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23A -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23A
KR20180063523A KR1020160163346A KR20160163346A KR20180063523A KR 20180063523 A KR20180063523 A KR 20180063523A KR 1020160163346 A KR1020160163346 A KR 1020160163346A KR 20160163346 A KR20160163346 A KR 20160163346A KR 20180063523 A KR20180063523 A KR 2018006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form
contents
outer contain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228B1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주) 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우성 filed Critical (주) 뉴우성
Priority to KR102016016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29C2049/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29C2049/2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only parts of the preforms or parisons are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경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얻는 프리폼 준비단계(S10), 상기 프리폼 준비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결합한 복합 프리폼을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삽입, 동시에 브로잉 실시하여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이 내용기와 외용기를 이루며 성형되어지되, 상기 금형 압출다이 내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내용기 및 외용기 외표면에 절첩부가 형성되며 브로잉되도록 하는 브로잉단계(S2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내용기와 외용기를 제조하되 그 내용기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가 절첩 되며 잔량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개의 펌핑에 의해 내용물 취출이 이루어질 때 딥튜브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펌핑수단의 하단 관로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취출되면서도 내용기의 절첩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의 연동 절첩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는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기만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내용기의 체적 변이에 의해 압축, 절첩 되며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To allow use of remaining volume variation to folding possible case structure and its case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화장품 등 액상이나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를 이용하여 외용기 내부에 구비한 후 내용물의 취출에 따라 사용되는 용기에서, 내용기의 체적 변이가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또는 외용기와 내용기가 연동 되며 절첩되도록 하여 내부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체적 변이에 의해 잔량의 내용물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어용 제품군인 화장품이나 치약 등을 수용하는 용기나 겔, 크림 형태의 세제, 의약품 등의 내용물을 담아 수용하게 되는 용기들은, 주로 튜브형 용기라 불리우는 용기에 수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의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각종 튜브형 용기나 원통형 용기(이하 용기라 통칭)의 토출구에는 마개가 결합 되어 사용되는데, 통상적인 마개의 경우 사용자가 마개를 개방하여 튜브형 용기 외주면을 눌러 짜내거나 또는 경화성 용기의 경우 뒤집어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마개 자체에 펌프 타입을 적용하여, 마개의 윗 부분을 펌핑시키게 되면 용기 내부로 진입되어 있는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마개측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쉽도록 구성되는 대세적 구조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마개 하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용기 내부로 진입되는 딥튜브를 갖으며,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들을 용기 및 딥튜브의 구조적 특성상 전량 사용이 어렵다.
즉, 일정량 사용한 후에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용기를 절개한 후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사용 방식은 번거롭고 비위생적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일부 남겨지게 되는 잔량은 모두 사용하지 못한 채 용기와 함께 폐기되는 실정이어서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 및 문제점 등이 제기되고 있어 그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인 무잔량 튜브 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튜브 용기 내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하게 배출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피스톤 및 하부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하부 커버부재와 피스톤을 밀면서 내용물을 짜내게 되는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용기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캡(마개)에 진공펌프를 구성하여 펌핑 작업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이 용기의 바닥면까지 닿아 용기 바닥에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는데, 관의 내부와 외측에 내용물이 상당량 잔존하게 되고 용기 내측면과 바닥면에도 잔량이 다수 존재하여 완전하게 잔량을 사용하는데에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되는 경제적 부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용기를 외용기와 내용기로 구분하여 성형하고, 내용기가 외용기 내부에 유입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등록된 특허 제 10-1335812 호인,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시되는 2차 프리폼을 이용한 내용기가 경질의 외용기에 삽입 형성되어지면, 내용기는 외용기 내측면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을 충진하여 내용기에 수용한 상태에서 펌프 방식의 마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의 내용기 및 외용기를 적용되는 본원 발명인의 용기에 본원 발명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인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가 있으며, 그 용기에 체크밸브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 본 발명인의 선행 특허등록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임에는 틀림없으나,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점차 축소, 압착되는 과정에서 딥튜브의 상단쪽 즉, 마개의 하단방향과 용기 토출구측 영역의 내용물은 항상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선행 특허등록의 구성에 의하면 딥튜브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개 하방향과 용기 토출구 영역측으로 내용물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달리 만약 딥튜브를 용기 바닥면까지 위치시키는 경우에 박말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딥튜브를 감싸며 압착되는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딥튜브의 하단부를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막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유동경로를 아예 차단시키게 되어,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박막 형태의 내용기를 구성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내용기가 압착되어질 때 딥튜브를 통하여 마개 방향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기 위한 경로를 차단하는 현상을 배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 및 구성은 주로 딥튜브의 구성 변경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다른 방법으로의 접근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시도 중의 하나로, 딥튜브의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딥튜브의 개선과는 달리 내용기의 구조의 변경에 의해서도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 의식에 의해 시도되는 것 중의 하나로,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특허출원 제 10-2016-78996 호(2016.06.24) 출원된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가 있다.
