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211B1 -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211B1
KR101611211B1 KR1020150057650A KR20150057650A KR101611211B1 KR 101611211 B1 KR101611211 B1 KR 101611211B1 KR 1020150057650 A KR1020150057650 A KR 1020150057650A KR 20150057650 A KR20150057650 A KR 20150057650A KR 101611211 B1 KR101611211 B1 KR 10161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outer container
flow guid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허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영 filed Critical 허재영
Priority to KR102015005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용기에 수용되는 다층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는 내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내용기의 하단측은 외용기의 하단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내용기의 상단측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연질의 체크밸브를 형성하여 외용기를 짜낼 때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은 체크밸브를 밀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용기의 외압을 제거할 때에는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복원되어지되 내용기측으로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내용기 하단이 외용기 하면과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되어 내용기가 말려 올라가며 내용물을 배출하지 않고 펴진 상태로 체적이 줄어들며 내용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전량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The whole quantity consumption type tools}
본 발명은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용기에 수용되는 다층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는 내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내용기의 하단측은 외용기의 하단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내용기의 상단측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연질의 체크밸브를 형성하여 외용기를 짜낼 때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은 체크밸브를 밀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용기의 외압을 제거할 때에는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복원되어지되 내용기측으로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내용기 하단이 외용기 하면과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되어 내용기가 말려 올라가며 내용물을 배출하지 않고 펴진 상태로 체적이 줄어들며 내용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전량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겔이나 크림 상태의 세제, 화장품, 식품, 의약품, 치약 등을 수용하는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들은 사용 특성상 전량의 사용이 어려워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용기를 절개한 후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고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일부 남겨지게 되는 잔량은 모두 사용하지 못한 채 용기와 함께 폐기되는 실정이어서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 및 문제점 등이 제기되고 있어 그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인 무잔량 튜브 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튜브 용기 내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하게 배출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피스톤 및 하부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하부 커버부재와 피스톤을 밀면서 내용물을 짜내게 되는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용기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캡(마개)에 진공펌프를 구성하여 펌핑 작업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이 용기의 바닥면까지 닿아 용기 바닥에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는데, 관의 내부와 외측에 내용물이 상당량 잔존하게 되고 용기 내측면과 바닥면에도 잔량이 다수 존재하여 완전하게 잔량을 사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되는 경제적 부담 또한 존재한다.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2014.12.0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용기를 외용기와 내용기로 구분하고 상기 내용기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필름으로 구성하여 내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용기 상부의 목부측에 결합되는 캡의 내부로 연질의 체크밸브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외용기를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내용기가 압착되며 내용물이 체크밸브를 가압하며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되어지되, 내용기의 하단측이 외용기 하단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내용기의 체적이 줄어드는 현상에 따라 위쪽으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배제하며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기 내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와 내용기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통기공이, 외용기를 가압할 때에는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된 상태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내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 제공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압 과정에 의한 내용물 취출 과정이 끝난 후 외용기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외용기 하단측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흐름을 갖도록 하여, 내용기의 내부 내용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용물 취출에 의한 사용이 원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방으로 목부(111)를 이루고 하단부의 바닥면에는 성형 사출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중앙선의 양측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절개부(112)와 접합부(113)를 갖는 외용기(110),
상기 외용기(110) 내부에서 박리 되며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부(111) 내측으로 상부가 접합 되고, 하부는 상기 외용기(110)의 접합부(113)에 삽입되며 접합 고정되는 내용기(120),
