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852Y1 - 압축팩용 흡입밸브 - Google Patents

압축팩용 흡입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852Y1
KR200357852Y1 KR20-2004-0014014U KR20040014014U KR200357852Y1 KR 200357852 Y1 KR200357852 Y1 KR 200357852Y1 KR 20040014014 U KR20040014014 U KR 20040014014U KR 200357852 Y1 KR200357852 Y1 KR 200357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pression pack
air
compress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태
Original Assignee
한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태 filed Critical 한경태
Priority to KR20-2004-0014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불 또는 의류 등을 압축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압축팩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팩 내부의 공기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흡입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 상단 외주면으로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 유출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는 원판형태의 제 1지지판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본체의 공기 유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공기흐름 차단부재;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며 하단 둘레에는 본체의 제 1지지판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 2지지판이 구비된 본체 고정수단 및; 상기 본체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서로 나합되는 것에 의해 본체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시간 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됨은 물론, 압축뒤 개폐캡을 통하여 완전히 밀봉함으로 압축팩 내부의 진공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팩을 장기간 보호할 수 있는 압축팩용 흡입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팩용 흡입밸브 {Intake valve for compression pack}
본 고안은 압축팩용 흡입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불이나 의류 등과 같이 부피가 큰 물건을 압축 진공 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압축팩에 설치되어 압축팩 내부의 공기배출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보관시 압축팩 내부로 다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압축팩용 흡입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이나 의류 등의 계절물품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최소의 부피로 접어 보자기 등을 이용하여 장농 등에 보관하고 있다. 특히, 이불은 침구류로써 부피가 커서 운반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시기에는 습기가 차고, 곰팡이 등의 유해세균이 침입하여 악취가 베어드는 등의 품질 보존에 어려움이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봉투 형태로 형성되고, 개봉부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구비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이불이나 의류 등의 압축물(300)을 넣은 다음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일정구간 잠그고 남긴 일정구간의 개봉부에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200)를 넣어 압축팩(10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압축시킨뒤, 나머지 일정구간의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잠그면 이불 및 의류 등의 압축물(300)의 부피가 최소화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게 되고, 압축팩(100)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되어 유해세균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압축팩(100)은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일정구간 남긴후 진공청소기의 흡입구(200)를 압축팩(100)에 넣기 때문에 압축팩(100)과 흡입구(200)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압축시 흡입하는 속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공기가 세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구(200)가 넣어진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인위적으로 고정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으며, 압축팩(100)을 압축한 후에도 흡입구(200)를 압축팩(100)에서 빼는 동시에 슬라이드 파스너(110)를 순간 밀착 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압축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압축팩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압축팩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내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흡입밸브 10 - 본체
11 - 몸체 12 - 제 1지지판
13, 43 - 나선부 14 - 안착홈
15 - 공기 유출공 16 - 결합구
20 - 공기흐름 차단부재 21 - 플랜지
22 - 안착부 23 - 결합축
30 - 본체 고정부재 31 - 삽입공
32 - 제 2지지판 40 - 개폐캡
44 - 압입돌기 45 - 요철부
이러한 본 고안은 이불 또는 의류 등을 압축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압축팩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팩 내부의 공기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흡입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 상단 외주면으로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 유출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는 원판형태의 제 1지지판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본체의 공기 유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공기흐름 차단부재;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며 하단 둘레에는 본체의 제 1지지판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 2지지판이 구비된 본체 고정수단 및; 상기 본체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서로 나합되는 것에 의해 본체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공기 유출공 내부 중앙에는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구가 다수의 격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공기흐름 차단부재의 안착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축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축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나선부에는 일정부분 절취된 끼움홈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도록 본체 고정부재의 삽입공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캡이 본체와 결합시 공기흐름 차단부재의 플랜지 표면을 압입하면서 결합되는 압입돌기가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내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A)는 크게 본체(10), 공기흐름 차단부재(20), 본체 고정부재(30) 및 개폐캡(4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몸체(11) 하단에는 압축팩(50)의 내부에 밀착지지되는 원판 형태의 제 1지지판(12)이 구비되고, 상단 외주면으로는 일정 부분 나선부(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 유출공(15)이 구비된 안착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출공(15)의 내부 중앙에는 후술될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결합축(23)이 끼워지도록 결합공(16a)이 구비된 결합구(16)가 다수의 격판(16b)에 의해 고정되는바, 이때 결합구(16)는 상기 안착홈(14)으로 부터 일정 깊이로 이격 형성된다. 즉, 결합구(16)를 안착홈(14)으로 부터 일정 깊이만큼 이격 형성함으로 인하여 공기 유출공(15)의 면적을 크게 함은 물론, 원할한 공기의 흐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13)에는 일정부분이 절취되어 하부와 연통되는 끼움홈(13a)이 양측에 구비되어 본체(10)를 구성한다.
