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60B1 -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 Google Patents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60B1
KR102006260B1 KR1020160078971A KR20160078971A KR102006260B1 KR 102006260 B1 KR102006260 B1 KR 102006260B1 KR 1020160078971 A KR1020160078971 A KR 1020160078971A KR 20160078971 A KR20160078971 A KR 20160078971A KR 102006260 B1 KR102006260 B1 KR 10200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duit
contents
cap
dip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17A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주)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우성 filed Critical (주)뉴우성
Priority to KR102016007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가 외용기(120) 내부로 삽입되어지되, 외용기(120)의 토출구 내측면에 상기 내용기(130)의 상단이 고정되어지고, 상기 외용기(120) 토출구와 결합되는 펌프타입 마개(200)를 통하여, 상기 내용기(130)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취출하여 사용토록 펌프타입 마개의 구조에 채택되는 딥튜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개(200)의 하단부로 연통되도록 이어지는 제1관로(310)와; 상기 제1관로(310)의 하단측으로 결합 되며 상하 개구 되는 형태를 갖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등간격 이격 천공되어 내용물을 제1관로(31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로(320)와; 상기 연결관로(320) 하단으로 결합 연결되며 내용기(100) 하단측까지 이어지는 중공의 제2관로(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인 제 10-1611211 호를 더욱 개량하여 박막 필름 형태를 갖는 내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 사용을 전량 사용 가능하도록 하되, 내용기 내부로 구비되며 마개와 연결되는 딥튜브를 2단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분리되는 딥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을 갖는 연결관로를 형성하여, 마개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딥튜브와 긴밀히 접하며 딥튜브를 통하여 마개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통로가 막혀지는 현상을 배제하고, 아울러 딥튜브 하단측이 내용기에 의해 막혀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량이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A dip tube having an amount of available structures of the inner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토출구측과 결합 되는 펌프타입 마개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딥튜브의 구조를 개선하고, 외용기와 내용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에 충진 되는 내용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기에 충진되는 내용물 사용시,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점진적 압착에 의해 내용물이 잔량 없이 모두 소진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에 관한 것이다.
케어용 제품군인 화장품이나 치약 등을 수용하는 용기나 겔, 크림 형태의 세제, 의약품 등의 내용물을 담아 수용하게 되는 용기들은, 주로 튜브형 용기라 불리우는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의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각종 튜브형 용기나 원통형 용기(이하 용기라 통칭)의 토출구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통상적인 마개의 경우 사용자가 마개를 개방하여 튜브형 용기 외주면을 눌러 짜내거나 또는 경화성 용기의 경우 뒤집어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마개 자체에 펌프 타입을 적용하여, 마개의 윗 부분을 펌핑시키게 되면 용기 내부로 진입되어 있는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마개측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쉽도록 구성되는 대세적 구조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마개 하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용기 내부로 진입되는 딥튜브를 갖으며,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들을 용기 및 딥튜브의 구조적 특성상 전량 사용이 어려워, 일정량 사용한 후에 딥튜브를 통하여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용기를 절개한 후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사용 방식은 번거롭고 비위생적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일부 남겨지게 되는 잔량은 모두 사용하지 못한 채 용기와 함께 폐기되는 실정이어서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 및 문제점 등이 제기되고 있어 그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인 무잔량 튜브 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튜브 용기 내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하게 배출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피스톤 및 하부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하부 커버부재와 피스톤을 밀면서 내용물을 짜내게 되는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용기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캡(마개)에 진공펌프를 구성하여 펌핑 작업에 의해 용기 내부 내용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이 용기의 바닥면까지 닿아 용기 바닥에 남아 있는 잔량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는데, 관의 내부와 외측에 내용물이 상당량 잔존하게 되고 용기 내측면과 바닥면에도 잔량이 다수 존재하여 완전하게 잔량을 사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되는 경제적 부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인,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를 개시한 바 있다.
