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86U -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586U
KR20150001586U KR20150001242U KR20150001242U KR20150001586U KR 20150001586 U KR20150001586 U KR 20150001586U KR 20150001242 U KR20150001242 U KR 20150001242U KR 20150001242 U KR20150001242 U KR 20150001242U KR 20150001586 U KR20150001586 U KR 201500015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vacuum
seal base
vacuum pac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1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274Y1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2020150001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7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ck Valv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팩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시에나 보관 부주의에 의한 체크밸브의 원치않는 정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진공팩에 형성된 진공홀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팩의 진공홀이 형성된 외표면에 고정되는 씨일베이스;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씨일베이스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구획격벽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구획격벽에는 외부 환경 및 상기 체크밸브의 설치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밸브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check valve assembly for vacuum pack}
본 고안은 진공팩에 적용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팩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시에나 보관 부주의에 의한 체크밸브의 원치않는 정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팩은 내부에 음식물이나 식품 및 물품 등의 보관물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팩이다.
이와 같은 진공팩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 구조의 밀봉부를 이용하여 내부 저장 공간에 대한 선택적인 개폐를 수행하며, 상기 진공팩 내에 보관물을 저장한 후 상기 밀봉부를 닫음으로써 상기 보관물을 외기와 차단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종래에는 상기 진공팩에 진공홀을 관통 형성한 후 진공기로써 상기 진공홀을 통해 진공팩 내부를 진공화시킨 다음 상기 진공홀을 테이프로 폐쇄하여 더욱 오랜 시간 동안의 진공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팩은 비록 테이프로 진공홀을 폐쇄한다고 하더라도 이 진공홀의 폐쇄를 위한 테이프의 부착 과정에서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하지 못한 부착으로 인한 틈새에 의해 진공팩 내부로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진공팩의 진공홀에 박막의 체크밸브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진공기를 이용한 진공팩 내부의 진공화시에만 상기 진공홀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705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508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50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상기 박막의 체크밸브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진공기에 의한 진공팩 내부의 진공화 작업시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진공팩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컸으며, 더욱이 사용자의 보관 부주의로 인해 상기 체크밸브의 벗겨짐이 발생되어 정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진공기를 이용한 진공팩 내부의 진공화 작업시 진공홀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진공팩의 여타 부위에 막혀 원활한 진공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진공팩의 진공홀이 형성된 부위를 상기 진공팩의 여타 부위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진공기로 진공화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팩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시에나 보관 부주의에 의한 체크밸브의 원치않는 정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진공팩에 형성된 진공홀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팩의 진공홀이 형성된 외표면에 고정되는 씨일베이스;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씨일베이스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구획격벽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구획격벽에는 외부 환경 및 상기 체크밸브의 설치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밸브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저면 중 상기 연통부의 외측 둘레 부위에는 상기 진공팩의 표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이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씨일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연통부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밸브캡의 하단이 압입 고정되는 링 형상의 수용리브가 둘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는 바닥면을 갖는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복수의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돌부 및 상기 수용돌부의 상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를 덮는 폐쇄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캡을 이루는 구획격벽의 중앙 부위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체크밸브에 의한 각 통과공의 폐쇄가 방지되도록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 중앙측 부위를 향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캡에 형성되는 각 통과공은 상기 구획격벽의 둘레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밸브캡의 구획격벽에 의한 구조로 인해 체크밸브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항상 보호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보관상의 부주의나 사용상의 부주의 등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가 원치 않게 정위치를 이탈함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씨일베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이격홈과 연통부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진공팩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진행되는 도중 항상 일정한 진공 흡입력의 제공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진공팩을 이루는 두 겹의 표면이 진공홀 형성 부위에서 원치않게 밀착되어 진공화를 방해하던 문제점이 해결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진공팩(100)은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갖는 두 겹의 표면(110,120)을 봉투의 구조로 형성한 비닐팩을 의미하며, 어느 한 측은 밀폐 및 개방 가능한 밀봉부(130)가 구비됨과 더불어 외표면 중의 어느 한 부위에는 내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진공홀(112)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팩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설치 구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200)는 크게 씨일베이스(210)와 체크밸브(220) 및 밸브캡(2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체크밸브(220)는 상기 밸브캡(2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됨과 더불어 안정적인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씨일베이스(210)는 진공팩(100)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상기 씨일베이스(210)는 진공팩(100)의 외표면 중 진공홀(112)이 형성된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진공홀(112)과 연통되는 연통부(2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통부(211)는 단순한 관통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부(211)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바닥면을 갖는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복수의 연통홀(212)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임을 그 