상기한 선출원 특허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리폼의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1차 브로잉된 경질의 외용기 내부에 상기 2차 프리폼의 삽입 후 브로잉하여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각각 내용기의 브로잉 된 영역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내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를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위 특허는 내용기를 이루는 2차 프리폼의 4 포인트 지점의 돌출지지부가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텁거나 얇게 형성되어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딥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체적 감소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수축되는 현상이 일어날 때, 그 내용기가 돌출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체적 감소에 따라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쪼그라들듯이 축소되며 딥튜브를 막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위 특허의 경우, 내용기를 프리폼 형태를 이룬 후 설정 위치에 더 두텁게 돌출지지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압출기 구조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 및 압출기 구조 설계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내용기 및 외용기들의 결합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허들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35812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
본원인은 전술한 특허 기술들에서 내용기와 외용기를 제조하되 그 내용기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가 절첩 되며 잔량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의 제조에 착안하였는바, 마개의 펌핑에 의해 내용물 취출이 이루어질 때 딥튜브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펌핑수단의 하단 관로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취출되면서도 내용기의 절첩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의 연동 절첩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는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기만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내용기의 체적 변이에 의해 압축, 절첩 되며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경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얻는 프리폼 준비단계(S10),
상기 프리폼 준비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결합한 복합 프리폼을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삽입, 동시에 브로잉 실시하여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이 내용기와 외용기를 이루며 성형되어지되, 상기 금형 압출다이 내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내용기 및 외용기 외표면에 절첩부가 형성되며 브로잉되도록 하는 브로잉단계(S2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를 경질로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
내용기를 접히기 쉬운 절첩 구조를 갖도록 하며 연질로 성형하는 내용기 성형단계(S200);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를 조립하여 진공펌프 또는 체크배브형 원터치 캡을 장착하게 되는 외용기 및 내용기 조립단계(S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용기를 경질로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
내용기를 다층으로 성형하되, 상기 내용기의 다층 필름 중 외층을 경질로 성형하고 내층을 연질로 성형하여 상기 내층만 수축되며 절첩되도록 하는 내용기 성형단계(S200');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를 조립하여 진공펌프 또는 체크밸브형 원터치 캡을 장착하게 되는 외용기 및 내용기 조립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기와 외용기를 제조하되 그 내용기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가 절첩되며 잔량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개의 펌핑에 의해 내용물 취출이 이루어질 때 딥튜브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펌핑수단의 하단 관로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취출되면서도 내용기의 절첩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의 연동 절첩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는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기만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내용기의 체적 변이에 의해 압축, 절첩 되며 내용물의 잔량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외용기 내부로 제1프리폼을 브로잉하며 내입하기 위한 전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외용기 하단부에 절개틈새부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외용기에 제1프리폼을 브로잉하여 내입 되는 내용기가 내합 된 상태의 개괄적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내용기 및 외용기에서, 마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취출 사용되며 내용기의 체적 변이에 의한 감소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괄적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형성하여 브로잉 성형하여서 된 내용기가 내입된 외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의한 내용기 및 외용기에서, 마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취출 사용되며 내용기 및 이와 연동되는 외용기의 체적 변이에 의한 감소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괄적인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내용기 및 외용기 외부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3의 외곽케이스를 구비하여서 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용기를 이루는 내용기 및 외용기를 원형태로 구현할 때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내용기 내부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체적 변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을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를 이루는 개괄적 공정 흐름도
도 17은 도 16에 의해 제조, 생산된 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가 외용기 내부에 인입된 후 마개를 통하여 내용기의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되어질 때, 상기 내용기가 절첩되며 체적 변이를 일으켜 내용기 내부 내용물이 잔량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내용기(10)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프리폼(1)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내용기(10)를 얻기 위한 제1프리폼(1)을 브로잉하였을 때 박막 필름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외용기(20) 내부에 인입되어 외용기(20) 내면에 접한 상태를 이루게 되지만, 접합되지는 않는다.
