 재질은 가볍고 유연성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되 두께는 1mm 내외로 하고, 공기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흡입방지막 가장자리는 꽃잎이 배열된 모양, 파도 모양 또는 별모양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꽃잎이 배열된 모양, 파도 모양 또는 별모양 등으로 구성된 공기흡입방지막(20)의 꽃잎 형상과 모양은 홈내에서 과도한 유동을 방지하고 공기 배출시에는 공기흡입방지막 주변으로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의 플랜지(30)는 그 저면에 공기배출시 공기흡입방지막을 제어하는 링형 가드(31)와 기저부결합용 홈(32)과 마개 연결고리 안내홈(33)을 구비하여 기저부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윗면에는 원형의 마개결합용 2단 돌기(34)를 구비하여 마개를 억지끼움으로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형 가드(31)는 공기배출시 공기흡입방지막(20)이 부상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형 망으로 플랜지의 저면에 설치된다. 링형 가드(31)의 주변으로는 기저부결합용 홈(32)이 설치되는데, 상기 기저부결합용 홈(32)은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기저부결합용 홈(32)은 후술하는 마개 연결고리(41)가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에 결합되는 점을 감안하여 설치한다. 또한 플랜지의 저면의 원판에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마개 연결고리 안내홈(3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의 윗면에는 마개결합용 2단 돌기(34)를 설치하는데 제1단 돌기는 진공 흡입기 노즐 안내용 돌기로 이용하고, 제2단 돌기는 마개결합용으로 사용되어 마개의 플랜지결합용 홈과 억지끼움으로 마개를 닫는다.
본 고안의 체크밸브 마개(40)는 원형의 마개의 일측면에 연결고리(41)를 구비하고 내면에는 마개의 닫힘시 플랜지의 링형 가드(31)를 통과하여 공기흡입방지막(20)을 기저부에 밀착시키는 원통형 지지대(42)와 플랜지결합용 홈(43)을 구비하고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에 고리(41)로 연결된다.
마개의 연결고리(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14)에 걸리는 것으로 체크밸브에서 마개를 해제하였을 때 마개가 이탈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많아서 연결고리(41)로 연결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팩에서 공기배출작업후 공기가 팩속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밸브를 즉시 막을 수 있도록 작업의 편리성을 기한 것이다.
마개의 내면 중앙에 부착된 원통형 지지대(42)는 마개의 닫힘시 플랜지의 링형 가드(31)를 통과하여 기저부 윗면 중앙의 함몰형 홈(13)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낮은 원형돌기(13-1) 위의 공기흡입방지막(20)과 밀착될 수 있도록 다소 길게 형성한다.
마개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결합용 홈(43)을 구비하여 닫힘시 플랜지의 마개결합용 돌기(34)와 억지끼움으로 마개가 닫힌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포장용 팩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는 것으로 포장할 침구류나 의류를 수용한 포장용 팩의 개구부의 지퍼 슬라이드 훼 스너를 밀봉하고 체크밸브의 마개를 해제한 상태에서 진공흡입구 노즐을 플랜지의 마개결합용 돌기에 밀착시켜서 진공흡입구를 작동시키면 공기배출구 통공을 일시적으로 막고 있던 공기흡입방지막(20)은 흡입구의 흡입력에 의하여 부상되어 플랜지에 설치된 링형 가드(31)에 의하여 제어되고 포장용 팩속에 있는 공기가 체크밸브의 공기배출구의 통공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포장용 팩속에 있는 공기가 충분히 배출되고, 포장용 팩의 부피가 축소되면 포장용 팩의 진공압 또는 축소된 포장물건의 팽창압으로 공기흡입방지막(20)이 공기배출구의 통공(11)을 막게 되고, 이때 체크밸브의 마개(40)를 닫으면 마개 내면 중앙의 원통형 지지대(42)가 공기흡입방지막(20)을 기저부(정확하게는 함몰형 홈(13) 안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방지막(20) 거치용 낮은 원형돌기(13-1))에 밀착시켜서 포장용 팩을 진공상태로 장기간 유지시켜 줌으로써 포장하고자하는 물품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조립도
도3은 본 고안의 체크밸브 마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체크밸브 마개가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부호 10:기저부, 11:통공, 12:공기유로편, 13:함몰형 홈, 14:플랜지결합용돌기, 20:공기흡입방지막, 30:플랜지, 31:링형가드, 32:기저부결합용홈, 33:연결고리안내홈, 34:마개결합용 2단돌기, 40:마개, 41:연결고리, 42:원통형지지대, 43:플랜지결합용홈

