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016B1 - 용기 캡 구조체 - Google Patents

용기 캡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016B1
KR101295016B1 KR1020110054561A KR20110054561A KR101295016B1 KR 101295016 B1 KR101295016 B1 KR 101295016B1 KR 1020110054561 A KR1020110054561 A KR 1020110054561A KR 20110054561 A KR20110054561 A KR 20110054561A KR 101295016 B1 KR101295016 B1 KR 10129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over member
ca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702A (ko
Inventor
현 욱 장
Original Assignee
(주)코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코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1005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용기 캡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입구가 배치되며 내부에 용액이 충전되는 공간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입구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캡부재와; 용기 본체의 입구와 캡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용기 본체의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를 가지며 하부에 공기 중의 산소가 용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통로인 칼집부를 가지며 일측과 타측 부위의 두께가 서로 다른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내용물인 농약의 외부 유실을 방지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 및 내부 가스를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 자체의 두께를 얇게 성형하더라도 용기의 수축 및 팽창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용기 캡 구조체{CONTAINER CAP STRUCTURE}
본 발명은 용기 캡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용기 캡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제의 용기로서는, 종래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백(bag) 타입의 것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플라스틱제의 병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병 타입의 용기는 용기를 직립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타입의 용기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유연성에 문제가 있고, 따라서 용기 내 액체의 유출시에 용기가 충분히 압궤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액체가 남는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용기의 상부 입구에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입구 부위에 캡부재가 체결되어 용기의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용기의 내부에 충전되는 액체들 중에 미생물이 들어있는 액체는 미생물의 특성상 산소가 공급되어야 한다.
그런데, 캡부재에 의해 용기의 입구가 밀폐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게 되므로, 용기 내에 진공 부압이 형성되어 용기 자체가 쪼그라드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기 자체의 두께를 일정 두께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용기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기 내부에 외부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일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입구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캡부재(20)가 체결되고, 용기 본체(10)의 입구 내부에 패킹재(30)가 배치되며, 패킹재(30)의 상측과 캡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부직포 소재의 덮개부재(40)가 배치된다.
덮개부재(40)는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압축된 부직포 소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덮개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패킹재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의 일 예로 가스가 배출되어 용기 내부에서 팽창하는 농약인 경우에는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용기가 부풀어 오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공기중 산소가 용기 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용기 캡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자체 두께를 얇게 성형하더라도 진공 압력이나 팽창에 의한 용기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용기 캡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입구가 배치되며 내부에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이 충전되는 공간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캡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상기 캡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공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통로인 칼집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칼집부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일측과 타측부위가 두께 차를 갖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유로홈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중앙에 공기가 충전 가능하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유로홈으로부터 상기 홈부측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연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 진공 부압이 형성될 경우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두께가 두꺼운 일측 부위와 얇은 타측 부위의 두께 비율이 1.5~3.0 : 1.0의 비율인 것이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앙 하측에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유출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용기 캡 구조체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으면서 내용물인 액체의 외부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 자체의 두께를 얇게 성형하더라도 용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기존 용기와 캡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캡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커버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캡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입구(12)가 배치되며 내부에 용액이 충전되는 공간부(15)를 갖는 용기 본체(10)와;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입구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캡부재(20)와; 용기 본체(10)의 입구와 캡부재(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를 가지며 하부에 공기 중의 산소가 용기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통로인 칼집부(115)를 가지며 일측과 타측 부위의 두께가 서로 다른 돌출부(110)가 형성된 커버부재(1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본체(10)는 대략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입구 외주면에 수 나사산이 형성되며, 공간부(15) 내부에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 등의 용액이 충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부재(100)는 공간부(15) 내에 진공 부압이 형성될 경우 돌출부(110)의 칼집부(115)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고, 용기 내부에서 가스 발생시 외부로 유출할 수 있도록 모양 변형이 가능하게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부재(100)는 돌출부(110) 부위만을 실리콘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00)의 유로는 커버부재(100)의 외주면 테두리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해서 쇄기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유로홈(102)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커버부재(100)의 상면 중앙에 공기가 충전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부(105)가 형성되며, 각각의 유로홈(102)으로부터 상기 홈부(105)측으로 연통되도록 커버부재(100)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연결홈(104)이 방사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즉, 커버부재(100)의 유로는 캡부재(20)의 나사산과 용기 본체(10)의 나사산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용기 본체(10)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칼집부(115)는 돌출부(110)의 중앙에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공간부(15)의 내부 진공 압력에 의해 칼집부(115)의 틈새가 벌어져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지만, 공간부(15) 내에 충전된 용액은 통과시키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 이를 위해 돌출부(110)는 칼집부(115) 개폐구조를 지지하도록 커버부재(100)의 중앙 하측에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10)는 칼집부를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일측) 부위가 우측(타측)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0)의 일측 부위(110A) 두께와 타측 부위(110B) 두께 비율은 1.5~3.0 : 1.0의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5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 차가 나지 않기 때문에 타측 부위(110B)의 변형에 의한 가스 유출이 어려워지며, 3.0의 비율을 초과할 경우에는 일측 부위(110A)와 타측 부위(110B)의 두께 균형이 맞지 않아 가공이 어려우며 타측 부위(110B)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용기 내부의 농약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일측 부위(110A) 두께는 용기 본체(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칼집부는 미생물 호흡으로 인해 용기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농약의 경우에는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고, 가스를 발생시키는 농약의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켜 두께가 얇은 타측 부위를 변형시켜 칼집부를 개방하여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10)가 기립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넘어지거나 수평상태로 이송중에 용기 본체(10)의 공간부(15) 내에 충전된 용액이 반구형태의 돌출부(110) 측에 접촉될 경우, 돌출부(110) 측에 압력을 가해 칼집부(115)를 밀폐시키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도 6와 도 7은 본 발명 돌출부(11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돌출부(110)가 반구 형태가 아니라 삼각뿔 형태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돌출부(110)의 실시 형태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캡 구조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20)와 용기 본체(10)의 사이에 커버부재(100)를 배치한 후에, 용기 본체(10)의 입구 측과 캡부재(20)를 나사 결합시키면, 커버부재(100)의 테두리 부위가 용기 본체(10)의 입구 테두리측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커버부재(100)는 캡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용기 본체(10)의 입구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커버부재(100)의 유로홈(102)들은 용기 본체(10)의 입구 외주면과 캡부재(20)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 결합부위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각각의 연결홈(104) 측으로 이송시키는 통로가 되고, 이후에 외부 공기는 연결홈(104)들을 통해 홈부(105) 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홈부(105) 내에 공급된 외부 공기는 용기 본체(10)의 공간부(15) 내에 형성된 진공 부압에 의해 개방된 칼집부(115)를 통해 용기 본체(10)의 공간부(15) 내부로 유입된다.
공간부(15) 내에 유입된 외부 공기의 산소가 공간부(15) 내에 충전된 용액이 농약(미생물이 포함된 농약)의 미생물 측에 공급됨으로써, 용액 내에 함유된 미생물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0)의 칼집부(1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만을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통과시키고 용기 본체(10) 내에 충전된 용액의 외부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가스를 발생시키는 농약이 용기 본체에 충전된 경우에는,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에서 발생된 가스의 압력이 돌출부(110)의 타측 부위에 전달되고, 이어서 돌출부(110)의 타측 부위가 가스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기 내부의 가스는 돌출부(110)의 타측 부위 변형에 의해 칼집부(115)가 개방됨에 따라, 칼집부(115)를 통과하여 유로홈(102)를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과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 캡 구조체는 용기 내에 충전된 용액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면서 외부 공기를 용기 본체(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될 경우 이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용기 캡 구조와는 달리 패킹재가 필요없기 때문에 생략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공 부압에 의한 용기의 수축 변형 및 가스 팽창에 의한 팽창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용기 자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재료 절감으로 인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본체 12 : 입구
20 : 캡부재
100 : 커버부재 102 : 유로홈
104 : 연결홈 105 : 홈부
110 : 돌출부 115 : 칼집부
110A, 110B : (돌출부의)일측, 타측부위