즉 외용기(20) 내부로 인입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0)는 그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된 후, 전체적인 용기를 이루는 토출구와 결합 되는 마개(30)의 펌핌 수단에 의해 펌핑되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되어질 때 내용기(10)의 체적이 감소되면서 외용기(2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기(10) 및 외용기(20)의 미접합의 경우 외용기(20)를 이루는 제2프리폼(2)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내용기(10)는 연질의 박막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용기(20)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이루며 일정 두께를 이루는 경우에는, 내용기(10)가 외용기(20) 내부에 인입되도록 블로잉 된 상태에서, 내용기(10) 내부 내용물이 마개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내용기(10)는 외용기(20)로부터 이탈되며 체적 변이를 일으켜 쪼그라드는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외용기(20)는 그대로 그 외형을 유지하게 되고 내용기(10)만 체적 감소에 의한 변이를 일으키며, 내용물이 사용되면서 내용기(10)의 지속적 체적 감소에 따라 잔량의 사용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내용기(10)의 체적 감소 변이가 진행될 때, 내용기(10) 잔량의 완전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체적 감소 현상에 의한 내용기(10)의 변형을 규칙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내용기(10)에는 다수의 절첩부(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첩부(11)는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용기(10)를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외면의 경우 움푹하게 들어가는 요홈(11a)이 형성되고 내용기(10) 내면의 경우 요홈(11a)과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돌부(11b)가 형성되는 것으로 요홈(11a)과 돌부(11b)에 의해 내용기(10)의 절첩이 규칙적인 형상을 갖으며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11)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용기(10)를 이루기 위한 제1프리폼(1)을 형성할 때 제1프리폼(1) 외표면에 요홈(1a) 및 내표면에 이와 대응되는 돌부(1b)를 형성한 다음 브로잉 성형 과정을 거쳐 내용기(10)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내용기(10)를 이루는 제1프리폼(1)에는 요홈 및 돌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의 선단 다이 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제1프리폼(1)이 브로잉 성형되는 과정에서 내용기(10)의 상기 요홈(11a) 및 돌부(11b)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외용기(20)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하고, 내용기(10)는 박막 필름 형태를 갖도록 하여 도 3 또는 도 9에서와 같은 전체적인 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외용기(20)는 상기한 제2프리폼(2)에 의해 형성되는데 금형의 다이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내용기(10)를 이루는 제1프리폼(1)과 동일한 패턴의 절첩부(21)가 형성되어 외표면에 요홈(21a) 및 돌부(21b)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기(10) 및 외용기(20)는 금형의 선단 다이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용기(10) 및 외용기(20) 외표면에 동일한 패턴의 절첩부(11,21)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내용기(10) 및 외용기(20)에 의해 얻게 되는 도 10의 용기에서 마개(30)의 펌핑 수단을 이용하여 내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될 때, 내용기(10)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체적만큼 내용기(10) 표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요홈(11a) 및 돌부(11b)에 의해 내용기(10)가 절첩되며 체적 변이를 일으키며 감소하게 된다.
