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89Y1 -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 Google Patents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89Y1
KR200488189Y1 KR2020180000939U KR20180000939U KR200488189Y1 KR 200488189 Y1 KR200488189 Y1 KR 200488189Y1 KR 2020180000939 U KR2020180000939 U KR 2020180000939U KR 20180000939 U KR20180000939 U KR 20180000939U KR 200488189 Y1 KR200488189 Y1 KR 200488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traw
inner cup
outer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정
Original Assignee
김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정 filed Critical 김규정
Priority to KR202018000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됨과 함께 저면이 폐쇄된 외부컵; 상기 외부컵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컵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컵;을 마련하여 외부컵과 내부컵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대상물을 담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용수와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며, 외부컵에 담긴 음용대상물을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고, 내부컵과 외부컵을 하나의 뚜껑으로 닫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테이크아웃용 이중컵{Double Cupfor Take-out}
본 고안은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구획된 컵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컵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다른 하나의 컵에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으로 담아 테이크아웃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take out)이라함은, 가지고 다니며 먹을 수 있도록 음식을 포장해서 판매하는 것 혹은 포장된 음식을 일컫는다.
이러한 테이크아웃은 근래에 들어 기호음료로 각광받고 있는 페스트푸드(햄버거나 핫도그 등), 커피 등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테이크아웃 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테이크아웃 시장에서 커피 전문점은 자릿세 등의 지출을 줄이고 소비자에게 값싼 커피 등을 제공하기 위해 포장 판매하는 테이크아웃 문화가 정착하고 있는 실정으로 매장에서는 별도의 1회용 테이크아웃 용기에 음료를 수용 및 판매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페스트푸드를 테이크아웃 시에는 통상 주메뉴(햄버거, 핫도그)와 사이드메뉴(감지튀김, 스틱류 등)와 음료가 제공되며, 이와 함께 사이드메뉴를 찍어 먹을 수 있도록 케첩 등의 소스가 제공된다.
또 커피 전문점의 경우 주메뉴로 커피가 제공되고, 섭취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등에 첨가하여 기호에 따라 맛과 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액상의 시럽이나 설탕 등의 첨가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페스트푸드점이나 커피 전문점에서 음료 및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테이크아웃용 용기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용기는 종이 재질의 컵과 내용물의 넘침 및 보호를 위해 용기 상부를 마감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컵 뚜껑으로 구성되어 컵에 내용물을 수용 및 컵 뚜껑을 덮어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스트푸드점에서 제공되는 케첩 등의 소스는 별도 포장되어 제공되고 있는 것인 바, 그 휴대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특히 사용 시 음료 용기의 뚜껑 등에 짜내어 사용하게 되는 등 위생상으로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피 전문점의 경우 설탕 등의 첨가물을 공동용 또는 단위 포장된 개별용으로 별도 비치하여 소비자의 요
구에 맞게 첨가 섭취하고 있는 것인바, 공동용으로 비치시 무분별한 사용으로 매장환경을 해칠 수 있으며 그 매장으로 하여금 관리 또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개별용의 경우 테이크아웃의 특성상 음료용기와 첨가물을 각각 휴대하여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현대인들이 즐겨먹는 음료로는 커피, 차, 주스 등으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커피 등의 음료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커피 음료 등을 즉석에서 추출하거나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즉석에서 뜨거운 물로 추출한 커피 등의 음료는 향미가 우수할 뿐 아니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종류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향긋한 원두커피 등의 음료와 함께 달콤한 치즈 케익, 초코 케익을 곁들여 먹으면 케익의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음료의 향미와 어우러지면서 음료와 케익의 풍미가 더욱 깊어진다.
