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704Y1 -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704Y1
KR200405704Y1 KR2020050029858U KR20050029858U KR200405704Y1 KR 200405704 Y1 KR200405704 Y1 KR 200405704Y1 KR 2020050029858 U KR2020050029858 U KR 2020050029858U KR 20050029858 U KR20050029858 U KR 20050029858U KR 200405704 Y1 KR200405704 Y1 KR 20040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iquid
container
cylinder
pu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대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2020050029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푸시헤드의 액체 토출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보관 시 누액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의 펌프 어셈블리에 의하면; 푸시헤드(45)의 토출구(45a)에 일단(91)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92)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굽어져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대롱(9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를 펌핑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대롱(90)의 타단(92)이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제품 사용을 마친 경우에는 토출대롱(90)의 타단(92)이 상측을 향하도록 토출대롱(90)을 180도 돌릴 수 있다. 결국, 제품 사용을 마친 후 토출대롱(90)의 타단(92)을 상측으로 돌려놓으면, 토출구(45a) 및 토출유로(45b)에 잔류하는 액체(A)가 흘러나오는 현상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 FOR LIQUID VESSEL}
도 1은 종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액체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토출대롱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액체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토출대롱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펌프 어셈블리 41..대캡
42..실린더 43..고정캡
44..중공피스톤 45..푸시헤드
45c..오목홈 46..탄성부재
50..실린더받힘 70..흡입밸브
80..토출밸브 90..토출대롱
93..단차부 94..걸림턱
본 고안은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헤드의 액체 토출구조를 개선하여 비사용 시 누액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액체용기에는 공기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펌프가 부설되어 있다.
종래 액체용기의 펌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용기의 입구(미도시)에 결합되며 액체가 펌핑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11a)이 형성된 펌핑부(10)와, 이 펌핑부(10)의 압력실(11a)에 압력을 가하며 펌핑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21)이 형성된 버튼부(20)로 구분된다.
펌핑부(10)는 액체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캡하우징(12)의 내부 중앙에 동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실(11a)이 형성된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3)과, 이 코일스프링(13)의 상단에서 탄성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14a)이 형성된 중공피스톤(14)과, 이 중공피스톤(1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이의 상단을 폐쇄하는 실린더캡(15)과, 버튼부(20)의 노즐(21)과 중공피스톤(14)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6)과, 실린더(11) 하단의 걸림턱(11b)에 놓이는 강구체의 볼밸브(17)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부(20)를 누르면, 코일스프링(13)의 탄성력을 이기 면서 중공피스톤(14)이 하강하며, 이것에 의해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채워진 액체는 통공(14a) → 중공피스톤(14)의 중공부 → 연결관(16) → 노즐(2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 때, 볼밸브(17)는 실린더(11) 내부 액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걸림턱(11b)에 맞닿아 압력실(11a)과 액체용기 내부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20)를 놓으면, 코일스프링(13)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중공피스톤(14)이 상승하면서 통공(14a)이 폐쇄되어 액체 분사가 차단됨과 동시에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진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용기에 저장된 액체는 볼밸브(17)를 상승시키면서 압력실(11a)에 채워진다. 이러한 버튼부(20)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액체용기내의 액체가 일정하게 분사된다.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의 펌프에서는 사용을 마치고 보관하는 경우 버튼부(20)에 잔류하는 액체가 흘러나와 재사용 시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즉, 펌프의 마지막 동작이 끝나면 버튼부(20)의 노즐(21)에 액체가 잔류하게 되는데, 이것이 자중에 의해 외부로 흘러나와 바닥 및 액체용기 벽면을 지저분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의 토출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을 마친 후 토출유로내에 잔류하는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액체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이 형성된 실린더와; 하단은 상기 실린더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은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중공피스톤과; 상기 중공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내부에는 중공피스톤과 연계된 세로방향의 토출유로와, 대기와 연계된 가로방향의 토출구가 형성된 푸시헤드를;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푸시헤드에는 일단이 토출구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되고 타단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굽어져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대롱이 마련되며; 토출대롱의 일단은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구의 내벽에는 띠 형상으로 오목홈이 마련되며; 출대롱의 일단에는 토출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단차부가 마련되고, 이 단차부 외주에는 오목홈에 안착 결합되어 토출대롱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액체용기(30)의 내부에는 액체(A) 저장되며,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저장된 액체(A)를 펌핑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 어셈블리(40)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이 적용된 펌프 어셈블리(40)는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장착되는 대캡(41)과, 이 대캡(41)내에 설치되며 액체(A)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42a)이 형성된 실린더(42)와, 이 실린더(42)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캡(43)과, 이 고정캡(43)을 관통하여 실린더(42)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피스톤(44)과, 이 중공피스톤(44)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토출구(45a)가 마련된 푸시헤드(45)와, 일단은 푸시헤드(45)의 하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캡(43)에 지지되어 푸시헤드(45)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6)와, 중공피스톤(44)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실린더(42) 하단의 흡입유로(51)를 개폐하는 흡입밸브(70)를 갖추고 있다.