Claims (5)

  1.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입구가 배치되며 내부에 미생물이 함유된 농약이 충전되는 공간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캡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상기 캡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공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통로인 칼집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칼집부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일측과 타측부위가 두께 차를 갖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유로홈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중앙에 공기가 충전 가능하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유로홈으로부터 상기 홈부측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 진공 부압이 형성될 경우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구조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두께가 두꺼운 일측 부위와 얇은 타측 부위의 두께 비율이 1.5~3.0 : 1.0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앙 하측에 반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구조체.
KR1020110054561A 2011-06-07 2011-06-07 용기 캡 구조체 KR10129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61A KR101295016B1 (ko) 2011-06-07 2011-06-07 용기 캡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61A KR101295016B1 (ko) 2011-06-07 2011-06-07 용기 캡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02A KR20120135702A (ko) 2012-12-17
KR101295016B1 true KR101295016B1 (ko) 2013-08-09

Family

ID=4790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561A KR101295016B1 (ko) 2011-06-07 2011-06-07 용기 캡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61B1 (ko) * 2018-11-02 2020-01-2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일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용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1941U (ko) * 1989-04-07 1990-11-01
KR200354346Y1 (ko) 2004-03-26 2004-06-29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항균 마개부를 갖는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1941U (ko) * 1989-04-07 1990-11-01
KR200354346Y1 (ko) 2004-03-26 2004-06-29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항균 마개부를 갖는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02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993B2 (en) Mouth cap for liquid container
EP2719635B1 (en) Dispensing container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JP6973908B2 (ja) 積層剥離容器
JP6427410B2 (ja) スリット弁付きスクイズ容器
KR20160046654A (ko) 에어리스 펌프
JP2017132529A (ja) 吐出容器
KR101295016B1 (ko) 용기 캡 구조체
WO2020262672A1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356942B2 (ja) 吐出容器
JP20201930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563299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15105123A (ja) 二重容器
KR101497240B1 (ko) 용기내부의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마개
KR101375609B1 (ko) 통기성 발효식품 포장용기
JP6929598B2 (ja) 二重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KR200485155Y1 (ko) 용기
JP6382016B2 (ja) 二重容器
JP6903376B2 (ja) 二重容器
JP7418277B2 (ja) 二重容器
KR101285244B1 (ko) 액상 내용물 보관 용기
JP73651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833283B2 (ja) 吐出容器
JP20240153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