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823A - 압축수납포대 - Google Patents

압축수납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823A
KR20020051823A KR1020010074230A KR20010074230A KR20020051823A KR 20020051823 A KR20020051823 A KR 20020051823A KR 1020010074230 A KR1020010074230 A KR 1020010074230A KR 20010074230 A KR20010074230 A KR 20010074230A KR 20020051823 A KR20020051823 A KR 20020051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g
main body
piece
check valv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872B1 (ko
Inventor
오츠보료이치
고야나기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오오쯔보 료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아루
다까하시 사 찌꼬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와라세이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쯔보 료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아루, 다까하시 사 찌꼬,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와라세이따이 filed Critical 오오쯔보 료이찌
Publication of KR2002005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수납물품의 종류, 양 및 압축수납작업의 상황에 따라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압축수납작업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압축수납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축수납포대(10)는 그 한쪽에 피수납물품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부(14)를 가지는 수납포대체 본체(12)를 포함한다. 출입구부 (14)는 개폐수단(16)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된다. 압축수납포대(10)는 출입구부 (14)와는 반대측에 그 한쪽측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 다른쪽측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40)에 연장 설치되는 제 1 체크밸브 (22)와, 제 1 체크밸브(22) 및 통로(40)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공기가 유출 가능하게 되는 유출구(20)를 가지고, 특히 제 1 체크밸브(22)가 배치된 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체크밸브(12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압축수납포대{COMPRESSIBLE RECEIVING BAG}
본원 발명은 압축수납포대에 관한 것으로, 그 속에 속옷, 상의, 양말 등의 의류, 또는 타월천, 모포, 이불, 방석 등의 침구류, 그 외 손수건, 타월, 모자 등을 넣어 콤팩트하게 압축 수납할 수 있는 압축수납포대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의 압축수납포대에는 예를 들면 전기청소기를 사용하여 이불, 방석 및 두꺼운 의류 등, 부피가 큰 피수납물품을 압축 수납하는 것이 있었다. 압축수납포대를 사용한 수납방법은,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갑자기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축수납포대를 사용한 수납방법에서는, 압축수납포대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청소기 등을 상비하고 있는 일반가정내에서 압축수납작업을 할 때에는 그다지 지장도 없으나, 무엇인가의 형편으로 전기청소기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나, 또는 예를 들면 여행지에서 압축수납포대를 사용하여 압축수납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전기청소기를 운반하는 것도 뜻대로 안되어 여러가지로 불편이 생기는 것이었다. 또 한편으로는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손쉽게 압축수납작업을 할 수 있는 압축수납포대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수납물품의 종류, 양 및 압축수납작업의 상황에 따라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압축수납작업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압축수납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II-II 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체크밸브의 배치 등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정면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 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V-V 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1 체크밸브의 주요부 확대분해사시도,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매달음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훅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일례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주요부 도해도,
도 10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제 2 체크밸브에 있어서의 봉쇄파스너의 설치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선 XII-XII 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제 2 체크밸브에 있어서의 봉쇄파스너의 수컷체와 암컷체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도해도,
도 14는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수납포대 12 : 수납포대체 본체
13 : 설치구멍
14 : 수납포대체 본체의 개구부(출입구부)
16 : 개폐수단 18 : 매달음수단
20 : 유출구 22 : 제 1 체크밸브
22a, 22b, 22c : 제 1 체크밸브의 개구부
23 : 편평통형상부 24 : 개폐파스너
26 : 수컷체 26a : 볼록줄부
28 : 암컷체 28a : 오목줄부
30 : 멈춤기구 32a, 32b : 대향편
34 : 연접부 36 : 세퍼레이터설편
38a, 38b : 포올편 40 : 통로
42, 44, 46, 48, 58a, 58, 60a, 60b : 융착부분
50 : 제 1 체크밸브군 54, 56 : 밸브베이스편
62 : 유지부재 64 : 훅부재
66, 68, 112, 114 : 한 쌍의 끼워유지판
70, 116 : 걸어멈춤구멍 72, 118 : 끼워맞춤부
74, 122 : 버튼부 76 : 탄성팽출부
78 : 평탄면 80, 124 : 버튼 구멍부
82 : 원호형상부 84 : 직선형상부
86 : 유지부재의 힌지부 88 : 베이스편
90 : 지지편 92 : 걸어멈춤편
94 : 돌기체 95 : 빠짐방지편
96 : 볼록부 98 : 얇은 가이드부
100 : 훅 목편 102 : 목 베이스편
104 : 절곡홈부 106 : 플랩편
108 : 훅부재의 힌지부 110 : 훅체
120 : 제 2 체크밸브 120a, 120b : 개구부
122 : 외밸브부 124 : 내밸브부
130 : 봉쇄파스너 132 : 수컷체
134 : 암컷체 136 : 제 1 띠형상부
138 : 암컷 클로 140 : 가압리브
142 : 제 2 띠형상부 144 : 수컷 클로
146 : 홈형상부 148 : 체결벽면
150, 152, 154, 156, 158, 160, 162 : 시일부
164 : 연통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는 그 한쪽에 피수납물품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부를 가지는 수납포대체 본체와, 그 한쪽측이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 다른쪽측이 수납포대체 본체의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에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 체크밸브와,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수납포대체 본체의 끝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 1 체크밸브 및 통로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공기가 유출가능하게 되는 유출구와, 출입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제 1 체크밸브가 배치된 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체크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이다.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제 2 체크밸브는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에 연장되는 내밸브부와, 내밸브부와 연통되어 수납포대체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외밸브부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한 각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수납포대체 본체는 제 1 체크밸브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체크밸브군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제 2 체크밸브는 수납포대체 본체와 외부와의 통기를 봉쇄하는 봉쇄파스너를 포함하고, 봉쇄파스너는 제 1 띠형상부와, 제 1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로(claw)와, 제 2 띠형상부와, 제 2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 1 띠형상부의 클로와 끼워 맞춰지는 다른 클로를 구비하고, 제 1 띠형상부 및 제 2 띠형상부는 서로 대향하는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가 고정되어 편평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고정부분이 외밸브부의 지름방향의 끝부에 고정되면 좋다.