상기 목부(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가이드부(140),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의 상단측을 외용기(110)의 가압에 따라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의 공간(130)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 되는 내용기(120) 내부 내용물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가이드부(140) 상면을 개방하도록 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유로가이드부(140) 상면을 차폐하는 연질의 체크밸브(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목부 및 캡의 내부를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용기를 가압하여 내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 잔량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단캡이 적용되는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각각의 도면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채택되는 유로가이드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단캡 실시예에서 단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외용기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내용기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되, 외용기의 하단측 절개부에는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함입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내용기 내용물을 사용한 후 외용기의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외용기 하단측 절개부에서 외기가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용기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의해 박막 형태의 내용기 하단부가 외용기 접합부에 고정되어 있어 얇은 박막형태로 상호 접하는 상태에서 내용기 내용물이 소진 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이중캡에 적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2실시예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의해 결합 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도 10에 의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내용기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외용기를 가압하여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의해 내용기 내용물이 사용되며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며 충진되는 예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용기'는 생활용품, 의학용품이나 식품 및 화장품 등 액상이나 겔상으로 되는 내용물 종류를 수용하는 용기를 통틀어 지칭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채택되는 용기의 경우 기존의 원형태의 용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원형을 포함하는 타원형이나 기타 다각형태의 용기로 적용 가능할 수 있는바,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부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용기의 디자인이 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이, 내용물을 완전히 사용하여 잔량이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을 이루는 용기(100)는 외용기(110)와 내용기(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110)와 내용기(120)의 상단측은 상호 접합 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목부(111)의 내부에 유로가이드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에는 체크밸브(160)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용기(100)는 외용기(110)와 내용기(120)로 구분되며, 외용기(110)는 탄력 및 복원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용기(120)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기(120)는 전술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그 박막 필름을 단층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복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상단부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용기(110)의 내측면과 내용기(120) 외측은 서로 접합되지 않은 박리 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기(120)의 내용물을 사용할 때 마다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용기(120) 하단부는 외용기(110)의 하단부측 접합부(113)에 삽입되며 접합 고정 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외용기(110)의 접합부(113)라는 것은, 외용기(110)를 성형 사출할 때 상하부 금형 내부로 수지가 주입, 경화된 후 금형을 탈형 할 때 발생 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접합부(113)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은 유형으로의 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데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은 접합부(113)의 경우에는 박말 필름 형태의 내용기(120)와 경질의 외용기(110)가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접합 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또는 이와는 달리 도 2에서와 같이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20)와 경질의 외용기(110)가 상호 원호 형태로 접합 되는 구조를 갖을 수도 있는바, 위 두가지의 형태 중 선택되는 구조에 의한 채택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접합부(113)에, 상기 내용기(120)의 하단부 즉 박막 필름으로 형성되는 내용기(120)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접합 가능하도록 하여, 외용기(110)의 탈형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용기(110)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기(120)는 상단측과 하단측은 각각 외용기(110)의 목부(111) 내부와 상기 접합부(113)에 접합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측면은 박리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면 박리 상태의 유지에 의해, 외용기(110)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내용기(120) 내부 내용물이 목부(111)를 통하여 캡(200) 토출구측으로 배출된 후, 외용기(110)는 원상태로 복원 되지만 내용기(120)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체적이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내용기(120) 외측과 외용기(110) 내측은 점진적으로 체적이 증가하게 되는 공간(130)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용기(110)를 외부로부터 가압하여 내용기(120) 내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외용기(1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체크밸브(160)가 닫혀지게 되고, 외용기(110)의 복원력에 의해 외용기(110) 하단의 절개부(112)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외용기(110)는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2)는 외용기(110)를 사출 성형할 때 발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지가 주입되는 금형의 상하부금형에 외용기(110) 하단측으로 절개부(1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입된 수지가 고형화되더라도 상기 절개부(112)는 미세한 절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절개부(112)에는 박막 형태의 내용기(120) 하단측이 함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용기(120)의 함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내용기(120) 하단이 외용기(110)의 접합부(113)에 접합 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기(120)의 하단부가 자연스럽게 절개부(112)의 위치에 놓여지게 되어 외용기(110)를 누를 때에는 내용기(120) 하단부가 절개부(112)에 함입되어지고, 외용기(1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절개부(112)에 함입되어 있는 부위가 외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용기(110)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내용기(120)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배출된 후 내용기(120)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체크밸브(160)를 채택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16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외용기(110)의 목부(111) 내부에 구비된다.
외용기(110)의 목부(111) 내측면에는 박막 필름으로 되는 내용기(120)의 상단부가 열 접합된다.
