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80B1 - 발효식품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식품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80B1
KR101834280B1 KR1020160111490A KR20160111490A KR101834280B1 KR 101834280 B1 KR101834280 B1 KR 101834280B1 KR 1020160111490 A KR1020160111490 A KR 1020160111490A KR 20160111490 A KR20160111490 A KR 20160111490A KR 101834280 B1 KR101834280 B1 KR 10183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fermented food
container
gas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덕
Original Assignee
김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filed Critical 김종덕
Priority to KR102016011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식품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를 구비한 요형(凹形)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갖는 발효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가 상기 측면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지지관가스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대기홈과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킹바디부와 상기 코킹바디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를 가지고,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킹과; 상기 코킹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봉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밀폐성이 향상되고,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발효식품 보관공간 외부 즉,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을 취식하기 전에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식품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와 같은 국물있는 발효식품을 포장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 등의 발효식품은 보관 중에도 지속적으로 발효되면서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된 가스에 의해 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용기내부의 가스압력이 증가하면 취식을 위해 용기를 개방할 때 가스압력에 의해 내용물의 파편이 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산소 공급이 차단되는 혐기적(嫌氣的))조건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식품을 포장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의 경우 높은 용기밀폐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용기내부의 가스압력에 따른 문제점이 가중된다.
용기내부의 가스압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효식품포장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 발효식품포장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2는 종래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발효식품포장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덮개(120)와, 덮개(120)에 설치된 배출캡(130) 및 스프링(151)과, 배출캡(130)의 저면에 결합된 고무패킹(152)을 갖고 있다.
용기본체(110)는 바닥면부(111)와, 바닥면부(11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112)를 갖고 있다.
덮개(120)는 수평면부(121)와, 수평면부(12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수직면부(122)와, 수평면부(121)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요형(凹形)의 캡안착홈부(123)와, 캡안착홈부(123)의 바닥면에 기립형성된 배출안내관(124)과, 수평면부(121)로부터 수평면부(121)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출캡(130)을 향해 연장형성된 지지턱(125)을 갖고 있다.
캡안착홈부(123)는 바닥면에 가스배출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안내관(124)은 가스배출공(123a)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캡(130)은 요형의 캡바디부(131)와, 캡바디부(1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플랜지(132)를 갖고 있다.
스프링(151)은 지지플랜지(132)와 지지턱(125)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고무패킹(152)은 배출안내관(124)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캡바디부(131)의 저면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발효식품포장용기의 사용방법과 가스배출과정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발효식품을 담는다.
다음에 덮개(120)를 용기본체(110)에 결합한다.
덮개(120)가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10)에 담긴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는 고무패킹(152)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고무패킹(152)에 가해지는 가스압력이 증가하면 스프링(151)은 수축되고, 이에 따라 고무패킹(152)은 배출안내관(124)의 상부로부터 이탈한다.
고무패킹(152)이 배출안내관(124)의 상부로부터 이탈하면 용기본체(110) 내부의 가스는 가스배출공(123a), 배출안내관(124), 배출안내관(124)과 캡바디부(131) 사이공간, 지지플랜지(132)와 캡안착홈부(123)의 바닥면 사이공간 및 지지턱(125)과 캡바디부(131) 사이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본체(11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면 스프링(151)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배출캡(130)이 하강한다.