이 때문인지 젊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커피 등의 음료를 컵에 테이크아웃(Take-Out) 즉, 포장해 갈 때에 조각 케익을 음료와 함께 포장해서 걸으면서 먹는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테이크아웃 컵은 조각 케익을 포장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판매점에서는 조각 케익을 작은 박스에 담아 주기 때문에 소비자는 한 손에는 음료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조각 케익을 들고 있음으로, 사실상 걸으면서 조각 케익과 커피 음료를 즐기는 것이 쉽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테이크아웃용 컵은 하나의 내용물만을 단독으로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수 없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와 함께 먹을 수 있는 샐러드, 베이커리, 아이스크림 등의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아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테이크아웃 컵'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음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컵몸체, 상기 끼움턱에 억지 끼움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단 둘레에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컵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가리며, 그 상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상면이 평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중앙 부위에서 하부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조각 케익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 상기 돌출부에 거치홈이 형성되는 컵뚜껑, 상기 거치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조각 케익을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컵뚜껑은 상기 포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홈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턱, 상기 돌턱에 대응하여 상기 거치홈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은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컵 커버,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형물보관부는 걸림부의 어느 일측이 결합되는 걸림부지지대, 상기 걸림부지지대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측면지지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2측면지지대부의 힌지결합부가 결합되는 상부힌지결합지지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타측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지지대로 구성되는 상부지지대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힌지결합지지대와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2측면지지대, 상기 제2 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1측면지지대부의 어느 일측에 탈부착되는 탈착부로 구성되는 제2측면지지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지지대부의 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 끝단에 어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지지대부의 상부수평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측면지지대로 구성되는 제1 측면지지대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7481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846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 분리시켜 수용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물을 각각 분리시켜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됨과 함께 저면이 폐쇄된 외부컵; 상기 외부컵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컵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컵 또는 내부컵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폐쇄된 저면의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컵본체; 상기 내부컵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뚜껑이 안정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턱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 상기 수평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면부; 상기 수직면부로부터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컵은 상기 외부컵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내부컵본체; 상기 내부컵본체의 일측에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컵본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빨대수용부;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컵본체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컵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수용부는 상기 내부컵본체의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빨대구획벽체; 상기 빨대구획벽체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 상기 빨대가 관통되도록 상기 수평면부에 형성되는 빨대삽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컵결합부는 상기 수평면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형성되는 수직벽체; 상기 뚜껑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벽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측결합부; 상기 내부컵이 상기 외부컵의 결합부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기 수직벽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면; 상기 제1 수평면의 선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면; 상기 뚜껑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결합부는 상기 외부컵의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에 의하면, 외부컵과 내부컵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대상물을 담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용수와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며, 외부컵에 담긴 음용대상물을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고, 내부컵과 외부컵을 하나의 뚜껑으로 닫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내부컵을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뚜껑을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됨과 함께 저면이 폐쇄된 외부컵(10), 상기 외부컵(1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컵(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컵(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컵(10)과 상기 외부컵(10)에 담긴 내용물과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컵(20)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컵에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내부컵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많은 양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컵(10)과 상기 외부컵(10)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컵(20), 상기 외부컵(10) 또는 내부컵(2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컵(10)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저면이 폐쇄된 외부컵본체(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컵본체(11)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컵본체(11)의 상부에는 내부컵(20)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턱(12)의 상부에는 내부컵(2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도록 소정 높이로 상부본체(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1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내부컵(20) 또는 뚜껑(40)이 결합되는 결합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4)는 상기 걸림턱(12)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본체(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15), 상기 수평면부(1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면부(16), 상기 수직면부(16)로부터 상기 상부본체(13)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자유단부(1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4)는 내부컵(20)이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거나 뚜껑(40)이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4)는 상부본체(1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면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부(15)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부(16)가 형성된다.
또 수직면부(16)의 선단에는 수평면부(15) 및 수직면부(16)에 비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컵(20)은 폐쇄된 저면의 상측으로 외부컵본체(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내부컵본체(21), 상기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컵본체(2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빨대수용부(22), 상기 외부컵(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4)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컵본체(2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결합부(27)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컵(20)은 외부컵(10)에 저장된 내용물과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컵(20)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저면이 폐쇄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컵(20)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컵본체(21)와 상기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 빨대(50)가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요입된 형상으로 빨대수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빨대수용부(22)는 상기 내부컵본체(21)의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빨대구획벽체(23), 상기 빨대구획벽체(23)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24), 상기 빨대(50)가 관통되도록 상기 수평면부(24)에 형성되는 빨대삽입구멍(25)을 포함한다.
이러한 빨대수용부(22)는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 내측으로 요입된 홈부로 형성되며, 상기 빨대구획벽체(23)는 내부컵본체(21)의 내용물이 외부컵본체(11)의 내용물과 섞이지 않도록 수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빨대구획벽체(23)의 상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면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부(24)에는 내부컵(20)의 외측으로 빨대가 삽입되도록 빨대삽입구멍(25)이 형성된다.
