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706A -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 Google Patents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706A
KR20090078706A KR1020080005501A KR20080005501A KR20090078706A KR 20090078706 A KR20090078706 A KR 20090078706A KR 1020080005501 A KR1020080005501 A KR 1020080005501A KR 20080005501 A KR20080005501 A KR 20080005501A KR 20090078706 A KR20090078706 A KR 2009007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container
sealing
neck
heterogene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08000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706A/ko
Priority to PCT/KR2008/005521 priority patent/WO2009048228A2/en
Publication of KR2009007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로는 PCT/KR04/03014호가 있었다.
(3)발명의 구성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막는 부위인 밀폐부를 2중 사출하여 밀폐부가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였다.
(4)발명의 효과
밀폐부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밀폐성이 향상되고, 안정성이 부가된 장점이 있다.
이종물질, 수용장치, 밀폐부, 수용부, 저장공간

Description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omitted}
본 발명은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선행으로서, PCT/KR04/03014호가 있었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인의 선행을 더욱 구체적으로 언급하고자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수용장치의 작동부를 개방하면 수용부가 밀폐마개로부터 이격되면서 저장공간에 있던 내용물이 낙하되는 것이었으며, 본 발명은, 수용부의 저장공간에 든 내용물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자 밀폐마개를 수용부대응부의 탄력돌기 강력하게 지지되도록 하였고, 또한 용기목에 대응되는 부위에 밀폐부를 부가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장치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 저장공간에 있던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도록 수용부의 하단을 밀폐마개로 밀폐하고 있도록 된 구성에 있어, 수용부와 밀폐마개가 접촉하는 부위에 환테형의 밀폐부를 두 고, 상기한 밀폐마개는 탄력돌기가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형태로 걸려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홈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용기목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고정부에는, 일정 각도록 접철이 되는 형태의 용기목상부밀폐부를 두고, 상기 용기목의 내벽부에 대응하는 고정부에도 탄력적인 환테형의 용기목내벽밀폐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작동부가 내부 압력에 의해 상면부가 변형이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강부나 보강편을 형성한 것이다.
밀폐마개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밀폐성이 완벽하고, 또한 용기목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밀폐부가 있어 용기내의 내용물에 대한 보존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종물질 수용장치(1)는 수용장치(1)의 작동부(20)를 터치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 수용부(30)의 저장공간(31)에 든 내용물이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낙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한 저장공간(31)의 내용물이 사용 전 까지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수용부(30)의 하단을 막는 밀폐마개(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밀폐마개(40)에는 환테형의 밀폐부(41)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41)는 수용부(30)의 내벽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용부대응부(11)의 탄력돌기(12)가 밀폐마개(40)의 홈에 일정 각도로 끼이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탄력돌기(12)가 삽입되는 부위의 홈에는 밀폐마개(40)를 조립하는 과정에 저장공간(31)에 공기 압축이 걸리지 않도록 공기방출홈(42)을 형성하는 것이 다.
또한 상기 작동부(20)의 상면부(21) 저부로는 상기 상면부(21)가 저장공간(31)의 압력에 의해 상면부(21)가 포물선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원이나 또는 지지하는 형태의 보강부(22)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의 "B"에서 보인바와 같이 용기목(100)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그 대응되는 고정부(10) 부위에 일정 각도로 접철이 되는 탄력적인 용기목상부밀폐부(13)를 형성하고, 용기목(100)의 내벽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는 그 대응되는 작동부(10) 부위에 탄력적인 용기목내벽밀폐부(14)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용기목(100)의 상단 걸림턱(101)에 걸려 고정되는 작동부(10)의 부위는, 도 1 의 "A"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림부(15)는 날개형의 뒤집히는 기술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 1 의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림턱(101)을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고정되는 걸림부(16)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은,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 작동부(20)를 개방하게 되면 수용부(30)의 하단이 밀폐마개(40)로부터 분리되면서 저장공간(31)의 내용물이 낙하공간(17)을 경유,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용장치는 음료나 먹는 물, 주류 등 다양한 제품에 엑기스나 파우더 등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분리하였다가 혼합하는 화공약품이나 기타 생활용품 등에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A"부위는 기본적인 형태이고, "B"부위는 용기목에 대응되는 수용장치의 밀폐부를 변형하여 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밀폐부가 수용부대응부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부를 발췌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수용장치 10 : 고정부
11 : 수용부대응부 12 : 탄력돌기
13 : 용기목상부밀폐부 14 : 용기목내부밀폐부
15,16 : 걸림부 20 : 작동부
22 : 보강부 30 : 수용부
40 : 밀폐마개 41 : 밀폐부
100 : 용기목 101 : 걸림턱

Claims (4)

  1.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 저장공간에 있던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낙하 혼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구성하는 수용부는 밀폐마개가 조립되어 밀폐를 유지하도록 된 선행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이 위치되는 수용부대응부의 탄력돌기가 상기 밀폐마개의 대응홈에 일정 각도 숙여진 형태로 조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는 용기목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한 고정부는 용기목의 걸림턱에 환테형의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부가 용기목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상면부 저부에는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에는 용기목에 대응되어 밀폐성을 유지시키고자 용기목의 상면과 내벽부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용기목상부밀폐부와 용기목내벽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1020080005501A 2007-10-09 2008-01-15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20090078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01A KR20090078706A (ko) 2008-01-15 2008-01-15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PCT/KR2008/005521 WO2009048228A2 (en) 2007-10-09 2008-09-15 Bottle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01A KR20090078706A (ko) 2008-01-15 2008-01-15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706A true KR20090078706A (ko) 2009-07-20

Family

ID=4133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01A KR20090078706A (ko) 2007-10-09 2008-01-15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488A (ko) * 2010-01-22 2011-07-28 조영국 용기의 마개
WO2012011761A3 (ko) * 2010-07-21 2012-05-10 박정욱 용기의 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488A (ko) * 2010-01-22 2011-07-28 조영국 용기의 마개
WO2012011761A3 (ko) * 2010-07-21 2012-05-10 박정욱 용기의 마개
CN103124682A (zh) * 2010-07-21 2013-05-29 曹荣国 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505B1 (ko)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JP6059489B2 (ja) 吐出容器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JP2014508693A (ja) 容器用分配キャップ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JP2017013830A (ja) ヒンジキャップ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9007870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JP4697740B2 (ja) 蓋付き高気密容器
KR20050074392A (ko) 용기목 구부에 고정부가 고정되는 이종물질 수용용 뚜껑
KR101486079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20140121745A (ko) 복수의 용기목에 결합하는 뚜껑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JP4925164B2 (ja) 蓋付き高気密容器
KR20080062993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의 배출대 밀폐 구조
KR200475950Y1 (ko) 밀폐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용기
KR20210131088A (ko)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KR20130103647A (ko) 용기 목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면 구조
KR200464380Y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2007006237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0108360A (ko) 이종물질 수용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