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148Y1 -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148Y1
KR200343148Y1 KR20-2003-0020212U KR20030020212U KR200343148Y1 KR 200343148 Y1 KR200343148 Y1 KR 200343148Y1 KR 20030020212 U KR20030020212 U KR 20030020212U KR 200343148 Y1 KR200343148 Y1 KR 200343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hollow shaft
air
vacuum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20-2003-0020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밸브판에 구멍을 갖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바닥과 뚜껑이 만곡되어 있어 진공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중 패킹이 설치된 진공용기와, 가압 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진공화 성능이 우수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작업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화장치 및 진공화장치의 부품들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Evacuator for a vacuum receptacle}
본 고안은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및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진공용기와 그에 이용되는 체크밸브 및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은 진공상태에서는 오래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음식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공용기와 필요 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뽑아낼 수 있도록 해주는 진공화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용기뚜껑에 진공화장치를 일체로 설치한 것이 사용되었는데, 이 경우 뚜껑의 크기가 커져 냉장고 등에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제작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용기세척과정에서 진공화장치 내부로 물이 들어가 용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용기와 진공화장치를 별도로 제작함으로써 위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진공화장치와 별도로 제작된 진공용기는 진공화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를 빼낼 때 진공화장치와의 사이를 기밀로 유지하기 어려워 외부공기가 진공화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관계로 고진공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진공용기는 그 내부가 진공화 됨에 따라 용기의 바닥과 뚜껑부위가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 내부공간이 줄어들고, 뚜껑이 음식물에 닿을 뿐만 아니라 보기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 진공용기와 별도로 제작되는 종래의 진공화장치는 주사기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진공화장치를 진공용기의 공기배출구 주변에 가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피스톤을 위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진공화장치의 실린더 내부로 빨아들이고, 그 상태에서 다시 피스톤을 눌러 진공화장치의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화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때 팔힘으로 피스톤을 잡아당기는 힘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어가고, 진공용기의 진공도를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화작업 시 진공화장치와 접촉부위의 기밀성을 높여 고진공을 달성할 수 있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공상태에서도 바닥과 뚜껑이 내부로 빨려 들어가지않도록 하여 공간효율이 높고 뚜껑에 내용물이 묻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진공용기에 이용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중을 실을 수 있는 손으로 누르는 동작에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진공화작업이 용이한 진공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하기에 편한 진공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손으로도 진공용기의 진공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공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에 적합한 부품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진공용기의 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진공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패킹의 확대단면도,
도 5는 잠금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진공화장치의 J-J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K-K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진공화장치를 이용해 진공용기의 공기를 진공화장치로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진공화장치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진공용기 110 : 용기본체
120 : 뚜껑 130 : 체크밸브
132 : 결합부 134a : 주밸브판
134b : 연장밸브판 135 : 구멍
140 : 패킹 200 : 진공화장치
210 : 제 1용기체 220 : 마개체
230 : 제 2용기체 240 : 피가압체
250 : 제 1오링 252 : 제 2오링
260 : 탄성부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소정 공간을 둘러싸고 상단에는 뚜껑이 결합될 수 있는 뚜껑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벽부와 벽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개구가 구비된 용기본체, 뚜껑결합부에 결합되어 개구를 밀폐할 수 있고, 체크밸브설치부와 체크밸브설치부 주위에 형성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를 구비하는 뚜껑, 체크밸브설치부에 설치되어 통공을 둘러싸고 용기본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는 체크밸브 및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어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뚜껑과 마주보는 뚜껑장착부에는 제 1패킹이 설치되고, 테두리에는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는 제 2패킹이 장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바닥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면서 만곡되는 제 1만곡부와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만곡되는 제 2만곡부를 구비하여 2단으로 만곡되고, 뚜껑의 상판은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며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용기본체의 저면에는 용기를 포갤 때 뚜껑의 테두리 안쪽으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 받침돌기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는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결합부에 연결되고 결합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공 주위와 밀착되어 통공을 외부와 차단하여 유체가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제 1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통공을 벗어난 위치의 적어도 일측에 구멍을 구비하여 통공 반대쪽에서 부압이 걸리면 부압이 걸리는 쪽으로 들리면서 통공이 구멍과 연통되는 것을 허용하여 유체가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제 2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밸브판은 결합부에 연결되고 우산머리형상의 주밸브판과 주밸브판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밸브판을 구비하고, 구멍은 연장밸브판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는 진공화장치에 있어서, 소정 공간을 둘러싸는 제 1측벽, 제 1측벽의 일단을 막아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제 1챔버를 형성하고 공기흡입을 위한 공기흡입부가 형성되는 제 1단면벽, 제 1단면벽에서 제 1측벽 내부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흡입부를 