또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봉쇄파스너는 제 1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1 띠형상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암컷클로와, 제 2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2 띠형상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컷클로를 포함하고, 복수의 암컷클로와 복수의 수컷클로가 끼워맞춰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수납포대체 본체를 소망의 위치에 매달아 지지하는 매달음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매달음수단은 수납포대체 본체의 출입구부와 반대측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고, 수납포대체 본체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는 목 흔들림 가능한 훅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유지부재는 개폐 자유롭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수납포대체 본체의 끝부를 끼워 유지하는 한 쌍의 끼워유지판과, 한 쌍의 끼워유지판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관통한 걸어멈춤구멍을 가지고, 훅부재가 착탈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는 끼워맞춤부와, 한 쌍의 끼워유지판의 사이에 수납포대체 본체를 끼워 유지하였을 때에 한쪽의 끼워유지판 및 다른쪽의 끼워유지판 사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폐쇄수단은 한쪽의 끼워유지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머리부가 볼형상인 탄성팽출부를 가지는 복수의 버튼부와, 다른쪽의 끼워유지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버튼부가 멈춰지는 버튼구멍부를 포함하고, 버튼부는 그 지름방향의 양쪽에 평탄면을 구비하고, 버튼구멍부는 그 둘레 끝가장자리가 원호형상부와 평탄면에 대응하는 직선형상부를 구비하고, 버튼구멍부의 직선형상부 사이의 폭은 탄성팽출부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또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훅부재는 고리형상 프레임형의 베이스편과, 걸어멈춤구멍을 가지고, 베이스편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끼워맞춤부에 걸어 멈춰지는 걸어멈춤편과, 걸어멈춤편의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베이스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훅 목편과, 훅 목편의 끝 모서리부에 형성된 힌지부를 거쳐 목 흔들림 자유롭게 배치되는 훅체를 포함하고, 걸어멈춤편은 베이스편과 이간되는 방향으로 저항하여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압축수납포대에 있어서, 걸어멈춤편은 걸어멈춤편의 한쪽면측으로 팽출하여 끼워맞춤부의 걸어멈춤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체와, 돌기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걸어멈춤편의 선단부를 끼워맞춤부의 면을 따라 끼워 넣기 쉽게 하기 위한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와, 돌기체가 유지부재의 걸어멈춤구멍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걸어멈춤구멍의 가장자리 끝에 걸어멈춰지는 볼록형상의 빠짐방지편을 포함하면 좋은 것이다.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의류 등의 피수납물품은 출입구부로부터 수납포대체 본체내에 넣어지고, 출입구부는 개폐수단에 의해 적절히 폐쇄된다. 그리고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피수납물품을 수납포대체 본체내에 넣어 압축수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손으로 누르면서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공기가 밀어내어진다.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공기는 제 1 체크밸브 및 통로를 차례로 거쳐 유출구로부터 방출된다. 그 때문에 수납포대체 본체내가 부압(陰壓)상태가 되고,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피수납물은 수납포대체 본체와 함께 편평형상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제 1 체크밸브의 체크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수납포대체 본체내로의 환경공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이 경우 제 2 체크밸브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여 피수납물품을 압축 수납하는 경우에는 제 2 체크밸브가 사용된다. 제 2 체크밸브의 내밸브부 및 외밸브부는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하는 공기의 통기유로가 된다. 제 2 체크밸브의 외밸브부의 개구부에는 예를 들면 전기청소기의 노즐이 삽입된다. 외밸브부의 개구부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공기가 흡인탈기되어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 내밸브부의 외면측을 바깥쪽으로부터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여 내밸브부의 내면측끼리가 밀착된다. 또한 봉쇄파스너의 제 1 띠형상부의 클로와 제 2 띠형상부의 클로를 끼워 맞춤으로써 외밸브부의 개구부가 봉쇄된다. 그 때문에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와 외부와의 통기가 차단된다.
제 1 체크밸브가 구성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압축수납작업시, 수납포대체본체내의 공기가 복수의 제 1 체크밸브 및 통로를 통하여 유출구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된다.
또 매달음수단이 설치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손 내지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에 의해 압축 수납한 후의 편평형상의 압축수납포대는 매달음수단에 의하여 소망의 부위에 매달려 지지된다. 이 경우 압축수납포대는 연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적절하게 수납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를 사용한 경우, 종래의 겹쳐 쌓기에 의한 수납과 비교하면 평면적인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다.
매달음수단이 유지부재 및 훅부재를 포함하는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유지부재로 수납포대체 본체가 유지되고, 훅부재로 수납포대체 본체가 소망의 위치에 매달린다. 훅부재는 목 흔들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달음장소에 따라 훅부재의 목 흔들림 각도가 적절하게 조정된다. 훅부재와 유지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따로따로 관리할 수 있다.
유지부재가 한 쌍의 끼워유지판과 끼워맞춤부와 폐쇄수단을 포함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훅부재는 끼워맞춤부에 끼워 넣어진다. 한 쌍의 끼워유지판 사이에 수납포대 본체의 소정의 부위가 끼워 유지되고, 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어 고정된다.
폐쇄수단이 버튼부 및 버튼구멍부를 포함하는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폐쇄수단의 버튼부가 버튼구멍부에 멈춰진다. 버튼부는 그 평탄면이 버튼구멍부의 직선형상부로 안내되고, 또한 그 탄성팽출부가 버튼구멍부의 원호형상부로 안내되어 삽입된다. 이 경우 탄성팽출부가 버튼구멍부를 통과할 때, 탄성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버튼구멍부의 둘레 끝 가장자리를 밀어 넓히나, 통과 후는 원래로 복귀하기 때문에 탄성팽출부가 버튼구멍부에 걸러멈춰져 멈춰진다.
