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26A -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26A
KR20180000826A KR1020160078996A KR20160078996A KR20180000826A KR 20180000826 A KR20180000826 A KR 20180000826A KR 1020160078996 A KR1020160078996 A KR 1020160078996A KR 20160078996 A KR20160078996 A KR 20160078996A KR 20180000826 A KR20180000826 A KR 2018000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contents
form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주) 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우성 filed Critical (주) 뉴우성
Priority to KR102016007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826A/ko
Publication of KR2018000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29C47/00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7Tubular inser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리폼의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1차 브로잉된 경질의 외용기 내부에 상기 2차 프리폼의 삽입 후 브로잉하여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각각 내용기의 브로잉 된 영역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내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질의 외용기와 그 내부에 취입되는 연질의 박막 필름 형태로 브로잉 압출되며 구비되는 내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전체적 내용기의 박막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용기가 압축되며 체적이 줄어들 때, 상기한 지지부에 의해 내용기가 전체적으로 압착되는 현상을 배제하며 내용기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되어질 때까지 내용기가 균일하게 압착될 수 있고, 내용기의 부분 접촉면에 의한 내용물의 유동 경로를 차폐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용물의 완전 사용이 가능한 내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Double browbeat structure involve cabin is possible to use in content container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중 하나로 채택되는 이중 브로우 용기 내부에 취부되는 내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되, 특히 상기 내용기를 박막 필름 형태를 이용하여 제공하되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내용기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외용기 내부에서 마개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기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4-포인트 지점은 그 외형을 유지한채 나머지 영역의 내용기 부분은 딥튜브 방향으로 모여지며 압착되도록 하여, 딥튜브 주변은 물론 딥튜브 상방측의 마개 하부 영역에 잔존할 수 있는 내용물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케어용 제품군인 화장품이나 치약 등을 수용하는 용기나 겔, 크림 형태의 세제, 의약품 등의 내용물을 담아 수용하게 되는 용기들은, 주로 튜브형 용기라 불리우는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의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각종 튜브형 용기나 원통형 용기(이하 용기라 통칭)의 토출구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통상적인 마개의 경우 사용자가 마개를 개방하여 튜브형 용기 외주면을 눌러 짜내거나 또는 경화성 용기의 경우 뒤집어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마개 자체에 펌프 타입을 적용하여, 마개의 윗 부분을 펌핑시키게 되면 용기 내부로 진입되어 있는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마개측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쉽도록 구성되는 대세적 구조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마개 하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용기 내부로 진입되는 딥튜브를 갖으며,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들을 용기 및 딥튜브의 구조적 특성상 전량 사용이 어려워, 일정량 사용한 후에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용기를 절개한 후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사용 방식은 번거롭고 비위생적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일부 남겨지게 되는 잔량은 모두 사용하지 못한 채 용기와 함께 폐기되는 실정이어서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 및 문제점 등이 제기되고 있어 그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인 무잔량 튜브 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튜브 용기 내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하게 배출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피스톤 및 하부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하부 커버부재와 피스톤을 밀면서 내용물을 짜내게 되는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용기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캡(마개)에 진공펌프를 구성하여 펌핑 작업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이 용기의 바닥면까지 닿아 용기 바닥에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는데, 관의 내부와 외측에 내용물이 상당량 잔존하게 되고 용기 내측면과 바닥면에도 잔량이 다수 존재하여 완전하게 잔량을 사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되는 경제적 부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용기를 외용기와 내용기로 구분하여 성형하고, 내용기가 외용기 내부에 유입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등록된 특허 제 10-1335818 호인,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시되는 2차 프리폼을 이용한 내용기가 경질의 외용기에 삽입 형성되어지면, 내용기는 외용기 내측면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을 충진하여 내용기에 수용한 상태에서 펌프 방식의 마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의 내용기 및 외용기를 적용하여서되는 본원 발명인의 용기에 본원 발명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인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가 있으며, 그 용기에 체크밸브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 본 발명인의 선행 특허등록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임에는 틀림없으나,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점차 축소, 압착되는 과정에서 딥튜브의 상단쪽 즉, 마개의 하단방향과 용기 토출구측 영역의 내용물은 항상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선행 특허등록의 구성에 의하면 딥튜브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개 하방향과 용기 토출구 영역측으로 내용물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달리 만약 딥튜브를 용기 바닥면까지 위치시키는 경우에 박말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딥튜브를 감싸며 압착되는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딥튜브의 하단부를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막게 