또 내부컵본체(21)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로 수직벽체(26)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26)의 외측에는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결합됨은 물론 뚜껑(50)이 결합되도록 내부컵결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컵결합부(30)는 상기 수평면부(24)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형성되는 수직벽체(26), 상기 뚜껑(50)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벽체(26)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측결합부(31), 상기 내부컵(20)이 상기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측결합부(36)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컵결합부(30)는 뚜껑(50)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측결합부(31)와 내부컵(20)이 외부컵(10)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측결합부(3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측결합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결합부(31)는 상기 수직벽체(26)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면(32), 상기 제1 수평면(32)의 선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면(33), 상기 뚜껑(50)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33)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결합부(36)는 상기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33)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면(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컵결합부(30)는 상측에 뚜껑(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측결합부(31)와 내부컵(20)이 외부컵(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측결합부(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결합부(31)는 수직벽체(26)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면(3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32)의 하측에는 뚜껑(50)이 결합되도록 제1 수직면(3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수평면(32)과 제1 수직면(33) 사에는 원호 형상으로 제1 원호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호부(34)와 제1 수직면(33) 사이에는 뚜껑(5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하측결합부(36)는 제1 수직면(3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원호부(37)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호부(37)의 하측에는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밀착되는 제2 수직면(38)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뚜껑(40)은 외부컵(10) 또는 내부컵(20)에 결합되어 외부컵(10)과 내부컵(20)으로 이물질의 유입 방지 및 외부컵(10)과 내부컵(20)의 내용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시키게 된다.
이러한 뚜껑(40)은 내용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대략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뚜껑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40)에는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40)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원호결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원호결합부(42)의 하측에는 내부컵(20)의 상측결합부(31)에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43)가 형성된다.
또 내측걸림부(43)의 하부에는 내부컵(20)의 하측결합부(36)에 밀착되는 자유단부(44)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부컵(10)과 내부컵(20) 및 상기 외부컵(10) 또는 내부컵(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컵(10)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되게 형성한 용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컵(20)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되게 형성한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컵(10)은 외부컵본체(11)의 상부에 내부컵(20)이 안착되도록 걸림턱(12)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12)의 상부에는 내부컵(20)이 안정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컵(20)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부본체(13)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본체(13)의 상단에는 결합부(14)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14)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15)를 형성하고, 수평면부(15)의 선단에는 수직면부(16)를 형성하며, 수직면부(16)의 하단에는 자유단부(17)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내부컵(20)은 상면을 개방되게 내부컵본체(21)를 형성하며,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는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수용부(2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빨대수용부(22)는 내부컵본체(21)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빨대구획벽체(23)를 형성하고, 상기 빨대구획본체(23)의 상면에는 수평면부(24)를 형성한다.
상기 빨대구획본체(23)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면부(24)에는 빨대(50)를 관통되게 꽂을 수 있도록 빨대삽입구멍(25)을 형성한다.
아울러 내부컵본체(21)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벽체(26)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벽체(26)의 외측에는 뚜껑(40)의 내측걸림부(43)가 결합되도록 상측결합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결합부(31)의 하측에는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36)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상측결합부(31)는 내부컵본체(2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면(32)을 형성하고, 제1 수평면(32)의 하측에 제1 수직면(33)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수평면(32)과 제1 수직면(33) 사이에는 원호 형상의 제1 원호부(34)를 형성하고, 제1 원호부(34)의 하부에는 뚜껑(40)의 내측걸림부(43)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5)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수직면(33)에는 제2 원호부(37)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원호부(37)에는 제2 수직면(38)을 일체로 연장 형성한다.
또한 뚜껑(40)은 외부컵(10) 또는 내부컵(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뚜껑(40)은 내용물이 넘쳐 흐르지 않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뚜껑(40)에는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41)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40)은 외부컵(10)의 결합부(14) 또는 내부컵(20)의 내부컵결합부(30)에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는 뚜껑(40)의 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호결합부(42)를 형성한다.
상기 원호결합부(42)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결합부(43)를 형성하고, 내측결합부(43)에는 외부컵(10)의 결합부(14) 또는 내부컵(20)의 내부컵결합부(30)에 밀착되는 자유단부(44)를 일체로 연장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컵은 외부컵(10)에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의 음용대상물을 저장하게 되고, 내부컵(20)에 샐러드, 베이커리, 아이스크림 등의 음용대상물을 저장하게 된다.