타측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축를 구비하는 제 1용기체, 중공축에 결합되고 중공축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제 1용기체의 타단을 막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 1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막음판을 구비하는 마개체, 제 1용기체와 막음판 사이를 통해 제 1용기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측벽과 제 2측벽에서 중공축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안쪽 끝단을 따라 제 2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제 2단면벽을 구비하여 마개체와 함께 제 2챔버를 형성하는 제 2용기체, 제 1오링 설치부에 설치되어 제 2용기체의 하강시 제 2용기체의 내측면과 막음판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흡입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 2챔버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용기체의 상승시 제 2용기체의 내측면과 막음판 사이를 개방하여 제 2챔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오링, 제 2오링 설치부에 설치되어 제 2용기체의 하강시 제 2용기체와 중공축의 외주면 사이를 차단하는 제 2오링 및 제 2챔버에 설치되고 제 2용기체를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어 제 2용기체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 1용기체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제 2용기체의 상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 2용기체에는 제 1용기체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안내돌기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 받는 수직홈과 수직홈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안내돌기에 록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홈을 구비하는 제 3측벽과 제 3측벽의 상단을 막아 사람이 손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3단면벽을 구비하고 내주면에는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피가압체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체는 막음판의 하면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중공축에 삽입되어 중공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기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하단에는 중공축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공기흡입부의 주변을 따라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공기흡입부를 둘러싸는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 안쪽 공기흡입부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용 제 1용기체는 소정 공간을 둘러싸는 제 1측벽, 제 1측벽의 일단을 막아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제 1챔버를 형성하고 공기흡입을 위한 공기흡입부가 형성되는 제 1단면벽, 제 1단면벽에서 제 1측벽 내부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흡입부를 타측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축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용 마개체는 청구항 10의 중공축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공축과의 사이에 공기통로를 제공하고 중공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축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결합축과 결합축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청구항 10의 제 1용기체의 타단을 막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 1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막음판으로 된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용 제 2용기체는 청구항 10의 제 1용기체와 청구항 11의 마개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용기체와 마개체의 막음판 사이를 통해 제 1용기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측벽과 제 2측벽에서 제 1용기체의 중공축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안쪽 끝단을 따라 제 2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제 2단면벽을 구비하여 마개체와 함께 제 2챔버를 형성하며 상면은 개구되고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용 피가압체는 소정 공간을 둘러싸는 제 3측벽과 제 3측벽의 상단을 막아 사람이 손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3단면벽을 구비하고 내주면에는 청구항 12의 제 2용기체의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는 유체의 출입을 허용하는 통공을 갖는 용기에 설치되어 유체가 제 1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차단하고 그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허용하기 위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결합부에 연결되고 결합부를 통해 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공 주위와 밀착되어 통공을 외부와 차단하여 유체가 제 1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통공을 벗어난 위치의 적어도 일측에 구멍을 구비하여 통공 반대쪽에서 부압이 걸리면 부압이 걸리는 쪽으로 들리면서 통공이 구멍과 연통되는 것을 허용하여 유체가 제 2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밸브판은 결합부에 연결되고 우산머리형상의 주밸브판과 주밸브판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밸브판을 구비하고, 구멍은 연장밸브판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판에는 밸브판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진공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결합부는 용기에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갖는 축모양을 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진공용기의 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진공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패킹의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100)는 용기본체(110)와 뚜껑(120)과 뚜껑(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30)와 패킹(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본체(110)는 소정 공간을 둘러싸고 상단에는 뚜껑(120)이 결합될 수 있는 뚜껑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벽부(112)와 이 벽부(112)의 하단을 연결하여 막는 만곡된 바닥부(1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결합부(111)의 측면에는 나선형상의 돌기(115)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3)는 용기 내부에 고진공이 걸리더라도 견딜 수 있도록 벽부(112)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면서 만곡되는 제 1만곡부(113a)와 그 안쪽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제 2만곡부(113b)를 구비하여 2단으로 만곡되어 있다. 뚜껑결합부(111)는 벽부(112)의 상단을 따라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되어 있다. 이 뚜껑결합부(111)의 바깥쪽으로 제 1패킹(142)이 장착되어 있다. 이는 뚜껑(120)과 용기본체(110) 사이를 1차로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본체(110)의 저면에는 용기(100)를 포갤 때 뚜껑(120)의 테두리(126) 안쪽으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 받침돌기(119)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뚜껑(120)은 용기본체(110)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10)의 개구(114)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121)과 테두리(126)로 되어 있다. 상판(121)은 고진공에도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 부위에 체크밸브설치부(123)를 구비한다. 