위 본 발명인의 선행 특허등록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임에는 틀림없으나,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점차 축소, 압착되는 과정에서 딥튜브의 상단쪽 즉, 마개의 하단방향과 용기 토출구측 영역의 내용물은 항상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선행 특허등록의 구성에 의하면 딥튜브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개 하방향과 용기 토출구 영역측으로 내용물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달리 만약 딥튜브를 용기 바닥면까지 위치시키는 경우에 박말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딥튜브를 감싸며 압착되는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딥튜브의 하단부를 박막 형태의 내용기가 막게 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유동경로를 아예 차단시키게 되어,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박막 형태의 내용기를 구성하게 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내용기가 압착되어질 때 딥튜브를 통하여 마개 방향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기 위한 경로를 차단하는 현상을 배제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구 특허등록 제 10-1467736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11211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원인에 의해 기 등록된 특허등록 제 제 10-1611211 호로부터 예상 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를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용기에서, 펌핑 수단을 갖는 마개에 의해 내용기의 내용물을 토출 사용하는 용기에서, 상기 내용기가 내용물의 토출과정에서 압착되더라도 딥튜브로부터 마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경로를 차단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의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가 내부로 삽입되는 외용기(120)의 토출구 내측면에 상기 내용기(130)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외용기(120) 토출구와 결합되는 펌프 타입 마개(200)를 통하여 상기 내용기(130)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취출 사용하는 펌프 타입 마개의 구조에서, 상기 마개(200) 하단부로 연통되며 이어지는 제1관로(310)의 하단측으로 결합되며 상하 개구되는 형태를 갖되 내용물을 제1관로(31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 등간격 이격 절개되는 절개유입구(321b)를 이루고, 상기 절개유입구(321b) 상단측을 상호 연결하는 원호형태의 연결리브(321a)들의 이격 폭에 의해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편(321c)의 하단 내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링 형태의 수평연장편(321d)를 이루는 제1외통체(32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원통체(322)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연결관로(320)와, 상기 연결관로(320)의 제2원통체(322) 하단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제2관로(330)로 이루어지는 딥튜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310) 하단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 돌출되는 돌출리브(3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로(320)의 제1원통체(321) 외주면 상단측으로 일체로 상방향 돌출 연장되는 이격연장편(323)이 구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인 제 10-1611211 호를 더욱 개량하여 박막 필름 형태를 갖는 내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 사용을 전량 사용 가능하도록 하되, 내용기 내부로 구비되며 마개와 연결되는 딥튜브를 2단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분리되는 딥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을 갖는 연결관로를 형성하여, 마개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가 딥튜브와 긴밀히 접하며 딥튜브를 통하여 마개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통로가 막혀지는 현상을 배제하고, 아울러 딥튜브 하단측이 내용기에 의해 막혀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내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량이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예를 도시한 용기 및 마개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마개 하단으로 연결되는 딥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의한 딥튜브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마개의 펌핑 작동에 따라 내용기가 압착되면서, 딥튜브측으로 내용물이 방해되지 않으며 완전히 배출되어 전량 사용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딥튜브의 하단을 구성하는 제2관로의 단부를 삼각형상으로 이격 절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제2관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원통체의 상단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연장되는 이격연장편을 더 추가 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종래의 용기내부에 수용되는 통상적인 딥튜브에 의해 사용될 경우 용기 내부 내용물 잔량을 모두 배출,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를 구비하는 외용기와, 그 외용기의 토출구측으로 결합되는 마개 하단측으로 연결되는 딥튜브를 구성하되, 상기 딥튜브의 구조를 변경하여, 내용기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잔량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용기(100)와 그 용기(100)의 토출구(110)측으로 결합 되는 마개(200)와, 상기 마개(200)의 하단부로부터 이어지는 딥튜브(30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유사하다.
한편 상기 용기(100)는 블로우 방식을 이용하여 외용기(120)와 내용기(130)로 구분되어 성형되는데, 상기 외용기(120)는 통상적 방법에 의해 성형 사출되는 것이고, 상기 내용기(130)는 수지를 압출 성형하되 블로워 방식을 이용하여 박막 필름 형태를 갖도록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내용기(130)를 얻는 방식 또는 방법은, 본 출원인의 기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 10-1335812 호인,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120)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를 거친 후,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120)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130)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를 거쳐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식을 차용하여 외용기(120)를 제작하고 이어서 상기 방식에 따라 내용기(130)를 제조하여, 상기 외용기(120) 내부측으로 내용기(1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용기(120)의 토출구(110) 내측으로 상기 내용기(130)의 상단측이 접합 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방법 이외에 박막 필름으로 형성되는 내용기(130)와 그 내용기(130)가 외용기(130) 내부로 함입되는 방식을 갖는 여타의 내/용기(130,120)로 이루어지는 용기(100) 제조 방법의 실시가 가능할 경우에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용기(100)에 본 발명의 적용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용기(100)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 등은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특허 권리범위에서 벗어나는 기술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용기(100)의 토출구(110)에 결합 되는 마개(200)는 펌프 타입의 마개(200)를 채택 사용하고, 그 마개(200)의 펌프 타입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성은 공지의 타입을 채용한다.