즉, 외부컵(10)에는 액상의 음용대상물을 투입하여 저장하고, 내부컵(20)에는 액상의 음용대상물과 다른 종류의 고체상 음용대상물을 투입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외부컵(10)과 내부컵(2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대상물을 저장하여 테이크아웃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2가지의 원하는 종류의 음용대상물을 하나의 컵에 담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내부컵(20)의 빨대삽입구멍(25)에 빨대(50)를 꽂아 외부컵(10)에 담긴 음용대상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즉, 빨대(50)는 내부컵(20)의 빨대구획벽체(2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내부컵(20)에 담긴 음용대상물과 간섭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이스크림을 내부컵(20)에 넣으면 외부컵(10)의 아이스음료로 인하여 아이스크림의 녹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과일 또는 샐러드를 내부컵(20)에 넣고 외부컵(10)의 아이스음료로 인하여 내부컵(20)에 음료를 담을 경우 아이스박스에 얼음을 넣고 과일을 보관하는 방식처럼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에서 방금 꺼낸 것처럼 신선한 내용물을 보관할수 있게 된다.
또 우유를 외부컵(10)에 넣으면 내부컵(20)에 시리얼과 견과류 등을 분리하여 보관하면 먹기 전까지 눅눅해지지 않고 바삭바삭하게 유지할 수 있고, 머핀과 케익을 내부컵(20)에 넣으면 외부컵(10)에 빨대 구멍이 있어서 음료를 외부컵(10)에 넣어 먹으면서 컵을 빼지 않아도 디저트 메뉴를 함께 먹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내부컵(20)에 내용물을 넣으면 외부컵(10)에 빨대 구멍이 있어서 외부컵(10)에 아이스크림을 담거나 디저트를 담으면 별도로 뚜껑(40)을 잠금하지 않아도 내부컵(20)이 뚜껑 역할을 해 주므로 뚜껑(40)을 잠그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중컵은 내부컵(20)에 아이스크림을 담아 평리드로 포장하여 메뉴를 구성하면 테이크아웃 매장에서 외부컵(10)에 음료를 담아 내부컵(20)을 아이스크림을 담아 뚜껑으로 사용되어 내부컵(20)이 뚜껑 역할을 해 주므로 별도의 뚜껑을 잠금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컵(10)에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생겨 컵 외부로 물이 흘러 내리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데, 컵을 넣은 곳에 물이 생기게 된다. 즉, 내부컵(20)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내용물이 든 외부컵(10)에 차가운 얼음이나 음료과 같이 있기 때문에 얼음물이 되서 내용물은 신선함을 유지해주지만 내부컵(20)에 물 흘림현상과 결로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결로현상은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로 발생되지만, 내부컵(20)은 원형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면이 내부가 되서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결로현상과 물기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크아웃용 이중컵은 디저트 컵으로써, 내부컵(20)은 디저트 컵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디저트 업체에서는 유통용으로 활용하면 내용물을 리드컵에 담아 포장용 용기 또는 포장제로 사용하여 외부컵(10)을 사용할 수 있고, 카페나 디저트 가게에서는 포장 용기를 외부컵 뚜껑용으로 사용 가능한 이중잠금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추가적인 포장용기 뚜껑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 포장용기 또는 외부컵(10)에 음식을 담아 세트메뉴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외부컵 11: 외부컵본체
12: 걸림턱 13: 상부본체
14: 결합부 15: 수평면부
16: 수직면부 17: 자유단부
20: 내부컵 21: 내부컵본체
22: 빨대수용부 23: 빨대구획벽체
24: 수평면부 25: 빨대삽입구멍
26: 수직벽체 30: 내부컵결합부
31: 상측결합부 32: 제1 수평면
33: 제1 수직면 34: 제1 원호부
35: 경사면 36: 하측결합부
37: 제2 원호부 38: 제2 수직면
40: 뚜껑 41: 빨대구멍
42: 원호결합부 43: 내측걸림부
44: 자유단부

Claims (7)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됨과 함께 저면이 폐쇄된 외부컵(10);
    상기 외부컵(1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컵(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컵(20);
    상기 외부컵(10) 또는 내부컵(2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도록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41)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호결합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원호결합부(42)의 하측에는 내부컵(20)에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43)가 형성되고, 내측걸림부(43)의 하부에는 내부컵(20)에 밀착되는 자유단부(44)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40)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컵(10)은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폐쇄된 저면의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컵본체(11);
    상기 내부컵(20)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11)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12);
    상기 걸림턱(12)의 상부에 내부컵(2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도록 소정 높이로 상향으로 돌출된 상부본체(13);
    상기 뚜껑(40)이 안정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컵(20)은
    상기 외부컵본체(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컵본체(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내부컵본체(21);
    상기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 빨대(50)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컵본체(2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빨대수용부(22);
    상기 외부컵(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4)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컵본체(2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컵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는