체크밸브설치부(123) 주위에 통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125)은 뒤에서 설명되는 진공화장치가 공기를 흡입할 때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상판(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뚜껑결합부(11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하는 패킹홈(112a)을 형성하는 테두리(126)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112a)에는 제 2패킹(144)이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126)의 내측면에는 돌기(115)와 결합되는 나선 형상의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용기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15)와 맞물려 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체크밸브설치부(123)에는 체크밸브(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130)는 통공(125)을 둘러싸고 통공(125) 주변에 밀착되어 용기(10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펌핑 시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체크밸브(130)는 상판(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1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31)을 갖는 축모양의 결합부(132)와 이 결합부(132)의 상단에 결합된 우산모양의 밸브판(134)을 구비하고 있으며, 밸브판(134)에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진공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9)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판(134)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주밸브판(134a)과 주밸브판(134a)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측에 구멍(135)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얇은 연장밸브판(134b)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멍(135)은 주밸브판(134a)과 약간 떨어진 위치의 연장밸브판(134b)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크밸브(130)는 축형상의 결합부(132)를 통해 용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밸브판(134a)과 연장밸브판(134b)이 통공(125) 주위와 밀착되어 통공(125)을 외부와 차단하여 공기 등의 유체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통공(125) 반대쪽에서 부압이 걸리면 부압이 걸리는 쪽으로 들리면서 통공(125)이 구멍(135)과 연통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진공화장치(200)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5는 잠금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진공화장치의 J-J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K-K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화장치(200)는 제 1용기체(210), 마개체(220), 제 2용기체(230), 피가압체(240), 제 1오링(250), 제 2오링(252), 탄성부재(260) 및 필터(270)를 구비한다.
제 1용기체(210)는 소정 공간을 둘러싸는 제 1측벽(211)과 이 제 1측벽(211)의 하단을 막아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제 1챔버(212)를 형성하고 공기흡입을 위한 공기흡입부(213)가 형성되는 제 1단면벽(214)과 제 1단면벽(214)에서 제 1측벽(211) 내부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흡입부(213)를 타측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축(215)을 구비하여 중공축(215)을 갖는 통모양을 하고 있다. 제 1단면벽(214)은 잘 구르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모양으로 하거나 다른 다각형모양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제 1용기체(210)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안내돌기(2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피가압체(240)를 통해 제 2용기체(230)를 안내하는 역할과 잠금구의 역할을 한다. 이 제 1용기체(210)의 공기흡입부(213) 주변으로는 진공용기(100)의 체크밸브(130)의 둘레 또는 체크밸브(130)의 가장자리에 가압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213a)가 구비된다. 또, 공기흡입부(213)에는 이물질이 진공화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2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용기체(210)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219)이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축(215)에는 마개체(2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마개체(220)는 중공축(215)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축(215)과의 사이에 공기통로(216)를 제공하는 결합축(221)과 결합축(221)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제1용기체(210)의 타단의 개구(217)를 막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 1오-링 설치부(227)가 형성된 막음판(2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개체(220)는 제 2용기체(23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 2용기체(230), 중공축(215)의 외주면과 함께 제 2챔버(231)의 내부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축(221)의 하단에는 마개체(220)가 중공축(2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공축(215)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21)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제 1용기체(210)와 마개체(220)는 진공화장치(200)의 각 부품의 제작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물론, 마개체(220)는 결합축(221) 없이 막음판(226)의 저면과 중공축(215)의 대응되는 위치에 나선 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200)는 제 2용기체(230)를 구비한다. 제 2용기체(230)는 제 1용기체(210)와 막음판(226) 사이를 통해 제 1용기체(210)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측벽(232)과 제 2측벽(232)에서 중공축(215)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안쪽 끝단을 따라 제 2오링 설치부(237)가 형성된 제 2단면벽(236)을 구비하여 제 2챔버(231)를 형성한다. 이 제 2챔버(231)는 제 2용기체(230)가 상단에서 하강함에 따라 용적이 증가되면서 부압이 걸리고, 이에 따라 진공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부(213)를 통해 제 2챔버(231)로 유입된다. 제 2챔버로(23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 2용기체(230)가 상승하는 경우 제 2챔버(231)의 용적이 줄어들면서 압력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제 2챔버(231)에 있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제 2용기체(230)의 상단에는 걸림돌기(2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용기체(230)의 상단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가압체(240)가 결합된다. 피가압체(240)의 내부에는 걸림턱(2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247)은 걸림돌기(238)와 결합되어 피가압체(240)가 제 2용기체(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제 2용기체(230)와 피가압체(240)의 결합방식은 진공화장치(200)의 부품 제작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에서 마개체(220)는 제 2용기체(230)의 내부를 통해 중공축(215)에 결합되고, 그 후에 피가압체(240)가 제 2용기체(230)에 결합된다. 피가압체(240)는 제 2용기체(230)의 상단에 모자처럼 씌워진다. 이 피가압체(240)는 제 1용기체(210)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안내돌기(218)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 받는 수직홈(242)과 수직홈(242)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안내돌기(218)에 록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홈(244)을 갖는 제 3측벽(241)과 제 3측벽(241)의 상단을 막아 사람이 손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3단면벽(246)을 갖는다.