훅부재가 베이스편과 걸어멈춤편과 훅체를 포함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베이스편과 걸어멈춤편 사이에 상기 유지부재의 끼워맞춤부가 끼워 유지된다. 베이스편 및 걸어멈춤편 사이에 끼워맞춤부를 끼워 넣을 때, 걸어멈춤편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일시적으로 베이스편과 걸어멈춤편이 이간되나, 끼워맞춤부를 끼워 유지한 후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훅체는 힌지부의 작용에 의해 목 흔들림이 가능하게 된다.
걸어멈춤편이 돌기체와 얇은 가이드부와 빠짐방지편을 포함한 압축수납포대에 의하면, 걸어멈춤편의 돌기체가 상기 유지부재의 끼워맞춤부의 걸어멈춤구멍에 삽입되어 걸어멈춰진다. 걸어멈춤편의 선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멈춤편은 그 선단부가 끼워맞춤부의 면을 따라 초기적으로는 끼워 넣기 쉽게 된다. 즉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는 걸어멈춤편을 유지부재의 끼워맞춤부에 끼워 넣을 때의 안내면의 역할을 가진다. 또 유지부재의 걸어멈춤구멍에 돌기체가 끼워 넣어졌을 때, 빠짐방지편이 걸어멈춤구멍의 가장자리 끝에 걸어멈춰지기 때문에 빠짐방지작용이 작용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더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는 개략적으로 말하면 수납포대체 본체(12)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출입구부(14)의 개폐를 자유롭게 하는 개폐수단(16)과, 수납포대체 본체(12)를 매달아 지지하는 매달음수단(18)과,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20)와, 외부로부터 수납포대체 본체(12)에의 환경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체크밸브(1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압축 후, 매달음수단(18)에 의해 수납포대 본체(12)를 소망의 부위에 매달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평면적인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의 구조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수납포대(10)는 예를 들면 정면으로 보아 대략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수납포대체 본체(12)를 포함한다. 수납포대체 본체(12)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비통기성의 라미네이트필름 등으로 형성된다. 수납포대체 본체(12)는 그 세로방향의 한쪽 끝측에 개구부(14)를 구비한다. 개구부(14)는 의류 등의 피수납물품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개구부(14)는 개폐수단 (16)에 의해 적절하게 폐쇄될 수 있다.
개폐수단(16)은 합성수지제의 한 쌍의 개폐파스너(24) 및 개폐파스너(24)의 폐쇄를 지원하는 멈춤구(30)를 포함한다. 개폐파스너(24)는 예를 들면 수납포대체본체(12)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의 수컷체(26) 및 수컷체(26)에 맞물리는 암컷체(28)를 가진다. 수컷체(26)는 예를 들면 2개의 볼록줄부(26a)를 구비하고, 암컷체(28)는 볼록줄부(26a)에 끼워 맞추는 2개의 오목줄부(28a)를 구비한다.
멈춤구(30)는 예를 들면 단면 U자형상의 본체(32)를 포함한다. 본체(32)의 연접부(34)로부터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편(32a 및 32b) 사이를 향하여 예를 들면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상의 세퍼레이터설편(36)이 연장 설치된다. 또 한쪽의 대향편(32a) 및 다른쪽 대향편(32b)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포올편(38a)이 형성된다. 2개의 포올편(38a)은 각각 한쪽의 대향편(32a)의 폭방향의 한쪽 끝부로부터 다른쪽 끝부에 걸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대향편(32b)에도 포올편(38a)에 대향하는 부위에 2개의 포올편(38b)이 형성된다.
멈춤구(30)를 개폐파스너(24)에 설치한 경우, 개폐파스너(24)의 수컷체(26) 및 암컷체(28) 사이에 세퍼레이터설편(36)이 삽입되어 대향하는 2개의 포올편(38a 및 38b)으로 둘러싸인 부위에 개폐파스너(24)의 볼록줄부(26a) 및 오목줄부(28a)가 배치된다. 멈춤구(30)를 개폐파스너(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면 포올편 (38a 및 38b)에 의해 수컷체(26) 및 암컷체(28)가 가압되어 볼록줄부(26a) 및 오목줄부(28a)의 끼워맞춤이 지원된다. 그 때문에 개폐파스너(24)의 폐쇄작업을더욱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수납포대체 본체(12)는 그 세로방향의 다른쪽 끝측(출입구부와 반대측)에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외부의 환경공기와 통하는 유출구(20)를 가진다.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개방끝 가장자리(15)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출구(20)가 배치된다. 수납포대체 본체(12)의 개방끝 가장자리(15)상의 복수의 유출구(20)를 제외한 부분은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융착부분 (42)으로 고정되고, 밀봉되어 있다. 유출구(20)는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세로방향의 다른쪽 끝측에는 복수의 유출구(20)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40)가 배치된다. 이 통로(40)는 수납포대체 본체(12)를 제조할 때에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가로방향의 양 끝부의 융착부분(44)과, 상기한 융착부분(42)을 포함하는 개방끝 가장자리(15)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개방끝 가장자리(15)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한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 설치되는 융착부분(46)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로(40)가 도 1에서 보아 정면으로 보아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편평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납포대체 본체(12)에는 통로(40)의 아래쪽에서 그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로 구성되는 제 1 체크밸브군(50)이 배치된다.
제 1 체크밸브군(50)은 도 3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본체로서의 복수의 편평통형상부(23)를 포함한다. 복수의 편평통형상부(23)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통기성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띠형상의 밸브베이스편(54 및 56)을 겹쳐 맞추어 소정의 부위를 융착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즉, 한쪽의 밸브베이스편(54) 및 다른쪽의 밸브베이스편(56)은 특히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융착부분(58a 및 58b)을 서로 융착함으로써 복수의 편평통형상부(23)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베이스편(54, 56)의 각 융착부(58a 및 58b) 사이에서 그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분만큼 배치된 융착부분(60a 및 60b)이 서로 융착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아 밸브베이스편(54, 56)은 그 세로방향의 하단부가 상기 융착부분(48)에 있어서 수납포대체 본체(12)에 고정된다.