    상기 상부본체(13)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15);
    상기 수평면부(1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면부(16);
    상기 수직면부(16)로부터 상기 상부본체(13)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자유단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수용부(22)는 내부컵본체(21)의 일측에 내측으로 요입된 홈부로 내부컵본체(21)의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빨대구획벽체(23);
    상기 빨대구획벽체(23)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24);
    상기 빨대(50)가 관통되도록 상기 수평면부(24)에 형성되는 빨대삽입구멍(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결합부(30)는 상기 수평면부(24)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형성되는 수직벽체(26);
    상기 뚜껑(40)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벽체(26)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측결합부(31);
    상기 내부컵(20)이 상기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측결합부(36);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결합부(31)는
    상기 수직벽체(26)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면(32);
    상기 제1 수평면(32)의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면(33);
    상기 뚜껑(40)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33)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결합부(36)는
    상기 외부컵(10)의 결합부(14)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수직면(33)의 하측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면(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2020180000939U 2018-03-05 2018-03-05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200488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39U KR200488189Y1 (ko) 2018-03-05 2018-03-05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39U KR200488189Y1 (ko) 2018-03-05 2018-03-05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89Y1 true KR200488189Y1 (ko) 2019-04-05

Family

ID=6610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39U KR200488189Y1 (ko) 2018-03-05 2018-03-05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79B1 (ko) * 2019-05-02 2019-11-06 김지현 시리얼용 용기
KR20230087229A (ko) 2021-12-09 2023-06-16 유진곤 일회용 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037A (ja) * 1999-08-31 2001-03-21 Sekisui Plastics Co Ltd 二重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200396492Y1 (ko) * 2005-06-25 2005-09-23 신명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20110008461U (ko) 2010-02-24 2011-08-31 이호혁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KR200474817Y1 (ko) 2014-01-28 2014-10-15 송희준 테이크아웃 컵
KR20170053602A (ko) * 2017-04-26 2017-05-16 강권기 음식물 용기
KR20170092793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아이엔피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037A (ja) * 1999-08-31 2001-03-21 Sekisui Plastics Co Ltd 二重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200396492Y1 (ko) * 2005-06-25 2005-09-23 신명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20110008461U (ko) 2010-02-24 2011-08-31 이호혁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KR200474817Y1 (ko) 2014-01-28 2014-10-15 송희준 테이크아웃 컵
KR20170092793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아이엔피 음료 용기
KR20170053602A (ko) * 2017-04-26 2017-05-16 강권기 음식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79B1 (ko) * 2019-05-02 2019-11-06 김지현 시리얼용 용기
KR20230087229A (ko) 2021-12-09 2023-06-16 유진곤 일회용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580A1 (en) Disposable lid with filter for drink container
KR20000057208A (ko) 음료제조용 추출장치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TWM459790U (zh) 冷熱冰杯之改良(第五案)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US5987913A (en) Multi-serving cereal transport
US20070048411A1 (en) Combined confection and beverage product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PL210048B1 (pl) Pojemnik na produkty spożywcze oraz opakowanie na produkty spożywcze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TWM452728U (zh) 冷熱冰杯之改良(第四案)
CN109996738A (zh) 具有玩具存放壳体的锥筒
JP3154610U (ja) 複合容器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LU83761A1 (fr) Plateau de service
US20160023795A1 (en) Combination Drink Bottle and Frozen Comestible Maker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KR101041351B1 (ko)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CN215304909U (zh) 一种便携式自热火锅容器
US10464710B2 (en) Twin-glass combinational drinking apparatus
KR20170097919A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