공기흐름 차단부재(20)는 본체(10)의 안착홈(14)에 안착되어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으로, 실리콘 또는 PVC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을 갖으며, 본체(10)의 안착홈(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2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의 공기 유출공(15)을 마감하도록 일정 경사면을 이루는 안착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22)의 중앙 하부로는 일정 길이를 갖는 결합축(23)이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0)의 결합구(16)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체(10)의 결합구(16)에 구비된 결합공(16a)으로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결합축(23)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에 의해 플랜지(21)와 안착부(22)가 공기 유출공(15)을 개방 또는 폐쇄하며 이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축(23)의 하단 둘레로는 상기 결합축(23)이 결합구(16) 내에서 승하강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a)이 구비되어 공기흐름 차단부재(20)를 구성한다.
본체 고정부재(30)는 압축팩(50) 내에 밀착지지된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몸체(11)에 삽입되도록삽입공(31)을 구비하고,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제 1지지판(12)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 2지지판(32)이 구비되어 본체(1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본체 고정부재(30)의 삽입공(31)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나선부(13)에 구비되어 있는 끼움홈(13a)에 끼워 회전되는 것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홈(13a)에 대응되는 끼움돌기(31a)가 구비된다.
개폐캡(40)은 상기 본체(10)의 개방면을 마감하여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즉, 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13)와 나합되도록 상기 나선부(13)에 대응되는 나선부(43)를 내주면에 구비하고, 중앙에는 상기 본체(10)와의 결합시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플랜지(21) 표면을 압입하는 압입돌기(44)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플랜지(21)와 대응되는 위치의 개폐캡(40) 내부면에는 원형의 압입돌기(44)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0)와의 결합시 상기 압입돌기(44)가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플랜지 표면(21)을 압입하며 결합되는 것에 의해 더욱 견고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캡(40)의 외주면에는 개폐동작의 편리함을 위한 요철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A)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압축팩(50)의 일단에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51)를 개방시켜 이불이나 의류 등의 압축물(52)을 넣고 슬라이드 파스너(51)의 개방면을 밀착시켜 상기 압축팩(50)를 밀폐시킨다.
이후, 상기 압축팩(50)의 일면 임의 위치에 설치된 흡입밸브(A)의 개폐캡(40)을 분리시킨뒤, 진공청소기나 공기흡입기의 흡입구(60)를 본체(10)에 끼워 압축팩(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청소기나 공기흡입기가 본 고안인 흡입밸브(A)를 통하여 압축팩(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공기흐름 차단부재(20)가 상기 진공청소기나 공기흡입기의 공기압에 의해 승강되면서 공기 유출공(15)으로 부터 개방되고 이때, 개방된 공기흐름 차단부재(20)는 결합축(23)의 하단 둘레에 구비된 걸림턱(23a)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원활한 공기의 흡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압축을 진행하여 압축팩(50) 내부의 공기를 모두 압축한 후에는, 상기 진공청소기나 공기흡입기의 흡입구(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흡입구(50)를 분리하면 가해지는 공기압이 없어짐에 따라 공기흐름 차단부재(20)는 다시 도 6a와 같이 자중에 의해 자연이 공기 유출공(15)을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어 간편하게 압축과정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모든 압축과정을 끝낸 상태에서 개폐캡(4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개방면을 마감하게 되면 상기 개폐캡(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압입돌기(44)가 공기흐름 차단부재(20)의 플랜지(21)를 압입하는 상태로 결합되므로 더욱 견고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 1지지판(12) 상부 표면에는 양면테이프(7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압축팩(50)에 본체(10)가 결합되었을때 발생되는 틈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압축팩(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체(10)의 제 1지지판(12) 상부 둘레를 따라 양면테이프(70)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제 1지지판(12)이 압축팩(50)과 부착됨으로 인하여 틈없이 긴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 테이프(70)에 의해 압축팩(50)과 본체(10)간의 틈을 없앴지만, 본체(10)의 제 1지지판(12)과 밀착되는 부분에 열을 가하여 융착하는 것에 의해 본체(10)와 압축팩(50)을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팩용 흡입 밸브에 의하면, 압축팩 일면 임의 위치에 공기 흡입밸브를 장착함으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를 통하여 내부 공기를 흡입할 경우 발생되는 공기의 역 투입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됨은 물론, 압축뒤 개폐캡을 통하여 완전히 밀봉함으로 압축팩 내부의 진공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팩을 장기간 보호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이불 또는 의류 등을 압축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압축팩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팩 내부의 공기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흡입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 상단 외주면으로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 유출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는 원판형태의 제 1지지판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본체의 공기 유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공기흐름 차단부재;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며 하단 둘레에는 본체의 제 1지지판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 2지지판이 구비된 본체 고정수단 및;
    상기 본체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서로 나합되는 것에 의해 본체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개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기 유출공 내부 중앙에는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구가 다수의 격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공기흐름 차단부재의 안착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축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축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나선부에는 일정부분 절취된 끼움홈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도록 본체 고정부재의 삽입공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캡이 본체와 결합시 공기흐름 차단부재의 플랜지 표면을 압입하면서 결합되는 압입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 1지지판 표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팩용 흡입밸브.
