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284A -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284A
KR20030019284A KR1020020076434A KR20020076434A KR20030019284A KR 20030019284 A KR20030019284 A KR 20030019284A KR 1020020076434 A KR1020020076434 A KR 1020020076434A KR 20020076434 A KR20020076434 A KR 20020076434A KR 20030019284 A KR20030019284 A KR 2003001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tainer
isolated
main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2007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9284A/ko
Publication of KR2003001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284A/ko
Priority to US10/536,578 priority patent/US8783506B2/en
Priority to JP2004556962A priority patent/JP2006520722A/ja
Priority to CNA2003801046445A priority patent/CN1720178A/zh
Priority to AU2003302658A priority patent/AU2003302658A1/en
Priority to PCT/KR2003/002618 priority patent/WO2004050499A1/en
Priority to EP03812380A priority patent/EP1585685A4/en
Priority to EP08075126A priority patent/EP1947024B1/en
Priority to DE60333048T priority patent/DE60333048D1/de
Priority to AT08075126T priority patent/ATE471283T1/de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발명의 목적
선행 실용신안등록 274343호는 밀폐성이 없고,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흡음과 배출 그리고 밀폐성이 양호한 용기를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3)발명의 구성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밀폐되도록 결합부를 갖고 있는 보조용기체와, 상기 결합부의 내향으로는 함몰된 형의 공간을 구성하되, 그 공간의 측방으로는 덮개가 있는 구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구부의 내부 삽입공에는 내부의 배출공과 연통된 측면배출공이 있는 배출대를 조립시키며, 그리고 상기한 구부는 접철부에 의해 공간으로 접철됨과, 또한 상기한 공간의 상방은 식품등을 내입하고 시일부재로 밀폐시킨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음료수와 스낵 등을 용기에 각각 분리 내입하고, 그러한 용기는 장기보관이 가능한 장점과,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omitted}
본 발명은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본 발명인의 PCT/KR01/00384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274343호, 국내실용신안등록282144호가 있다.
본 발명인의 PCT/KR01/00384호의 경우는, 용기 본체의 상방에 보조공간을 두고, 그 보조공간에는 배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뉘어질 수 있는 형태이며,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는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용에 있어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 그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기술에 대하여는 본 발명인이 미국특허(6,435,383호)를 획득 바도 있는 기술이다.
참고적으로, 용기에 스트로를 접목하는 것는 공지된 것이고, 다만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냐에 그 권리의 한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 컵을 부설하는 것 역시 주지의 사실이며, 이 또한 그 보조 컵이 용기에서 어떤 역활을 하느냐가 한정된 권리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실용신안등록 274343호를 살펴 보면(신규성 여부와 관계없이), 튀김 등의 식품과 음료수를 한 용기에 담아 식음하는 것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단점으로서는 상기한 용기의 기밀성이 구조적으로 이루어 질 수 없어즉석에서 식음하는 것을 그 전제로 한 기술이며, 식품이나 음료를 내장하여 유통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용기는 흡음은 가능하지만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대를 통하여는 다른 용기에 옮길 수 없는 단점도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282144호의 경우도, 선행기술의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밀폐성이 불량하고, 또한 토출홀이 인체공학적 못하여 음용하기가 구조적으로 난이한 폐단이 있는 것이다.