이때의 외용기(2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외용기(20)는 절첩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외용기(20)의 요홈(21a) 및 돌부(21b)를 지칭하는 것으로 절첩부(21)의 표현을 쓰고 있으나, 이는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제1실시예에서 외용기(20)의 절첩부(21)는 내용기(10)와 동일하게 절첩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의 외용기(20)에서의 절첩부(21)에는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0)의 동일 패턴을 갖는 절첩부(11)가 내합 되는 의미를 갖는 구성으로 파악되어야 하고, 내용기(10)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0)가 절첩되며 체적 변이를 일으킬 때 외용기(20)의 절첩부(21)에서 이탈되어 체적 감소에 의한 변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내용기(10)의 상단부는 외용기(20)의 토출구측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내용기(10)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방향으로 상기 요홈(11a) 및 돌부(11b)에 의해 절첩되며 체적 감소를 일으키게 되고, 마개(30) 하단으로 이어지는 관(31) 단부에는 항상 내용기(10)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마개(30)의 하단측으로 종전과 같이 길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딥튜브의 구조를 취하지 않고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비교적 짧은 형태의 관(31)을 형성하더라도, 내용기(10)의 절첩 체적 변이에 따라 내용물은 항상 관(31)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용기 전체를 의도적으로 뒤집어 사용할 필요 없이 내용기(10) 내부 내용물의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달리, 본 실시예서는 내용기(10)와 외용기(20)가 모두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먼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동일한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얻는 프리폼 준비단계(S10')
상기 프리폼 준비단계(S10')에서 얻게 되는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결합한 복합 프리폼을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삽입하여, 상기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동시에 브로잉 실시하여 내용기와 외용기로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금형 압출다이 내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내용기 및 외용기 외표면에 절첩부가 형성되며 브로잉되도록 하는 브로잉단계(S2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외용기(20)를 내용기(10)와 동일한 재질인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프리폼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외용기(20)와 내용기(10)가 모두 절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기(10)와 외용기(20) 모두 절첩되며 체적 감소 변이를 일으키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외용기(20)를 이루기 위한 제2프리폼(2)도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채택하였다.
이 경우 제2프리폼(2)에 전술한 제1프리폼(1)과 동일하게 그 표면에 요홈(2a)와 돌부(2b)를 형성한 후 제1프리폼(1)과 결합하여 압출 다이측을 통하여 내용기(10) 및 외용기(20)를 이루는 브로잉 과정을 거칠 수 있어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은 절첩부(11,21)를 갖는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내용기(10)와 외용기(20)가 모두 절첩 되기 위해서 외용기(20)의 두께는 이에 상응하는 두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외용기(20)의 두께를 박막 필름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12 내지 도 1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별도의 외곽케이스(40)를 구성할 때 유용하다.
예컨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의미하는 외곽케이스(40)는 유지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화장품의 용기에서 고퀄리티화되는 제품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재질의 외곽케이스(40) 내부에 직접 박막 필름의 내용기(10)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내용기(10)와 외용기(20)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구성하고 그 용기를 외곽케이스(40) 내부에 취입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갖는 내용기(10) 및 외용기(20)는 내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되어질 때, 상호 내합되는 절첩부(11,21)의 구성에 의해 동일한 형태로 체적 변이에 의한 절첩 현상을 일으키며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내부 내용물과 마개(30)의 관(31)은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내용기(10) 내부 내용물을 잔량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서는 내용기의 프리폼과 외용기의 프리폼을 형성한 상태에서 브로잉 과정을 거쳐 용기를 제조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와 내용기를 각각 성형한 후 조립하는 형태를 제공한다.
먼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용기(20)를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리폼을 형성한 후 브로잉 과정을 거쳐 외용기(20)를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를 거치게 된다.