상기 목부(111) 내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160)는, 원터치 캡이라 할 수 있는 단캡과 이중캡 모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목부(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가이드부(140)와 내합 되며 결합 되는바, 먼저 유로가이드부(1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가이드부(140)는 단캡(210)에 적용되는 것과 이중캡(220)에 적용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캡에 적용되는 유로가이드부(140)는 용기(100)의 목부(111)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몸체(141) 내부 중앙을 가로지르며 구획하되 중심에 통공(143)이 형성되는 구획편(142)이 형성 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41) 하단부는 개구되어지되 몸체(141)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44)가 다수 이격 구성되어지고, 몸체(141)의 상단측은 개구되어지되 몸체(141) 상면의 주연부측으로 구성되는 상면라운드부(145)가 구비되어 용기(100)의 목부(111)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목부(111) 상단을 커버하는 상면라운드부(145)의 상면측으로는 중앙에 토출공(151)이 천공되며 하단으로 삽입편(1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41) 상부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커버판(15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의 중앙에는 체크밸브(160)가 삽입되어 유로가이드부(140)의 상면과 접하며 겔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100)를 가압하였을 때 내용물이 유로가이드부(140)의 상면으로부터 체크밸브(160)를 강제로 밀어 올려 유로가이드부(140)의 구획편(142) 통공(143)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체크밸브(16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심봉(161)의 상단측에 반원호형태의 상부차폐부(162)가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이와 대응되는 하부차폐부(163)를 이루며, 하부차폐부(163) 하방으로부터 중심봉(161)과 동일한 직경의 연장봉(164)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체크밸브(160)는 연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평상시 즉, 용기(100)의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체크밸브(160)의 상부차폐부(162)가 유로가이드부(140)의 구획편(142) 중앙에 천공되는 통공(143)을 막고 있는 상태이며, 하부차폐부(163)는 리브(144)의 하단에서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용기(100)를 가압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120)도 동시에 가압 되며 내용기(120) 내부의 내용물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유로가이드부(140)의 리브(144)와 리브(144) 사이 공간인 유로존을 통과하며 구획편(142)의 중앙측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143)측으로 내용물이 가압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내용물이 통공(143)으로 몰리며 가압하게 되면, 신장되는 연질 특성을 갖는 체크밸브(160)는 상부차폐부(162)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 되어 상기 내용물이 커버판(150) 중앙의 토출공(15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다르게 이중캡(2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캡의 구조상 상이한 구성을 갖을 수 있다.
예컨데 도 8에서는 이중캡(220)과 용기(1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듯이, 이중캡(220)은 힌지(221)에 의해서 회동되는 회동마개(222)가 구비되고 용기(100)의 목부(111)와 나사 결합 되는 나사결합부(224)를 내부에 구비하는 고정마개(22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마개(223)의 중앙에는 용기(100)의 내용물이 토출 가능하도록 하는 토출구가 상하로 각각 돌출되는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토출구는 유로가이드부(140)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중캡(220)에서의 유로가이드부(140)는 통상적인 이중캡 구조에서 토출구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유로가이드부(140)의 상측 외주면으로는 언더컷을 형성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와 내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동마개(222)의 내측 중앙에는 내부캡(226)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이중캡(220)에도 전술한 단캡(210)에서의 경우와 같은 체크밸브(160)가 적용되는데,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중캡(220)에서 고정마개(223) 중앙에 형성되는 유로가이드부(140; 토출구)의 상하를 차폐하는 상부차폐부(162)가 유로가이드부(140) 상단면을 커버하고, 하부차폐부(162)가 유로가이드부(140)의 하단을 커버하여 평상시에는 유로가이드부(140)측으로 용기(100)의 내용기(12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100)를 가압하게 되면 내압에 의해 내용기(120) 내용물을 유로가이드부(140)측으로 이동시키며 연질에 의한 신장 성질을 갖는 체크밸브(160)의 상부차폐부(162)를 밀어 올려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형태에서 변경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100)에서의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및 내용기(120)가 외용기(110) 내부에 이격 구성되며 하단부는 외용기(110)의 접합부(113)에 접합되는 구성과 외용기(110) 하단에 절개부(112)를 갖는 구성은 동일하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캡(200)에 적용되는 유로가이드부(140)와 체크밸브(160, 제2실시예 체크밸브를 160A 로 지시하였다.)의 실시 형태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이중캡에 대하여 실시되는 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9 내지 도 1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용기(100)의 목부(111) 내부에 삽입되는 유로가이드부(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유로가이드부(140)는 몸체(141)의 상면측 중앙에 통공(143)이 천공되고 통공(143) 주연부측으로 다수의 외기공(143a)이 천공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체크밸브(160A)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다른 구성을 갖도록 하는데, 도 9 내지 도 12 에서 보듯이 유로가이드부(140)의 외기공(143a)을 덮을 수 있는 원형태의 차폐판(165)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165) 하면으로 끼움봉(166)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의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143)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용기(100)의 하단부측으로도 용기(100) 상단의 구성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체크밸브(160B)를 구성한다.
