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903B1 -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903B1
KR102099903B1 KR1020190011182A KR20190011182A KR102099903B1 KR 102099903 B1 KR102099903 B1 KR 102099903B1 KR 1020190011182 A KR1020190011182 A KR 1020190011182A KR 20190011182 A KR20190011182 A KR 20190011182A KR 102099903 B1 KR102099903 B1 KR 10209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od container
partition wall
recei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열
Original Assignee
서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열 filed Critical 서광열
Priority to KR102019001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구획벽에 의해 제1 및 제2 수용부로 구획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용기가 이중 수용부를 가지기 때문에 각각의 수용부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FOOD CONTAINER HAVING DUAL RECEPTACLES}
본 발명은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용기에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와 같은 식품을 저장하여 유통 판매하기 위한 용기로 캔, 유리 병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기들은 제조원가가 높기 때문에, 제조원를 낮추고 실용성에서 유리한 합성수지재 또는 비닐팩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가 전 세계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약과 같은 약재는 통상적으로 보관이 용이하고 음용이 쉬운 비닐팩 등에 담긴 상태로 제조된다. 그리고, 한약의 경우 특유의 쓴맛과 강한 향 때문에 사용자는 한약을 음용 뒤 사탕과 같은 달달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약이 담긴 비닐팩은 단순히 하나의 수용부만 형성되기 때문에 한약을 먹은 후 한약의 쓴맛을 달래기 위한 사탕 같은 식품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식품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수용부가 절개식으로 개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개방하여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구획벽에 의해 제1 및 제2 수용부로 구획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측벽에서부터 반대하는 하부 모서리를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 수용부가 위치되고 하부에 제2 수용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하부에 위치된 수용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외측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으로부터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절개선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된 흡입몸체; 일측이 상기 흡입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절첩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흡입부재; 및 일측이 상기 흡입몸체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해당하는 수용공간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도록 연장된 빨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몸체의 타측은 병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병목구간의 외주면이 상기 빨대부재의 일측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용기가 이중 수용부를 가지기 때문에 각각의 수용부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수용부가 절개식으로 개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개방하여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흡입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품용기(10)에 관한 것으로 식품용기(10)에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식품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은 고체의 식품 또는 액체의 식품 또는 분말 형태의 식품 그리고 젤리 형태의 식품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의 흡입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는 하우징(100)과 흡입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0)은 내부에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흡입유닛(200)이 구비될 수 있다. 흡입유닛(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복수의 시트부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시트부는 2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트부는 사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시트부는 외주면이 열 압착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즉, 시트부의 외주면이 실링되기 때문에 하우징(100)은 팩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식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하우징(100)의 상부 즉, 복수의 시트부 사이에 흡입유닛(200)이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복수의 시트부 각각은 흡입유닛(200)과 열압착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합성수지, 비닐팩 또는 필름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는 구획벽(101)에 의해 제1 수용부(110) 및 제2 수용부(120)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벽(101)은 하우징(100) 내부의 일측 내벽의 예정된 위치에서부터 타측 내벽의 바닥 모서리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구획벽(101)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제2 수용부(120)는 구획벽(101)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에는 각각 다른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0)에는 한약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유닛(200)을 통해 사용자가 제1 수용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수용부(120)에는 사탕과 같이 약을 먹은 후 쓴맛을 달래줄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수용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한 뒤 제2 수용부(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꺼내서 섭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0)에는 커피와 같은 액상 음료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수용부(120)에는 설탕이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용부(120)에 수용된 설탕을 더 첨가하는 방식으로 커피의 맛을 조절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수용부(110)에는 음료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수용부(120)에는 물티슈 또는 휴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부(120)에는 액체나 젤리 상태가 아닌 고체 상태의 내용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2 수용부(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하우징(100)으로부터 꺼내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기로 한다.
