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400B1 -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400B1
KR100519400B1 KR10-2003-0065567A KR20030065567A KR100519400B1 KR 100519400 B1 KR100519400 B1 KR 100519400B1 KR 20030065567 A KR20030065567 A KR 20030065567A KR 100519400 B1 KR100519400 B1 KR 10051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ngth
storage bag
plate
sea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337A (ko
Inventor
장현근
Original Assignee
(주)아나렉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나렉스피 filed Critical (주)아나렉스피
Priority to KR10-2003-006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4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65D31/147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the filling port being provided in a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봉지와 수납봉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압축하여 보존하기 위한 체크밸브와의 조립공정에서 수납봉지의 개폐없이 체크밸브와 수납봉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압축수납팩의 제조방법과, 체크밸브를 통한 단위당 공기 배출량을 극대화한 것을 목적으로 한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100)은 탄성판(260)이 내장되는 제1배기구(222)를 구비하여 수납봉지(300)와 밀봉면을 이루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구비하여 제1배기구(222)에 삽입결합되는 제2배기구(242)를 구비하여 밀봉판(221)과 압착면을 이루는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로 이루어진 체크밸브(200); 지퍼(32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322)를 구비함과 체크밸브(200)가 내외부를 통해 장착되도록 관통공(324)을 형성한 수납봉지(300); 및 상기 밀봉판(221)이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한 후 회전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면적이 확보되도록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평면상에서 가로길이(W1)(W2)와 세로길이(L1)(L2)가 길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범위의 면적으로 형성한 구성과 조립공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Compression pack for keeping and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은 이불, 모포 및 의류 등의 피수납물을 진공 상태로 압축하여 보존하는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크밸브를 포함한 체크밸브와 피수납물의 수납봉지와의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체크밸브를 통한 단위당 공기 배출량을 극대화한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수납팩은 공기의 배기형식에 따라 개폐형과 체크밸브형으로 구분되며, 개폐형은 간단한 구조이고, 체크밸브형은 개폐형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압축 효율을 증대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개폐형 압축수납팩은 피수납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개폐구에 밀봉수단인 지퍼를 장착한 비통기성 합성수지재인 수납봉지의 구조로서, 수납봉지 내에 피수납물의 수납과 수납봉지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압축하는 공정이 모두 개폐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개폐형 압축수납팩은 공기를 흡인한 흡인기구의 흡인관을 개폐구를 통해 빼내어 지퍼로 밀봉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일부가 개폐구를 통해 수납봉지에 재진입하여 완전한 진공상태의 밀봉을 이루기 어려웠다.
체크밸브형 압축수납팩은 피수납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개폐구에 밀봉수단인 지퍼와 공기를 강제배기 또는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장착한 비통기성 합성수지재인 수납봉지의 구조로서, 피수납봉지 내의 피수납물의 수납과 공기의 배기가 개폐구와 체크밸브를 이용한 별도의 경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체크밸브형 압축수납팩은 체크밸브를 포함한 체크밸브와 피수납물의 수납봉지와의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체크밸브를 통한 단위당 공기 배출량이 흡인기구의 흡인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어 흡인기구의 과부하와 흡인효율이 저하되었다.
