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63Y1 - 육류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육류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63Y1
KR200486363Y1 KR2020170001752U KR20170001752U KR200486363Y1 KR 200486363 Y1 KR200486363 Y1 KR 200486363Y1 KR 2020170001752 U KR2020170001752 U KR 2020170001752U KR 20170001752 U KR20170001752 U KR 20170001752U KR 200486363 Y1 KR200486363 Y1 KR 200486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protrusion
wall
cool ai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전북한우협동조합
김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한우협동조합, 김수일 filed Critical 전북한우협동조합
Priority to KR2020170001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에서 아이스팩이 입체적으로 장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육류에 냉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의 신선도 유지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육류용 포장상자{PACKAGING BOX FOR MEAT}
본 고안은 육류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좌우로 냉기가 공급됨으로써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의 신선도 유지가 매우 우수한 육류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포장상자에 드라이아이스나 얼름, 아이스팩 등을 넣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가 장거리 이동에도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선물용이나 산지에서 직접 포장되어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육류의 신선도 유지가 특히 중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5036호 "스티로폼 식품포장상자" 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식품상자 내부에 드라이아이스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식품지지판을 놓아 식품상자 덮개로 덮으면 드라이아이스가 기화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서서히 배출하여 냉장 역할을 함으로써 식품의 변질을 억제하여 신선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도달시키도록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5036호 "스티로폼 식품포장상자"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좌우로 냉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어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의 신선도 유지가 매우 우수한 육류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제1 단차(21)를 형성하는 제1 돌부(20); 상기 몸체(10)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벽체를 더 두껍게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의 내벽면에 걸림턱(31)을 형성하는 돌출벽부(30);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열되어 육류를 수납하며,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되는 걸림부(43)가 돌출 형성된 용기들(40);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된 상기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개폐하며, 제1 아이스팩들(1)이 안치되는 중간판(50); 상기 중간판(50)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1 아이스팩(1)의 냉기가 상기 용기들(4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는 통공를 형성하는 구멍들(60); 서로 대향하는 상기 돌출벽부(3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들(40) 사이로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1 측면돌기들(70);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돌출벽부(30)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제1 측면홈들(80);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몸체(10)의 바닥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4 아이스팩(7)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바닥홈들(90); 하면(111)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하는 덮개(110); 및 상기 덮개(110)의 개구된 하면(111)의 테두리에 상기 제1 돌부(20)와 대응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차(21)를 포개는 제2 단차(121)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1)(3)(5)(7)의 냉기 누출을 차단하는 제2 돌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들(1)(3)(5)(7)이 상기 용기들(40)을 상하좌우에서 감싸 냉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판(5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된 상기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상기 중간판(50)을 받치는 받침돌기(51)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51)는 상기 용기들(40)로부터 상기 중간판(50)이 닿지 않게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들(40)이 바닥판 모양으로 배열시 그 격자점 위치에 상기 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열십(十)자 모양의 십자돌기(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벽부(30)를 가로질러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분할벽(1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분할벽(140)에는 상기 제1 측면돌기들(70)과 대응하여 상기 용기들(40) 사이로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2 측면돌기들(150)이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분할벽(140)에는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제2 측면홈들(160)이 더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좌우에서 냉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의 신선도 유지가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육류용 포장상자는 각 구성요소가 보온 보냉이 우수한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상면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룬다.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에는 제1 돌부(20)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돌부(20)는 몸체(10)의 내부와 접하는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 안쪽에 돌출 형성되어 제1 단차(21)를 형성한다.