이어서, 내용기(10)를 성형하게 되는데 내용기(10)는 절히기 쉬운 절첩 구조를 갖도록 하되, 연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프리폼을 형성한 후 브로잉 과정을 거쳐 내용기(10)를 얻게 되는 과정(S200)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용기 성형단계(S100)와 내용기 성형단계(S200)을 거쳐 얻게 되는 외용기(20)와 내용기(10)를 상호 결합하여 조립하되 외용기(20) 상단의 토출구측에는 진공펌프 수단이나 또는 체크밸브형 원터치 캡을 조립하여 완성된 형태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전공펌프 수단 및 체크밸브형 원터치 캡은 전술한 제1,2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4 실시예
한편 상기한 제3실시예 또는 제1,2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는데,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용기(20)를 경질로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를 거치는 동일한 과정을 거친 후, 내용기(10)를 얻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기(10)를 얻기 위한 방법을 본 실시예에서는 달리하게 되는데 내용기(10)를 다층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외용기(20)와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내용기(10)를 다층으로 성형하되, 내용기(10)를 이루는 다층 필름 중 최외층의 필름은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최외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필름은 연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내부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S200'; 내용기 성형단계)
이와 같이 외측의 필름은 경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의 필름은 연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내층은 수축되며 절첩 가능하도록 표면에 절첩부(11)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용기(10)가 외용기(20)와 결합 되는 외용기 및 내용기 조립단계(S300')에 의해 완성된 용기를 구현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외용기의 토출구측에는 진공펌프 또는 체크밸브형 원터치 캡을 장착하는 일련의 과정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결합 되는 용기를 사용할 경우, 외용기(20)와 내용기(10) 중 최외측으로 구성되는 내용기(10)의 외곽 필름은 그 형체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용기(10)의 내부 필름은 절첩부(21)에 의해 수축 절첩 되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즉, 내용기(10) 내측으로 내용물이 충진 된 상태에서 펌핑수단 또는 체크밸브 등의 수단에 의해 내부 내용물을 취출할 때 내용물의 배출 체적에 대응되며 내용기(10) 내측의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절첩부(21)에 의해 절첩되며 체적 변이를 일으켜 상방향측으로 수축되는데, 이러한 현상에 의해 내용기(10) 내측 연성 재질의 필름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완전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도, 외용기와 내용기를 이루는 프리폼을 각각 성형한 후 그 프리폼을 이용하는 과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중복되는 기술의 중복 기재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실시 가능한 각 실시에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용기 즉, 내용기(10)와 외용기(20)의 구조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설명하는바, 프리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조과정도 동일하다.
전체적인 용기의 형태에 따라 절첩부(11,21)의 형상이 다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데 사각형태를 이루는 용기와 원형태를 이루는 용기에서의 절첩부(11,21)의 형태는 달라 질 수 있으며, 그 형상 변화에 따라 제1프리폼(1) 및 제2프리폼(2)에 미리 일정 패턴을 이루는 절첩부(11,21)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프리폼(1) 및 제2프리폼(2)에는 절첩부(11,21)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금형 다이 선단 내면에 일정 패턴을 이루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제1프리폼(1) 및 제2프리폼(2)에 절첩부(11,21)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절첩부(11,21)는 사각형태를 이루는 용기의 경우 도 8 에서와 같은 절첩부(11,21)의 패턴을 이루도록 하였다.
즉, 사각형태를 이루는 내용기(10)에 절첩부(11)의 패턴이 형성되며 외용기(20) 내부에 위치되는데, 내용기(10)의 절첩부(11)는 외용기(20)의 절첩부(21)에 내합된 상태에서 마개(30)의 펌핑 작동에 의해 마개(30) 하단 관(31)을 통하여 내용기(1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체적 변이에 따라 내용기(10) 체적이 축소되며 절첩부(11)에 의해 일정 형태로 오므라들게 된다.
이때 외용기(20)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절첩부(21)가 구성되더라도 외용기(20)의 형태는 유지된채 내용기(10)만 절첩되며 체적 축소에 따라 오므라드는 현상이 발생되고, 만약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외곽케이스(40) 내부에 수용되는 외용기(20)의 경우에는 내용기(10)의 체적 축소와 연동하여 축소 변형될 것이다.
한편 용기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태를 이루는 경우에도 전술한 사각형태를 이루는 것과 동일한 작동 관계를 갖게 된다.
