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56Y1 -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 Google Patents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56Y1
KR200445756Y1 KR2020090001222U KR20090001222U KR200445756Y1 KR 200445756 Y1 KR200445756 Y1 KR 200445756Y1 KR 2020090001222 U KR2020090001222 U KR 2020090001222U KR 20090001222 U KR20090001222 U KR 20090001222U KR 200445756 Y1 KR200445756 Y1 KR 200445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lid
container body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동현
Original Assignee
석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현 filed Critical 석동현
Priority to KR2020090001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용기 공간을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공간이 나누어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체 공간을 가지고 있는 수용체,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에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용기 공간과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수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수용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에 탈착 될 수 있다.
용기, 수용체, 탈착, 수용 브라켓, 용기 공간, 수용체 공간

Description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Detachable type holding body with container}
본 고안은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容器)는 물건을 담는 그릇이다. 용기는 액체 또는 고체 상의 물질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용기는 음식물, 음료, 화장수 등의 포장, 보관, 판매 될 수 있도록 담을 수 있다. 용기는 그 담겨지는 내용 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액상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가 된 용기가 사용된다. 또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보호를 위해서는 용기의 내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의 재료와 형상이 개발되어 왔다.
통상의 용기는 하나의 물질이 담길 수 있는 수용체 공간을 가진다.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용기에 수용되게 되면 액상의 물질은 서로 혼합되고, 고체상의 물질은 상호 부딪혀 손상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물질이 담길 수 있는 수용체 공간이 형성된다.
하나의 물질이 담을 수 있는 용기는 하나의 물질만을 포장할 수 있어서 소비 자의 선택될 수 있는 폭이 줄어든다. 또한, 각 물질을 담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용기가 각각 필요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기가 하나의 물질만을 담을 수 있음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담겨진 제품이 제작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격벽으로 내부가 분할되어 있어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격벽으로 분할되는 용기는 두가지 이상의 물질이 서로 접촉되어 혼합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있다.
격벽은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담기 위해서는 하나의 물질을 담은 상태에서 또 다른 물질을 담아야 한다. 이때, 용기에 담겨진 물질은 다른 물질을 담는 작업 중에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다른 물질을 담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 속도가 늦어 진다.
또한, 격벽이 형성된 종래의 용기는 용기의 제작 시에 격벽이 접착되거나 일체로 성형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증대되고, 격벽이 한 번 설치된 용기는 격벽이 제거할 수 없어 다른 형태의 사용이 어려웠다. 통상적으로 용기는 서로 중첩한 상태로 보관을 하게 되지만 격벽이 형성된 용기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이 장애가 되어 서로 중첩할 수 없음에 따라 보관이 어려웠다.
아울러, 격벽이 형성된 종래의 용기는 격벽이 접착되거나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격벽의 분리가 어렵다. 격벽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용기는 중앙이 막혀 있어 세척이 어려웠다. 또한, 격벽의 분리가 어려워 재활용시키기 어려워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몸체의 용기 공간에 탈착이 가능한 수용체 공간을 가지는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용기의 복수의 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물질의 수용이 가능하고, 수용체와 용기가 분리되어 보관되어 사용 시에만 설치 사용함에 따라 보관, 이동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용기 공간을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공간이 나누어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체 공간을 가지고 있는 수용체,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에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용기 공간과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수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수용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에 탈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브라켓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수용 지지체 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 브라켓을 상기 용기 몸체의 설치 시에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의 바깥 둘레에 접촉되어 상기 수용 브라켓이 상기 용기 몸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는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에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뚜껑 돌출부를 가지는 뚜껑 브라켓, 그리고 상기 뚜껑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수용홈을 가지도록 서로 떨어져 있는 뚜껑 수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수용 돌기는 상기 용기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수용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 몸체에는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뚜껑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공은 상기 수용 