Claims (1)

  1. 진공포장용 팩에 결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저면에는 원형의 공기배출구 통공과 통공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수개의 공기유로편을 구비하고, 윗면에는 원형의 공기배출구 통공의 주변으로 공기흡입방지막 거치용 함몰형 홈과 함몰형 홈의 주변에는 원형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와 플랜지결합용 돌기의 외주면에는 마개 연결고리 결합용 홈을 구비한 기저부와;
    기저부의 원형돌기가 설치된 함몰형 홈위에 거치시켜서 공기흡입을 방지하는 공기흡입방지막과;
    기저부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저면에는 공기배출시 공기흡입방지막을 제어하는 링형 가드와 기저부결합용 홈과 마개 연결고리 안내홈을 구비하고, 윗면에는 원형의 마개결합용 2단 돌기를 구비하여 마개와 억지끼움으로 닫히는 플랜지와;
    원형의 마개의 일측면에 고리를 구비하고 내면 중앙에는 마개의 닫힘시 플랜지의 링형 가드를 통과하여 공기흡입방지막을 기저부에 밀착시키는 원통형 지지대와 내면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결합용 홈을 구비하고 기저부의 플랜지결합용 돌기에 고리로 연결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080003945U 2008-03-26 2008-03-26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0446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945U KR200446985Y1 (ko) 2008-03-26 2008-03-26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945U KR200446985Y1 (ko) 2008-03-26 2008-03-26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41U true KR20080000641U (ko) 2008-04-23
KR200446985Y1 KR200446985Y1 (ko) 2009-12-15

Family

ID=4132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3945U KR200446985Y1 (ko) 2008-03-26 2008-03-26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KR20150001586U (ko) * 2015-02-25 2015-04-24 (주)포에스텍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2123681B1 (ko) * 2019-02-01 2020-06-18 (주)포에스텍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748B1 (ko) 2010-07-07 2012-09-05 이사라 흡입 배기수단이 마련된 음식물 보관용 진공 팩
KR102457431B1 (ko) * 2021-01-13 2022-10-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362A (ja) 1999-04-27 2000-11-07 Nof Corp 弁及び袋状緩衝材
JP2005029197A (ja) 2003-07-11 2005-02-03 Sansei Kogyo Kk 真空保管袋の空気排出口
KR100519400B1 (ko) * 2003-09-22 2005-11-08 (주)아나렉스피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KR200357852Y1 (ko) 2004-05-20 2004-07-31 한경태 압축팩용 흡입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US9044376B2 (en) 2008-08-01 2015-06-02 Jae Kwang Sun Moxa holder support and customized moxibus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001586U (ko) * 2015-02-25 2015-04-24 (주)포에스텍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2123681B1 (ko) * 2019-02-01 2020-06-18 (주)포에스텍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85Y1 (ko)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85Y1 (ko)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020051823A (ko) 압축수납포대
KR101666070B1 (ko) 준비 작동식 밸브
WO2010056046A2 (ko)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JP2014501669A (ja) 包装袋を用いた真空包装容器
JP3118216U (ja) 密封袋の一方向エア弁
JP2006502927A (ja) 逆止弁及び真空包装袋
JP2010083505A (ja) 布団圧縮袋のシール袋付き吸気弁
KR101072581B1 (ko)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JP2009190755A (ja) 圧縮収納袋
KR100996491B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JP2006273370A (ja) 布団圧縮袋
KR20100003852U (ko) 압축팩용 흡입밸브
KR101628328B1 (ko) 압축 비닐팩용 공기밸브
KR200407648Y1 (ko) 캡의 분리 없이 보관대 내부의 공기흡입이 가능한 이불압축 보관대
JP3120327U (ja) 布団圧縮袋の吸気弁
KR100606607B1 (ko) 범용 진공 보조 장치
JP4822758B2 (ja) 逆止弁、アダプター及び圧縮袋
KR20140034664A (ko)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
KR200302730Y1 (ko)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CN212830121U (zh) 具有新型结构的压缩袋阀门结构
JP6818319B2 (ja) 圧縮袋用排気バルブ及びこれを備えた圧縮袋
JP3140873U (ja) 布団圧縮袋の吸気弁
JPH082109Y2 (ja) バルブ付キャップ
KR20190019476A (ko) 압축팩 공기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