배출캡(130)이 하강하면 고무패킹(152)은 다시 배출안내관(124)의 상단을 밀폐하게 된다.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은 덮개(120)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취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발효식품포장용기에 따르면, 고무패킹(152)이 배출안내관(124)의 상부로부터 이탈하는 동안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간은 가스배출공(123a), 배출안내관(124), 배출안내관(124)과 캡바디부(131) 사이공간, 지지플랜지(132)와 캡안착홈부(123)의 바닥면 사이공간 및 지지턱(125)과 캡바디부(131) 사이공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용기밀폐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산소 공급이 차단되는 혐기적(嫌氣的))조건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식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용기본체(110) 내부의 가스 압력 또는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의 무게에 의해 고무패킹(152)이 배출안내관(124)의 상부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로 흘러나올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위적으로 고무패킹(152)을 상방향으로 잡아 당기기 어렵기 때문에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을 취식하기 전에 가스를 외부(발효식품 보관공간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17273호(등록일자: 2001년 1월 8일, 고안의 명칭 :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발효식품포장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밀폐성이 향상되고,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효식품을 취식하기 전에 용이하게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발효식품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를 구비한 요형(凹形)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갖는 발효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가 상기 측면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지지관가스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대기홈과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킹바디부와 상기 코킹바디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를 가지고,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킹과; 상기 코킹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봉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또는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접촉영역과 상기 측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접촉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영역에는 국물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시트와;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가 상기 접촉영역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비접촉영역과의 사이에 국물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차단시트와 상기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지지관가스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대기홈과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킹바디부와 상기 코킹바디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를 가지고,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킹과; 상기 코킹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봉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운반 중 용기본체에 담긴 국물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차단시트의 접촉영역과 측면부의 내표면 사이에 국물이 공급되어 접촉영역과 측면부의 내표면 사이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은 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발효식품 국물의 수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에 수집된 가스의 압력에 의한 밀봉시트의 팽창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폐돌기는 내부에 보조대기홈이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의 가스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밀폐돌기에 의한 가스통과공의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에는 돔(Dome) 형태의 융기부가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통과공은 상기 융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을 용기본체의 측면부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면에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된 코킹을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코킹의 상측에서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코킹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밀봉시트를 용기본체에 결합함으로써, 용기밀폐성이 향상되고,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발효식품 보관공간 외부 즉,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을 취식하기 전에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단면도,
도4는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덮개와 밀봉시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시트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발효식품포장용기의 결합사시도,
도12는 종래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단면도,
도13은 종래 발효식품포장용기에 따른 가스배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덮개와 밀봉시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의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시트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용기본체(10)에 결합된 덮개(20)와, 덮개(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시트(30) 및 차단판(51)과, 차단판(51)의 상측에 설치된 다수의 코킹(40)과, 코킹(40, Caulking)의 상측에서 용기본체(10)에 결합된 밀봉시트(52)를 갖고 있다.
용기본체(10)는 바닥면부(11)와, 바닥면부(1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12)와, 측면부(12)의 상단에 기립 형성된 끼움벽부(13)와, 측면부(12)의 외표면 상부영역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4)를 갖고 있다.
측면부(12)는 상단에 끼움벽부(13)의 내측에 지지면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덮개판부(21)와, 덮개판부(21)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부(22)와, 덮개판부(21)의 일 모서리 영역에 돌출 형성된 파지부(2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덮개(20)는 끼움홈부(22)에 끼움벽부(13)가 억지끼움되도록 용기본체(10)에 결합된다.
차단시트(30)는 바닥면부(11)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접촉영역(31)과, 측면부(12)의 내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접촉영역(32)으로 구획되도록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비접촉영역(31)에는 국물통과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단시트(3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먼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도8에 도시된 형태로 재단한다.
다음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다.
다음에 접이선 외측 부분 즉, 접촉영역(32)에 해당하는 부분을 측면부(12)의 내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이선을 따라 접은 후, 접힌 부분(접촉영역)을 측면부(12)의 내표면에 가압 부착시킨다.
차단시트(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 사이의 밀착상태는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에 묻어있는 국물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차단판(51)에는 돔(Dome) 형태의 융기부(51a)가 분산 형성되어 있고, 각 융기부(51a)의 상단에는 가스통과공(51b)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51)의 둘레연부는 스커트부(51c)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단판(51)은 바닥면부(11)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 즉, 스커트부(51c)가 접촉영역(32)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비접촉영역(31)과 이격되도록 차단시트(30)의 상측에 설치된다. 차단판(51)의 설치는 저면이 용기본체(10)에 담긴 발효식품의 국물수위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도9 참조).
