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91B1 -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 Google Patents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91B1
KR100996491B1 KR1020090008314A KR20090008314A KR100996491B1 KR 100996491 B1 KR100996491 B1 KR 100996491B1 KR 1020090008314 A KR1020090008314 A KR 1020090008314A KR 20090008314 A KR20090008314 A KR 20090008314A KR 100996491 B1 KR100996491 B1 KR 10099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charge
gas
gas outlet
stat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184A (ko
Inventor
안종원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09000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나 파우치 형태로 구성되는 각종 밀봉 포장대 중 내용물에서 자체적으로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한 가스를 방출하거나 취급방식 상 내용물을 밀봉상태에서 가열하는 경우, 또는 공업용의 중량물이 밀봉상태로 충진 포장된 용기에 취급상 과다한 적층 압력이 부여되는 경우 등에 발생되는 포장대 내압의 과다한 팽창 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가스배출판의 중앙부에 구성한 절결부를 통해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배출 시 가스배출판의 변형 유동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가스의 배출과 차단에 정밀성과 신뢰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링필름의 전체 면이 덮개를 통해 가스배출판과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 고정 작업이 배제되어 제조공정의 단축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스에 의한 내압 발생시에도 변형이 발생될 여유 공간이 없어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상태를 통해 필터링의 정밀성추구와 가스배출구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밀봉포장대, 가스배출구, 가스배출판, 필터링필름, 덮개.

Description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the gas outlet valve for sealing package bag}
본 발명은 포대나 파우치 형태로 구성되는 각종 밀봉 포장대 중 내용물에서 자체적으로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한 가스를 방출하거나 취급방식 상 내용물을 밀봉상태에서 가열하는 경우, 또는 공업용의 중량물이 밀봉상태로 충진 포장된 용기에 취급상 과다한 적층 압력이 부여되는 경우 등에 발생되는 포장대 내압의 과다한 팽창 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포장대의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하우징 내에 가스배출판과 필터링필름을 덮개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토록 한 상태에서 가스배출판의 중앙부에 구성한 절결부를 통해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배출 시 가스배출판의 변형 유동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가스의 배출과 차단에 정밀성과 신뢰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링필름의 전체 면이 덮개를 통해 가스배출판과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 고정 작업이 배제되어 제조공정의 단축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스에 의한 내압 발생시에도 변형이 발생될 여유 공간이 없어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상태를 통해 필터링의 정밀성추구와 가스배출구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 중 발효가 진행되는 식품 예를 들어 고추장이나 된장 또는 김치 등의 발효식품이나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신선한 커피 등의 식품을 담아 보관하는 포장대 또는 봉지 채 가열하여 취식하는 레토르트 식품용기 및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내부에 탄산가스(CO2) 등의 각종 가스가 발생시키는 사료, 비료, 퇴비 등의 내용물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게 되는 포장대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용물로부터 가스가 발생되고 용기내부가 팽창되어 압력이 발생하게 될 때에는 그 팽창된 내부압력에 의해 용기자체가 폭발하거나 약한 부위가 터지게 되는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포장대를 개봉할 시 내부의 각종 유해가스로 인하여 인체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도 있었던 것이다.