밸브베이스편(54)의 상면 및 밸브베이스편(56)의 하면이 각각 특히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안쪽면에 고정된다. 그에 의하여 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를 가지는 제 1 체크밸브군(50)이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 1 체크밸브(22)는 그 축방향의 한쪽 끝에 하나의 개구부(22a)를 가지고, 그 축방향의 다른쪽 끝에 융착부분(60a, 60b)으로 구분된 개구부(22b 및 22c)를 가진다. 제 1 체크밸브(22)의 한쪽측은 그 개구부(22a)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고, 그 다른쪽끝의 개구부(22b, 22c)가 통로(40)를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제 1 체크밸브(22)는 하나의 예시로서, 특히 도 1, 도3,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크밸브의 작용을 가지는 것이면 제 1 체크밸브의 밸브구조는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 1 체크밸브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5-26886호, 실용신안등록제3003479호, 실개평6-3846호, 실개평5-6265호, 실개평5-42147호, 미국특허제5,540,500호 및 미국특허제4,674,532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밸브구조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수납포대체 본체(12)를 소망의 위치에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매달음수단(18)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출입구부(14)와 반대측 끝부에서 그 가로방향의 중앙부에 매달음수단(18)이 착탈 자유롭게 배치된다. 매달음수단(18)은 수납포대체 본체(12)를 유지하는 유지부재(62) 및 유지부재(62)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목 흔들림기능의 훅부재(64)를 가진다.
유지부재(62)는 개폐 자유롭게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을 포함한다. 한편 다른쪽의 끼워유지판(66, 68)은 각각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본체(66a, 68a)를 포함한다. 한쪽의 플레이드본체(66a)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예를 들면 원형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멈춤구멍(70)을 가지고, 다른쪽의 플레이트본체(68a)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도 1, 도 7에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끼워 맞춤부(72)를 가진다. 끼워 맞춤부(72)는 한쪽의 끼워유지판(66) 및 다른쪽의 끼워유지판(68)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 사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끝부가 끼워 넣어지고, 뒤에서 설명하는 폐쇄수단에 의하여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이 폐쇄된다. 또한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 사이에는 끼워 맞춤부(72)에 뒤에서 설명하는 훅부재(64)의 걸어멈춤편(92)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한쪽의 플레이트본체(66a)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버튼부(74)가 형성된다. 버튼부(74)는 예를 들면 머리부가 볼형상인 탄성팽출부 (76)를 포함한다. 탄성팽출부(76)의 지름방향의 양쪽에는 각각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평탄면(78)이 형성된다. 평탄면(78)은 플레이트본체(66a)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 다른쪽의 플레이트본체(68a)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버튼구멍부(80)를 가진다. 버튼구멍부(80)는 상기한 버튼부(7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버튼부(74)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버튼구멍부(80)의 둘레 끝가장자리는 버튼부(74)의 탄성팽출부(76)의 곡선형상부가 설치되는 원호형상부(82)와, 버튼부(74)의 평탄면(78)이 고정되는 직선형상부(84)로 구성된다. 버튼구멍부 (80)의 직선형상부(84, 84) 사이의 폭은 도 7에서 보아 버튼부(74)의 탄성팽출부 (76)의 가로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본체(66a) 및 탄성팽출부(76), 플레이트본체(68a) 및 끼워 맞춤부(72)는 각각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쪽의 끼워유지판(66) 및 다른쪽의 끼워유지판(68)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86)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형성된다. 힌지부(86)는 예를들면 폭이 가늘은 띠형상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힌지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끝부에는 그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설치구멍(13)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설치구멍(13)은 각각 버튼부(74) 및 버튼구멍부(8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매달음수단(18)의 유지부재 (62)는 그 버튼부(74)가 설치구멍(13)에 삽입되고, 다시 버튼구멍부(80)에 걸어멈춰짐으로써 수납포대체 본체(12)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부재(62)의 버튼부(74) 및 버튼구멍부(80)가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을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다음에 훅부재(64)에 대하여 도 7 및 도 8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훅부재(64)는 예를 들면 대략 U자형으로 고리형상 프레임형의 베이스편(88)을 포함한다. 베이스편(88)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그 끝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직사각형상의 지지편(90)이 형성된다. 지지편(90)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는 예를 들면 U자형상의 걸어멈춤편(92)이 형성된다. 걸어멈춤편(92)은 지지편(90)의 폭방향의 한쪽끝 가장자리부로부터 밑으로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다. 걸어멈춤편(92)은 베이스편(88)과 동일방향으로 병행으로 뻗어 설치되고, 그 외형은 베이스편(88)의 개방부 (88a)의 안 둘레 가장자리의 외형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걸어멈춤편(92)은 그 한쪽 주면의 선단측에 돌기체(94)가 형성된다. 돌기체 (94)는 예를 들면 단면 대략 반원형의 볼록부(96)를 가진다. 볼록부(96)는 베이스편(88)의 개방부(88a)를 향하도록 팽출하여 형성된다. 돌기체(94)는 볼록부(96)에연장 접촉되어 걸어멈춤편(92)의 선단측을 향하여 그 두께가 두꺼운부가 얇게 형성된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98)를 가진다. 볼록부(96)의 상단에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볼록형상의 빠짐방지편(95)이 형성된다. 또한 걸어멈춤편(92)은 돌기체(94)의 근방에 그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쪽 주면에 걸쳐 관통한 구멍(92a)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편(88), 지지편(90), 걸어멈춤편(92), 돌기체(94), 돌출편(95), 볼록부(96) 및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98)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특히 걸어멈춤편(92)은 베이스편(88)과 이간되는 방향으로 저항하여 복원하려 하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다.