브라켓이 상기 용기 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용기공과 상기 수용체 공간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용체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수용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커버로 개폐되는 상기 수용체 공간의 내부에는 냉기 및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냉온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용기 공간에 탈설치가 가 능하면서 안쪽에 수용체 공간을 가지는 수용체가 설치되어 서로 다른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 수용할 수 있어 사용 용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수용체 공간에 물질이 담겨 지고, 수용체의 수용체 공간에도 물질이 담겨진 상태로 용기에 수용체를 설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각각의 수용되는 공간에 물질이 수용됨에 따라 수용되는 물질의 종류가 증대됨으로써, 수용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용기와 수용체가 제조되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수용체를 용기에 설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판매자 및 생산자가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적으로 하나의 용기에 수용하여 판매 및 포장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범위가 넓어져 제품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수용체는 개방된 상부에 탈착 될 수 있도록 지지됨에 따라 용기와 수용체의 공간에 있는 물질은 설치 후에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분리 시에는 각기 물질을 담은 상태로 독립적으로 취식이나 음용 및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형태와 판매 및 포장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용기와 수용체의 공간 중에 하나에는 온기를 가지는 물질이나 냉기를 가지는 물질을 담을 수 있고, 이 하나의 공간에 물질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냉기가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어 두 공간이 상호 가지고 있는 열기 및 냉기가 교환될 수 있음에 따라 용기에 다른 처리나 장치의 설치 없이도 냉기와 온기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되는 용도가 증대되고, 온기 및 냉기 유지를 위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용기 공간(111)을 가진다. 용기 몸체(11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액상이나 고상의 다양한 물질이 용기 공간(111)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용기 몸체(110)는 원통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용기 몸체(110)는 통상의 물질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모든 용기 몸체(110)가 포함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는 원통형, 정 사면체, 정육면체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의되지 않은 형태에서도 상부가 개방되고, 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면 통상의 용기 몸체(110)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수용부(120)는 용기 공간(111)의 내부에 탈착될 수 있는 수용체(121), 수용 브라켓(123), 그리고 수용 지지체(125)를 포함한다. 수용체(1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체 공간(122)을 가지고 있다. 수용체(121)는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탈착될 수 있으며, 용기 공간(111)을 나눌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수용체 공간(122)에는 액상이나 고상의 물질이 담겨질 수 있다. 즉, 수용체(121)는 용기 몸체(110)의 형상에 따라 용기 공간(111)을 나누어 각각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체 공간(122)을 가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121)는 용기 공간(1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수용체 공간(122)은 용기 공간(111)이 나뉘어 지도록 수용체(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몸체(110)에 수용체(121)가 설치되면 하나의 용기 공간(111)이 수용체 공간(122)과 용기 공간(111)으로 각각 분할되어 각각의 공간에 다양한 물질이 담길 수 있다.
수용 브라켓(123)은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탈착될 수 있다. 수용 브라켓(123)의중앙에는 용기 공간(111)과 관통되어 있는 용기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브라켓(123)의 하부 일측에는 수용체(121)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 브라켓(123)은 수용체(1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공(124)은 일측에 수용체 공간(122)과 연통되어 있으며, 타측은 관통되어 있다. 수용 브라켓(123)은 일체로 형성된 수용체(121)가 용기 공간(111)에 삽입되면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된다. 수용 브라켓(123)이 장착되면 용기공(124)의 관통된 타측은 용기 공간(111)과 연통된다. 수용 브라켓(123)은 용기 몸체(110)에 장착되어 수용체(121)를 용기 공간(11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지지시킨다. 용기 공간(111)과 수용체 공간(122)에 각각 수용된 액상 또는 고상의 물질은 연통된 용기공(124)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수용 브라켓(123)은 용기 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삽입된 수용체(121)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브라켓(123)은 수용체(121)를 용기 몸체(110)에 탈착시킬 수 있으며, 수용체(121)를 용기 몸체(1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수용 지지체(125)는 수용 브라켓(123)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으며, 용기 몸체(110)의 상부 바깥 둘레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 지지체(125)는 수용 브라켓(123)을용기 몸체(110)에 장착될 때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용기 몸체(110)에 수용 브라켓(123)을 지지 시킨다. 따라서, 수용 브라켓(123)이 용기 몸체(110)에 장착되면 일체로 형성된 수용체(121)는 용기 공간(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 지지체(125)는 용기 몸체(110)의 상부의 바깥 둘레 측면에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된 수용체(121)와 수용 브라켓(123)을 지지시킨다. 수용 지지체(125)에는 용기 몸체(1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6)는 용기 몸체(110)에 수용 지지체(125)가 삽입되면 용기 몸체(110)의 상부 바깥 둘레 접촉된다. 돌출부(126)는 수용 브라켓(123)의 장착 시에 용기 몸체(110)에 접촉되면서 수용 지지체(125)가 삽입 지지된다.
