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230B1 - 김치통 - Google Patents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230B1
KR100750230B1 KR1020010068008A KR20010068008A KR100750230B1 KR 100750230 B1 KR100750230 B1 KR 100750230B1 KR 1020010068008 A KR1020010068008 A KR 1020010068008A KR 20010068008 A KR20010068008 A KR 20010068008A KR 100750230 B1 KR100750230 B1 KR 10075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container
lid
air in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038A (ko
Inventor
최강헌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2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10)와, 상기 수용용기(10)의 상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뚜껑(20)으로 구성된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바깥쪽에 공기주입구(22)를 형성하고, 뚜껑(20)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22)와 연결된 에어백(24)을 구비하여, 김치를 소비함에 따라 김치통 내에 생기는 공간을 상기 에어백(24)이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통 내에 잔류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김치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김치통을 제공한다.
김치통, 수용용기, 뚜껑, 공기주입구, 에어백, 몸체면, 끼움부, 마개

Description

김치통{Kim-chi vesse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김치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 뚜껑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의 내부에 김치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용용기 20 : 뚜껑
22 : 공기주입구 23 : 마개
24 : 에어백 26 : 몸체면
28 : 끼움부
본 발명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통 뚜껑의 바깥쪽에 공기주입구를 형성하고, 김치통 뚜껑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결된 에어백을 구비하여, 김치를 꺼냄에 따라 생기게 되는 김치통 내부의 공간을 상기 에어백이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의 양이 줄어들면서 생기는 김치통내의 공간에 공기가 최소한으로 머물게 하여 김치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의 음식중에는 배추나 무와 같은 야채류에 각종 양념을 첨가한 다음, 이를 적절히 숙성시켜 만든 딤채류가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딤채류 중에서도 특히, 김치는 아주 오래전부터 애용해 오는 발효 식품으로서, 추운 겨울철에는 많은 양의 김치를 저장하였다가 조금씩 꺼내 먹기도 하였다.
냉장고가 없었던 과거에는 더운 여름철에 김치를 저장하기가 상당히 힘들었으나, 냉장고의 등장으로 여름철에도 보다 오랜 기간동안 김치를 보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김치만을 위한 전용으로 냉장고의 원리를 이용하여 김치를 숙성하고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저장고(혹은 김치냉장고)가 개발되었는바, 김치저장고는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김치를 적당히 숙성시킨 다음,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나 김치저장고에 김치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김치통에 김치를 넣은 후 저장실에 보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김치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종래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김치통은 재질이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됨과 더불어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2)와, 상기 수용용기(2)의 상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수용용기(2)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된 뚜껑(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용기(2)의 양 측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6)가 형성되고, 수용용기(2)의 밑면과 네 개의 측면은 무거운 김치를 안전하게 담을 수 있도록 소정두께의 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용용기(2)의 내부에 김치를 넣고 뚜껑(4)을 닫아 밀폐시킨 뒤 냉장고나 김치저장고의 저장실에 보관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저장실로부터 꺼내어 김치를 필요한 양만큼 꺼내 먹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김치통에 의하면, 김치를 김치통 내부에 가득히 저장할 때에는 그다지 쉽게 김치가 공기에 의해 발효되자 않아 신선한 김치를 사용자가 먹을 수 있지만, 김치를 소비함에 따라 꺼내 먹는 양만큼 김치통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면 빈 공간에 공기가 머물게 되어 공기에 의해 김치가 시게되어 김치의 맛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김치가 물러지는 연부현상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뚜껑으로 구성된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바깥쪽에 공기주입구를 형성하고, 뚜껑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결된 에어백을 구비하여, 김치를 소비함에 따라 김치통내에 생기는 공간을 상기 에어백이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통내에 잔류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김치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김치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뚜껑으로 구성된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바깥쪽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뚜껑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결된 에어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통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뚜껑은 그 모서리부가 몸체면에 대해 상부로 돌출되어 수용용기의 모서리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면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가 상기 끼움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 뚜껑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10)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뚜껑(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뚜껑(20)의 바깥쪽에는 공기주입구(22)가 형성되고, 뚜껑(20)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주입구(22)와 연결된 에어백(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22)의 입구를 막을 수 있는 마개(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모서리부는 몸체면(26)에 대해 상부로 돌출되어 수용용기(10)의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28)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바깥쪽에는 공기주입구(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주입구(22)는 몸체면(26)의 일측에 형성되며, 뚜껑(20)의 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끼움부(28)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2)의 상부 입구에 마개(23)가 끼워져 밀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구(22)는 뚜껑(20)의 몸체면(26)을 관통하여 이어지는데, 뚜껑(20)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주입구(22)와 연결된 에어백(2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24)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재로써, 뚜껑(20)의 몸체면(26)과 같은 크기를 가지면서 몸체면(26)의 내측에 밀 착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의 내부에 김치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은, 뚜껑(20)의 바깥쪽에 공기주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2)에 연결된 에어백(24)이 뚜껑(20)의 안쪽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모서리부가 몸체면(26)에 대해 상부로 돌출되어 끼움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면(26)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2)가 상기 끼움부(28)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김치통의 수용용기(10)에 김치를 넣은 뒤 뚜껑을 닫아 내부를 밀폐시켜 보관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의 내부에 김치(30)가 가득 채워진 경우에는 상기 뚜껑(20)의 안쪽에 구비된 에어백(2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적은 부피를 차지하며 놓이게 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김치(30)를 일정량 꺼내어 소비하게 되면 수용용기(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뚜껑(20)의 바깥쪽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2)의 마개(23)를 열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공기주입구(22)와 연결된 에어백(24)에 공기가 공급되어 에어백(24)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그러므로, 김치(30)를 꺼냄에 따라 생기는 김치통내의 빈 공간에 공기가 최 소한으로 머물게 되어 김치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바깥쪽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2)는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부(28)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김치통을 상부로 여러개 포개어 보관할 때에 상기 공기주입구(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통에 의하면, 김치통의 뚜껑 바깥쪽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결된 에어백이 구비되어, 김치를 소비함에 따라 김치통내에 생기는 공간을 상기 에어백이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통내에 잔류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김치에 연부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김치를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용기(10)와, 상기 수용용기(10)의 상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뚜껑(20)으로 구성된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바깥쪽 일측에 공기주입구(22)가 형성되고, 뚜껑(20)의 안쪽에 상기 공기주입구(22)와 연결된 에어백(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몸체면(26)에 대해 모서리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용기(10)의 모서리부에 끼워지는 끼움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면(26)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2)가 상기 끼움부(28)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22)의 상부 입구에 끼워지는 마개(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통.
KR1020010068008A 2001-11-01 2001-11-01 김치통 KR10075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008A KR100750230B1 (ko) 2001-11-01 2001-11-01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008A KR100750230B1 (ko) 2001-11-01 2001-11-01 김치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038A KR20030037038A (ko) 2003-05-12
KR100750230B1 true KR100750230B1 (ko) 2007-08-17