베이스편(88)의 상단부에는 걸어멈춤편(92)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훅 목편(100)이 형성된다. 훅 목편(100)은 선형상의 두께가 얇은부로 이루어지는 절곡홈부(104)를 가지는 목베이스편(102)을 포함한다. 목베이스편(102)의 위 가장자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의 한쪽측에 플랩편(106)이 형성된다. 플랩편(106)의 폭방향의 한쪽 끝 가장자리부에는 힌지부(108)에 의하여 목 흔들림 가능한 훅체(110)가 형성된다. 힌지부(108)는 해당하는 부위에 예를 들면 선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로 이루어지는 절곡홈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끝가장자리의 소정의 부위가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및 68) 사이에 끼워 유지되고, 버튼부(74) 및 버튼구멍부(80) 등의 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된다. 버튼부(74)가 버튼구멍부(80)에 고정되는 경우, 버튼부(74)의 평탄면(78)이 버튼구멍부(80)의 직선형상부(84)로 안내됨과 동시에, 버튼부(74)의 탄성팽출부(76)가 버튼구멍부(80)의 원호형상부(82)로 안내됨으로써 버튼구멍부(80)에 버튼부(74)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탄성팽출부(76)는 그 탄성력에 의하여 버튼구멍부(80)를 통과할 때에 일시적으로 버튼구멍부(80)의 둘레끝 가장자리를 밀어 넓힌다. 그리고 통과 후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버튼부(74)의 탄성팽출부(76)가 버튼구멍부(8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훅부재(64)가 한 쌍의 끼워유지판(66, 68)의 끼워맞춤부(72)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훅부재(64)의 걸어멈춤편(92)은 한쪽의 끼워유지판(66)의 끼워 맞춤부(72)에 걸어멈춰진다. 훅부재(64)의 베이스편(88)과 걸어멈춤편(92) 사이에 유지부재(62)의 끼워맞춤부(72)가 끼워 유지된다. 베이스편(88) 및 걸어멈춤편(92) 사이에 끼워 맞춤부(72)를 끼워 넣을 때, 걸어멈춤편(9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일시적으로 베이스편(88)과 걸어멈춤편(92)이 이간된다. 그리고 걸어멈춤편(92)의 돌기체(94)가 끼워맞춤부(72)의 걸어멈춤구멍(70)에 삽입되어 걸어 멈춰진다.
이 경우 걸어멈춤편(92)은 그 선단부가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98)의 끼워맞춤부(72)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걸어멈춤구멍(70)에 삽입된다. 즉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98)는 걸어멈춤편(92)을 끼워맞춤부(72)에 초기적으로 끼워 넣을 때의 안내면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걸어멈춤구멍(70)에 돌기체(94)가 걸어 멈춰지고, 걸어멈춤편(92)이 유지부재(62)의 끼워맞춤부(72)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베이스편 (88) 및 걸어멈춤편(92)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베이스편(88) 및 걸어멈춤편(92)의 탄성력에 의해 더 한층 끼워맞춤부(72)가 베이스편(88) 및 걸어멈춤편 (92)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재(62)의 걸어멈춤구멍(70)에 돌기체(94)가 끼워 넣어졌을 때에 걸어멈춤구멍(70)의 가장자리 끝에 빠짐방지편(95)이 걸어멈춰지기 때문에 훅부재 (64)는 더 한층 확실하게 끼워맞춤부(7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의류 등의 피수납물품을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속에 넣어 개폐파스너(24)를 멈춤구(30)에 의해 폐쇄함으로써 개구부(14)가 폐쇄된다. 이 경우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는 체크밸브(22) 및 통로(40)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방향으로만 외부의 환경공기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피수납물품이 밀봉상태로 수납된다.
다음에 그 상태에서 피포장물품을 가압하도록 하여 수납포대체 본체(12) 전체가 외부로부터 가압된다. 이 때 수납포대체 본체(12)내의 공기는 제 1 체크밸브군 (50)의 각 제 1 체크밸브(22)의 개구부(22a, 22b, 22c) 및 통로(40)를 통하여 복수의 유출구(20)로부터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 때문에 피수납물품은 수납포대체 본체(12)와 함께 편평형상으로 압축되어 수납포대체 본체(12)내에 밀봉된다. 이 경우 수납포대체 본체(12)내는 외부보다도 감압된 소위 부압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체크밸브(22)의 내면끼리 밀착되고, 그 개구부(22a, 22b, 22c)가 폐쇄된다. 즉 압축수납 후는 제 1 체크밸브군(50)의 각 제 1 체크밸브(22)의 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수납포대체 본체(12)내로의 환경공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의 축방향의 한쪽 끝부 및 다른쪽 끝부가 각각 수납포대체 본체(12) 내부 및 통로(40)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는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제 1 체크밸브(22)는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손상될 염려가 없고, 그 체크효과가 더욱 유효하게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특히 매달음수단(18)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수납물품을 압축수납 후, 수납포대체 본체(12)를 소망의 장소에 매달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수납포대(10)는 연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매달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종래의 압축수납포대와 같이 압축수납 후에 그것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공간에 보관하는 경우에 비하여 평면적인 수납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그것을 사용한 압축수납 후의 압축수납포대의 반침 등에의 보관작업이 용이해져 수납장소의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9는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일례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주요부 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여 피수납물품(W)을 압축수납하는 경우에는 제 2 체크밸브(120)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체크밸브 (120)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폭방향의 한변측에서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1개 배치된다.