식음료용 용기는 어느 한 가지의 사실에 역점을 두고, 그 사실을 극복하는 것이 다가 아닌 다변화 된 시기에 있는 이 즈음에, 상기한 국내 기술 내용들은 그 권리가 극명한 지극히 한정된 기술에 관한 오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성이 뛰어난 용기와 그 용기의 상부에 얹혀지는 보조용기체의 공간이 밀폐가 완벽하게 되는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용기는 배출대를 통하여 흡음하는 것과, 그 배출대를 통하여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조용기체의 공간에는 튀김이나 스낵, 또는 원두커피를 보관하고 그 보관된 원두커피를 별도의 도구 없이 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며, 상기한 용기는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덮개를 포함한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는 것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부 또는 구부에 내입된 배출대가 덮개에 의해 위생적으로 보호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본체공간에 있는 내용물은 유통중에 보조용기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부를 포함한 덮개가 공간 방향으로 숙여진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구부(덮개 포함)가 상방으로 치켜 올려진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도 3과 같은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구부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가 하향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완성된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810, 910, 1010, 1110, 1410, 1510, 1610, 1810, 1910, 2110, 2210, 2310, 2410, 2510, 2610 2810, 2910, 3010, 3110, 3410, 3510, 3610 : 본체
11 : 본체공간
12, 45, 812, 1412, 1412', 1612 : 환테
20, 820, 920, 1020, 1120, 1220, 1320, 1420, 1520, 1620, 1820, 1920, 2120, 2220, 2320, 2420 2520, 2620, 2720, 2820, 2920, 3020, 3120, 3420, 3520, 3620 : 보조용기체
21, 1221, 1321, 1421, 1421', 1521, 1621, 1821, 1921, 2721 : 결합부
22, 2429, 2622, 3122, 3422, 3522, 3622 : 공간
23, 2923, 3023 : 구부
24 : 상면부
25 : 연결부
26, 46 : 접철부
27, 1513 : 나사산
30 : 덮개
40, 2840 : 배출대
41 : 작동부
42 : 환턱
43, 2128, 2528, 2842, 3025 : 배출공
44 : 측면배출공
50, 850, 2850, 3450, 3550, 3650 : 시일부재
60 : 보조용기
1428, 1814, 2924, 3123, 3523 : 절취선
1813 : 접철선
1815 : 보조절취선
1816 : 안내부
2129, 2845, 3026 : 공기유입공
2240, 2340 : 보조배출대
2428 : 지지대
2670, 3570 : 격리벽
2841 : 결합돌기
2843 : 고정부
2844 : 스트로조립부
2846 : 밀폐돌기
2847 : 스트로
2925, 3124, 3524 : 절취막
2926, 3125, 3525 : 당김손잡이
3024 : 밀폐막
3100 : 여과지
3126 : 절취공
3127, 3526 : 돌기부
3200 : 원두커피
3300 : 마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2중 공간의 용기(1)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공간(11)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방에 위치되는 보조용기체(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10)는 보조용기체(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용 환테(12)가 본체(10)의 상방 외환부에 형성되는 것이나, 상기한 결합구조는 상식선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 하다.
또한 상기한 보조용기체(20)는 상기한 본체(10)의 결합구조의 일예인 환테(11)에 대응되어 조립될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의 내향으로는 하방으로 함몰된 형의 공간(22)이, 그리고 그 공간(22)의 측방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부(23)를 형성하되, 그 구부(23)는 상기 공간(22) 방향으로 숙여질 수 있도록 상기 구부(23)의 상면부(24)와의 연결부(25)를 기준으로 하여 뒤집히는 형태등의 접철부(26)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이 용기(1)의 기본 구조이며,
상기한 내용에 있어, 구부(23)의 밀폐성을 위해 구부(23)에는 나사산(27) 등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부가되고, 상기한 구조를 갖는 구부(23)에는 개폐용 덮개(30)가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23)의 내부 삽입공에는 본체(10)의 본체공간(11)에 담긴내용물을 꺼내는 장치인 배출대(40)를 조립시키되, 상기한 배출대(40)는 상기 구부(23)의 내부 삽입공에 대응되는 작동부(41)를 두고, 그 작동부(41)의 하단은 환턱(42)을, 그리고 그 환턱(42)의 상방에는 내부의 배출공(43)과 연통된 측면배출공(44)을 형성한 것이며, 또한 상기한 작동부(41)의 상방에는 환테(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배출대(40)의 환턱(42)은 접철부(43)로 대체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배출대(40)는 본 발명인의 특허 또는 선행에서 거론된 바, 상세설명을 이로써 대체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본체공간(11)에 적당량의 내용물을 담은 후 구부(23)에 배출대(40)와 덮개(30)를 수용한 보조용기체(20)를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결합 과정에 결합부(21)가 환테(12)에 조립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원터치 방식이나, 또는 초음파나 열접착, 또는 스크류 방식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용기체(20)의 공간(22)에는 스낵 등의 내용물을 내입한 후 그 상부를 은박지(AL) 등의 시일부재(50)로서 밀폐시킨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은박지(AL) 외에 다양한 형태의 밀페용 덮개가 결합될 수 있는 것임과, 상기한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도 7과 같다.
