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080B1 - 밀폐용기 패킹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080B1
KR101108080B1 KR1020110069678A KR20110069678A KR101108080B1 KR 101108080 B1 KR101108080 B1 KR 101108080B1 KR 1020110069678 A KR1020110069678 A KR 1020110069678A KR 20110069678 A KR20110069678 A KR 20110069678A KR 101108080 B1 KR101108080 B1 KR 10110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ntainer body
fixing
l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오
Original Assignee
구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오 filed Critical 구정오
Priority to KR102011006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의 내측면과 저면에 제1,2고정돌기가 상기 용기몸체에 2중으로 밀착,고정됨에 따라 한층 더 견고하게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내부 적소에 탄성편을 구비하여 패킹의 복원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밀폐용기 패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용기 패킹{Packing for a vacuum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 패킹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용기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용물이나 물, 습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차단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용기몸체에서 뚜껑 분리 및 체결시 패킹의 복원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밀폐용기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일정의 내부 용적으로 갖는 용기에 뚜껑을 덮어 밀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밀폐용기는 외부와 내부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여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등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몸체(110)와, 이 용기몸체(110)의 상향개구를 개폐하는 뚜껑(120)과, 이 용기몸체(110)와 뚜껑(120)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과 용기몸체(110)의 상호 밀폐상태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뚜껑(120)의 가장자리에 잠금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110)의 둘레면에는 잠금부(121)가 걸림 및 해제되는 걸림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킹(130)은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뚜껑(120)의 패킹삽입홈(123)에 대응되게 내부가 중공된 사각 또는 링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패킹(130)은 뚜껑(120)의 패킹삽입홈(123) 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120)으로 용기몸체(110)를 밀폐시킬 때, 상기 패킹(130)의 하부면에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113)가 밀착되어 상기 용기몸체(110)와 뚜껑(120)이 서로 밀폐된다.
이러한 종래의 패킹(130)은 뚜껑(120)에 의해 용기몸체(110)를 밀폐시킬 때, 패킹(130)이 눌려진 상태에서 내향 변형되어 상기 패킹삽입홈(123)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사정이 이러다보니 상기 패킹(130)의 접촉면적이 현격하게 축소되어 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재를 제외한 유리 및 도자기, 범랑 등의 밀폐용기는 용기몸체(110)의 상단에 고정테(150)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110)와 고정테(150) 및 뚜껑(120) 사이에 상기에서 설명한 패킹(130)이 배치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용기몸체(110)와 고정테(150) 사이에 패킹(130)이 충분히 밀착되지 않아, 상기 용기몸체(110)와 고정테(150) 사이로 내용물이 스며들어 상기 용기몸체(110)를 감싸는 고정테(15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몸체와 뚜껑 사이에 2중으로 패킹이 밀착,고정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패킹의 복원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밀폐용기 패킹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용기 패킹은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측 데두리에 구비되는 고정테와; 상기 고정테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고정테에 밀착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패킹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은 'ㄱ' 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상측과 측면에 각각의 탄성편이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고정테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한 제1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측면 하부에는 용기몸체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고정됨과 분리가 용이한 고정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 패킹은 패킹의 내측면과 저면에 제1,2고정돌기가 상기 용기몸체에 2중으로 밀착,고정됨에 따라 한층 더 견고하게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내부 적소에 탄성편을 구비하여 패킹의 복원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일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밀폐용기를 보인 일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보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 패킹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고정테(20)와; 상기 고정테(2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0)과; 상기 뚜껑(30)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몸체(10)와 고정테(20)에 밀착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패킹(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곡면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30)의 내측에는 패킹(40)을 고정하는 패킹삽입홈(33)이 형성되고, 바깥면 테두리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잠금부(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31)에는 고정테(20)의 하부에 걸려지게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40)은 'ㄱ' 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중공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1)의 상측과 측면에 각각의 탄성편(42)이 형성되며, 안쪽면 상부에는 고정테(20)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한 제1고정돌기(4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용기몸체(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고정됨과 분리가 용이한 고정면(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편(42)은 중공부(41)의 상측과 측면의 적소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30)의 잠금부(31) 해제시 패킹(40)이 처음 상태로 복원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고정돌기(43)는 엠보 및 요철 형상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테(20)의 상면과 패킹(4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고정테(20)의 곡면을 따라 엠보 및 요철형상을 갖는 상기 제1고정돌기(43)가 밀착되어져 기밀을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고정돌기(43)에 의해 상기 고정테(2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패킹(40)의 분리시 상기 고정테(20)의 표면에 상기 패킹(40)이 달라붙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면(44)은 바깥면 하단부에서 내측면으로 3~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기몸체(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한 복수의 제2고정돌기(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면(44)의 각도는 용기몸체(10)의 곡면부(11)의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돌기(45)는 제1고정돌기(43)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며, 상기 용기몸체(10)의 곡면부(11)에 밀착,고정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용기 패킹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뚜껑(30)의 패킹삽입홈(33)에 패킹(40)을 삽입하여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용기몸체(10)의 상부에 상기 뚜껑(30)을 배치시키면 도 5의 확대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뚜껑(30)의 잠금부(31)를 하방향으로 직교되게 절곡하면 상기 잠금부(31)의 걸림턱(32)이 상기 고정테(20)의 하부에 걸려져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패킹(40)의 내측면 제1고정돌기(43)가 상기 고정테(20)의 상부면을 따라 밀착되고, 이때 상기 중공부(41)의 상측 탄성편(42)이 눌려지면서 소정각도로 경사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고정돌기(45)가 상기 곡면부(11)에 밀착,고정되고, 이때 상기 중공부(41)의 측면 탄성편(42)이 수평에 가깝게 눌려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패킹(40)의 탄성편(42)과 내측면의 제1,2고정돌기(43,45)가 눌려지면서 밀착,고정되어 상기 용기몸체(10)와 뚜껑(30)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뚜껑(30)에 결합된 패킹(40)에 의해 용기몸체(10)를 2중으로 밀착,고정시켜 진공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뚜껑(30)을 분리하면, 상기 중공부(41)의 상측 및 측면 탄성편(42)에 의해 상기 패킹(40)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다시 말해 상기 패킹(40)의 내부에 탄성편(42)이 적소에 배치되어 패킹(40)의 복원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용기몸체 20: 고정테
20: 뚜껑 40: 패킹
41: 중공부 42: 탄성편
43: 제1고정돌기 44: 고정면
45: 제2고정돌기