또한, 수용부(12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의 다른 수용부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수용체(121)는 용기 몸체(110)의 형태에 따라 용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체(121)와 일체로 형성된 수용 브라켓(123)은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용기 몸체(110)에 탈착될 수 있다. 즉, 용기 몸체(110)는 통상의 용기의 형태를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체(121)도 용기 몸체(110)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용체(121)는 용기 공간(111)을 나누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체 공간(122)을 가진다. 수용체는 용기 공간(111)을 나눌 수 있는 공간 비율이 정해져 있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할되는 비율이 결정되고, 결정된 비율에 따라 수용체(121)의 크기가 결정된다. 크기가 결정된 수용체(121)는 용기 몸체(110)에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체(121)는 다양한 용기 몸체(110)에 탈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탈착에 의해 용기 공간(111)을 나눠서 다른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체 공간(122)이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는 도 5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수용부(120), 그리고 뚜껑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몸체(110)와 수용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뚜껑부(130)는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 몸체(131), 뚜껑 지지체(132), 그리고 뚜껑 수용 돌기(134)를 포함한다. 뚜껑 몸체(131)는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며, 용기 공간(111)을 개폐시킬 수 있다. 뚜껑 몸체(131)는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탈착될 수 있다. 뚜껑 몸체(131)는 용기 몸체(110)에 수용부(12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 몸체(1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뚜껑공(136)이 관통되어 있다. 뚜껑공(136)은 용기 공간(111)과 연통되어 있다. 뚜껑공(136)은 뚜껑 몸체(131)로 용기 몸체(11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내부에 수용된 물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수용체(121)가 설치된 용기 몸체(110)의 경우에는 수용체 공간(122)과 연통되는 위치에 뚜껑공(136)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체 공간(122)은 관통된 뚜껑공(136)을 통해서 수용체 공간(122) 내부에 수용된 물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뚜껑공(136)에는 빨대와 같이 물질을 인출 시킬 수 있는 도구가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뚜껑공(136)은 용기 공간(111) 및 수용체 공간(122)에 관통될 수 있는 모든 형상 및 형태가 다 포함됨으로써, 그 형상이나 형태가 제 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뚜껑 지지체(132)는 뚜껑 몸체(13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뚜껑 지지체(132)는 뚜껑 몸체(131)가 용기 몸체(110)에 장착 시에 용기 몸체(110)의 상부의 바깥 둘레에 삽입된다. 뚜껑 지지체(132)은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 삽입되어 뚜껑 몸체(131)가 지지된 상태로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수용체(121)가 설치된 용기 몸체(11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서 뚜껑 몸체(131)는 용기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진다. 뚜껑 몸체(131)가 끼워지면 뚜껑 지지체(132)는 수용 브라켓(123)의 바깥 둘레로 삽입되어 수용 지지체(125)의 외측면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수용체(121)가 설치된 용기 몸체(110)에 뚜껑 몸체(131)를 삽입시키면 뚜껑 지지체(132)는 수용 지지체(125)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뚜껑 지지체(132)에는 용기 몸체(110) 방향으로 돌출된 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돌출부(133)는 용기 몸체(110) 삽입 시에 용기 몸체(110)의 상부 바깥 둘레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한, 수용체(121)가 장착된 용기 몸체(110)의 경우에는 뚜껑 돌출부(133)가 수용 지지체(125)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뚜껑 수용 돌기(134)는 하부에 돌출되어 있다. 뚜껑 수용 돌기(134)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기설정된 간격에는 수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뚜껑 수용 돌기(134)는 수용홈(135)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홈(135)은 용기 공간(1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체(121)의 상부가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121)는 용기 몸체(110)가 고정되는 상부에 수용 브라켓(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공간(111)과 나뉘어지는 위치에 일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공간(111)에 위치한 수용체(121) 일측면의 상부는 뚜껑 몸체(131)가 설치되면 수용홈(135)에 삽입된다. 따라서, 뚜껑 몸체(131)가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몸체(110)에 설치되면 수용홈(135)에 수용체(121)가 고정되어 수용체(121)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는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몸체(110) 및 수용부(120)의 일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수용체(121)는 개방된 상부에 수용체 공간(122)을개폐시킬 수 있는 수용 커버(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용체 공간(122)에 물질이 담긴 상태에서 수용체는 수용 커버(127)로 폐쇄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 커버(127)를 개방시켜 수용체 공간(122)의 내부 물질을 인출시킬 수 있다.