아울러 상기 마개(200)의 하단부측으로는 용기(100) 즉 내용기(130)의 상단부측으로 내입되며 마개(200)의 상단 외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구(210)과 연통되도록 하는 딥튜브(300)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딥튜브(300)는 본 발명에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먼저 마개(2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210)측으로 내용물이 배출 가능하도록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제1관로(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로(3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마개(200)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개(200)의 펌프 작동시, 즉 마개(200)를 누르며 상하로 펌핑 되도록 작동시킬 때 그 펌핑에 따라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이 제1관로(310)를 통하여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는 내용기(130)로 진입되지 못하게 되며(외부 공기의 진입 차단은 공지의 펌핑 방식 마개 구조와 동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사용자에 의한 마개(2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내용기(130)의 내용물이 배출구(210)를 통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관로(310)는 내용기(130)의 상단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1관로(310)의 하단부와 제2관로(330)사이에 연결관로(320)를 구성하여 상호 연결하게 되는 구성을 취한다.
상기 제1관로(310)는 마개(200)의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고, 이어서 상기 제1관로(310)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로(32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로(320) 하단부로 제2관로(3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관로(310)는 도면에서 보듯이 용기(100)의 내측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비교적 짧은 관로로 형성되며, 제2관로(330)는 용기(100)의 바닥에 근접되는 비교적 긴 관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연결관로(320)가 이들을 연결 결합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는 딥튜브(300)는 마개(200)의 펌핑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관로(330) 하단부의 유입구(331)를 통하여 내용물이 유입된 후 연결관로(320)와 제1관로(310)를 거쳐 마개(200)의 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데, 상기 연결관로(320)를 통해서도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관로(330)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그 단부가 평활면을 갖고 있어, 내용물의 유입과정에서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가 해당 단부를 막게 되면 그 해당 단부의 유입구(331)를 막게 되어 내용물이 제2관로(330)를 통하여 마개(200)의 배출구(210)측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관로(330)의 단부를 삼각형상으로 이격 절개하는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의 제2관로(330)의 실시 형태 이외에, 도 8에과 같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즉, 제2관로(330)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평단면상 돌출부(332)와 요홈부(333)가 교호상 배열되며 중앙은 개구되는 상태를 이루되, 상기 돌출부(332)와 요홈부(333)에 의해 공간(334)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332) 또는 요홈부(333)로부터 중앙측으로 연통되는 연결공(335)이 제2관로(330)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천공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332) 및 요홈부(333)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관로(330)의 외주면을 따라 평단면상 보았을 때 교호 배치되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도 9에서 보는 것 처럼 제2관로(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교호 배치되며 돌출부(332)와 요홈부(333)를 교호상 배열되며 상기 돌출부(332)와 요홈부(333)에 의해 공간(334)이 다단으로 이격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332) 또는 요홈부(333)로부터 중앙측으로 연통되는 연결공(335)이 제2관로(330) 길이방향으로 이격 천공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제2관로(330)의 단부를 삼각형상으로 이격 절개하더라도, 제1관로(310) 주변의 내용물이 완전히 사용되지는 못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관로(320)를 제시하게 되는바, 상기 연결관로(320)는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연결관로(320)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체를 갖도록 하되 상단측으로는 제1관로(31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원통체(321)를 이루고, 제1원통체(321) 하단부로 연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원통체(32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으며 제2관로(330)의 상단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2원통체(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원통체(321)는 외주면에 다수개 등간격 이격 절개되는 것으로 상단부는 제1원통체(321)의 상측과 연결되는 연결리브(321a)와 상기 연결리브(321a)의 폭만큼 제1원통체(321) 하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유입구(321b)가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리브(321a)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절개유입구(321b)와 절개유입구(321b)의 이격 폭을 이루며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321c)을 갖고, 상기 연장편(321c)의 하단 내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링 형태의 수평연장편(321d)을 이루어 상기 제2원통체(322)의 상단 외주연과 연결되어진다.