몸체(10)의 내벽면에는 돌출벽부(30)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벽부(30)는 몸체(10)의 내벽면으로부터 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몸체(10)의 벽체를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몸체(10)의 강도를 증진하여 충격 등으로부터 구조적 견고성을 꾀하고 보냉의 효과를 높이며, 몸체(10)의 내벽면에 걸림턱(31)을 형성한다. 돌출벽부(30)는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 보다 낮게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벽면으로부터 걸림턱(31)을 형성한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용기들(40)이 수납된다. 용기들(40)은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몸체(10)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열되어 육류(M)를 수납한다. 용기들(40)의 상부에는 걸림턱(31)에 적치되는 걸림부(43)가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31)에 적치된 걸림부(43)에 의해 용기들(40)이 안정적으로 수납된다.
예를 들면, 용기들(40)의 내벽면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육류(M)는 그 돌부와 접하며, 육류(M)와 접하지 않고 들뜬 돌부의 사이 사이로 냉기가 흘러 육류에 골고루 전달됨으로써,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돌부는 용기들(40)의 벽면이 내부 쪽으로 융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용기들(40)의 외벽면에는 홈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그 홈으로 인해 용기들(40)은 냉기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됨과 아울러 그 홈에 냉기가 모여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판상형의 중간판(50)을 포함한다. 중간판(50)은 걸림턱(31)에 적치된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몸체(10)의 내부를 개폐하여 몸체(10) 내부의 냉기 유출을 막아 신선도를 더 증진시키고, 걸림부(43)를 눌러 용기들(40)을 고정하며, 제1 아이스팩들(1)이 안치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한다.
중간판(50)의 하부에는 걸림턱(31)에 적치된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중간판(50)을 받치는 받침돌기(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받침돌기(51)는 용기들(40)로부터 중간판(50)을 닿지 않게 이격시켜, 산소포장으로 부풀어 오른 용기들(40)의 상부가 중간판(50)에 눌려 터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중간판(50)에는 다수개의 구멍들(60)이 형성된다. 구멍들(60)은 용기들(40)과 각각 대응하게 형성되어 중간판(50) 위에 적치된 제1 아이스팩(1)의 냉기가 각 용기들(40)로 공급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한다.
중간판(50) 위에 적치된 제1 아이스팩(1)의 냉기는 구멍들(60)을 통해 용기들(40)로 각각 공급되며, 용기들(40)의 상부로 강하게 공급된다. 또한, 아이스팩(1)의 냉기는 용기들(40)의 돌부의 사이 사이로 흘러 육류(M)에 골고루 전달됨으로써,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돌출벽부(30)에는 제1 측면돌기들(70)이 돌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돌기들(70)은 서로 대향하는 돌출벽부(3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용기들(40) 사이에 위치한다.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돌기들(70)의 사이에는 용기들(40) 사이로 용기들(40)에 냉기를 측면 공급하는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그 위치를 고정한다.
용기들(40)이 2×2 행렬(도 2 참조), 3×2 행렬, 4×2 행렬, 3×3 행렬, 4×4 행렬 등과 같이 바닥판 모양으로 배열시 그 격자점 위치에 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열십(十)자 모양의 십자돌기(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아이스팩(3)은 십자돌기(130)와 제1 측면돌기들(70) 사이 및 십자돌기들(130) 사이에 위치하여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고,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함과 아울러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측면돌기들(70) 사이, 십자돌기(130)와 제1 측면돌기들(70) 사이, 및 십자돌기들(130) 사이에 위치한 제2 아이스팩(3)의 냉기는 적어도 용기들(40)의 2개 이상의 측면들로 강하게 공급되어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아이스팩(3)은 용기들(40)의 지지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는 돌출벽부(30)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분할벽(140)에 의해 구획 분할될 수 있고, 분할벽(140)에는 제1 측면돌기들(70)과 대응하여 용기들(40) 사이로 용기들(40)에 냉기를 측면 공급하는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2 측면돌기들(15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분할벽(140)으로 구획된 어느 1개 이상의 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용기들(40)이 바닥판 모양을 이룰 경우, 바닥으로부터 1개 이상의 십자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제1 측면돌기들(70)과 십자돌기(130) 사이, 제2 측면돌기들(150)과 십자돌기(130) 사이, 및 십자돌기(130) 사이에 제2 아이스팩(3)이 위치하여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돌출벽부(30) 및 분할벽(140)에는 제1 및 제2 측면홈들(80)(16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측면홈들(80)은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돌출벽부(30)에 요입 형성되어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하며, 제2 측면홈들(160)은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분할벽(140)에 요입 형성되어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한다.