수용체 공간(122)에는 냉온 발생수단(140)이 수용될 수 있다. 냉온 발생수단(140)은 냉기 또는 온기가 발생되는 물질이 포함된다. 냉기가 발생되는 물질은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온기가 발생되는 물질은 활성탄, 소금 및 철분이 포함된 발열 분말이나 액상의 발열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냉온 발생수단(140)은 통상의 냉기 또는 온기가 발생되는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온 발생수단(140)은 수용 커버(127)로 개폐되는 수용체 공간(122)에 담길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냉온 발생수단(140) 중에 냉기 또는 온기가 발생되는 수단을 수용체 공간(122)에 수납한 상태로 수용 커버(127)로 수용체(121)를 폐쇄시킨다. 폐쇄된 수용체(121)는 용기 몸체(110)에 장착된 상태로 용기 공간(111)에 수용되는 물질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시킨다. 따라서,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물질의 냉기 또는 온기를 장시간 유지 시킬 수 있다. 이런, 냉온 발생수단(14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의 다른 수용부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10 : 용기 몸체
111 : 용기 공간 120 : 수용부
121 : 수용체 122 : 수용체 공간
123 : 수용 브라켓 124 : 용기공
125 : 수용 지지체 126 : 돌출부
127 : 수용 커버 130 : 뚜껑부
131 : 뚜껑 몸체 132 : 뚜껑 브라켓
133 : 뚜껑 돌출부 134 : 뚜껑 수용 돌기
135 : 수용홈 136 : 뚜껑공
140 : 냉온 발생수단

Claims (6)

  1.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용기 공간을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공간이 나누어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체 공간을 가지고 있는 수용체,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에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용기 공간과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수용 브라켓,
    상기 수용 브라켓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수용 지지체,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뚜껑공을 가지는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의 바깥 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뚜껑 돌출부를 가지는 뚜껑 브라켓, 그리고
    상기 뚜껑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수용홈을 가지도록 서로 떨어져 있는 뚜껑 수용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수용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에 탈착 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 브라켓을 상기 용기 몸체의 설치 시에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의 바깥 둘레에 접촉되어 상기 수용 브라켓이 상기 용기 몸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수용 돌기는 상기 용기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수용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뚜껑공은 상기 수용 브라켓이 상기 용기 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수용체 공간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수용 커버를 더 구비하는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 커버로 개폐되는 상기 수용체 공간의 내부에는 냉기 및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냉온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2020090001222U 2009-02-04 2009-02-04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200445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22U KR200445756Y1 (ko) 2009-02-04 2009-02-04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22U KR200445756Y1 (ko) 2009-02-04 2009-02-04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756Y1 true KR200445756Y1 (ko) 2009-08-28

Family

ID=4135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222U KR200445756Y1 (ko) 2009-02-04 2009-02-04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08Y1 (ko) * 2014-06-16 2014-11-07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KR20180001239U (ko) * 2016-10-24 2018-05-03 창훙 천 개선된 음료컵 구조
USD1022694S1 (en) 2021-05-24 2024-04-16 The Bazooka Companies, Llc Container inse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671U (ja) 1982-08-27 1984-02-29 日本酸素株式会社 食品収納容器
JPH11165770A (ja) * 1997-12-03 1999-06-22 Rispakku Kk 麺用包装用容器
JP2001072071A (ja) 1999-09-02 2001-03-21 Toshiya Nakatani 容 器
KR200250105Y1 (ko) * 2001-05-31 2001-11-16 조용문 물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671U (ja) 1982-08-27 1984-02-29 日本酸素株式会社 食品収納容器
JPH11165770A (ja) * 1997-12-03 1999-06-22 Rispakku Kk 麺用包装用容器
JP2001072071A (ja) 1999-09-02 2001-03-21 Toshiya Nakatani 容 器
KR200250105Y1 (ko) * 2001-05-31 2001-11-16 조용문 물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08Y1 (ko) * 2014-06-16 2014-11-07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WO2015194715A1 (ko)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KR20180001239U (ko) * 2016-10-24 2018-05-03 창훙 천 개선된 음료컵 구조
KR200487858Y1 (ko) 2016-10-24 2018-11-13 창훙 천 개선된 음료컵 구조
USD1022694S1 (en) 2021-05-24 2024-04-16 The Bazooka Companies, Llc Container inse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78B1 (en) Compartmentalized portable cooler with cooling gradient
KR200445756Y1 (ko)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US20040058038A1 (en) Lunch box capable of blastfrozen preservation
JP2011527743A (ja) 熱エネルギー貯蔵容器
RU2006146806A (ru) Самостоятельно нагреваемый или охлажд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US6668579B1 (en) Container with refillable core
JP5191706B2 (ja) 収容箱、収容箱セット、および冷却庫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JP3187215U (ja) 食品用保冷保温容器
KR20110100211A (ko) 힌지뚜껑을 구비한 용기
KR101472955B1 (ko) 도시락 용기
KR200486363Y1 (ko) 육류용 포장상자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KR100566864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KR102101423B1 (ko) 물병 보냉용기
KR20140054577A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KR101687766B1 (ko) 아이스박스 겸용 항아리
KR20200014144A (ko) 고기류 배달을 위한 보온유지용 밀봉 패킹 구조
KR20110049985A (ko) 단위 팩 포장용기
JP3238062U (ja) 水素発生容器
KR101062379B1 (ko) 질소 가스가 충전된 상자
KR200315366Y1 (ko) 휴대용 아이스박스
KR100750230B1 (ko) 김치통
KR200357258Y1 (ko) 기능성 도시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