한편 제1원통체(321)의 상단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 돌출되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격연장편(323)을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추가 구성되는 이격연장편(323)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마개(200)의 펌핑과정에서 연결관로(320) 주변으로 박막 형태의 내용기(130)가 달라붙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이격연장편(323)에 의해 내용기(130)와 연결관로(320)의 제1원통체(321)간의 이격 틈을 발생시켜 내용물이 연결관로(320) 상방측 영역에 고립되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원통체(322)는 전술한 수평연장편(321d)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하방향 연장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관로(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원통체(321)의 내부로 제1관로(310)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연결관로(320)의 제2원통체(322)는 제1원통체(321)의 외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으며 제2관로(33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관로(310)와 제2관로(33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로(320)는 제1관로(310) 및 제2관로(330)와 분리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관로(320)에 의해 제1관로(310) 및 제2관로(3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후, 마개(2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130)는 박막 필름 형태를 이루며 구성되어, 내용물이 내용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체적만큼 내용기(130)는 내측으로 수축되며 체적이 그에 비례하여 줄어드는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연결관로(320)의 절개유입구(321b)를 통하여 내용물이 제1관로(310) 내부로 유입되고, 제2관로(330)의 단부측 유입구(331)를 통하여도 내용물이 제2관로(330)를 거쳐 제1관로(310)측으로 유입된 후 마개(200)의 배출구(210)를 통하여 최종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박막 형태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내용기(130)는 체적 변화에 의해 내부가 수축되더라도 그 내용기(130)의 박막 필름은 딥튜브(300)에서 연결관로(320)의 절개유입구(321b) 또는 제2관로(330)의 하단부측 삼각형태로 절개되는 유입구(331)의 단부를 차폐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이 마개(2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균일한 체적으로 배출되더라도, 내용기(130)가 연결관로(320)의 절개유입구(321) 및 제2관로(330)의 유입구(331)를 막지 못하므로, 내용기(130) 내부 내용물을 내용기(13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딥튜브(300)를 통하여 배출 사용되도록 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완전히 배출하며 사용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로(320)의 절개유입구(321b)에 의해 내용기(130) 상단측이 딥튜브(300)와 밀접하게 접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를 좀 더 보완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관로(310)의 하단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리브(311)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즉,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의 상단측 부위에 위치되는 제1관로(310) 외주면과 접하여, 그 접하는 위치 상방 영역의 내용물의 상하 유동이 억제되어 배출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리브(311)에 의해 제1관로(310)의 외주면과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간 밀접하게 접하여 내용물의 유동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연결관로(320)에서도 발생 될 수 있는데 예컨데 박막의 내용기(13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체적 감소에 의해 상기 내용기(130)가 수축되며 연결관로(320)의 외주면과 긴밀히 접하게 될 때, 상기 모든 절개유입구(321b)와 내용기(130)간 접촉에 의한 현상을 예견하기는 어려우며, 어느 하나의 절개유입구(321b)와 내용기(130)간 틈의 발생에 의해 절개유입구(321b) 상단측 영역에 고립될 수 있는 내용기(130)의 내용물을 흡입하며 마개(200)의 배출구(210)측으로 배출, 사용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각 구성들의 유기적 결합에 의해,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을 펌핑 방식 마개(200) 작동에 따라 배출 사용되도록 할 때, 박막 필름 형태로 제공되며 외용기(120)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내용기(130) 내부 내용물이 딥튜브(300)를 구성하는 제1관로(310)의 돌출리브(311) 및, 연결관로(320)의 절개유입구(321b)와, 제2관로(330)의 하단부측 삼각형상으로 이격 절개하는 구성을 갖는 단부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용기(130)가 딥튜브(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붙게 되더라도 이를 제어하며 내용기(130)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잔량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10; 토출구
120; 외용기 130; 내용기
200; 마개 210; 배출구
300; 딥튜브 310; 제1관로
311; 돌출리브 320; 연결관로
321; 제1원통체 321a; 연결리브
321b; 절개유입구 321c; 연장편
321d; 수평연장편 322; 제2원통체
330; 제2관로 331; 유입구
332; 돌출부 333; 요홈부
334; 공간 335; 연결공

Claims (8)