즉, 종래의 체크밸브형 압축수납팩은 첫째, 체크밸브와 수납봉지의 조립시에 수납봉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체크밸브의 하부부재를 지퍼를 열고 수납봉지 내부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구조로서, 하부부재의 삽입을 위한 지퍼의 개폐공정과 이 개폐공정시에 수납봉지 내부로 유입된 다량의 공기를 배기하여 제품화하는 공정 등의 다수의 조립공수에 의해 조립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체크밸브형 압축수납팩은 체크밸브가 수납봉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하부부재, 수납봉지의 외부로부터 하부부재에 고정되어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상부부재, 상하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기압차에 의해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탄성판, 탄성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등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종래의 체크밸브형 압축수납팩은 탄성판이 평면상에 다수의 배기공을 형성한 구조로서, 흡인시에 흡인기구의 흡인관을 탄성판이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흡인기구의 흡인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성판을 통한 흡인효율의 저하 및 흡인기구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불, 모포 및 의류 등의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수납봉지와 수납봉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압축하여 보존하기 위한 체크밸브와의 조립공정에서 수납봉지의 개폐없이 체크밸브와 수납봉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압축수납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밸브에 장착하여 흡입력의 여부에 따라 체크밸브의 배기경로를 개폐하는 탄성판을 공기흐름의 저항값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하여 흡인력에 대해 체크밸브를 통한 단위당 공기 배출량을 극대화한 압축수납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100)은 탄성판(260)이 내장되는 제1배기구(222)를 구비하여 수납봉지(300)와 밀봉면을 이루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에 삽입결합되는 제2배기구(242)를 구비하여 밀봉판(221)과 압착면을 이루는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로 이루어진 체크밸브(200); 지퍼(32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322)를 구비함과 체크밸브(200)가 내외부를 통해 장착되도록 관통공(324)을 형성한 수납봉지(300); 및 상기 밀봉판(221)이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한 후 회전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면적이 확보되도록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평면상에서 가로길이(W1)(W2)와 세로길이(L1)(L2)가 길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범위의 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가로길이(W1)(W2)에 대해 세로길이(L1)(L2)를 짧은 길이로 하되,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2)는 밀봉판(221)의 세로길이(L1) 이상 가로길이(W1) 미만의 길이인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260)은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날개부(261)들과 대칭구조의 한쌍의 끼움돌기(263)를 형성하고, 제1배기구(222)의 둘레면에 끼움돌기(263)가 진입하는 끼움홈(223)이 형성되며, 제2배기구(242)의 내측면에 끼움홈(223)에 진입하여 탄성판(260)의 끼움돌기(263)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47)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제2배기구(242)는 지지돌기(247)의 인접면 하단에 지지홈(246)을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의 끼움홈(223)을 통해 돌출하는 끼움돌기(263)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끼움돌기(263)는 날개부(261)들이 형성된 직경의 범위보다 큰직경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인 압축수납팩의 제조방법은 제1배기구(222)를 구비한 가로길이(W1)와 세로길이(L1)의 길이차이를 갖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를 가로길이(W2)와 세로길이(L2)의 길이차이를 갖는 수납봉지(300)의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하는 공정과, 밸브몸체(220)를 90°로 회전하는 공정과,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한 상태로 수납봉지(300)에 압착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하는 공정과,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구비한 제2배기구(242)를 구비한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를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에 압착판(241)을 압착한 상태로 제2배기구(242)를 제1배기구(222)에 삽입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 전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축수납팩(100)은 개폐수단으로 지퍼(320)를 갖춘 비통기성의 합성수지재인 수납봉지(300)에 체크밸브(200)를 장착한 구성을 제공한다.
수납봉지(300)에는 지퍼(320)의 개폐에 의해 피수납물이 수납되고, 체크밸브(200)는 밀폐상태의 수납봉지(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수단, 즉 전기청소기의 흡인노즐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강제배기(탈기) 한 후 진공 상태로 차단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수납봉지(300)는 가로방향의 한쪽 끝에 세로방향으로 개폐구(322)를 갖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개폐구(322)는 이불, 방석, 의류 등의 피수납물을 꺼내고 넣기 위한 출입구의 기능을 이룬다. 개폐구(322)는 개폐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봉쇄되어 밀폐되는 것으로서, 개폐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볼록줄들을 구비한 수컷체와, 이에 대응하는 오목줄들을 구비한 암컷체로 상호 맞물리는 일반적인 다중 지퍼(320)의 구조를 이룬다.
수납봉지(300)는 한변에 체크밸브(200)가 장착되는 관통공(324), 즉 도4a 내지 도4c에서와 같이 타원체, 직사각 형태의 관통공(324)을 형성한 것이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함이 없이 관통공(324)의 내측변을 잇는 가로길이(W2)와 세로길이(L2)가 길이차를 갖는 형상이면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관통공(324)을 통해 장착되는 체크밸브(200)는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하여 수납봉지(300)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몸체(220), 밸브몸체(220)와 연통하여 배기경로를 이루면서 수납봉지(300) 외부에 배치되는 밸브커버(240), 흡입력의 제공여부에 따라 체크밸브(200)의 배기경로를 개폐하는 탄성판(260)으로 이루어진다.