그 외에도 파우더 형의 각종 화학 원료 등 공업용의 중량물이 밀봉상태로 충진 포장된 포대의 경우 운반 보관상 다층으로 적재하게 되는 바, 이때 아래층에 위치된 포장대의 경우 과다한 눌림 압력이 부여되어 포장대가 파손되는 등의 위험성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포장대에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된 각종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미세한 구멍은 내부의 각종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 공기나 습기도 동시에 포장대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어 내용물이 변질 및 부패되고, 구멍의 확장에 의해 운반 및 적재 시에 내용물이 포장대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종래에는 용기의 주입부를 확실히 밀폐하여 주면서도 포장대 내에서 발생되는 식품의 발효가스의 발생에 따른 팽창 압력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팽창압력에 의한 용기의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한 가스배출구조가 도 6내지 도7에서와 같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관통상태로 1차 가스 배출공(3)을 구비하며 둘레에 포장대(1)의 내면에 접착되는 플랜지부(2')를 구비하는 몸체(2)와, 상기 몸체(3)에 결합 고정되며 내, 외부로 관통되는 2차 가스배출공(5)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밸브판 지지돌부(4')를 구비하는 캡(4)과, 상기 캡(4)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밸브판 지지돌부(4')를 통해 일단이 지지되며 선택적으로 1차 가스 배출공(3)과 2차 가스 배출공(5)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주기 위한 밸브판(6)과, 상기 몸체(2) 내면의 필터 고정면(8)상에 연부가 접착 고정되는 시트상의 필터(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가스배출구조는 도 7에서와 같이 용기내의 압력과 대기의 압력이 같은 수준에서는 평상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밸브판(6)의 자체 탄성에 의해 평평하게 유지되어 몸체(2)에 밀착됨으로써 1차 가스 배출공(3)을 차단시켜 내, 외부의 공기유통을 억제시키고 있는 상태이지만 내용물의 발효나 분해에 따른 가스발생 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한 포장대(1)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과압력은 일차적으로 필터(7)와 몸체(2)의 1차 가스 배출공(3)을 통해 밸브판(6)으로 전해져 밸브판(6)전체를 강하게 밀어주게 된다.
이때 밸브판 지지돌부(4')를 통해 일단이 지지된 밸브판(6)은 변형 유동되지 않게 되지만 지지되지 않은 반대편은 압력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이 외향으로 휘어 져 변형되면서 몸체(2)에서 떨어져 2차 가스 배출공(5)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 통로를 통해 압력은 배출되고 포장대의 압력이 내압이 대기압과 같아지면 자동으로 밸브판(6)이 원형으로 복귀되면서 초기와 같이 몸체(2)에 밀착되어 1차 가스 배출공(3)을 차단하여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존의 가스배출구조는 가스 배출 시 일측이 고정 지지된 밸브판(6)의 타 측단이 변형되면서 배출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밸브판(6)의 자체 탄성력을 균형있게 이용하기 어려운 지지 상태이며 따라서 밸브기능을 하는 비 고정 상태의 자유단부까지 충분한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밸브판(6)의 두께를 증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스배출구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또한 밸브판(6)은 일측이 고정 지지되고 타 측단은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도록 비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야 함으로써 밸브판(6)의 변형 유동부위가 증가되어 몸체(2)와의 밀착도에 동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가스의 배출과 차단에 정밀성과 신뢰성을 기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또한 필터(7)는 가장자리 일부분만 별도의 몸체(2)내면의 필터 고정면(8)상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별도의 접착 고정 작업이 요구되어 제조공정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필터(7)의 비 접착된 부분은 공간과 접하게 됨으로써 가스에 의한 내압 발생 시 필터의 팽창 변형이 초래되어 접착상태의 불안정을 유발하여 필터링의 정밀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접착부분이 일부 훼손 해제되는 경우 내용물이 누출되어 밸브판(6)의 밀착면에 부착되면 가스배출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외부 공기나 습기도 동시에 포장대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어 내용물이 변질 및 부패되고, 내용물이 포장대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배출 시 가스배출판의 변형 유동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가스의 배출과 차단에 정밀성과 신뢰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터링필름의 전체 면이 덮개를 통해 