예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후술될 체크밸브(220)를 이루는 수용돌부(221)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수용돌부(221)의 외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팩(100) 내의 진공압에 의한 체크밸브(220)의 수용돌부(221)가 하향 이동될 때에도 상기 연통부(211)의 바닥면이 상기 수용돌부(221)의 저면을 받쳐줌으로써 상기 수용돌부(221)의 과도한 하강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씨일베이스(210)는 진공팩(100)에 비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진공팩(100) 내의 진공화 과정에서 상기 진공팩(100)의 절곡 및 접힘과 같은 구김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과도한 휨 변형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씨일베이스(210)의 상면 중 상기 연통부(211)의 외측 둘레 부위에는 링 형상의 수용리브(213)가 둘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리브(213)는 후술될 밸브캡(230)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저면 중 상기 연통부(211)의 외측 둘레측 부위에는 이격홈(214)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214)은 상기 연통부(211)와 함께 상기 진공팩(100)의 표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써, 상기한 이격 공간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진공팩(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 과정시 진공팩(100)을 이루는 두 겹의 표면 중 진공홀(112)이 형성된 부위의 표면들이 서로 밀착되어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공기 흡입력의 제공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220)는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연통부(2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써,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체크밸브(220)가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연통부(2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돌부(221)와, 상기 수용돌부(221)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연통부(211)의 상단 개방 부위를 덮는 폐쇄막(222)으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수용돌부(221)는 상기 연통부(211)의 내주면을 완전히 폐쇄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폐쇄막(222)은 박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211)를 통해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경우 휨 변형되면서 상기 연통부(211)의 개방 부위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20)는 종래의 기술들에서처럼 적어도 어느 한 부위가 진공팩(100)이나 혹은, 여타 구조물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자유로운 승강 이동 및 휨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진공팩(100) 내부의 진공화 작업시 상기 연통부(211)의 개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캡(230)은 상기 체크밸브(2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밸브캡(230)은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220)의 동작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그의 하단은 상기 씨일베이스(210)에 형성된 수용리브(213) 내에 압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캡(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크밸브(220)가 설치된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구획격벽(231)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격벽(231)에는 외부 환경 및 상기 체크밸브(220)의 설치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과공(232)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한 구획격벽(231)의 구조에 의해 체크밸브(220)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220)의 원치않는 탈거나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통과공(232)은 상기 구획격벽(231)의 둘레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구획격벽(231)의 중앙 부위는 상기 체크밸브(220)의 상면 중앙측 부위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구획격벽(231)의 중앙측 돌출 부위가 상기 체크밸브(220)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체크밸브(220)에 의한 각 통과공(232)의 폐쇄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캡(230)은 상기 체크밸브(220)에 비해 경질의 재질이면서도 진공팩(100) 내의 진공압이나 외력에 의해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진공팩(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 과정시 상기 진공팩(100)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씨일베이스(210)의 휨 변형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수용리브(213)에 대한 변형을 상기 밸브캡(230)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밸브캡(230)에 의해 상기 씨일베이스(210) 중 수용리브(213)의 내측 부위인 체크밸브(220)가 설치되는 부위에 대한 휨 변형 발생은 방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체크밸브(220)는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진공팩(100) 내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밀봉부(130)로 상기 진공팩(100)의 개방된 어느 한 측 부위를 밀폐한다.
이때, 채크밸브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체크밸브(220)의 폐쇄막(222)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일베이스(210)의 연통부(2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밸브캡(230)은 상기한 체크밸브(220)가 외부 환경으로 노출됨을 방지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진공팩(100) 내부는 진공팩(100) 외부와 동일한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체크밸브(220)는 단순히 자중에 의해 상기 연통부(211)를 가로막는 상태로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진공기(300)의 선단을 상기 밸브캡(230)의 상단에 밀착시킨 후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진공기(30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진공팩(100)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강제로 배출된다.
즉, 씨일베이스(210)의 연통부(211)를 폐쇄하고 있던 체크밸브(220)는 상기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연통부(211)를 개방하게 되며, 이러한 연통부(211)의 개방에 의해 진공팩(1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진공팩(100)의 진공홀(112)과 상기 씨일베이스(210)의 연통부(211)에 형성된 각 연통홀(212) 및 상기 밸브캡(230)에 형성된 각 통과공(2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진공기(300)로 흡입됨으로써 상기 진공팩(100) 내의 공기는 강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20)가 설치된 부위는 밸브캡(230)을 이루는 구획격벽(231)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상태임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20)는 상기 구획격벽(231)에 의해 과도한 상승됨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220)가 상기 연통부(21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연통부(211)를 통한 공기의 배출은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된 진공팩(100) 내의 진공화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진공팩(100)을 이루는 두 겹의 표면(110,120) 중 진공홀(112)이 형성된 어느 한 겹의 표면(110)은 상기 씨일베이스(210) 저면에 형성된 이격홈(214) 내표면에 밀착되지만, 다른 한 겹의 표면(120)은 연통부(211)의 바닥면에 부딪혀 상기 어느 한 겹의 표면(110)과는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진공 흡입력의 전달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진공팩(100)을 이루는 두 겹의 표면(110,120)이 상기 진공홀(112)의 형성 부위에서 서로 밀착되어 진공 흡입력의 전달을 방해하는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 의해 진공팩(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완료되어 진공기(300)의 동작이 중단될 경우 체크밸브(220)는 연통부(211)를 통해 진공팩(100) 내의 진공압에 의한 영향을 제공받아 하향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220)를 이루는 폐쇄막(222)은 상기 연통부(211)를 가로막게 된다.