대캡(41)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대캡(41)의 내부에는 암나사(41a)가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캡(43) 역시 원통형이며 실린더(42)의 상부에 끼워져 견실하게 고정되어 탄성부재(46)의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고정캡(43)에는 중공피스톤(44)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통형상의 가이드벽(43a)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 가이드벽(43a)에도 암나사(4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캡(43)의 암나사(43b)는 푸시헤드(45)와 중공피스톤(44)을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실린더(42)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상단이 고정캡(43)과 함께 대캡(41)의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실린더(42)는 대캡(41) 내부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이의 내부에는 액체(A)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4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42)의 하단 개방부에는 판형태의 흡입밸브(7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 흡입밸브(7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한 쌍의 연결다리(71)를 통해 실린더(42)의 하단 내벽에 일체 로 연결되어 있어 상하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42)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실린더받힘(50)이 끼워져 결합되며, 실린더받힘(50)의 중앙에는 흡입밸브(70)에 의해 개폐되는 흡입유로(51)가 일체로 마련된다. 그리고 흡입유로(51)의 하단에는 액체용기(30) 저부까지 연장된 흡입호스(60)가 끼워진다. 따라서 액체용기(30)내의 액체(A)는 호스(60)를 통해 실린더(42)의 압력실(42a)내로 흡입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42b"는 액체(A)가 압력실(42a)내로 흡입될 때 외부공기가 액체용기(30)내로 들어가도록 실린더(42) 벽면에 형성된 부압홀이다.
그리고 중공피스톤(44)은 하단이 실린더(42)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이의 상단은 푸시헤드(45)의 토출유로(45b)에 결합된다. 중공피스톤(44)의 상단 내부에는 밸브 안착부(44a)가 형성되며 여기에 토출밸브(80)가 배치된다. 그리고 중공피스톤(44)의 하단에는 실린더(42) 내벽과 밀착되는 밀착부(44b)가 형성된다.
또한, 중공피스톤(44)의 하단에는 중공피스톤(44)이 소정높이 이상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4c)이 마련된다. 이 걸림턱(44c)은 밀착부(44b)를 형성하면서 단차지게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이 고정캡(43)에 당접할 때까지 중공피스톤(44)이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푸시헤드(45)는 중공피스톤(44)의 상부에 장착되며, 여기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토출유로(45b)와 토출구(45a)가 연계되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유로(45b)는 푸시헤드(45)의 내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루어져 중공피스톤(44)의 상 단과 연결되며, 토출구(45a)는 토출유로(45b)의 상단과 연계되면서 가로방향으로 천공된다. 한편, 푸시헤드(45)는 탄성부재(46)를 통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6)가 푸시헤드(45)와 고정캡 (43)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푸시헤드(45)가 상측으로 지지된다.
또한, 푸시헤드(45)의 토출구(45a)에는 토출대롱(90)이 설치되어 있어서, 최종적으로 액체(A)는 토출대롱(90)을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 토출대롱(90)은 개량컵 등을 통해 토출되는 액체를 받을 수 있고 사용을 마친 후 토출구(45a) 및 토출유로(45b)내에 잔류하는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대롱(90)의 일단(91)은 토출구(45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되고 이의 타단(92)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굽어져 액체 토출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토출대롱(90)의 일단에는 토출구(45a)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단차부(93)가 마련되며, 토출구(45a)의 내벽에는 띠 형상으로 오목홈(45c)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토출대롱(90)의 단차부(93) 외주에는 오목홈(45c)에 안착 결합되어 토출대롱(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9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대롱(90)은 푸시헤드(45)의 토출구(45a)에 회전이 가능하면서 견실하게 결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 펌프 어셈블리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펌프 어셈블리(40)의 초기 상태에서는 탄성부재(46)에 의해 푸시헤드 (45)가 상측으로 올라온 상태이며, 아울러 압력실(42a)에는 흡입호스(60)를 통해 흡입된 소량의 액체(A)가 저장된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토출대롱(90)을 회전시켜 이의 타단(92)이 하측을 향하도록 한다(도 2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헤드(45)를 최대한 누르면, 탄성부재(46)가 압축됨과 동시에 중공피스톤(44)이 하강한다. 따라서 실린더(42)의 압력실(42a)에 채워진 액체(A)는 토출밸브(80)를 개방시키면서 중공피스톤(44) → 토출유로(45b) → 토출구(45a) → 토출대롱(9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실린더(42) 하단의 흡입밸브(70)는 압력실(42a)내의 액체(A) 하강압력에 의해 실린더받힘(50)의 흡입유로(51) 상단에 밀착되어 압력실(42a)과 액체용기(30)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한편, 사용자가 푸시헤드(45)를 놓으면, 탄성부재(46)의 복원력에 의해 푸시헤드(45)와 중공피스톤(44)이 점차 올라가며, 압력실(42a)내에는 진공압이 걸린다. 따라서 압력실(42a)과 액체용기(30)내의 기압차에 의해 토출밸브(80)는 폐쇄되고 흡입밸브(70)는 약간 들뜨면서 흡입유로(51)가 개방됨으로써, 액체용기(30)내의 액체(A) 일부가 흡입호스(60)와 흡입유로(51)를 통해 압력실(42a)로 흡입된다.