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유동경로를 아예 차단시키게 되어,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박막 형태의 내용기를 구성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내용기가 압착되어질 때 딥튜브를 통하여 마개 방향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기 위한 경로를 차단하는 현상을 배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 및 구성은 주로 딥튜브의 구성 변경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다른 방법으로의 접근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시도 중의 하나로, 딥튜브의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딥튜브의 개선과는 달리 내용기의 구조의 변경에 의해서도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35818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외용기와 그 외용기 내부에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내합되는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용기에서 상기 내용기의 구조를 달리하여, 내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기의 수축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기가 서로 접촉되어져, 그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완전 사용 즉 잔량 없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의 내용기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리폼의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1차 브로잉된 경질의 외용기 내부에 상기 2차 프리폼의 삽입 후 브로잉하여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내용기의 브로잉된 영역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내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질의 외용기와 그 내부에 취입되는 연질의 박막 필름 형태로 브로잉 압출되며 구비되는 내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전체적 내용기의 박막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용기가 압축되며 체적이 줄어들 때, 상기한 지지부에 의해 내용기가 전체적으로 압착되는 현상을 배제하며 내용기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되어질 때까지 내용기가 균일하게 압착될 수 있고, 내용기의 부분 접촉면에 의한 내용물의 유동 경로를 차폐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용물의 완전 사용이 가능한 내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외용기 압출 후, 상기 외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내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의 형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내용기를 이루기 위한 제2프리폼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외용기의 저부면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저부면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도시한 사시 도면
도 4는 도 1의 내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을 외용기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한 상태에서 내용기를 이루는 제2프리폼으로 공기압을 제공하여 제2프리폼의 팽창에 의해 외용기 내면측과 하부면의 절개틈새부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밀착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에 펌핑 타입 마개를 취부한 후, 마개의 작동에 따라 내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의해 마개의 펌핑 작동에 따라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배출되어 사용된 것으로, 미세한 잔량만을 남기고 모두 사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의 B-B선 단면도로, 내용기 내용물이 모두 배출되는 상태에서 박막 형태의 내용기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돌출지지부는 외용기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돌출지지부와 돌출지지부 사이 영역내의 박막 필름 부위는 딥튜브측으로 향하며 체적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용기를 이루는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돌출지지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충진부가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경질의 외용기(110)와 연질의 내용기(140)를 브로잉 방법에 의해 제조하게 되는 용기에서, 특히 내용기(140)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서 외용기(110)에 내용기(140)가 내합 된 전체적인 형태를 용기(100)라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외용기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프리폼을 얻은 후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110) 즉, 전체적인 용기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1차프리폼의 형태에 대한 도면은 작도되지 않았으며, 상기 1차프리폼에 대한 제조는 통상의 공지된 기술 내용을 차용하여 실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용기(11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하단면이 일부 절개되며 틈새를 형성하는 절개틈새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개틈새부(120)는 외용기(110)의 압출과정에서 압출다이의 설계에 의해 또는 경화하는 과정에서 경화용 지그를 통하여 절개틈새부(12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절개틈새부(120)의 형성을 위해 압출과는 달리 사출성형을 통하여 외용기(110)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한 외용기(110)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틈새부(120)의 양끝단부는 용기(100)의 사용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절개부위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방지돌부(13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절개틈새부(120)의 영역은 외용기(110)의 전체적 두께 보다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탄력성이 부여되도록 하므로서, 내용기(140)의 하단부위가 절개틈새부(120)에 끼워져, 내용기(140)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용기(110)에서 절개틈새부(120)의 탄력적 조임에 의해 그 틈새에 내용기(140)의 하단부가 끼이게 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100)의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기(14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경우 내용기(140)의 체적 감소로 인한 수축시에도 내용기(140)의 하단부는 절개틈새부(12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현상을 발휘하여, 내용기(140)가 외용기(100) 내부에서 쪼그라드는 수축 현상을 배제하고, 얇게 펴진 상태에서 체적 감소로 인한 내용기(140)의 편면 접근 수축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편면 접근 수축'이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얇은 비닐 형태를 상하에서 잡은 상태에서 진공 상태를 만들 경우 상하의 위치는 유지된 채 측방으로 부풀어 있는 영역이 편면방향 즉 중심방향으로만 좁혀지며 체적 감소에 의한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원인에 의해 임의적으로 부여된 용어이다.