물론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용기(100)는 외용기(110)와 내용기(120)를 이루고 내용기(120)의 하단부는 외용기(110) 하단의 접합부(113)에 접합 되어 고정 지지되며 절개부(112)를 통하여 용기(100)를 가압한 후 복원하는 시점에서 외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가압할 때 내용기(120)의 하단이 절개부(112)에 내합되며 용기(100) 내부 즉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작용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160B)는 용기(100) 하단을 커버하는 하부캡(170)을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캡(170)은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방이 개구되며 외측 상단부가 용기(100)의 외용기(110) 하단부와 접합 고정되고, 내부 중앙으로 돌출되며 상하부가 개구되는 돌출부(171)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71) 상단측에 내합되는 외기유로가이드부(172)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유로가이드부(172) 상단으로 상기 체크밸브(160B)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외기유로가이드부(172)는 몸체(173)의 상면측 중앙에 통공(174)이 천공되고 통공(174) 주연부측으로 다수의 외기공(175)이 천공된다.
상기 체크밸브(160B)는 상기한 외기유록이드부(172)의 상단부에 내합되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용기(100)의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공간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한 체크밸브(160B)는 원형태로 이루어지는 차폐판(165)의 하부 중앙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봉(166)을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로가이드부(172)의 중앙에 천공되는 통공(17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서,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 즉 내용기(120)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100)를 가압하게 되면 외용기(110)와 내용기(120)가 가압력을 받게 되며, 내용기(120) 하단부측은 외용기(110)의 절개부(112)를 막아버려, 하부캡(170)에 구비되는 체크밸브(160B)의 차폐판(165)은 외기유로가이드부(172)의 외기공(175)을 막아버려 외기는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용기(120)의 내용물이 용기(100) 상단의 체크밸브(160A)를 이루는 차폐판(165)을 들어올려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이 완료되어 용기(100)를 누르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외용기(110)는 복원력이 제공되어 복원하게 되는데, 내용기(120) 상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체크밸브(160A)의 차폐판(165는 유로가이드부(140) 상면을 덮어 유로가이드부(140)의 통공(143)과 외기공(143a)를 닫아버려 외부로부터 외기가 상부측을 통하여 내용기(120)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 외용기(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캡(170)의 외기유로가이드부(172)를 차폐하고 있는 체크밸브(160B)의 차폐판(165)이 열려지며 외기가 유입된 후,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용기(110)의 복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2실시예 등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종전과 같은 복잡한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용기에 충진 또는 수용되는 내용물을 모두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10; 외용기
111; 목부 112; 절개부
113; 접합부 120; 내용기
130; 공간 140; 유로가이드부
141; 몸체 142; 구획편
143; 통공 143a; 외기공
144; 리브 145; 상면라운드부
150; 커버판 151; 토출공
152; 삽입편 160, 160A, 160B; 체크밸브
161; 중심봉 162; 상부차폐부
163; 하부차폐부 164; 연장봉
165; 차폐판 166; 끼움봉
170; 하부캡 171; 돌출부
172; 외기유로가이드부 173; 몸체
174; 통공 175; 외기공

Claims (9)

  1. 삭제
  2. 상방으로 목부(111)를 이루고 하단부의 바닥면에는 성형 사출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중앙선의 양측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절개부(112)와 접합부(113)를 갖는 외용기(110) 및 외용기(110) 내부에서 박리되며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부(111) 내측으로 상부가 접합되고, 하부는 상기 외용기(110)의 접합부(113)에 삽입되며 접합 고정되는 내용기(120)로 구비되고, 상기 목부(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가이드부(140)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가이드부(140)의 상단측을 외용기(110)의 가압에 따라 외용기(110)와 내용기(120) 사이의 공간(130)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 되는 내용기(120) 내부 내용물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가이드부(140) 상면을 개방하도록 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유로가이드부(140) 상면을 차폐하는 연질의 체크밸브(160)로 이루어지는,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120)는 전술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그 박막 필름을 단층 또는 다수개의 복층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140)는 용기(100)의 목부(111)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몸체(141) 내부 중앙을 가로지르며 구획하되 중심에 통공(143)이 형성되는 구획편(142)이 형성 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41) 하단부는 개구되어지되 몸체(141)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44)가 다수 이격 구성되어지고, 몸체(141)의 상단측은 개구되어지되 몸체(141) 상면의 주연부측으로 구성되는 상면라운드부(145)가 구비되어 용기(100)의 