체크밸브(200)의 밸브몸체(220)는 탄성판(260)이 내장되는 제1배기구(222)를 구비하여 수납봉지(300)와 밀봉면을 이루는 밀봉판(221)을 갖춘 구조로서, 밀봉판(221)의 저면에는 제1배기구(222)의 배기경로가 수납봉지(300)를 포함한 피수납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돌기(224)들이 배기경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밀봉판(221)은 본 실시예에서 평면상에서 가로길이(W1)와 세로길이(L1)가 길이 차이를 갖는 타원체의 형상이면서 관통공(324)을 수용하는 면적으로 형성한 것이나, 타원체의 형상에 한정함이 없이 관통공(324)을 수용하는 면적으로 형성하면서 가로길이(W1)와 세로길이(L1)가 길이 차이를 갖는 형상이면 실시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가로길이(W1)(W2)에 대해 세로길이(L1)(L2)를 짧은 길이로 하되,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2)는 밀봉판(221)의 세로길이(L1) 이상 가로길이(W1) 미만의 길이로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1)(W2)와 세로길이(L1)(L2)는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의 평명 형상이 타원체인 경우, 좌우/전후 정점을 직선상으로 잇는 길이이고, 직사각체인 경우, 좌우/전후 변을 직선상으로 잇는 길이로서, 어떤 형상이든 둘레면과 내측면을 좌우/전후로 직교되도록 직선상으로 잇는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탄성판(260)은 제1배기구(222)에 내장되도록 제1배기구(222) 내면의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날개부(261)들과, 날개부(261)들이 형성된 직경의 범위보다 큰직경의 범위에서 대칭구조로 한쌍의 끼움돌기(263)를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의 둘레면에 끼움돌기(263)가 진입하는 끼움홈(223)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끼움돌기(263)는 선단에 끼움홈(223)과 인접하는 제1배기구(222)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걸이턱(265)을 형성한다.
밸브커버(240)는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구비하여 제1배기구(222)에 삽입결합되는 제2배기구(242)를 구비한 밀봉판(221)과 압착면을 이루는 압착판(241)을 갖춘 것으로서, 제2배기구(242)의 내측 둘레면에 걸림홈(245)을 형성하고, 제1배기구(222)의 외측둘레면에 걸림돌기(225)를 형성하여, 후크식 착탈을 이룬다.
제2배기구(242)는 내측면에 제1배기구(222)의 끼움홈(223)에 진입하여 탄성판(260)의 끼움돌기(263)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47)들을 형성하고, 지지돌기(247)의 인접면 하단에 지지홈(246)을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의 끼움홈(223)을 통해 돌출하는 끼움돌기(263)를 지지홈(246)이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공정은 생산라인으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은 후 조립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우선 수납봉지(300)는 일측에 개폐수단인 지퍼(320)가 잠구어져 있는 상태로 실링작업에 의해 밀폐가 되며, 일면에 관통공(324)이 형성된 상태로 생산라인을 통해 공급된다.
체크밸브(200)는 밸브몸체(220), 탄성판(260), 밸브커버(240)가 별도로 생산된 후 밸브몸체(220)에 탄성판(260)이 결합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공급단계에서 밸브몸체(220)와 탄성판(260)이 별도로 공급되는 과정에서의 분실 방지 및 파손방지와 조립 공정수를 줄이게 된다.
즉, 탄성판(260)이 밸브몸체(220)의 제1배기구(222)에 내장된 상태로 탄성판(260)의 끼움돌기(263)들이 밸브몸체(220)의 제1배기구(222)에 형성한 끼움홈(223)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됨과 끼움돌기(263) 선단의 걸이턱(265)이 제1배기구(222)의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탄성판(260)이 밸브몸체(220)에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어 탄성판(260)의 분실이 방지됨은 물론 탄성판(260)의 둘레면에 형성한 날개부(261)들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판(260)이 밸브몸체(22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생산라인으로부터 공급되어 수납봉지(300)와의 조립공정이 줄어든다.
이와 같이 공급된 체크밸브(200)와 수납봉지(300)는 도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공정 순에 의한다.
① 1공정
제1배기구(222)를 구비한 가로길이(W1)와 세로길이(L1)의 길이차이를 갖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를 가로길이(W2)와 세로길이(L2)의 길이차이를 갖는 수납봉지(300)의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한다.
즉,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가로길이(W1)(W2)에 대해 세로길이(L1)(L2)를 짧은 길이로 하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범위의 면적으로 형성하고,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2)를 밀봉판(221)의 세로길이(L1) 이상 가로길이(W1) 미만의 길이로 구성하여, 상기 밀봉판(221)을 가로길이(W1) 방향으로 하여 관통공(324)의 세로길이(L2) 방향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밀봉판(221)을 포함한 체크밸브(200)의 밸브몸체(220)를 수납봉지(300)의 관통공(324)에 진입하는 공정은 종래에 수납봉지(300)의 개폐수단인 지퍼(320)를 여는 공정, 수납봉지(300) 내에 밸브몸체(220)를 진입한 후 지퍼(320)를 닫는 공정, 지퍼(320)를 열고 닫는과정에서 수납봉지(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탈기하는 공정들의 다수의 공정 수를 줄이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② 2공정
밸브몸체(220)를 90°로 회전하여, 즉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을 수용할 수 있는 범위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1공정에서 상기 밀봉판(221)을 가로길이(W1) 방향으로 하여 관통공(324)의 세로길이(L2) 방향측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즉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1)(W2)와 세로길이(L1)(L2)가 일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봉판(221)이 관통공(324)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③ 3공정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한 상태로 수납봉지(300)에 압착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한다.