가스배출판과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별도의 접착 고정 작업의 배제를 통해 제조공정의 단축과 작업성의 개선 및 변형이 발생될 여유 공간이 없도록 하여 가스에 의한 내압 발생시도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필터링의 정밀성추구와 가스배출구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이 포장대의 내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에 확장된 직경의 접착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외향으로 융기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지지돌부를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공간을 두고 이에 중앙에 절결부를 가 진 가스 배출판과 필터링 필름 및 덮개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하며 상기 설치공간의 단부에는 덮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포장대의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하우징 내에 가스배출판과 필터링필름을 덮개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토록 한 상태에서 가스배출판의 중앙부에 구성한 절결부를 통해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배출 시 가스배출판의 변형 및 유동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가스의 배출과 차단에 정밀성과 신뢰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링 필름의 전체 면이 덮개를 통해 가스배출판과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 고정 작업이 배제되어 제조공정의 단축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링 필름의 변형이 발생될 여유 공간이 없게 되어 가스에 의한 내압 발생시에도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상태가 유지되어 필터링의 정밀성추구와 가스배출구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된 단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전면부(11)에 다수의 관통된 상태의 2차 가스배출공(12)을 천공 구비하며 포장대(1)의 내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부(11) 연부에 확장된 직경의 접착 플랜지부(13)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중앙부에 외향으로 융기되며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환형의 탄성 연결부(21)를 통해 탄성적인 출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요입 구성되며 단부에는 걸림턱(31)을 구비하는 설치공간(30)과;
상기 탄성 연결부(21)와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중앙에 개폐를 통해 가스 배출을 제어하는 절결부(41)를 가진 가스배출판(40)과;
상기 가스배출판(40)과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기체만을 선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링 필름(50)과;
상기 걸림턱(31)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필터링 필름(50)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다수의 관통된 상태의 1차 가스배출공(61)을 천공 구비하는 덮개(6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하우징(10)과 덮개는 형상 유지력이 양호한 비교적 경질의 P.P나 PE 등 의 합성수지로 구성하게 되며, 가스 배출판(40)은 유연성과 탄성복원력이 양호한 고무나 실리콘이나 우레탄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 필름(50)은 수증기나 가스 등의 기체는 통과가 가능하지만 수분 이나 기타 내용물은 통과되지 못하는 특성의 소재로 구성하게 되며 고밀도의 부직포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배출구가 임의의 포장대(1)의 이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접착된 하우징(1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도록 포장대(1)에 가스배출공(1')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 도 4의 상태는 포장대(1)의 내압이 외부 압과 동일하거나 내압이 가스배출판(40)을 변형 작동시킬 만큼 크지 않은 경우를 보이는 것으로, 가스배출판(40)의 절결부(41)는 미 변형상태로 닫혀져 밀봉기능을 유지하게 되고 탄성부(20)의 탄성 연결부(21)는 가스배출판(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2차적인 밀봉효과와 더불어 가스배출판(4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을 발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포장대(1)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발효 또는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포장대(1)내의 압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포장대를 적층하여 보관하여 부여되는 누름압력에 의해 포장대 내에 과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가스는 덮개(60)의 1차 가스배출공(61)을 통과하여 필터링 필름(50)을 거치는 과정에서 가스와 함께 배출될 있는 수분이나 내용물을 제외한 순수한 가스 기체만이 통과되어 가스배출판(40)을 밀어 올려주게 된다.