상기 내용기(10) 및 외용기(20)의 결합시, 내용기(10)와 외용기(20)를 접합 시키기 위한 접합접점부위가 필요할 수 있다.
접합접점부위는 내용기(10)가 체적 변화를 일으키며 축소되어질 때 내용기(10)가 어느 일방향으로 편중되어 체적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막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접합접점부위와 더불어, 내용기(10)가 외용기(20)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로, 박막필름형태의 내용기(10) 하단측이 외용기(20) 하단측에 맞물리는 형태를 갖도록 외용기(20) 하단에 절개부를 취하고 그 절개부에 내용기(10) 하단측이 물려지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즉, 외용기(20) 하단으로 일부 절개되며 틈새를 형성하는 절개틈새부를 형성하여, 내용기(20)가 제1프리폼(1)에 의해 외용기(20)를 이루는 제2프리폼(2)과 브로잉 되어질 때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20) 하단부가 상기 외용기(20)의 절개틈새부(22)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고, 내용기(20)의 절첩시 외용기(2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내용기(10)와 외용기(20)가 상호 연동되며 절첩되어질 때 유효한 구성이다.
그러나, 내용기(10)는 체적 감소를 일으키며 축소되는데 이에 비하여 외용기(20)는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인 외용기(20)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실시는 의미를 잃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내용기 1; 제1프리폼
1a; 요홈 1b; 돌부
11; 절첩부 11a; 요홈
11b; 돌부
20; 외용기 2; 제2프리폼
2a; 요홈 2b; 돌부
21; 절첩부 21a; 요홈
22b; 돌부 22; 절개틈새부
30; 마개 31; 관
40; 외곽케이스

Claims (12)

  1.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경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얻는 프리폼 준비단계(S10),
    상기 프리폼 준비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결합한 복합 프리폼을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삽입, 동시에 브로잉 실시하여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이 내용기와 외용기를 이루며 성형되도록 하는 브로잉단계(S2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2.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이루는 제1프리폼과, 동일한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얻는 프리폼 준비단계(S10')
    상기 프리폼 준비단계(S10')에서 얻게 되는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결합한 복합 프리폼을 브로우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삽입하여, 상기 제1프리폼과 제2프리폼을 동시에 브로잉 실시하여 내용기와 외용기로 성형되도록 하는 브로잉단계(S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폼의 표면과 제2프리폼의 표면에 각각 요홈과 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4. 경질의 재질로 프리폼을 형성한 후 외용기로 브로잉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
    연질의 재질로 프리폼을 형성한 후 접히기 쉽도록 표면에 절첩부를 갖도록 프리폼을 형성한 후, 내용기로 브로잉 성형하는 내용기 성형단계(S200);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를 조립하는 조립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5. 경질의 재질로 프리폼을 형성한 후 외용기로 브로잉 성형하는 외용기 성형단계(S100);
    내용기를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형성한 후, 상기 프리폼 중 최외측을 이루는 프리폼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측 필름은 경질의 수지로 성형되도록 하고, 내측을 이루는 프리폼에 의해 이루어지는 내측 필름은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내측 필름의 표면으로는 절첩부를 형성하여 수축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기 성형단계(S200');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를 조립하여 조립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 하단에 틈새를 이루는 절개틈새부를 형성한 후 상기 브로잉단계(S20)를 거치도록 하여 제1프리폼에 의해 이루어지는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 하단부가 절개틈새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잉단계(S20,S20')에서 금형을 이루는 압출다이 내면으로 돌출되며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2프리폼이 압출 성형될 때 내용기 및 외용기 외표면에 절첩부가 형성되며 브로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및 외용기의 결합에 의한 브로잉단계(S20,S20')에서, 내용기와 외용기를 부분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상에서 상호 접합 시키기 위한 접합접점부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 구조에서,
    연질의 합성수지로 브로잉되며 형성되는 내용기의 외면으로 움푹하게 들어가는 요홈과 내면으로 볼록한 돌부가 형성되는 절첩부를 일정 패턴으로 형성하고,
    경질의 합성수지로 브로잉되며 형성되는 외용기의 외면의 요홈 및 내면의 돌부로 이루어지는 일정 패턴을 이루는 절첩부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외용기 내부에 내용기가 수용되며 상단부가 접합 처리되고,