  1. 박막 필름 형태의 내용기(130)가 내부로 삽입되는 외용기(120)의 토출구 내측면에 상기 내용기(130)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외용기(120) 토출구와 결합되는 펌프 타입 마개(200)를 통하여 상기 내용기(130)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취출 사용하는 펌프 타입 마개의 구조에서, 상기 마개(200) 하단부로 연통되며 이어지는 제1관로(310)의 하단측으로 결합되며 상하 개구되는 형태를 갖되 내용물을 제1관로(31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 등간격 이격 절개되는 절개유입구(321b)를 이루고, 상기 절개유입구(321b) 상단측을 상호 연결하는 원호형태의 연결리브(321a)들의 이격 폭에 의해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편(321c)의 하단 내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링 형태의 수평연장편(321d)를 이루는 제1외통체(32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원통체(322)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연결관로(320)와, 상기 연결관로(320)의 제2원통체(322) 하단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제2관로(330)로 이루어지는 딥튜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310) 하단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 돌출되는 돌출리브(3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로(320)의 제1원통체(321) 외주면 상단측으로 일체로 상방향 돌출 연장되는 이격연장편(32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8971A 2016-06-24 2016-06-24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KR10200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71A KR102006260B1 (ko) 2016-06-24 2016-06-24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71A KR102006260B1 (ko) 2016-06-24 2016-06-24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17A KR20180000817A (ko) 2018-01-04
KR102006260B1 true KR102006260B1 (ko) 2019-08-01

Family

ID=6099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71A KR102006260B1 (ko) 2016-06-24 2016-06-24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6351B2 (ja) * 2019-12-27 2023-1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EP3868704A1 (de) * 2020-02-18 2021-08-25 AS Strömungstechnik GmbH Schlauch für ein entnahmesystem und verfahren zur entnahme von flüssigkeit aus einem behälter mittels eines entnahmesystems
KR102632694B1 (ko) 2022-05-17 2024-02-01 송민경 내용물이 충진된 튜브를 포함하는 펌핑 디스펜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434A (ja) * 2002-12-25 2004-07-22 Yoshino Kogyosho Co Ltd チューブ容器
US20100276448A1 (en) * 2009-04-30 2010-11-04 Lumson S.P.A Device for dispensing fluid substances enclosed in sealed conditions in a bag with guided de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294Y2 (ko) * 1986-06-10 1993-11-10
JPH08143044A (ja) * 1994-11-17 1996-06-04 Mitsubishi Gas Chem Co Inc 液体抜取り用挿入管及び液体送液方法
KR101467736B1 (ko) 2014-07-15 2014-12-01 이영주 무잔량 튜브 용기
KR101611211B1 (ko) 2015-04-24 2016-04-26 허재영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434A (ja) * 2002-12-25 2004-07-22 Yoshino Kogyosho Co Ltd チューブ容器
US20100276448A1 (en) * 2009-04-30 2010-11-04 Lumson S.P.A Device for dispensing fluid substances enclosed in sealed conditions in a bag with guided de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17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260B1 (ko)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KR101673830B1 (ko) 이중 용기
KR20140005218U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EP2982266B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EP3251960A1 (en) Double-walled container
JP2014196121A (ja) 二重容器
KR101037699B1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198760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JP2016101970A (ja) 二重容器
EP3733539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6396192B2 (ja) 二重容器
CN111712328A (zh) 用于分配流体或混合物的系统和在所述系统中使用的装置
JP6775873B2 (ja) 注出容器
JP2018090282A (ja) 二重容器
US9527095B2 (en) Pumping nozzle including suction tube having multiple openings, and pump type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1346796B1 (ko)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KR20180000826A (ko)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JP6396191B2 (ja) 二重容器
KR101896280B1 (ko) 방향성을 갖는 펌프용기
US9757752B2 (en) Double-walled tube
JP6125955B2 (ja) ブロー成形二重容器
JP6429593B2 (ja) 二重容器
JP6706240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3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8

Effective date: 201906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