제 2 체크밸브(12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료로 편평형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한쪽 끝측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로 연장되고, 또그 길이방향의 다른쪽 끝측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체크밸브(120)는 그 한쪽의 개구부(120a)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외밸브부(122)와, 그 다른쪽의 개구부(120b)가 수납포대체 본체(12)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밸브부(124)를 가진다. 외밸브부(122) 및 내밸브부(124)는 개구부(120a 및 120b)를 거쳐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 2 체크밸브(120)의 개구부(120a 및 120b)는 수납포대체 본체 (12)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수납포대체 본체(12)내를 부압상태로 하기 위한 흡인구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체크밸브(120)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의 외면측이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면측에 용착없이 접착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체크밸브(120)는 한쪽의 개구부(120a) 및 다른쪽의 개구부(120b)가 폐쇄되지 않도록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면측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체크밸브(120)의 형성위치는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납포대체 본체(12)의 개구부(14)측의 한 변을 제외하는 예를 들면 다른 변의 일부, 또는 수납포대체 본체(12)의 한쪽 주면 내지 다른쪽 주면의 일부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 있어서, 흡인장치로서의 예를 들면 전기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피수납물품(W)을 압축수납하는 경우에는 제 2 체크밸브(120)의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에 전기청소기의 흡인노즐이 꽂아져 흡인작업이 행하여진다. 흡인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수납포대체 본체(12) 전체의 크기가 압축축소됨과 동시에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가 부압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내밸브부(124)의 내면끼리 서로 밀착하기 때문에 제 2 체크밸브(120)의 개구부(120a, 120b)가 밀폐된다. 그리고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는 다리미 등의 가열기구에 의하여 용착되어 완전하게 폐쇄된다.
즉, 수납포대체 본체(12)의 내부와 외부의 환경공기와의 기압차에 의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밸브부(124)의 외면을 누르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밸브부(124)의 내면끼리 서로 밀착한다. 내밸브부(124)는 수납포대체 본체(12)내에의 외기의 유입 및 수납포대체 본체(12)내로부터의 내부공기의 유출을 차단하여 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의 압축수납포대(10)에서는 피수납물품(W)의 종류, 양 및 압축수납작업의 상황에 따라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압축수납작업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2 체크밸브에 있어서의 봉쇄 파스너의 설치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선 XII-XII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 2 체크밸브에 있어서의 봉쇄파스너의 수컷체와 암컷체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도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 2 체크밸브(120)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제 2 체크밸브(120)에 비하여 특히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를 봉쇄자유롭게하는 봉쇄파스너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즉,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 2 체크밸브(120)의 외밸브부(122)의 안 둘레면에는 예를 들면 편평타원 고리형상의 봉쇄파스너(130)가 형성된다. 봉쇄파스너(130)는 수컷체(132)와 수컷체(132)에 맞물리는 암컷체(134)로 형성된다. 수컷체 (132)는 제 1 띠형상부(136)를 포함한다. 제 1 띠형상부(136)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2줄의 암컷클로(138, 138)가 형성된다. 2줄의 암컷클로 (138, 138)는 제 1 띠형상부(136)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2줄의 암컷클로(138, 138) 사이의 안쪽에는 제 1 띠형상부(1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1줄의 가압리브(140)가 형성된다.
한편 암컷체(134)는 제 2 띠형상부(142)를 포함한다. 제 2 띠형상부(142)에는 암컷클로(138, 138)와 걸어맞춰지는 2줄의 수컷클로(144, 144)가 형성된다. 2개의 상기 수컷클로(144, 144)는 그 클로의 반대측(안쪽)을 근원이 넓게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수컷클로1(44, 144) 사이에는 단면원호형상의 홈형상부(146)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상기 수컷클로(144, 144) 사이의 안쪽면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벽면(148)이 형성된다. 이 체결벽면(148)은 가압리브(140)와 압접되어 밀봉가능하면 평면이더라도 곡면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체결벽면(148)은 약간의 곡율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상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리브(140), 체결벽면(148)의 조합에 있어서 성형상, 형상의 정밀성을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한쪽이 강성이 높고, 다른쪽이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그들의 밀폐성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컷체(132)및 암컷체(134)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수컷체(132) 및 암컷체(134)는 특히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가 예를 들면 히트시일법 및 용단시일법 등의 열융착법에 의하여 열융착되게 됨으로써 수컷체(132)와 암컷체(134)가 서로 대향하도록 편평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그 양쪽에 시일부(150)를 가지는 편평고리형상의 봉쇄파스너(130)가 형성된다. 또한 열융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임펄스시일법, 임펄스용단시일법, 고주파시일법, 초음파시일법 등의 각종 열융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봉쇄파스너(130)는 특히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된다. 즉 외밸브부 (122)의 개구부(120a) 둘레 가장자리의 내면과, 제 1 띠형상부(136)의 폭방향 한쪽 끝측의 외면과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시일된 시일부(152 및 154)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띠형상부(136)의 폭방향의 다른쪽 끝측의 외면과, 외밸브부(122)의 내면은 시일부(156 및 158)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외밸브부(122)의 길이방향을 보아 시일부(152, 154)와 시일부(156, 158) 사이에 2줄의 수컷클로 (138, 138) 및 암컷클로(144, 144)가 배치된다.