    상기 외용기 추출구 상단에 결합되는 마개의 단부로 이어지는 관이 상기 내용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마개의 누름 작동에 의해 내용기는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체적 감소에 따라 축소 변이되며 내용기 내부 내용물을 소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 구조에서,
    내용기를 다층의 필름으로 형성하되 외곽 필림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측 필름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브로잉되며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질로 이루어지는 내측 필름의 외면으로 움푹하게 들어가는 요홈과 내면으로 볼록한 돌부가 형성되는 절첩부를 일정 패턴으로 형성하고,
    경질의 합성수지로 브로잉되며 형성되는 외용기의 외면의 요홈 및 내면의 돌부로 이루어지는 일정 패턴을 이루는 절첩부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외용기 내부에 내용기가 수용되며 상단부가 접합 처리되고,
    상기 외용기 추출구 상단에 결합되는 마개의 단부로 이어지는 관이 상기 내용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마개의 누름 작동에 의해 내용기는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체적 감소에 따라 축소 변이되며 내용기 내부 내용물을 소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하단부에 절개틈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틈새부에 내용기 하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를 일정 간격을 따라 상호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접점부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KR1020160163346A 2016-12-02 2016-12-02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KR10195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46A KR101954228B1 (ko) 2016-12-02 2016-12-02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46A KR101954228B1 (ko) 2016-12-02 2016-12-02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23A true KR20180063523A (ko) 2018-06-12
KR101954228B1 KR101954228B1 (ko) 2019-03-05

Family

ID=6262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46A KR101954228B1 (ko) 2016-12-02 2016-12-02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2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718A (ja) * 2002-03-25 2003-10-02 Hanshin Kasei Kogyo Kk 合成樹脂製容器
KR200454300Y1 (ko) * 2009-03-16 2011-06-27 (주)영진팩 브로우 다중 성형용기
KR101335812B1 (ko) 2012-02-09 2013-12-03 허재영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1467736B1 (ko) 2014-07-15 2014-12-01 이영주 무잔량 튜브 용기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6-04-26 허재영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718A (ja) * 2002-03-25 2003-10-02 Hanshin Kasei Kogyo Kk 合成樹脂製容器
KR200454300Y1 (ko) * 2009-03-16 2011-06-27 (주)영진팩 브로우 다중 성형용기
KR101335812B1 (ko) 2012-02-09 2013-12-03 허재영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1467736B1 (ko) 2014-07-15 2014-12-01 이영주 무잔량 튜브 용기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6-04-26 허재영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228B1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454A (en) Laminated bottle and pump device therefor
TWI500564B (zh) 雙重容器
EP3608242B1 (en) Laminated bottle
JP6730095B2 (ja) 二重容器
JPH1120839A (ja) 複室式小出しパッケージ
WO2016121343A1 (ja) 二重容器
JP7430484B2 (ja) 入り組んだ環状帯に配分された補強突出部を有する丸天井型の底部を備えた容器
JP6385259B2 (ja) 二重容器
CN107207113B (zh) 双重容器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20180000826A (ko)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KR101954228B1 (ko)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JP5740919B2 (ja)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2520B2 (ja) 注出容器
JP5992294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5641430B2 (ja) ブロー成形壜体
KR102006260B1 (ko)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JP5392654B2 (ja) 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7154691B2 (ja) スクイズ容器
KR101785957B1 (ko) 박막 형태를 갖으며 용기내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중 브로우 용기 제조방법 그 용기
JP6410654B2 (ja) 二重容器
JP2016141419A (ja) 二重容器
CN101594975A (zh) 在裙部边缘上进行管头模制成型以提供具有高复原率的管
JP6396191B2 (ja) 二重容器
JP2016141421A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