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090A - 밀폐 용기 뚜껑 구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뚜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090A
KR20170025090A KR1020150121020A KR20150121020A KR20170025090A KR 20170025090 A KR20170025090 A KR 20170025090A KR 1020150121020 A KR1020150121020 A KR 1020150121020A KR 20150121020 A KR20150121020 A KR 20150121020A KR 20170025090 A KR20170025090 A KR 2017002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id
container
transparent windo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임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현 filed Critical 임지현
Priority to KR102015012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090A/ko
Publication of KR2017002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력을 높여주어 임의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을 개방시에만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음식 및 음식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뚜껑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하단에 외측으로 개구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 용기 뚜껑 구조{structure of a lid for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력을 높여주어 임의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을 개방시에만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음식 및 음식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랩이나 비닐지에 포장하여 냉장고와 같은 냉동기기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냉동기기의 보관 형태는 소정의 기간동안은 보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상기 포장지의 내부에 들어 있는 공기로 인해 식품 및 음식물이 산화되어 부패됨으로 장시간동안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식품 용기는 단순히 저장통에 식품을 넣고 뚜껑만을 덮어서 밀폐시키는 구조로서 용기내의 식품이 세균번식에 의하여 쉽게 부패 변질되므로서 장기간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가 이 또한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뚜껑과 맞닿는 용기 구연부 테두리에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밀폐용 패킹을 부착하거나 진공 에어판을 착설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용기를 진공화시키는 용기가 개발되었다.
전술한 밀폐를 용이하게 하는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276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유리용기(1)의 개방부에 씌워지는 플라스틱제뚜껑(2)의 주벽(2a) 외면에 환상으로 홈(2b)을 내고 그 속에 실리콘으로 성형되어 외주가 뾰족한 돌출부(3a)로 되고 내부에 공극(3b)이 형성된 패킹(3)을 끼워 고정하고 뚜껑(2)의 중앙부에 통기구멍(4)을 뚫어서 실리콘으로 성형되고 통기구멍(4)에 알맞게 끼워지는 연결봉(5a)과 연결봉 하단과 상단에 통기구멍(4) 직경보다 크게 환상돌출턱(5b)(5c)이 형성되며 연결봉 외주면의 하반부 둘레에 세로방향으로 통기홈(5d)이 형성된 마개(5)를 끼워서 마개(5)가 밑으로 눌리면 통기구멍(4)이 막히고 위로 이동하면 통기구멍(4)이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276호에 기재된 기술은 뚜껑의 외주면에 패킹을 구비하여 용기에 밀폐시 용기 내부의 공기가 일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밀폐력을 높여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뚜껑을 개방할 때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통기홈이 형성된 마개가 임의로 상하 이동할 수 있어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쉽게 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에서 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밀폐부재의 하단에 외측으로 날개부를 형성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켜 밀폐력을 높여주어 임의로 외부의 공기와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가장자리 일측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하되, 뚜껑의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의 하단에 내측으로 커버부재를 형성하여 밸브의 하부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밸브가 밀폐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때에만 밸브를 하부로 가압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중심부에 투명창 설치부를 형성하여 투명창을 설치하되, 투명창의 가장자리에 오링을 구비하여 밀폐력을 높여주어 외부의 공기가 임의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을 열어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투명창을 통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및 음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의 공기와 빈번하게 접촉하여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 용기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하단에 외측으로 개구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밸브가 삽입되는 밸브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중심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측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 설치부는 밸브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커버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커버하여 밸브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에는 투명창이 설치되는 투명창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 설치부의 하부에는 투명창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의 외주면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에서 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밀폐부재의 하단에 외측으로 날개부를 형성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켜 밀폐력을 높여주어 임의로 외부의 공기와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가장자리 일측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하되, 뚜껑의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의 하단에 내측으로 커버부재를 형성하여 밸브의 하부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밸브가 밀폐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때에만 밸브를 하부로 가압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중심부에 투명창 설치부를 형성하여 투명창을 설치하되, 투명창의 가장자리에 오링을 구비하여 밀폐력을 높여주어 외부의 공기가 임의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을 열어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투명창을 통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및 음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의 공기와 빈번하게 접촉하여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밀폐용기 뚜껑의 중앙부 마개가 닫힌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밀폐용기 뚜껑의 중앙부 마개가 열린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 뚜껑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 뚜껑 구조의 벨브를 개방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 뚜껑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 뚜껑 구조의 벨브를 개방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뚜껑(100)의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용기(200)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용기(20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날개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 내주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용기(200)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10)의 일측에는 밸브 설치부(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밸브 설치부(150)에는 밸브(160)가 설치되어 상기 뚜껑(100)에 의해 밀폐된 용기(2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용이하게 뚜껑(100)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 설치부(150)는 하부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152)와 상기 수용부(152)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5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1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 플랜지(162)와 하부 플랜지(164)가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162)와 하부 플랜지(164)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 몸체(161)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152)에 하부 플랜지(164)가 삽입되게 되며, 상기 걸림턱(154)의 상부에는 상부 플랜지(162)가 위치하여 상부 플랜지(162)와 하부 플랜지(164)가 상기 걸림턱(154)에 걸리게 되어 밸브 설치부(15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밸브(16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턱(154)의 관통공에 상부 플랜지(162) 또는 하부 플랜지(164)를 가압하여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160)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16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164)에는 제1관통공(166)과 연통되도록 제2관통공(168)이 하부 플랜지(164)의 측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14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커버부(144)가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커버부(144)는 삽입부(110)의 하면 가장자리 전체를 커버하게 되어, 삽입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밸브 설치부(150)의 하부 역시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밸브(160)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하부 플랜지(164)는 상기 커버부(1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 설치부(150)의 수용부(152)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1관통공(166)의 하부 역시 커버부(144)에 의해 밀폐되게 되므로 밸브(160)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밸브(160)의 상부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밸브(160)는 커버부(144)를 가압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 플랜지(164)가 하부로 인출됨으로써, 하부 플랜지(164)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68)이 개방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2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용기(200)의 진공상태가 해제 되어 뚜껑(2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160)의 몸체(161)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부는 하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밸브(160)의 개방시 상부가 걸림턱(154)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밸브(160)를 누르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재사용시 밸브(160)를 상부로 들어올려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10)의 외주면 상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걸림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14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대응되도록 걸림돌부(14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112)에 상기 걸림돌부(14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40)는 삽입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뚜껑(100)을 여닫더라도 밀폐부재(14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110)의 뚜껑(100) 중심부 측에는 투명창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투명창(13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투명창(130)에 의해 용기(200)의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무엇인지, 음식물의 상태가 어떠한지를 뚜껑(100)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어서 뚜껑(100) 개방에 의해 외부 공기와 용기(200) 내부의 음식물이 접하는 것을 최대한 줄여주어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 설치부(120)의 하부에는 단턱부(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122)는 상기 투명창(13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어 투명창(13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창(130)의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링(132)구비되는데, 상기 오링(132)은 상기 투명창 설치부(120)의 내주면과 접하게 되어 투명창(1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여, 뚜껑(100)이 용기(200)의 개방부를 밀폐할 경우 투명창(130)과 투명창 설치부(120)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밀폐 용기 뚜껑 구조의 작용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0)의 개구부에 뚜껑(100) 덮을 경우, 뚜껑(100)의 삽입부(110)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140)의 날개부(142)가 개구부의 내주면과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뚜껑(100)을 가압하게 되면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날개부(142)의 단부를 상부로 가압하여 날개부(142)가 휘어지면서 개구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00)의 플랜지가 용기(200)의 상단과 접하게 되어 뚜껑(100)을 가압하는 힘을 거두게 되면 상기 날개부(142)의 외측 단부는 상부로 휘어진 상태로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어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뚜껑(100)을 상부로 가압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용기(2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더 이상 뚜껑(10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완전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뚜껑(100)을 밀폐할 때, 상기 밸브(160)를 가압하여 밸브(160)가 개방된 상태로 뚜껑(100)을 밀폐할 경우 밸브(160)를 통하여 용기(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완전히 닫은 후 밸브(160)를 밀폐하여 뚜껑(100)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0)을 개방할 경우에는 뚜껑(100)에 구비된 밸브(160)를 하부로 가압하여 밸브(160)가 설치되는 밸브 설치부(150)의 하부를 밀폐하는 커버부(144)를 하부로 이동시켜 밸브(160)가 개방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뚜껑(100)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력을 높여주어 임의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을 개방시에만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음식 및 음식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뚜껑 110 : 삽입부
112 : 걸림홈 120 : 투명창 설치부
122 : 단턱부 130 : 투명창
132 : 오링 140 : 밀폐부재
142 : 날개부 144 : 커버부
146 : 걸림돌부 150 : 밸브 설치부
152 : 수용부 154 : 걸림턱
160 : 밸브 162 : 상부 플랜지
164 : 하부 플랜지 166 : 제1관통공
168 : 제2관통공 200 : 용기