즉, 피가압체(240)를 누른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안내돌기(218)가 수평홈(244)에 걸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200)는 제 1오링 설치부(227)에 설치되는 제 1오링(250)을 구비한다. 이 제 1오링(250)은 제 2용기체(230)의 하강 시 제 2용기체(230)의 내측면과 막음판(226)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흡입부(21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 2챔버(231)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용기체(230)의 상승시 제 2용기체(230)의 내측면과 막음판(226) 사이를 개방하여 제 2챔버(23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오링(250)의 역할과 구조는 공기펌프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는 구조이므로, 이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200)는 제 2오링(252)을 구비한다. 이 제 2오링(252)은 제 2용기체(230)의 하단부 중앙부근에 형성된 제 2오링 설치부(237)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용기체(230)와 중공축(215)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하여 제 1챔버(212)와 제 2챔버(231)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200)는 탄성부재(260)를 구비한다. 이 탄성부재(260)는 제 2용기체(230)의 하부에서 제 2용기체(230)를 위쪽으로 밀어주어 제 2용기체(230)가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 1용기체(210)의 내부 제 1챔버(212)에 설치된다.
이상 도 5∼도 8을 통해 설명한 진공화장치를 이용해 도 1∼도 4를 통해 설명한 진공용기를 진공화시키는 과정을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진공화장치를 이용해 진공용기의 공기를 진공화장치로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진공화장치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용기본체(110)에 뚜껑(120)을 견고하게 닫은 상태에서 진공화장치(200)의 제 1용기체(210)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돌기(213a)를 체크밸브(130)의 연장밸브판(134b)의 가장자리에 가압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가압체(240)를 가압하여 제 2용기체(230)를 하강시킨다. 이 때 돌기(213a)가 체크밸브(130)의 연장밸브판(134b)에 접촉되므로 돌기(213a)와 체크밸브(130) 사이의 기밀성이 뛰어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피가압체(240)를 도 9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제 2용기체(230)가 하강하게되고, 제 1오링(250)은 제 2용기체(230)의 제 2측벽(232)의 내주면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제 2측벽(232) 내주면과 막음판(226) 사이를 차단한다. 이 때 제 2오링(252) 역시 제 2용기체(230)의 제 2단면벽(236)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제 2용기체(230)와 중공축(215) 사이를 차단한다. 제 2용기체(230)가 하강함에 따라 제 2챔버(231)의 용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챔버(231)에는 부압이 걸리게 된다. 제 2챔버(231)에 부압이 걸리게 되면 공기흡입부(213)를 통해 체크밸브(130) 주변의 공기가 제 2챔버(231)로 유입되고, 그 과정에서 체크밸브(130) 주변에도 부압이 걸려 체크밸브(130)의 구멍(135) 부위가 위쪽으로 들리면서 진공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진공화장치(200) 쪽으로 빠져나와 필터(270)가 설치된 공기흡입부(213)와 중공축(215)과 결합축(221) 사이를 거쳐 제 2챔버(231)로 유입된다. 이 때 탄성부재(260)는 제 2용기체(230)를 누르는 힘에 의해 압축되고, 제 2챔버(212)의 공기는 관통공(2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 2용기체(230)가 하강을 멈추면 체크밸브(130)는 닫혀 외부의 공기가 진공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피가압체(240)를 충분히 누른 후 손을 떼면 제 2용기체(230)는 탄성부재(260)의 힘을 받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오링(250)은 제 1오링 설치부(227) 내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제 2측벽(232)과 막음판(226) 사이를 개방한다. 이 때 제 2오링(252)은 제 2오링 설치부(237) 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제 2용기체(230)와 중공축(215) 사이를 개방하게 되어 제 2챔버(231) 내에 있던 공기는 구멍(237a)을 거쳐 제 1챔버(212)로도 유출된다. 이는 제 2용기체(230)가 탄성부재(260)에 의해 쉽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용기체(230)가 상승함에 따라 제 2챔버(231)의 용적은 줄어들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제 2챔버(231)의 공기는 제 2측벽(232)과 막음판(226) 사이를 통해 제 1오링설치부(227)로 유입된 후 구멍(228)을 통해 막음판(226) 바깥쪽으로 빠져 나온 후 피가압체(24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진공용기(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용기(100)를 진공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진공용기의 진공화작업은 한 손으로도 가능하다.