Family

ID=2956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008A KR100750230B1 (ko) 2001-11-01 2001-11-01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35B1 (ko) * 2019-01-17 2020-07-15 이규성 기능성 누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038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190A (en) Heating and cooling lunch box with intake air opening
CA1142142A (en) Container for freezing and storage of foodstuffs
KR100750230B1 (ko) 김치통
KR200386492Y1 (ko) 냉장고용 김치통
JP2000060624A (ja) 保温容器
US20110236542A1 (en) Single use butter preserving container
KR200337885Y1 (ko) 아이스박스
KR200263776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CN212951751U (zh) 一种保鲜盒
KR200366160Y1 (ko) 용기
KR200282730Y1 (ko) 냉장고의 냉동실용 냉각용기
KR20030090443A (ko) 김치용기용 김치누르개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CN219361868U (zh) 一种保温型食品包装袋
US20090098258A1 (en) Disposable butter dish
JP3039414U (ja) ミネラル水パック
JP2000118548A (ja) 容 器
KR200214089Y1 (ko) 김치냉장고용 수직분할통
KR200236581Y1 (ko) 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CN206552559U (zh) 储存容器
KR200207003Y1 (ko) 농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JP2003128153A (ja) 鮮度保持箱ならびに鮮度保持方法
KR101075714B1 (ko)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JPH0340778Y2 (ko)
KR200181931Y1 (ko) 쌀통이 구비된 김치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