물론, 상기 진공압에 의한 체크밸브(220)의 휨 변형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단순히 상기 체크밸브(220)를 이루는 수용돌부(221)가 상기 연통부(211) 내로 더욱 요입될 뿐이며, 특히 상기 연통부(211)는 바닥면을 갖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상기 수용돌부(221)는 최대한 상기 연통부(211) 내의 바닥면에 맞닿을 때 까지만 요입될 뿐이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220)가 상기 진공압에 의해 상기 연통부(211)를 과도하게 통과하여 폐쇄 위치를 벗어나게 됨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220)는 상기 연통부(211)를 항상 정확히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공팩(100) 내부로의 외부 공기 유입(진공 해제)은 방지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더욱이, 상기 체크밸브(220)는 상기 밸브캡(23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 노출됨이 방지된 상태로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 혹은, 주변 물체와의 부딪힘 등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20)가 원치않게 원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진공팩(100) 내부에 보관된 보관물에 대한 장기간의 진공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밸브캡(230)의 구획격벽(231)에 의한 구조로 인해 체크밸브(220)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항상 보호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보관상의 부주의나 사용상의 부주의 등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20)가 원치 않게 정위치를 이탈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씨일베이스(210)의 저면에 형성된 이격홈(214)과 연통부(211)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진공팩(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진행되는 도중 항상 일정한 진공 흡입력의 제공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진공팩(100)을 이루는 두 겹의 표면(110,120)이 진공홀(112) 형성 부위에서 원치않게 밀착되어 진공화를 방해하던 문제점이 해결된다.
100. 진공팩 110,120. 두 겹의 표면
112. 진공홀 130. 밀봉부
200. 체크밸브 어셈블리 210. 씨일베이스
211. 연통부 212. 연통홀
213. 수용리브 214. 이격홈
220. 체크밸브 221. 수용돌부
222. 폐쇄막 230. 밸브캡
231. 구획격벽 232. 통과공
300. 진공기

Claims (6)

  1. 진공팩에 형성된 진공홀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팩의 진공홀이 형성된 외표면에 고정되는 씨일베이스;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씨일베이스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구획격벽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구획격벽에는 외부 환경 및 상기 체크밸브의 설치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밸브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저면 중 상기 연통부의 외측 둘레 부위에는 상기 진공팩의 표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이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연통부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밸브캡의 하단이 압입 고정되는 링 형상의 수용리브가 둘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는 바닥면을 갖는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복수의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씨일베이스의 연통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돌부 및 상기 수용돌부의 상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를 덮는 폐쇄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을 이루는 구획격벽의 중앙 부위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체크밸브에 의한 각 통과공의 폐쇄가 방지되도록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 중앙측 부위를 향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에 형성되는 각 통과공은 상기 구획격벽의 둘레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20150001242U 2015-02-25 2015-02-25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0479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2U KR200479274Y1 (ko) 2015-02-25 2015-02-25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2U KR200479274Y1 (ko) 2015-02-25 2015-02-25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769 Division 2013-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86U true KR20150001586U (ko) 2015-04-24
KR200479274Y1 KR200479274Y1 (ko) 2016-01-12

Family

ID=5303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42U KR200479274Y1 (ko) 2015-02-25 2015-02-25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2A1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진공 텀블러
KR20180095800A (ko) * 2016-04-06 2018-08-28 후지쿠라 고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체크 밸브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681B1 (ko) 2019-02-01 2020-06-18 (주)포에스텍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641U (ko) * 2008-03-26 2008-04-23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100054366A (ko) * 2008-11-14 2010-05-25 (주)포에스텍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641U (ko) * 2008-03-26 2008-04-23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20100054366A (ko) * 2008-11-14 2010-05-25 (주)포에스텍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2A1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진공 텀블러
KR20180095800A (ko) * 2016-04-06 2018-08-28 후지쿠라 고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체크 밸브 구조
US10704700B2 (en) 2016-04-06 2020-07-07 Fujikura Composites Inc. Check valv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74Y1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479274Y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JP2016513050A (ja) 真空容器用チェック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JP2011246182A (ja) 吐出容器
KR100559939B1 (ko) 밀폐 용기 뚜껑의 패킹 고정 구조
KR20100054366A (ko)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WO2018212036A1 (ja) 流体吐出容器
KR101827129B1 (ko) 진공밀폐 용기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6629124B2 (ja) 吐出容器
JP2016068973A (ja) 弁構造、脱気包装袋、及び包装構造
KR200471518Y1 (ko) 일체형 다중패킹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100122345A (ko)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102457431B1 (ko)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KR200427792Y1 (ko) 압축 비닐팩용 밸브
CN214494006U (zh) 真空保鲜袋
KR102468298B1 (ko) 진공 밸브체
KR101962244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KR101812795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JP5285483B2 (ja) ガス抜きプラグ
JP6621297B2 (ja) フィルム体を吐出体の天壁部に押し付けるカバー体を備える吐出容器
KR20110036228A (ko) 의류용 압축보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