제1 및 제2 측면홈들(80)(160)에 각각 수납된 제3 아이스팩(5)의 냉기는 제2 아이스팩(5)과 대응하지 않은 각 용기들(40)의 나머지 측면들에 강하게 공급되어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아이스팩(5)은 용기들(40)의 지지로 수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몸체(10)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바닥홈들(90)이 형성된다. 바닥홈들(90)은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몸체(10)의 바닥에 요입 형성되어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4 아이스팩(7)을 수용 수납한다. 바닥홈들(90)에 각각 수납된 제4 아이스팩(70)의 냉기는 각각의 용기들(40)의 하부에 강하게 공급되어 육류(M)의 신선도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은 덮개(110)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110)는 하면(111)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한다.
이때, 덮개(110)의 개구된 하면(111)의 테두리에는 제1 돌부(20)와 대응하는 제2 돌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돌부(120)는 덮개(110)의 개구된 하면(111)의 테두리에 제1 턱(21)을 포개는 제2 턱(121)을 형성하여 절곡진 접면을 만들고, 그 굴곡진 접면을 통해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1)(3)(5)(7)의 냉기 외부 누출을 차단한다.
용기들(40)의 바닥 중앙에는 육류를 안치하는 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그 돌부에 의해 용기들(40)의 바닥에는 돌부를 감싸는 홈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용기들(40)에 담긴 육류(M)는 돌부 위에 안치되고, 육류(M)로부터 핏물 등의 액체는 홈부에 고인다. 따라서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M)로부터 핏물 등의 액체로 인해 육류(M)의 신선도와 품질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돌부는 용기들(40)의 하부에 바닥홈들(90)과 대향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들(40)의 바닥으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돌부가 융기됨으로써 형성된 홈에는 제4 아이스팩(7)의 냉기가 모이고 용기들(40)의 하부가 냉기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육류(M)의 하측에 강한 냉기가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들(40)을 상하좌우에서 감싸는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들(1)(3)(5)(7)에 의해, 상하좌우에서 냉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므로, 장거리 이동에도 육류(M)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3,5,7: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
10: 몸체 20: 제1 돌부
21: 제1 단차 30: 돌출벽부
31: 걸림턱 40: 용기
43: 걸림부 50: 중간판
51: 받침돌기 60: 구멍
70: 제1 측면돌기 80; 제1 측면홈
90: 바닥홈 110: 덮개
120: 제2 돌부 121: 제2 단차
130: 십자돌기 140: 분리벽
150: 제2 측면돌기 160: 제2 측면홈

Claims (4)

  1. 상면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제1 단차(21)를 형성하는 제1 돌부(20);
    상기 몸체(10)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벽체를 더 두껍게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의 내벽면에 걸림턱(31)을 형성하는 돌출벽부(30);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열되어 육류를 수납하며,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되는 걸림부(43)가 돌출 형성된 용기들(40);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된 상기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개폐하며, 제1 아이스팩들(1)이 안치되는 중간판(50);
    상기 중간판(50)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1 아이스팩(1)의 냉기가 상기 용기들(40)로 공급될 수 있는 통공를 형성하는 구멍들(60);
    서로 대향하는 상기 돌출벽부(3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들(40) 사이로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1 측면돌기들(70);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돌출벽부(30)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제1 측면홈들(80);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몸체(10)의 바닥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4 아이스팩(7)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바닥홈들(90);
    하면(111)만이 개구되고 빈 공간의 내부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하는 덮개(110); 및
    상기 덮개(110)의 개구된 하면(111)의 테두리에 상기 제1 돌부(20)와 대응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차(21)를 포개는 제2 단차(121)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1)(3)(5)(7)의 냉기 누출을 차단하는 제2 돌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아이스팩들(1)(3)(5)(7)이 상기 용기들(40)을 상하좌우에서 감싸 냉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용 포장상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31)에 적치된 상기 걸림부(43) 위에 적치되어 상기 중간판(50)을 받치는 받침돌기(51)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51)는 상기 용기들(40)로부터 상기 중간판(50)이 닿지 않게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용 포장상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40)이 바닥판 모양으로 배열시 그 격자점 위치에 상기 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열십(十)자 모양의 십자돌기(13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용 포장상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부(30)를 가로질러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분할벽(1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분할벽(140)에는 상기 제1 측면돌기들(70)과 대응하여 상기 용기들(40) 사이로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아이스팩(3)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40)의 걸림부(43)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용기들(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2 측면돌기들(150)이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들(40)과 각각 대면하는 상기 분할벽(140)에는 상기 용기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3 아이스팩(5)을 수용 수납하는 다수개의 제2 측면홈들(160)이 더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용 포장상자.