또한 봉쇄파스너(130)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부 및 다른쪽 끝부는 각각 외밸브부(122)의 지름방향의 한쪽 끝부 및 다른쪽 끝부에 시일부(150, 150)로 용착된다. 이 경우 봉쇄파스너(130)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부에는 특히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부(152, 154)와 한쪽의 암컷클로(138), 수컷클로(144) 사이, 한쪽의암컷클로(138), 수컷클로(144)와 다른쪽의 암컷클로(138), 수컷클로(144) 사이 및 다른쪽의 암컷클로(138), 수컷클로(144)와 시일부(158, 158) 사이에 각각 예를 들면 U자형상의 시일부(160)가 형성된다. 이들 시일부(160)는 봉쇄파스너(13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 및 다른쪽 끝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시일부(160)에 의해 외밸브부(122)의 개구부 (120a)의 개구지름의 크기는 시일부(16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즉 이들 시일부(160)는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의 개구폭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밸브부(122)와 내밸브부(124)의 연통부(164)가 시일부(162)에 의해 규제되어 연통부의 개구폭이 외밸브부(122)의 개구부(120a)의 개구폭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밸브부(124)의 개구부(120b)측, 즉 수납포대체본체(12)내로부터의 공기누설 및 수납포대체 본체(12) 밖으로부터의 외부공기의 진입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원 발명에 관한 압축수납포대에 적용되는 제 2 체크밸브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의 제 2 체크밸브(120)와 비교하여 특히 봉쇄파스너(130)의 암컷클로(138) 및 수컷클로(144)의 수와, 연통부(164)의 개구폭이 상위하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 2 체크밸브(120)의 외밸브부(122)가 2줄의 암컷클로(138, 138) 및 수컷클로(144, 144)를 가지는 데 대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제 2체크밸브(120)의 외밸브부(122)는 1줄의 암컷클로(138) 및 그것에 걸어맞춰지는 1줄의 수컷클로(144)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제 2 체크밸브(120)는 복수의 플라스틱필름이 겹쳐진 소위, 라미네이트필름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연신나일론폴리에틸렌(용융폴리에틸렌)-직쇄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용융 폴리에틸렌)-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EVA)의 순으로 라미네이트된 비교적 유연한 라미네이트필름에 의하여 제 2 체크밸브(120)가 형성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피수납물품의 종류, 양 및 압축수납작업의 상황에 따라 전기청소기 등의 흡인장치를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압축수납작업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압축수납포대가 얻어진다.

Claims (10)

  1. 한쪽에 피수납물품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부를 가지는 수납포대체 본체와;
    상기 한쪽측이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로 연장하고, 그 다른쪽측이 상기수납포대체 본체의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끝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 및 상기 통로를 거쳐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내의 공기가 유출 가능하게 되는 유출구 및 상기 출입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가 배치된 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체크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크밸브는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내부로 연장되는 내밸브부와, 상기 내밸브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외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는 상기 제 1 체크밸브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체크밸브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크밸브는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와 외부와의 통기를 봉쇄하는 봉쇄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봉쇄파스너는 제 1 띠형상부와; 상기 제 1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로와, 제 2 띠형상부와; 상기 제 2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띠형상부의 클로와 끼워 맞춰지는 다른 클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띠형상부 및 상기 제 2 띠형상부는 서로 대향하는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가 고정되어 편평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고정부분이 상기 외밸브부의 지름방향의 끝 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봉쇄파스너는, 상기 제 1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제 1 띠형상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암컷클로와; 상기 제 2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띠형상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컷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암컷클로와 상기 복수의 수컷클로가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를 소망의 위치에 매달아 지지하는 매달음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매달음수단은,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상기 출입구부와 반대측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를 유지하는 유지부재 및 상기 유지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는 목 흔들림 가능한 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개폐 자유롭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상기 출입구부와 반대측의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의 끝부를 끼워 유지하는 한 쌍의 끼워유지판과;
    상기 한 쌍의 끼워유지판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관통된 걸어멈춤구멍을 가지고, 상기 훅부재가 착탈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는 끼워맞춤부; 및
    상기 한 쌍의 끼워유지판 사이에 상기 수납포대체 본체를 끼워 유지하였을 때에 한쪽의 상기끼워유지판 및 다른쪽의 상기 끼워유지판 사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한쪽의 상기 끼워유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머리부가 볼형상인 탄성팽출부를 가지는 복수의 버튼부; 및 다른쪽의상기 끼워유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가 고정되는 버튼구멍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그 지름방향의 양측에 평탄면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구멍부는 그 둘레 끝 가장자리가 원호형상부와 상기 평탄면에 대응하는 직선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구멍부의 직선형상부 사이의 폭은 상기 탄성팽출부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는, 고리형상 프레임형의 베이스편과 걸어멈춤구멍을 가지고, 상기베이스편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끼워맞춤부에 걸어멈춰지는 걸어멈춤편과; 상기 걸어멈춤편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훅 목편; 및 상기 훅 목편의 끝부 모서리부에 형성된 힌지부를 거쳐 목 흔들림 자유롭게 배치되는 훅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어멈춤편은 상기 베이스편과 이간되는 방향으로 저항하여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편은, 상기 걸어멈춤편의 한쪽면측으로 팽출하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걸어멈춤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걸어멈춤편의 선단부를 상기 끼워맞춤부의 면을 따라 끼워 넣기 쉽게 하기 위한 두께가 얇은 가이드부; 및 상기 돌기체가 상기 유지부재의 걸어멈춤구멍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구멍의 가장자리 끝에 걸어 멈춰지는 볼록형상의 빠짐방지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포대.