이때 가스가 접하는 해당 부위의 가스배출판(40)이 유동 변형되면서 가스가 이동할 틈새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결부(41)를 변형시켜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가스는 벌어진 절결부(41)를 통해 탄성부(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가 스의 압력은 강제적으로 탄성 연결부(21)를 변형시키면서 탄성부(20)를 위로 들어 올려 탄성 연결부(21)가 가스배출판(40)에서 이격되면서 틈새를 형성하도록 하며 가스 압력은 이 틈새를 거쳐 하우징(10)의 전면부(11)에 관통된 2차 가스배출공(12)을 통해 하우징(10)외부로 배출된 후 최종적으로 포장대(1)의 가스배출공(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포장대(1)내의 가스가 배출되어 과압이 제거되면 탄성 연결부(21)와 탄성부(20) 및 가스배출판(40) 및 절결부(41)는 자체 탄성력으로 원형으로 복귀되어 도 4에서와 같이 2차 가스배출공(12)과 1차 가스배출공(61)을 상호 단락시켜 밀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의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된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기존의 가스배출구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전면부
12: 2차 가스배출공 13: 접착 플랜지부
20: 탄성부 21: 탄성 연결부
30: 설치공간 31: 걸림턱
40: 가스 배출판 41: 절결부
50: 필터링 필름 60: 덮개
61: 1차 가스배출공

Claims (1)

  1. 전면부(11)에 다수의 관통된 상태의 2차 가스배출공(12)을 천공 구비하며 포장대(1)의 내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부(11) 연부에 확장된 직경의 접착 플랜지부(13)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중앙부에 외향으로 융기되며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환형의 탄성 연결부(21)를 통해 탄성적인 출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요입 구성되며 단부에는 걸림턱(31)을 구비하는 설치공간(30)과;
    상기 탄성 연결부(21)와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중앙에 개폐를 통해 가스 배출을 제어하는 절결부(41)를 가진 가스배출판(40)과;
    상기 가스배출판(40)과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기체만을 선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링 필름(50)과;
    상기 걸림턱(31)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필터링 필름(50)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30)내에 수용되며 다수의 관통된 상태의 1차 가스배출공(61)을 천공 구비하는 덮개(6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KR1020090008314A 2009-02-03 2009-02-03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KR10099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14A KR100996491B1 (ko) 2009-02-03 2009-02-03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14A KR100996491B1 (ko) 2009-02-03 2009-02-03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84A KR20100089184A (ko) 2010-08-12
KR100996491B1 true KR100996491B1 (ko) 2010-11-24

Family

ID=4275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314A KR100996491B1 (ko) 2009-02-03 2009-02-03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45A (ko) * 2017-02-21 2018-08-29 백기현 멤브레인 필터
KR102112137B1 (ko) 2020-02-03 2020-06-04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커피원두 포장체용 컨트롤밸브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551A (zh) * 2018-10-25 2019-03-08 湖南飞锡塑业有限公司 触摸按压自吸式真空包装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48Y1 (ko) 2001-02-20 2001-09-29 박종욱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200359754Y1 (ko) 2004-06-09 2004-08-21 김상순 발효가스 배출구
JP2008514518A (ja) 2004-09-29 2008-05-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包装容器のための過圧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48Y1 (ko) 2001-02-20 2001-09-29 박종욱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200359754Y1 (ko) 2004-06-09 2004-08-21 김상순 발효가스 배출구
JP2008514518A (ja) 2004-09-29 2008-05-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包装容器のための過圧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45A (ko) * 2017-02-21 2018-08-29 백기현 멤브레인 필터
KR101898434B1 (ko) 2017-02-21 2018-09-13 백기현 멤브레인 필터
KR102112137B1 (ko) 2020-02-03 2020-06-04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커피원두 포장체용 컨트롤밸브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84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283B2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stiff support
US10737856B2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with predetermined humidity and related method
CA1177449A (en) Overpressure valve for packages with flexible walls
US8636034B2 (en)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US6837268B2 (en) Evacuable container having one-way valve with filter element
US8448799B2 (en) Self sealing bag in box cap assembly
US8051998B1 (en) Product container with integral selective membrane
US20100200588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JPH07208626A (ja) 芳香性製品用ガス抜きバルブ
JP2002518255A (ja) 大気制御付輸送用コンテナ
KR100996491B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US20190084756A1 (en) Container with gas and/or liquid permeable membrane
WO2012136075A1 (zh) 防泄漏单向阀容器
KR101044250B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WO2008062537A1 (fr) Système de support de stockage de feuilles et boîtier à réticule utilisant celui-ci
US20140251858A1 (en) Packaging comprising a breathable valve for perishable products
KR101188223B1 (ko) 진공보관용 지퍼백의 체크밸브
CN100465075C (zh) 用于保存和运输农业或园艺产品的托盘式容器
KR102062175B1 (ko) 단방향 발효가스 배출 봉투용 포장 밸브
CN205891588U (zh) 一种双层包装袋
KR101834280B1 (ko) 발효식품포장용기
WO2012141356A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200359754Y1 (ko) 발효가스 배출구
US2012030459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ir inside a clos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