이와 같이 내용기(1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들이 마개(200)의 하단부측으로 연결되는 딥튜브(210)에 의해 펌핑되는 마개(200) 작동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박막 필름 형태로 브로잉된 내용기(110)가 말아 올라가며 체적의 수축이 일어나는 것을 전술한 내용기(110)의 하단부가 상기 외용기(110) 절개틈새부(120)에 끼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편면 접근 수축 현상이 발생 되며 내용기(140) 내부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편면 접근 수축 현상 발생시 내용기(140)가 전체적으로 말아 올려지며 수축되는 현상을 더욱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용기(140)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14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포인트 지점의 돌출지지부(141)들의 각도(θ)는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지지부(141)를 내용기(140)에 형성하기 위하여, 내용기(140)를 압출 성형할 때 압출다이의 내주면 4-포인트 지점을 내용기(140)의 다른 영역과는 다르게 두껍게 형성한다.
즉, 내용기(140)를 제조하기 위하여 압출 성형기의 다이를 거쳐 압출되는 2차프리폼(PF-2)을 도 1에서와 같이 얻게 되는데 그 2차프리폼(PF-2)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141)가 이미 형성되며 압출 성형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돌출지지부(141)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압출 성형되어질 때, 상기 돌출지지부(141) 내부에 중공 형태를 갖는 공기충진부(142)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지지부(141)를 갖는 내용기(140)를 이루기 위한 2차프리폼(PF-2)을, 이미 성형이 완료된 외용기(110)의 토출구측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2차프리폼(PF-2)을 브로잉 시키게 되면 도 4와 같이 내용기(140)의 외측면이 외용기(1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내용기(140)의 하단부측이 외용기(110)의 저부면에 형성된 절개틈새부(120)측에 끼워져 도 4에서와 같이 내용기(140)가 외용기(110) 내측면에 긴밀히 접하며, 내용기(140) 내부로 내용물이 충진되어진다.
한편, 상기 내용기(140)의 외주면측의 상기 돌출지지부(141)는 외용기(1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마개(200)를 통하여 펌핑 될 때 내용기(140) 내용물은 딥튜브(2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되어지는바, 내용기(14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될수록 도 9 에서 보듯이 중앙의 딥튜브(210)측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를 이루며 돌출지지부(141)에 의한 4-포인트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편면 접근 수축 현상을 일으키며 체적이 감소하게 되지만, 내용기(140)의 하단측은 외용기(110)의 절개틈새부(120)에 의해 물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체적이 감소되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술한 내용기(140)의 4-포인트 지점을 이루는 돌출지지부(141)가 박막 필름을 이루는 내용기(140)의 전체적인 두께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상기 돌출지지부(141)는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40)가 딥튜브(210)가 위치되는 중앙(외용기 및 내용기의 중앙)측으로 수축되지만, 상기 돌출지지부(141)는 그 경성으로 인하여 4-포인트 지점은 수축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려는 속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속성으로 인하여 도 8 내지 도 9 에서와 같이, 딥튜브(210)를 중심으로 박막 필름 형태를 갖는 내용기(140) 중에서 4-포인트 지점과 4-포인트 지점간의 영역내에 있는 박막 필름이 체적 감소로 인해 편면 접근 수축되며 내용기(140) 내부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완전히 내용기(140) 내부 내용물 배출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지면 딥튜브(210) 주변의 내용물을 모두 배출하게 되고, 딥튜브(210) 상단측 영역의 내용물도 모두 외부로 배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딥튜브(210) 상단 영역 내용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40) 하단부를 외용기(110)의 저부측 절개틈새부(120)가 잡아주고 있어, 도 8 에서와 같이 딥튜브(210) 하단부측과 내용기(140)간의 이격 간격을 항상 유지하게 되므로, 딥튜브(210) 상단 영역에 잔존하는 잔량 내용물들도 딥튜브(210) 하단 영역측으로 흘러 유입된 후 딥튜브(210)를 따라 마개(200) 펌핑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10; 외용기