이와 같이 차단판(51)의 저면이 국물수위에 배치되면 운반 중 용기본체(10)에 담긴 국물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차단시트(30)의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 사이에 국물이 공급되어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 사이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코킹(40)은 관형태의 지지관부(41)와, 지지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관부(41)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코킹바디부(42)와, 코킹바디부(42)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43)를 갖고 있다.
지지관부(41)는 관벽에 지지관가스유로(41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코킹바디부(42)는 상면에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배출대기홈(42a)과 지지관부(4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42b)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돌기(43)는 내부에 보조대기홈(43a)이 가스배출대기홈(4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코킹(40)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폴리프로필렌,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밀폐돌기(43)가 가스통과공(51b)을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밀봉시트(52)는 지지면부(12a)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밀봉시트(52)의 결합은 용기본체(10)의 개구영역과 가스배출대기홈(42a)을 밀폐하고, 저면이 지지관부(41)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봉시트(52)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가압가열공정을 통해 지지면부(12a)의 상면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포장용기의 사용방법과 가스배출과정을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발효식품을 담는다.
다음에 차단시트(30)를 설치한다.
다음에 밀폐돌기(43)가 가스통과공(51b)을 밀폐하도록 코킹(40)을 설치한다.
다음에 밀봉시트(52)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한다. 밀봉시트(52)의 결합은 용기본체(10)의 개구영역과 가스배출대기홈(42a)을 밀폐하고, 밀봉시트(52)의 저면이 지지관부(41)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덮개(20)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한다.
덮개(2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에 담긴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는 차단판(51)과 밀봉시트(52) 사이 공간, 가스배출대기홈(42a) 및 보조대기홈(43a)에 수집되고, 차단판(51)과 밀봉시트(52) 사이 공간에 수집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봉시트(52)는 상방향으로 팽창한다.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취식할 수 있다.
먼저 덮개(2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바늘 등 뾰족한 도구를 사용하여 가스배출대기홈(42a)에 연결되는 가스배출공(52a)을 밀봉시트(52)에 형성한다(도10 참조). 가스배출공(52a)이 형성되면 차단판(51)과 밀봉시트(52) 사이 공간, 가스배출대기홈(42a) 및 보조대기홈(43a)에 수집된 가스는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밀봉시트(52), 코킹(40), 차단판(51) 및 차단시트(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면, 용기본체(10)에 담긴 발효식품을 취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0)의 측면부(12)를 바닥면부(11)에 대하여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용기본체(10)의 측면부(12)를 바닥면부(1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측면부(12)가 바닥면부(1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경우 차단판(51)을 설치하기 위해 용기본체(10)의 내표면에 차단판 지지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차단판 지지구조로는 바닥면부(11)로부터 측면부(12)를 따라 지지기둥을 형성하거나 측면부(12)의 내표면에 지지턱을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차단시트(30)를 설치하고 차단판(51)을 차단시트(30)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차단시트(30)를 생략하고 차단판(51)을 측면부(12)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스통과공(51b)이 분산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51)을 용기본체(10)의 측면부(12)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면에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42a)이 형성된 코킹(40)을 가스통과공(51b)을 밀폐하도록 차단판(51)의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코킹(40)의 상측에서 용기본체(10)의 개구영역과 가스배출대기홈(42a)을 밀폐하고 저면이 코킹(4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밀봉시트(52)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함으로써, 용기밀폐성이 향상되고,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발효식품 보관공간 외부 즉,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긴 발효식품을 취식하기 전에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용기밀폐성이 향상되면 산소 공급이 차단되는 혐기적(嫌氣的))조건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식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국물통과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시트(30)를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하고 복수의 가스통과공(51b)이 분산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51)을 차단시트(30)에 접촉하도록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용기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발효식품 국물이 외부(발효식품 보관공간 외부 즉, 차단판과 밀봉시트 사이 공간)로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면이 용기본체(10)에 담긴 발효식품의 국물수위에 배치되도록 차단판(51)을 설치함으로써, 운반 중 용기본체(10)에 담긴 국물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차단시트(30)의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 사이에 국물이 공급되어 접촉영역(32)과 측면부(12)의 내표면 사이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폐돌기(43)의 내부에 가스배출대기홈(42a)에 연결되도록 보조대기홈(43a)을 형성함으로써, 차단판(51)과 밀봉시트(52) 사이 공간에 수집된 가스의 압력에 의한 밀봉시트(52)의 팽창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판(51)에 돔(Dome) 형태의 융기부(51a)를 분산 형성하고 가스통과공(51b)을 융기부(51a)의 상단에 형성함으로써, 차단판(51)과 밀봉시트(52) 사이 공간의 가스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밀폐돌기(43)에 의한 가스통과공(51b)의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용기본체 20, 120 : 덮개
