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852B1 -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 Google Patents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852B1
KR101341852B1 KR1020120125761A KR20120125761A KR101341852B1 KR 101341852 B1 KR101341852 B1 KR 101341852B1 KR 1020120125761 A KR1020120125761 A KR 1020120125761A KR 20120125761 A KR20120125761 A KR 20120125761A KR 101341852 B1 KR101341852 B1 KR 10134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up
tea leaves
water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택진
Original Assignee
최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택진 filed Critical 최택진
Priority to KR102012012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잎을 더운물에 우려내 음용하도록 된 차컵으로서, 베이스패널에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 부분에는 턱부가 마련된 컵 본체와 상기 체결돌부에 끼움되고 내부에 상기 차잎이 배치되도록 공간을 갖으며,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펌핑캡와 상기 펌핑캡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손잡이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된 손잡이의 내측면이 상기 컵 본체의 외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받침캡으로 이루어져, 우려진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우려진 차잎이 상기 우림공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차잎이 물과 함께 음용되지 않으며, 우려낸 차잎을 별도로 분리 후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차잎을 우려내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 Tea cup }
본 발명은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펌핑캡의 우림공간에 차잎을 배치한 후 물을 부어 우려내 음용함으로서, 우려진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우려진 차잎이 상기 우림공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차잎이 물과 함께 음용되지 않으며, 우려낸 차잎을 별도로 분리 후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차잎을 우려내 음용할 수 있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컵과 티컵은 보통 사기로 만들었으며 손잡이가 있고, 맥주를 위한 저그는 유리로 만들되 역시 손잡이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우유나 주스를 위한 컵은 유리로 만들되 손잡이가 없다. 커피는 뜨거울 때 맛이 있기 때문에 커피컵은 되도록 천천히 식게 위가 약간 좁고 깊게 만든다.
최근 들어 웰빙이 강조되면서 마시는 것에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차 등 건강 음료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 녹차 등 우려 마시도록 되어 있는 차들은 두 가지 형태로 시판되고 있는 바, 잔에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과 티백 형태로 포장하여 우려내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잔에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의 경우 도 1에 101로 도시된 전용 찻잔을 사용하게 된다. 이 찻잔(101)은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잔 몸체(103)와 뚜껑(105) 그리고 몸체(103)와 뚜껑(105) 사이에 위치하도록 몸체(103) 상단 모서리 부분에 놓이는 로더(10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로더(107)는 몸체(103)의 위쪽에 포개져 차잎(110)을 담을 수 있도록 몸체(103)보다 직경이 약간 작고 횡단면 형상이 동일한 또 다른 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부은 물이 몸체(103)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측벽 및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109)이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찻잔(101)을 사용할 때 먼저 몸체(103) 위에 로더(107)를 올려놓고, 그 안에 적정량의 차잎(110)을 채운 후, 더운물을 부은 다음, 뚜껑(105)을 덮고, 일정 시간 동안 차잎(110)을 우러낸 뒤 로더(107)를 드러내고 마시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찻잔(101)을 이용하여 차잎(110)을 직접적으로 우려내는 경우 음용시 장착된 로더를 분리하고 음용해야 하는데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옮기는 과정에서 가열된 로더 및 로더에서 떨어지는 더운물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로더(107)의 깊이에 일정한 한계가 있으므로, 찻물(120)을 적게 부은 경우 차잎(110)을 충분히 우려낼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펌핑캡의 우림공간에 차잎을 배치한 후 물을 부어 우려내 음용함으로서, 우려진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우려진 차잎이 상기 우림공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차잎이 물과 함께 음용되지 않으며, 우려낸 차잎을 별도로 분리 후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차잎을 우려내 음용할 수 있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잎을 더운물에 우려내 음용하도록 된 차컵으로서, 베이스패널에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 부분에는 턱부가 마련된 컵 본체와 상기 체결돌부에 끼움되고 내부에 상기 차잎이 배치되도록 공간을 갖으며,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펌핑캡와 상기 펌핑캡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손잡이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된 손잡이의 내측면이 상기 컵 본체의 외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받침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캡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도록 펌핑돌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펌핑돌부의 외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턱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오링이 더 체결되어 상기 컵 본체와 상기 펑핑캡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지압충돌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 본체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양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배면에는 외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은 컵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펌핑캡의 우림공간에 차잎을 배치한 후 물을 부어 우려내 음용함으로서, 우려진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우려진 차잎이 상기 우림공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차잎이 물과 함께 음용되지 않으며, 우려낸 차잎을 별도로 분리 후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차잎을 우려내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있어, 컵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있어, 펌프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있어, 컵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에 있어, 펌프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차컵이라 명명함)은 차잎을 더운물에 우려내 음용하도록 된 차컵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차컵(10)은 컵 본체(20)와 펌핑캡(30)과 받침캡(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컵 본체(20)는 손잡이가 없으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컵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패널(21)에 다수의 통수공(22)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저면부(211)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체결돌부(211a)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211)의 테두리 부분에는 턱부(211b)가 마련된다.