먼저, 하우징(100)의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수용부(120)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절개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02)은 제2 수용부(120)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의 일부를 더욱 쉽게 절개시키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홈(102)에는 절개선(10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03)은 일측이 절개홈(102)으로부터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제2 수용부(120)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의 이웃하는 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절개홈(102)을 시작으로 절개선(103)을 따라 이웃하는 면까지 쉽게 절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절개홈(102) 및 절개선(103)을 따라 쉽게 하우징(100)을 절개한 뒤 제2 수용부(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의 흡입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흡입유닛(200)은 흡입몸체(210)와 흡입부재(220) 및 빨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몸체(210)는 상부 하부가 개방된 스파우트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입몸체(210)의 하부는 제1 수용부(110)의 내부(즉, 내측)에 위치되고, 흡입유닛(200)(140)의 상부는 하우징(100)(100)의 외부(즉, 외측)에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몸체(210)의 상부를 흡입하여 제1 수용부(110)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몸체(210)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뚜껑(C)과 나사 결합되어 개폐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의 내부에 위치된 흡입몸체(210)의 하부는 단부가 병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흡입몸체(210)의 단부의 선폭은 흡입몸체(210) 중간 위치의 선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몸체(210) 단부의 외주면에는 이후 설명할 빨대부재(23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몸체(210)의 외측에는 흡입몸체(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편(21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편(211)은 하우징(100)의 복수의 시트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편(211)은 복수의 시트부와 더욱 넓은 면적으로 접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몸체(210)와 하우징(100)의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흡입부재(220)는 흡입몸체(2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홉입몸체의 내측(즉,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부재(220)는 자바라 방식과 같이 절첩식으로 형성되어 흡입몸체(2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재(220)는 길이 조절을 통해 흡입몸체(210)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빨대부재(230)는 흡입몸체(2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빨대부재(230)는 일측이 흡입몸체(2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수용부(110)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경사진 구획벽(101)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에 제1 수용부(110)의 선폭은 가장 하부로 갈수록 점점 선폭이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10)의 잔존 내용물이 제1 수용부(110)의 가장 하부에 고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우징(100)을 기울이지 않고 빨대부재(230)를 통해 잔존 내용물을 쉽게 음용할 수 있다.
빨대부재(230)는 흡입몸체(210)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빨대부재(230)와 흡입몸체(210)는 나사산 결합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입부재(220) 및 빨대부재(230)를 통해 제1 수용부(110)에 수용된 음료 또는 식품을 남김없이 원활히 음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식품용기
100: 하우징
101: 구획벽
102: 절개홈
103: 절개선
110: 제1 수용부
120: 제2 수용부
200: 흡입유닛
210: 흡입몸체
220: 흡입부재
230: 빨대부재
C: 뚜껑

Claims (5)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구획벽에 의해 제1 및 제2 수용부로 구획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 측벽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 모서리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 폭 방향 중간부에 구비되되,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흡입몸체;
    하부가 상기 흡입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절첩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흡입부재; 및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부분, 상기 하향 연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구획벽을 따라 연장되어 하측이 상기 제1 수용부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빨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하부에 위치된 수용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외측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으로부터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절개선이 연장되는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몸체의 타측은 병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병목구간의 외주면이 상기 빨대부재의 일측 내주면과 연결되는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1020190011182A 2019-01-29 2019-01-29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10209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82A KR102099903B1 (ko) 2019-01-29 2019-01-29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82A KR102099903B1 (ko) 2019-01-29 2019-01-29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903B1 true KR102099903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182A KR102099903B1 (ko) 2019-01-29 2019-01-29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60A (ko) 2020-07-27 2022-02-04 박용성 선택 섭취가 가능한 팩 타입 식품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284A (ko) * 2002-11-30 2003-03-06 이정민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JP2006511409A (ja) * 2002-12-20 2006-04-0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複室パウチおよび易壊シールを備えた飲料容器
WO2015186251A1 (ja) * 2014-06-04 2015-12-10 株式会社悠心 包装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284A (ko) * 2002-11-30 2003-03-06 이정민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JP2006511409A (ja) * 2002-12-20 2006-04-0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複室パウチおよび易壊シールを備えた飲料容器
WO2015186251A1 (ja) * 2014-06-04 2015-12-10 株式会社悠心 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60A (ko) 2020-07-27 2022-02-04 박용성 선택 섭취가 가능한 팩 타입 식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394B2 (en) Lid for a beverage cup including a snack storage reservoir
JP2002505646A (ja) 自己密封型飲用ディスペンサ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JP2003501324A (ja) 液体を自動温度調節して保存する容器
US20150173557A1 (en) Tea bag storage case for mineral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US2006003277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US20150020906A1 (en) Non-spill valve
KR102099903B1 (ko)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210131959A (ko)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101117578B1 (ko)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GB2344580A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JP2006199350A (ja) 高粘度飲食品用包装容器および高粘度飲食品包装体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101391783B1 (ko) 이중 컵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US11427389B2 (en) Compartment for preparation as bottle cap of drinking water
KR200397857Y1 (ko) 저장공간이 형성된 병마개
CA2718380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