120; 절개틈새부
130; 절개방지돌부
140; 내용기
141; 돌출지지부
142; 공기충진부
200; 마개
210; 딥튜브
PF-2; 2차프리폼

Claims (3)

  1.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리폼의 4-포인트 지점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1차 브로잉된 경질의 외용기 내부에 상기 2차 프리폼의 삽입 후 브로잉하여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4-포인트 지점에 각각 내용기의 브로잉 된 영역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내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하단면이 일부 절개되며 틈새를 형성하는 절개틈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틈새부의 양끝단부는 용기의 사용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절개부위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방지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압출 성형되어질 때 상기 돌출지지부 내부에 중공 형태를 갖는 공기충진부가 포함되며 압출 성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KR1020160078996A 2016-06-24 2016-06-24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KR20180000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96A KR20180000826A (ko) 2016-06-24 2016-06-24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96A KR20180000826A (ko) 2016-06-24 2016-06-24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26A true KR20180000826A (ko) 2018-01-04

Family

ID=6099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96A KR20180000826A (ko) 2016-06-24 2016-06-24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8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5948A (zh) * 2019-11-15 2020-10-09 潘耀华 一种分段纸浆瓶瓶坯的覆膜工艺及分段纸浆瓶瓶坯的生产工艺
KR20220046105A (ko) 2020-10-07 2022-04-14 펌텍코리아 (주) 이중 용기
KR102395142B1 (ko) * 2021-05-12 2022-05-17 안경민 공기 구멍이 형성된 펌프식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5948A (zh) * 2019-11-15 2020-10-09 潘耀华 一种分段纸浆瓶瓶坯的覆膜工艺及分段纸浆瓶瓶坯的生产工艺
CN111745948B (zh) * 2019-11-15 2022-04-19 浙江舒康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纸浆瓶瓶坯的覆膜工艺及分段纸浆瓶瓶坯的生产工艺
KR20220046105A (ko) 2020-10-07 2022-04-14 펌텍코리아 (주) 이중 용기
KR102395142B1 (ko) * 2021-05-12 2022-05-17 안경민 공기 구멍이 형성된 펌프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1343A1 (ja) 二重容器
US20110108515A1 (en) Plastic container with improved sidewall configuration
US10131082B2 (en) Method for making dual chamber bottle
KR20180000826A (ko)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CN103003162A (zh) 包括内袋的容器
WO2013177158A1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superior crush resistance
JP2017214127A (ja) 二重容器
KR20180093020A (ko)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6385259B2 (ja) 二重容器
EP3632811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2019177908A (ja) 積層剥離容器
JP7094620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6396192B2 (ja) 二重容器
JP7154691B2 (ja) スクイズ容器
KR20130091964A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JP5992294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2020019522A (ja) 積層剥離容器
JP6410654B2 (ja) 二重容器
JP7090977B2 (ja) 積層剥離容器
JP2016141419A (ja) 二重容器
KR101785957B1 (ko) 박막 형태를 갖으며 용기내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중 브로우 용기 제조방법 그 용기
JP6553363B2 (ja) 二重容器
JP6396191B2 (ja) 二重容器
JP7139057B2 (ja) 積層剥離容器
KR101954228B1 (ko)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