Claims (8)

  1. 밀폐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 용기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하단에 외측으로 개구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밸브가 삽입되는 밸브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중심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측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설치부는 밸브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커버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커버하여 밸브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에는 투명창이 설치되는 투명창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설치부의 하부에는 투명창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의 외주면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1020150121020A 2015-08-27 2015-08-27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20170025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20A KR20170025090A (ko) 2015-08-27 2015-08-27 밀폐 용기 뚜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20A KR20170025090A (ko) 2015-08-27 2015-08-27 밀폐 용기 뚜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90A true KR20170025090A (ko) 2017-03-08

Family

ID=5840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020A KR20170025090A (ko) 2015-08-27 2015-08-27 밀폐 용기 뚜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0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17A (ko) * 2020-06-25 2022-01-03 맹현배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17A (ko) * 2020-06-25 2022-01-03 맹현배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EP1780143A2 (en)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20170025090A (ko)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101827129B1 (ko) 진공밀폐 용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433727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108080B1 (ko) 밀폐용기 패킹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13849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뚜껑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TWM610131U (zh) 保存容器用密閉構造及保存容器
KR200485939Y1 (ko) 밀폐용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102123681B1 (ko) 진공 보관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0837364B1 (ko) 내부를 밀폐시키는 압착판을 갖는 밀폐용기
CN211337191U (zh) 一种抽真空的密封装置及容器
KR101703907B1 (ko) 용기용 밀폐 뚜껑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