Claims (3)

  1.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고정테(20)와;
    상기 고정테(2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0)과;
    상기 뚜껑(30)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몸체(10)와 고정테(20)에 밀착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패킹(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40)은 'ㄱ' 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중공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1)의 상측과 측면에 각각의 탄성편(42)이 형성되며, 안쪽면 상부에는 고정테(20)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한 제1고정돌기(4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용기몸체(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고정됨과 분리가 용이한 고정면(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44)에는 바깥면 하단부에서 내측면으로 3~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한 제2고정돌기(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패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돌기(43,45)는 엠보 또는 요철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패킹.
KR1020110069678A 2011-07-14 2011-07-14 밀폐용기 패킹 KR10110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78A KR101108080B1 (ko) 2011-07-14 2011-07-14 밀폐용기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78A KR101108080B1 (ko) 2011-07-14 2011-07-14 밀폐용기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080B1 true KR101108080B1 (ko) 2012-01-30

Family

ID=4561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78A KR101108080B1 (ko) 2011-07-14 2011-07-14 밀폐용기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93Y1 (ko) 2014-03-20 2016-04-12 이수원 미생물 배양용기
KR20190024269A (ko) 2017-08-31 2019-03-08 (주)착한음식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용 밀폐 용기
KR20190078083A (ko) 2017-12-26 2019-07-04 (주)착한음식 발열체 수납공간을 구비한 조리용 밀폐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76A (ko) * 2002-02-15 2003-08-25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계면활성제
KR200369076Y1 (ko) 2004-09-01 2004-12-03 김대우 밀폐용기용 패킹
KR20090006656A (ko) * 2007-07-12 2009-01-15 전현숙 휴대용 교반기구
KR20090099768A (ko) *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대우테크 밀폐용기의 패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76A (ko) * 2002-02-15 2003-08-25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계면활성제
KR200369076Y1 (ko) 2004-09-01 2004-12-03 김대우 밀폐용기용 패킹
KR20090006656A (ko) * 2007-07-12 2009-01-15 전현숙 휴대용 교반기구
KR20090099768A (ko) *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대우테크 밀폐용기의 패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93Y1 (ko) 2014-03-20 2016-04-12 이수원 미생물 배양용기
KR20190024269A (ko) 2017-08-31 2019-03-08 (주)착한음식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용 밀폐 용기
KR20190078083A (ko) 2017-12-26 2019-07-04 (주)착한음식 발열체 수납공간을 구비한 조리용 밀폐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887B2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KR101108080B1 (ko) 밀폐용기 패킹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RU2018101295A (ru) Герметичное уплотнение для FIBC (мяг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с фольгированной подложкой
JP5510507B2 (ja) 食品用容器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10182913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851051B1 (ko) 용기의 개폐는 물론 밀폐가능한 실리콘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KR20090006782U (ko) 밀폐용기용 패킹의 구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200473692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KR20170025090A (ko)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20110009209U (ko) 밀폐용기
KR20060129134A (ko) 밀폐용기
KR20190015000A (ko) 진공포장용 흡입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및 진공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