목부(111)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목부(111) 상단을 커버하는 상면라운드부(145)의 상면측으로는 중앙에 토출공(151)이 천공되며 하단으로 삽입편(1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41) 상부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커버판(150)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60)는, 중심봉(161)의 상단측에 반원호형태의 상부차폐부(162)가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이와 대응되는 하부차폐부(163)를 이루며, 하부차폐부(163) 하방으로부터 중심봉(161)과 동일한 직경의 연장봉(164)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57650A 2015-04-24 2015-04-24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KR10161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0A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5-04-24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0A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5-04-24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211B1 true KR101611211B1 (ko) 2016-04-26

Family

ID=5591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50A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5-04-24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2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17A (ko)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KR20180000832A (ko)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이중 브로우 용기 검사장치
KR20180063523A (ko) 2016-12-02 2018-06-12 (주) 뉴우성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KR102060614B1 (ko) * 2019-04-04 2019-12-30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이중 구조로 형성된 잔량 방지 용기
CN111839141A (zh) * 2020-07-17 2020-10-30 山东北钛河陶瓷有限公司 随身茶品冲制组体及其离间机构
WO2021225566A1 (ru) * 2020-05-07 2021-11-11 Zhytariuk Ihor Tarasovych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ок с газированными напиткам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965A (ja) * 2002-12-26 2004-07-22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468387B1 (ko) * 2013-07-30 2014-12-03 (주)영진팩 스퀴즈 타입 다층 브로우 성형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101493534B1 (ko) * 2007-06-29 2015-02-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한 합성수지제 이중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965A (ja) * 2002-12-26 2004-07-22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493534B1 (ko) * 2007-06-29 2015-02-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한 합성수지제 이중 용기
KR101468387B1 (ko) * 2013-07-30 2014-12-03 (주)영진팩 스퀴즈 타입 다층 브로우 성형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17A (ko)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KR20180000832A (ko)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이중 브로우 용기 검사장치
KR20180063523A (ko) 2016-12-02 2018-06-12 (주) 뉴우성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KR101954228B1 (ko) * 2016-12-02 2019-03-05 (주)뉴우성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KR102060614B1 (ko) * 2019-04-04 2019-12-30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이중 구조로 형성된 잔량 방지 용기
WO2021225566A1 (ru) * 2020-05-07 2021-11-11 Zhytariuk Ihor Tarasovych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ок с газированными напитками
CN111839141A (zh) * 2020-07-17 2020-10-30 山东北钛河陶瓷有限公司 随身茶品冲制组体及其离间机构
CN111839141B (zh) * 2020-07-17 2024-03-26 山东北钛河陶瓷有限公司 随身茶品冲制组体及其离间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TWI552927B (zh) Eject the container
JP6203633B2 (ja) 二重容器
KR20048395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WO2017169099A1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JP6614940B2 (ja) 二重容器
JP2013147295A (ja) 吐出容器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JP6100059B2 (ja) 注出容器
JP2016101970A (ja) 二重容器
JP6489851B2 (ja) 二重容器
JP2019177908A (ja) 積層剥離容器
JP2011031938A (ja) 二重容器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2018090282A (ja) 二重容器
JP636651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2018002232A (ja) 二重容器
KR101518444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JP6125955B2 (ja) ブロー成形二重容器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JP6553363B2 (ja) 二重容器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JP2018203282A (ja)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KR200384796Y1 (ko) 미끄럼 노즐버튼을 갖는 펌프식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