이 때, 액체(A)는 실린더(42) 내벽과 흡입밸브(70)의 간극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용이하게 흡입된다. 아울러, 액체(A) 일부가 빠져나간 액체용기(30)내에는 부압홀(42b)을 통해 그 체적만큼의 외부공기가 들어와 채워져, 펌프 어셈블리(40)는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액체용기(30)에 담겨있는 액체(A)를 펌핑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사용을 마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토출대롱(90)의 타단(92)이 상측을 향하도록 토출대롱(90)을 180도 회전시킨다(화살표 방향 참조). 이에 따라 푸시헤드(45)의 토출구(45a)와 토출유로(45b)에 잔류하는 액체가 토출대롱(90)을 통해 새어나오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다시 제품 사용 시에는 토출대롱(90)의 타단(92)이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푸시헤드(45)를 누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의 펌프 어셈블리에 의하면; 푸시헤드의 토출구에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굽어져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대롱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를 펌핑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대롱의 타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제품 사용을 마친 경우에는 토출대롱의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토출대롱을 180도 돌릴 수 있다.
결국, 제품 사용을 마친 후 토출대롱의 타단을 상측으로 돌려놓으면, 토출구 및 토출유로에 잔류하는 액체가 흘러나오는 현상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액체(A)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42a)이 형성된 실린더(42)와; 하단은 상기 실린더(42)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은 실린더(42)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중공피스톤(44)과; 상기 중공피스톤(44)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탄성부재(46)를 통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내부에는 중공피스톤(44)과 연계된 세로방향의 토출유로(45b)와, 대기와 연계된 가로방향의 토출구(45a)가 형성된 푸시헤드(45)를;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45)에는 일단(91)이 상기 토출구(45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되고 타단(92)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굽어져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대롱(90)이 마련되며;
    상기 토출대롱(90)의 일단(91)은 상기 토출구(4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45a)의 내벽에는 띠 형상으로 오목홈(45c)이 마련되며;
    상기 토출대롱(90)의 일단(91)에는 상기 토출구(45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단차부(93)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부(93) 외주에는 상기 오목홈(45c)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토출대롱(9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9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20050029858U 2005-10-20 2005-10-20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040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58U KR200405704Y1 (ko) 2005-10-20 2005-10-20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58U KR200405704Y1 (ko) 2005-10-20 2005-10-20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704Y1 true KR200405704Y1 (ko) 2006-01-10

Family

ID=4175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58U KR200405704Y1 (ko) 2005-10-20 2005-10-20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7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76Y1 (ko) * 2009-09-16 2012-01-06 홍성웅 만곡형의 노즐
KR200475205Y1 (ko) 2013-12-03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관절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76Y1 (ko) * 2009-09-16 2012-01-06 홍성웅 만곡형의 노즐
KR200475205Y1 (ko) 2013-12-03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관절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32B1 (ko) 유체 펌핑디스펜서
KR100766816B1 (ko) 내용물 정량 토출과 누액방지 및 변질방지 기능을 갖는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107519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06199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KR200405704Y1 (ko) 토출대롱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0464671Y1 (ko) 액체용기용 펌프디스펜서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WO2024036726A1 (zh) 降低高度且防渗液的预压缩泵以及具有该泵的容器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KR200406686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101306511B1 (ko)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KR20100022603A (ko) 펌핑 노즐을 일체로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JP4828324B2 (ja) 液体吐出装置
JP2004516398A (ja) 手動で作動するポンプアセンブリ
KR200423183Y1 (ko) 거품발생 디스펜서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90130439A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0436824Y1 (ko) 흡입밸브유닛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