상기한 컵 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컵구조로 형성되며,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펌핑캡(30)은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돌부에 억지끼움되고 내부에는 상기 차잎이 배치되도록 우림공간을 갖는다. 이때, 상기 펌핑캡의 내주연에는 상기 체결돌부(211a)의 하단부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턱부(211b)에는 환형의 체결홈(211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1b')에는 오링(50)이 더 체결되어 상기 체결돌부(211a)에 끼움,고정되는 상기 펑핑캡(30)과 상기 컵 본체(20) 사이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지압충돌돌기(23)가 더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펌핑캡(30)의 저면을 손가락으로 가압함과 아울러 펌핑하여 상기 우림공간에 배치된 차잎을 우리고 우려진 물을 상기 통수공(22)을 통행 상향으로 펌핑시키는 과정에서 가압하는 손가락이 상기 지압충돌돌기(23)에 의해 지압되고 펌핑되는 과정에서 차잎이 상기 지압충돌돌기(23)와 충돌하여 차잎을 빠른시간에 우려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캡(40)은 상기 펌핑컵(30)을 감싸면서 억지끼움되고 저면에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손잡이(42)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된 손잡이의 내측면이 상기 컵 본체의 외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한 후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관통공(41)을 통해 상기 펌핑캡(30)의 저면을 가압하여 차잎을 우려냄과 아울러 우려진 물을 펌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캡(30)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22)에 끼움되도록 펌핑돌부(31)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펌핑돌부(31)의 외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311)가 더 형성된다. 상기 펌핑돌부(31)는 반원형의 돌기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펌핑돌부(31)는 상기 관통공(41)에 끼움되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압에 의해 펌핑됨과 아울러 상기 지압돌기(311)에 의해 가압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압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차잎을 상기 펌핑캡(30) 내부의 우림공간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펌핑캡(30)을 컵 본체의 체결돌부(211a)을 감싸면서 끼운 다음 받침캡(40)을 상기 펌핑캡(40)에 억지끼움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컵 본체(20)로 뜨거운 물을 부어 상기 통수공(22)을 통해 상기 우림공간과 상기 컵 본체2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물을 충진시킨 후 손가락으로 상기 펌핑돌부(31)를 가압하여 우림공간의 차잎을 우림과 아울러 우려진 물을 상기 통수공(22)을 통해 상기 컵 본체(20) 내부로 펌핑하게 되고, 사용자는 우려진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펌핑캡의 우림공간에 차잎을 배치한 후 우려내 음용함으로서, 우려진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우려진 차잎은 상기 우림공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차잎이 물과 함께 음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우려낸 차잎을 별도로 분리 후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손잡이(42)의 배면이 상기 컵 본체(20)의 외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2)를 파지한 후 우려진 물을 음용하도록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컵 본체(2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421)가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끼움돌기(421)의 양측면에 안내돌기(422)를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42)의 배면에는 외면에 상기 끼움돌기(421)가 끼움되도록 끼움홈(24)을 형성시키고, 상기 끼움홈(24)에는 상기 안내돌기(422)가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홈(241)을 더 형성시켜, 반복적인 사용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잡이(42)가 상기 받침캡(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차컵 20 : 컵 본체
30 : 펌핑캡 40 : 받침캡
50 : 오링 21 : 페이스패널
211 : 저면부 211a : 체결돌부
211b : 턱부 211b' : 체결홈
22 : 통수공 23 : 지압출돌돌기
24 : 끼움돌기 241 : 안내돌기
31 : 펌핑돌부 311 : 지압돌기
41 : 관통공 42 : 손잡이
421 : 끼움홈 422 : 안내홈

Claims (5)

  1. 차잎을 더운물에 우려내 음용하도록 된 차컵으로서,
    베이스패널에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 부분에는 턱부가 마련된 컵 본체;
    상기 체결돌부에 끼움되고 내부에 상기 차잎이 배치되도록 공간을 갖으며,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펌핑캡; 및