진공용기(100)가 진공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진공용기(100)의 진공을 해제하고자하는 경우 체크밸브(130)의 손잡이(139)를 잡고 체크밸브(130)의 일측을 약간 들어올리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는 진공용기와 진공화장치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주고,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는 진공화 성능이 뛰어나고, 고진공화가 가능하고, 고진공상태에서 바닥과 뚜껑이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지 않아 뚜껑에 내용물이 묻지 않고, 보기에 흉하지 않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진공화장치는 가압하는 동작에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므로 공기흡입부부근의 밀폐력이 뛰어나고 큰 힘을 가할 수 있어 진공화성능이 우수하며 한 손으로도 진공화 작업이 가능토록 해준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 1용기체, 마개체, 제 2용기체 및 피가압체는 부품의 제작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진공화장치의 제작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진공화장치에 있어서,
    소정 공간을 둘러싸는 제 1측벽, 상기 제 1측벽의 일단을 막아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제 1챔버를 형성하고 공기흡입을 위한 공기흡입부가 형성되는 제 1단면벽, 상기 제 1단면벽에서 상기 제 1측벽 내부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흡입부를 타측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축를 구비하는 제 1용기체;
    상기 중공축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축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용기체의 타단을 막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 1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막음판을 구비하는 마개체;
    상기 제 1용기체와 상기 막음판 사이를 통해 상기 제 1용기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측벽과 상기 제 2측벽에서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안쪽 끝단을 따라 제 2오링 설치부가 형성된 제 2단면벽을 구비하여 상기 마개체와 함께 제 2챔버를 형성하는 제 2용기체;
    상기 제 1오링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용기체의 하강시 상기 제 2용기체의 내측면과 상기 막음판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 2챔버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용기체의 상승시 상기 제 2용기체의 내측면과 상기 막음판 사이를 개방하여 상기 제 2챔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오링;
    상기 제 2오링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용기체의 하강시 상기 제 2용기체와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 사이를 차단하는 제 2오링; 및
    상기 제 2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용기체를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어 상기 제 2용기체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기체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용기체의 상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용기체에는 상기 제 1용기체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돌기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 받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돌기에 록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홈을 구비하는 제 3측벽과 상기 제 3측벽의 상단을 막아 사람이 손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3단면벽을 구비하고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피가압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화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는 상기 막음판의 하면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축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기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하단에는 상기 중공축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화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의 주변을 따라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흡입부를 둘러싸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안쪽 상기 공기흡입부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화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2003-0020212U 2003-06-26 2003-06-26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KR200343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12U KR200343148Y1 (ko) 2003-06-26 2003-06-26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12U KR200343148Y1 (ko) 2003-06-26 2003-06-26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148Y1 true KR200343148Y1 (ko) 2004-03-03

Family

ID=4942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212U KR200343148Y1 (ko) 2003-06-26 2003-06-26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1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4461A (zh) * 2012-03-16 2014-10-22 株式会社堡垒国际服务公司 真空装置
KR101616879B1 (ko) * 2014-11-04 2016-04-29 정진옥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4461A (zh) * 2012-03-16 2014-10-22 株式会社堡垒国际服务公司 真空装置
KR101616879B1 (ko) * 2014-11-04 2016-04-29 정진옥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8929B2 (ja) 真空保存用瓶栓
KR200462552Y1 (ko)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US10918191B2 (en) Receptacl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KR200457521Y1 (ko) 밀폐식 화장품용기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CN111712329B (zh) 双重容器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CN109452852B (zh) 烹饪器具
KR10054500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30131838A (ko)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KR200343148Y1 (ko) 진공용기의 진공화장치
KR20090114638A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200481587Y1 (ko) 양변기용 압축기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90130439A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0277208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CN111483696A (zh) 一种饭盒和抽气装置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00024017A (ko)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
KR200405704Y1 (ko)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101974540B1 (ko) 휴대용 진공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