30 : 차단시트 40 : 코킹
41 : 지지관부 42 : 코킹바디부
43 : 밀폐돌기 52 : 밀봉시트
130 : 배출캡 151 : 스프링
152 : 고무패킹

Claims (5)

  1.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를 구비한 요형(凹形)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갖는 발효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가 상기 측면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지지관가스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대기홈과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킹바디부와 상기 코킹바디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를 가지고,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킹과;
    상기 코킹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봉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2.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부를 구비한 요형(凹形)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갖는 발효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접촉영역과 상기 측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접촉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영역에는 국물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시트와;
    복수의 가스통과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둘레연부가 상기 접촉영역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비접촉영역과의 사이에 국물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차단시트와 상기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지지관가스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형(凹形)의 가스배출대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대기홈과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바디부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킹바디부와 상기 코킹바디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돌기를 가지고,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가스통과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킹과;
    상기 코킹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영역과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을 밀폐하고 저면이 상기 지지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봉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발효식품 국물의 수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기는 내부에 보조대기홈이 상기 가스배출대기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는 돔(Dome) 형태의 융기부가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통과공은 상기 융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포장용기.
KR1020160111490A 2016-08-31 2016-08-31 발효식품포장용기 KR10183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90A KR101834280B1 (ko) 2016-08-31 2016-08-31 발효식품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90A KR101834280B1 (ko) 2016-08-31 2016-08-31 발효식품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280B1 true KR101834280B1 (ko) 2018-03-05

Family

ID=6172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490A KR101834280B1 (ko) 2016-08-31 2016-08-31 발효식품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9047A (zh) * 2018-04-14 2018-09-14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用于保存发酵食品的容器
KR20200002530U (ko) 2019-05-13 2020-11-23 박영규 발효식품 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99U (ko) * 2007-06-13 2008-12-17 이영은 덮개 필름을 갖는 식품 포장재
KR20120048113A (ko) * 2010-11-05 2012-05-1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99U (ko) * 2007-06-13 2008-12-17 이영은 덮개 필름을 갖는 식품 포장재
KR20120048113A (ko) * 2010-11-05 2012-05-1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9047A (zh) * 2018-04-14 2018-09-14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用于保存发酵食品的容器
KR20200002530U (ko) 2019-05-13 2020-11-23 박영규 발효식품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041B2 (en) Self sealing bag in box cap assembly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US20080073366A1 (en)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KR101834280B1 (ko) 발효식품포장용기
CN102892683A (zh) 用于可变形的容器的塑料封闭器
JP2004161378A (ja) 液体貯蔵容器およびこの貯蔵容器の外部容器の製造方法
US20120285965A1 (en) Two-piece closure for use in hot-fill containers
JP2007537931A (ja) 折り畳み可能な容器のための蓋
KR900000494B1 (ko) 포개지는 형태의 자동 통기식 스파우트
KR100996491B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KR101497240B1 (ko) 용기내부의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마개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101518717B1 (ko)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200308962Y1 (ko) 가스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 덮개
WO2020085898A3 (en) Recyclable paperboard container
KR20190120609A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CN209528791U (zh) 一种盖和容器
KR2009007870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101295016B1 (ko) 용기 캡 구조체
JPS6228174Y2 (ko)
JPS5920850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230166285A (ko) 음식용기
JP2001019011A (ja) 容器の蓋
JP2017056952A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