    상기 펌핑캡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손잡이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된 손잡이의 내측면이 상기 컵 본체의 외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받침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캡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도록 펌핑돌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펌핑돌부의 외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오링이 더 체결되어 상기 컵 본체와 상기 펑핑캡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지압충돌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양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배면에는 외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KR1020120125761A 2012-11-08 2012-11-08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KR101341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61A KR101341852B1 (ko) 2012-11-08 2012-11-08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61A KR101341852B1 (ko) 2012-11-08 2012-11-08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852B1 true KR101341852B1 (ko) 2014-01-02

Family

ID=5014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61A KR101341852B1 (ko) 2012-11-08 2012-11-08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3216A (zh) * 2018-02-28 2018-06-12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组合式便携功夫泡茶杯
CN111631575A (zh) * 2020-06-15 2020-09-08 泉州睿郎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磁控式水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A (ja) * 1990-06-26 1993-01-08 Junichi Tomisu 携帯用コツプ
JPH0655473U (ja) * 1991-12-25 1994-08-02 万左江 秦 茶葉の入ったカップ
JP3123772U (ja) * 2006-05-16 2006-07-27 喜美子 山口 携帯用日本茶セット
JP2006248610A (ja) 2005-03-11 2006-09-21 Tadashi Koyaizu 飲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A (ja) * 1990-06-26 1993-01-08 Junichi Tomisu 携帯用コツプ
JPH0655473U (ja) * 1991-12-25 1994-08-02 万左江 秦 茶葉の入ったカップ
JP2006248610A (ja) 2005-03-11 2006-09-21 Tadashi Koyaizu 飲用容器
JP3123772U (ja) * 2006-05-16 2006-07-27 喜美子 山口 携帯用日本茶セ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3216A (zh) * 2018-02-28 2018-06-12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组合式便携功夫泡茶杯
CN111631575A (zh) * 2020-06-15 2020-09-08 泉州睿郎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磁控式水杯
CN111631575B (zh) * 2020-06-15 2021-09-03 泉州睿郎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磁控式水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4645S1 (en) Press beverage brewer
USD808720S1 (en) Fruit infusion straining drinking bottle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060249035A1 (en) Structure of mocha coffee maker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KR101341852B1 (ko)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WO2016038568A1 (en) A disposable lid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CN208481009U (zh) 一种可装两种饮料的饮料杯
KR200455115Y1 (ko) 휴대가 용이한 와인 잔
KR101926670B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CN105615467B (zh)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US20160045058A1 (en) Container having filter
CN203662446U (zh) 一种新型过滤茶杯
WO2015186876A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160016063A (ko) 일회용 다기 세트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101391783B1 (ko) 이중 컵
CN211657886U (zh) 一种硅胶杯
CN204467651U (zh) 多功能组合茶具
TWM539872U (zh) 具有擋板的壺具
KR20130005318U (ko) 차를 우려내는 컵
CN206659603U (zh) 一种茶壶茶杯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