이는 관통공(324)의 인접면을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 상면에 압착하여 관통공(324)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압착은 히팅 또는 접착식의 일반적인 방식에 의한다.
④ 4공정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구비한 제2배기구(242)를 구비한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를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에 압착판(241)을 압착한 상태로 제2배기구(242)를 제1배기구(222)에 삽입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4단계의 공정에 의해 간단히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100)의 작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수납물을 개폐구(322)를 통해 수납 한 후 지퍼(320)를 닫아 수납봉지(300)를 밀폐한다.
흡인기구의 노즐을 밸브커버(240)의 제2배기구(242)에 밀착 한 후 작동하면, 탄성판(260)이 들뜨면서 수납봉지(300) 내부의 공기가 제1배기구(222)와 제2배기구(242)를 통해 배기되어 수납봉지(300) 내부의 공기가 모두 탈기되어 수납봉지(300) 전체가 수축 상태로 압축된다.
이때 탄성판(260)은 걸이턱(265)에 의해 밸브몸체(220) 내부로 빨려 들어가지 않음은 물론 탄성판(260)의 중앙부가 밸브커버(240)의 누름돌기(244)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어 흡인기구의 흡인노즐을 막지않은 상태로 둘레면의 날개부(261)들이 들리면서 수납봉지(30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기 위한 통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흡인기구의 작동을 멈추면, 수납봉지(300) 내부와 외부와의 기압차에 의해 탄성판(260)이 제1배기구(222)의 저면에 밀착 상태로 제1배기구(222)의 배기경로를 차단되어 외부공기가 체크밸브(200)를 통해 수납봉지(300)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수납봉지와 수납봉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압축하여 보존하기 위한 체크밸브와의 조립공정을 수납봉지의 개폐없이 이룸으로써, 조립공정수가 줄어들어 조립시간 등이 단축되는 등의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장착하여 흡인기구의 흡인력 여부에 따라 체크밸브의 배기경로를 개폐하는 탄성판이 공기흐름의 저항값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하여 흡인력에 대해 체크밸브를 통한 단위당 공기 배출량이 극대화 되어 흡인기구의 과부하가 방지됨은 물론 사용자가 피수납물이 수납된 수납봉지를 압축하기 위한 탈기공정이 신속하게 이루는 이점도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에 적용한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의 체크밸브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의한 수납봉지의 관통구멍들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4a는 관통구멍이 타원형인 도면,
도4b는 관통구멍이 직사각형의 도면,
도4c 관통구멍이 절개선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의 체크밸브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압축수납팩의 구성 중 밸브몸체와 수납봉지의 조립공정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6a는 밸브몸체가 수납봉지의 관통공에 진입하는 단계의 도면,
도6b는 밸브몸체가 수납봉지의 관통공에 진입한 단계의 도면,
도6c는 밸브몸체가 수납봉지의 관통공에 진입한 후 회전한 단계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압축수납팩 200 : 체크밸브
220 : 밸브몸체 221 : 밀봉판
222 : 제1배기구 223 : 끼움홈
224 : 이격돌기 225 : 결림돌기
240 : 밸브커버 241 : 압착판
242 : 제2배기구 244 : 누름돌기
245 : 걸림홈 246 : 지지홈
247 : 지지돌기 260 : 탄성판
261 : 날개부 263 : 끼움돌기
300 : 수납봉지 320 : 지퍼
322 : 개폐구 324 : 관통공
W1, W2 : 가로길이 L1, L2 : 세로길이

Claims (6)

  1. 압축수납팩(100)은 탄성판(260)이 내장되는 제1배기구(222)를 구비하여 수납봉지(300)와 밀봉면을 이루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에 삽입결합되는 제2배기구(242)를 구비하여 밀봉판(221)과 압착면을 이루는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로 이루어진 체크밸브(200);
    지퍼(32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322)를 구비함과 체크밸브(200)가 내외부를 통해 장착되도록 관통공(324)을 형성한 수납봉지(300); 및
    상기 밀봉판(221)이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한 후 회전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면적이 확보되도록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평면상에서 가로길이(W1)(W2)와 세로길이(L1)(L2)가 길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범위의 면적으로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판(221)과 관통공(324)은 가로길이(W1)(W2)에 대해 세로길이(L1)(L2)를 짧은 길이로 하되, 관통공(324)의 가로길이(W2)는 밀봉판(221)의 세로길이(L1) 이상 가로길이(W1) 미만의 길이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판(260)은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날개부(261)들과 대칭구조의 한쌍의 끼움돌기(263)를 형성하고, 제1배기구(222)의 둘레면에 끼움돌기(263)가 진입하는 끼움홈(223)이 형성되며, 제2배기구(242)의 내측면에 끼움홈(223)에 진입하여 탄성판(260)의 끼움돌기(263)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47)들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