KR20-2004-0014014U 2004-05-20 2004-05-20 압축팩용 흡입밸브 KR200357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14U KR200357852Y1 (ko) 2004-05-20 2004-05-20 압축팩용 흡입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14U KR200357852Y1 (ko) 2004-05-20 2004-05-20 압축팩용 흡입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852Y1 true KR200357852Y1 (ko) 2004-07-31

Family

ID=4934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014U KR200357852Y1 (ko) 2004-05-20 2004-05-20 압축팩용 흡입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85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07B1 (ko) 2004-08-26 2006-08-01 (주)씨에스이 범용 진공 보조 장치
KR100726355B1 (ko) 2006-01-04 2007-06-12 주식회사 소니언컴퍼니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446985Y1 (ko) 2008-03-26 2009-12-15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100956438B1 (ko) * 2008-07-03 2010-05-06 주식회사 제로팩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101083102B1 (ko) 2010-03-04 2011-11-16 주식회사 카노 이불 압축 보관대의 진공밸브
KR101336972B1 (ko) * 2012-02-08 2013-12-04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20190019476A (ko) * 2017-08-17 2019-02-27 오진열 압축팩 공기 흡입구
KR101962244B1 (ko) 2017-09-29 2019-03-29 주식회사 위드원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CN109850356A (zh) * 2018-12-11 2019-06-07 中山市太力家庭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压缩袋的气嘴结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07B1 (ko) 2004-08-26 2006-08-01 (주)씨에스이 범용 진공 보조 장치
KR100726355B1 (ko) 2006-01-04 2007-06-12 주식회사 소니언컴퍼니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446985Y1 (ko) 2008-03-26 2009-12-15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KR100956438B1 (ko) * 2008-07-03 2010-05-06 주식회사 제로팩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101083102B1 (ko) 2010-03-04 2011-11-16 주식회사 카노 이불 압축 보관대의 진공밸브
KR101336972B1 (ko) * 2012-02-08 2013-12-04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20190019476A (ko) * 2017-08-17 2019-02-27 오진열 압축팩 공기 흡입구
KR102130454B1 (ko) * 2017-08-17 2020-07-06 오진열 압축팩 공기 흡입구
KR101962244B1 (ko) 2017-09-29 2019-03-29 주식회사 위드원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CN109850356A (zh) * 2018-12-11 2019-06-07 中山市太力家庭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压缩袋的气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7852Y1 (ko) 압축팩용 흡입밸브
US7146783B2 (en) Vacuum packaging machine
US20050184075A1 (en) One-piece soft spout valve assembly for a no-spill drinking cup
JPH03212355A (ja)
JPH04242544A (ja) 圧縮収納袋
KR200485101Y1 (ko) 댐퍼일체형 송풍기
JP3366595B2 (ja) 通気弁
KR100874691B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200356709Y1 (ko) 접힘 가능한 포장케이스의 진공용 공기배출구
JP2004067245A (ja) 真空保管袋の空気排出口
KR101956065B1 (ko) 압축팩용 마개
JP4304369B2 (ja) 通気機能付き床排水トラップ
KR100522934B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KR200232016Y1 (ko) 날자표시 진공용기 밸브
KR100778520B1 (ko)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187987Y1 (ko)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
KR100606601B1 (ko) 지퍼백 진공장치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311951Y1 (ko) 비닐 보관백의 내부 공기배출 및 차단장치
KR200304837Y1 (ko) 이불 압축보관 케이스
JP2007225108A (ja) 布団圧縮保管ケースの空気排出弁
CN109827374B (zh) 抽屉组件和具有其的制冷设备
JPH082109Y2 (ja) バルブ付キャップ
KR101812795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JP2005029197A (ja) 真空保管袋の空気排出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