KR10-2001-0074230A 2000-12-22 2001-11-27 압축수납포대 KR10043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1127A JP2002193273A (ja) 2000-12-22 2000-12-22 圧縮収納袋
JPJP-P-2000-00391127 200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823A true KR20020051823A (ko) 2002-06-29
KR100432872B1 KR100432872B1 (ko) 2004-05-22

Family

ID=1885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230A KR100432872B1 (ko) 2000-12-22 2001-11-27 압축수납포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22857B2 (ko)
JP (1) JP2002193273A (ko)
KR (1) KR100432872B1 (ko)
CN (1) CN11675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660B2 (ja) * 2001-04-20 2004-10-20 有限会社アピィール 脱気袋
US7674039B2 (en) * 2003-02-19 2010-03-09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vacuum storage bag having flat resealable means
US7775351B2 (en) * 2004-05-28 2010-08-17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apparel
US7337777B1 (en) * 2005-03-29 2008-03-04 Steven Islava Airway stabilizer for resuscitation
US8419278B2 (en) * 2005-09-02 2013-04-16 Mikio Tanaka Check valve and compression bag and air cushion bag equipped therewith
CN1934382B (zh) * 2005-09-02 2011-05-04 河合修 除气阀及配备有该除气阀的压缩袋
US7540126B2 (en) * 2006-04-19 2009-06-0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ly packaging apparel
US20080095475A1 (en) * 2006-10-20 2008-04-24 Yu-Hsin Su Coat hanger bag
KR100821170B1 (ko) 2006-11-06 2008-04-14 조병구 압축팩
US7784160B2 (en) 2007-03-16 2010-08-31 S.C. Johnson & Son, Inc. Pouch and airtight resealable closure mechanism therefor
US7886412B2 (en) 2007-03-16 2011-02-1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Pouch and airtight resealable closure mechanism therefor
US7946766B2 (en) 2007-06-15 2011-05-24 S.C. Johnson & Son, Inc. Offset closure mechanism for a reclosable pouch
US7967509B2 (en) 2007-06-15 2011-06-28 S.C. Johnson & Son, Inc. Pouch with a valve
US7887238B2 (en) 2007-06-15 2011-02-1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Flow channels for a pouch
US7874731B2 (en) 2007-06-15 2011-01-2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Valve for a recloseable container
US7857515B2 (en) 2007-06-15 2010-12-28 S.C. Johnson Home Storage, Inc. Airtight closure mechanism for a reclosable pouch
JP5101205B2 (ja) * 2007-08-07 2012-12-19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容器包装袋、および薬剤未混注の医療用容器包装体
DE102007054452A1 (de) * 2007-11-13 2009-05-20 Aguti Produktentwicklung & Design Gmbh Verpackung mit Sicherheitsweste
US8066433B2 (en) 2008-03-14 2011-11-29 Pro-Mart Industries, Inc. Valve for vacuum storage bag
JP4887337B2 (ja) 2008-03-21 2012-02-29 廖建華 多孔からの排気が可能な収納袋
CN101549776B (zh) * 2008-03-31 2011-05-25 苏州亚比斯复合材料有限公司 可多孔排气的收纳袋
KR101016326B1 (ko) 2009-02-27 2011-02-22 김인수 의류용 압축보관팩
KR101086821B1 (ko) * 2010-04-07 2011-11-25 김인수 의류 진공보관대용 공기배출밸브
JP4729650B1 (ja) 2010-12-13 2011-07-20 株式会社柏原製袋 弁構造
US20160221722A1 (en) * 2015-02-03 2016-08-04 365-Sports, LLC Sealable Storage Bag and Related Methods
CN106809521A (zh) * 2017-03-03 2017-06-09 盐城工学院 一种真空袋及真空收纳系统
CN106742760A (zh) * 2017-03-03 2017-05-31 盐城工学院 真空密封整理装置及衣物真空收纳套件
US10925300B2 (en) * 2017-10-03 2021-02-23 Tyson Foods, Inc. Packaging with pressure driven oxygen egress
CN115231120A (zh) * 2022-06-17 2022-10-25 广东太力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收纳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197A (en) * 1958-11-24 1960-12-13 Atlas Stencil Files Corp Filing hanger
US3738550A (en) * 1971-05-27 1973-06-12 Central Specialties Co Fabric hanger
US3958696A (en) * 1973-04-30 1976-05-25 Leonas John J Portable hanger device
US5094414A (en) * 1990-11-08 1992-03-10 Protune Of Louisiana, Inc. Suspension hanger for resealable plastic bag
US5240112A (en) * 1992-02-25 1993-08-31 Newburger Bronson E Evacuatable or inflatable plastic bag
US5540500A (en) * 1994-04-25 1996-07-30 Nichimen Corporation Compressive sealed bag for compressible articles such as clothing and the same
KR100371671B1 (ko) * 1994-05-17 2003-05-17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스냅이부착된자루
US5544752A (en) * 1995-02-09 1996-08-13 Cox; Dean M. Evacuable storage bag
US6076967A (en) * 1997-06-05 2000-06-20 Beaudette; Susan A. Fillable disposable drink bag
US6029810A (en) * 1997-10-17 2000-02-29 Chen; Shu-Ling Dress bag and hanger assembly
US6059457A (en) * 1998-01-02 2000-05-09 Com-Pac International, Inc. Evacuable storage bag with integral zipper seal
US6085906A (en) * 1998-12-18 2000-07-11 Lambert; Francis Vacuum sealing system
US6116781A (en) * 1999-08-13 2000-09-12 New West Products, Inc. Storage bag with one-way air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79242A1 (en) 2002-06-27
JP2002193273A (ja) 2002-07-10
US6622857B2 (en) 2003-09-23
KR100432872B1 (ko) 2004-05-22
CN1365940A (zh) 2002-08-28
CN1167587C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872B1 (ko) 압축수납포대
JP3579660B2 (ja) 脱気袋
JP3725472B2 (ja) 一方向空気弁を備える保管袋
CA2490624C (e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porous evacuation portal
US20120318702A1 (en) Vacuum packing bag
JP3193730B2 (ja) 脱気包装袋の弁構造体及び復元防止体
WO2001047782A1 (fr) Sac a compression contenant un desaerateur
KR200416625Y1 (ko) 압축팩
US20040074803A1 (en) Bag for vacuum sealing and material for the bag
US20050175261A1 (en) Check valve and bag having the same
JP3025235U (ja) 圧縮保存袋の弁構造
JP3071924U (ja) 圧縮収納袋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101885315B1 (ko) 포장용 압축팩
US20020134435A1 (en) Shut-off valve
CN212830121U (zh) 具有新型结构的压缩袋阀门结构
CN111453171B (zh) 封边结构、收纳袋及收纳设备
JP2005193976A (ja) 圧縮袋
JP3003479U (ja) 被服、その他の可圧縮物の圧縮密封袋
JP3222514U (ja) 衣類用圧縮袋
WO2005100183A1 (ja) 脱気構造体及び該脱気構造体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製袋
KR100821170B1 (ko) 압축팩
WO2003101850A1 (fr) Sac de rangement a vide d'air
KR200181496Y1 (ko) 소매치기 방지용 패션 핸드백
JP2002053141A (ja) 空気入り収納袋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