KR2020170001752U 2017-04-10 2017-04-10 육류용 포장상자 KR200486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52U KR200486363Y1 (ko) 2017-04-10 2017-04-10 육류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52U KR200486363Y1 (ko) 2017-04-10 2017-04-10 육류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63Y1 true KR200486363Y1 (ko) 2018-05-04

Family

ID=6216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52U KR200486363Y1 (ko) 2017-04-10 2017-04-10 육류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19A (ko) * 2018-10-22 2020-05-04 정향인 아이스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036A (ko) 2007-01-08 2008-07-11 양경환 스티로폼 식품포장상자
KR20080005848U (ko) * 2007-05-29 2008-12-03 이재혁 보냉용 포장박스
KR20130058334A (ko) * 2011-11-25 2013-06-04 김우성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036A (ko) 2007-01-08 2008-07-11 양경환 스티로폼 식품포장상자
KR20080005848U (ko) * 2007-05-29 2008-12-03 이재혁 보냉용 포장박스
KR20130058334A (ko) * 2011-11-25 2013-06-04 김우성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19A (ko) * 2018-10-22 2020-05-04 정향인 아이스박스
KR102224982B1 (ko) * 2018-10-22 2021-03-10 정향인 아이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934B2 (en) Heavy duty cooler
US6966450B2 (en) Partitioned ice chest
JP2599802B2 (ja) 製品を0゜c又はこれに近い所期の温度に維持する方法及びこのためのコンテナ
JP2007118972A (ja) 定温保冷ボックスと定温保冷方法
KR200443141Y1 (ko) 보냉용 포장박스
KR101986745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KR200486363Y1 (ko) 육류용 포장상자
KR101336913B1 (ko) 택배용 상자
US11466920B2 (en) Ice chest organizer system
JP3211437U (ja) 保冷箱
JP2013028396A (ja) 食材宅配サービス用の保冷容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中間蓋
JP6420118B2 (ja) 保冷容器
GB2025593A (en) Cooling box
JP2008260568A (ja) 断熱容器およびその断熱容器を用いた商品の予冷低温保管流通方法
JP3436889B2 (ja) 保冷容器
JP2007050906A (ja) 保冷ボックス用物品収容枠
JP2015193388A (ja) 保冷箱
JPH0142539Y2 (ko)
JP2017047968A (ja) 果実輸送箱
JP2547635Y2 (ja) 鮮度保持用輸送容器
US20200011592A1 (en) Cooled storage container and cooler accessories
JPS5911900Y2 (ja) 生鮮物の低温輸送用容器
ES1208763U (es) Combinación de una caja para botellas de bebida y una tapa que encaja encima y el uso de una combinación de este tipo
JPH024916Y2 (ko)
KR200486290Y1 (ko) 포장공간 가변형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