  4. 제3항에 있어서,
    끼움돌기(263)는 날개부(261)들이 형성된 직경의 범위보다 큰직경의 범위로 형성하고, 끼움돌기(263)의 선단에 끼움홈(223)과 인접하는 제1배기구(222)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걸이턱(26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
  5. 제1항에 있어서,
    제2배기구(242)는 지지돌기(247)의 인접면 하단에 지지홈(246)을 형성하여 제1배기구(222)의 끼움홈(223)을 통해 돌출하는 끼움돌기(263)를 지지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
  6. 제1배기구(222)를 구비한 가로길이(W1)와 세로길이(L1)의 길이차이를 갖는 밀봉판(221)을 갖춘 밸브몸체(220)를 가로길이(W2)와 세로길이(L2)의 길이차이를 갖는 수납봉지(300)의 관통공(324)을 통해 진입하는 공정,
    밸브몸체(220)를 90°로 회전하는 공정,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을 관통공(324)의 수용한 상태로 수납봉지(300)에 압착하여 관통공(324)을 밀봉하는 공정,
    탄성판(260)의 중앙지점을 누르는 누름돌기(244)를 구비한 제2배기구(242)를 구비한 압착판(241)을 갖춘 밸브커버(240)를 밸브몸체(220)의 밀봉판(221)에 압착판(241)을 압착한 상태로 제2배기구(242)를 제1배기구(222)에 삽입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수납팩의 제조방법.
KR10-2003-0065567A 2003-09-22 2003-09-22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KR10051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567A KR100519400B1 (ko) 2003-09-22 2003-09-22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567A KR100519400B1 (ko) 2003-09-22 2003-09-22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337A KR20050029337A (ko) 2005-03-28
KR100519400B1 true KR100519400B1 (ko) 2005-11-08

Family

ID=3738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567A KR100519400B1 (ko) 2003-09-22 2003-09-22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808A (ko) * 2016-03-10 2017-09-20 조재영 인공항문 주머니의 가스배출장치
KR102113458B1 (ko) 2018-12-26 2020-06-02 주식회사 지아이엘 진공팩용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85Y1 (ko) * 2008-03-26 2009-12-15 주식회사 크린손 진공포장용 팩의 체크밸브
WO2009131260A1 (en) * 2008-04-24 2009-10-29 Jong Seouk Lee Check valve and pack for vacuum packing having the same
CN102514804B (zh) * 2011-12-02 2013-12-25 东莞市盈尔电器有限公司 一种带抽气阀和密封拉链的真空保鲜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808A (ko) * 2016-03-10 2017-09-20 조재영 인공항문 주머니의 가스배출장치
KR102113458B1 (ko) 2018-12-26 2020-06-02 주식회사 지아이엘 진공팩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337A (ko) 200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400B1 (ko)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US6644361B2 (en) Suction nozzle of compression preservation bag
CN213064797U (zh) 排气阀及气密袋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101072581B1 (ko)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100874691B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JP7111409B2 (ja) 両辺押圧型の真空鮮度保持ケース
KR200427792Y1 (ko) 압축 비닐팩용 밸브
KR200414999Y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20110036228A (ko) 의류용 압축보관팩
CN215362681U (zh) 真空袋气阀
KR200412892Y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CN211749069U (zh) 一种食品加工机
CN111453171B (zh) 封边结构、收纳袋及收纳设备
KR101962244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CN216951244U (zh) 一种真空吸盘的底盘
KR100726355B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339546Y1 (ko) 진공 보관백의 공기배출구
CN212616375U (zh) 真空气阀
CN214494006U (zh) 真空保鲜袋
KR20044792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294624Y1 (ko) 튜브 용기의 내용물 유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