또한 상기 시일부재(50)로서 시일하는 과정에 있어, 그 시일 전에 구부(23)를 포함한 덮개(30)가 공간(22) 방향으로 접철된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7과 같으며, 상기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도 4 내지 도 7은 사시도 등에 비해 확대된 도면이다.
이하, 추후 설명될 단면도 등도 사시도에 비해 확대된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7이 용기(1)의 완성된 일 제품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시일부재(50)를 제거한 상태가 도 2와 같고(공간(22)에 식품 등이 내입된 상태를 생략하였음. 도 3 내지 도 6 도 식품내입된 상태 생략),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30)를 들어 올리게 되면 접철부(26)가 원래의 상태로 상향됨과 동시 상기한 덮개(3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그 상태를 보인 것이 도 3 내지 도 4와 같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공간(11)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하여는 구부(23)에 밀폐 조립된 덮개(30)를 제거하게 되는데, 그 상태를 일 예시한 것이 도 5와 같으며,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대(40)의 상단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본체공간(11)에 든 내용물이 상기한 배출대(40)를 통하여 흡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유는 측면배출공(44)이 구부(23)의 삽입공 내벽부에 위치되어 밀폐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배출대(40)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공(43)으로 흡출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대(40)를 통하여 본체공간(11)에 든 내용물이 배출될 때, 본체(10)에 진공이 걸려 본체공간(11)에 든 내용물이 배출되려 하지 않은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배출대(40)의 작동부(41)이자 측면배출공(44)의 측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공기유입부를 두어 본체(10)에 진공이 걸리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배출대(40)의 측방에 공기유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용기(1)가 실수로 넘어질지라도 본체(10)에 든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며, 상기한 기술적 원리는 본 발명인이 2001년 영국 런던 이노베이트 2001 전시회(영국 BBC주최)에 참가하여 상기한 기술이 「올해의 우수발명품」으로 선정되는 것으로도 확인 된 바, 있는 기술인 것이다.
그리고 용기(1)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때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40)의 상단을 압압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배출대(40)가 하향되고, 동 과정에 구부(23)의 삽입공 측벽에 밀착되어 있던 측면배출공(44)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1)를 치켜들고 구부(23)의 방향으로 숙인 상태에서 본체(10)를 가압하게 되면 본체공간(11)에 든 내용물이 최초 측면배출공(44)을 통하고 연이어 동 연장선상의 배출공(43)을 통해 그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1)를 거꾸로 숙이게 되면 공간(22)에 든 내용물이 낙하될 수 있으나, 이는 그 상부를 다양한 형태로 하여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 후술될 내용에서도 이를 예지한 기술이 거론될 것이다.
일예로, 시일부재(50)를 개봉한후, 공간(22)을 다시 막아지게 하는 구조로 시일부재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22)에 별도의 보조용기(60)를 두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1)의 본체공간(11)에 든 내용물을 빨아먹는 것과 그리고 그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용기를 치켜들고 일반 용기처럼 음용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1)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한 행위를 연출하는 구부(23)는 공간(22)으로 숙여진 바, 다단 적층이 가능하며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와 보조용기체(20)에 형성된 본체공간(11)과 공간(22)에 든 내용물은 외기의 공기가 그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그 구조를 하였는 바, 장기보존이 가능한 특징이 있고, 또한 즉시 소비를 형태로 한 매장에서도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한 등의 큰 장점에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용기(1)는 음용과 동시 공간(22)에 든 식품 등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분주한 경제활동을 하는 현대인에게는 번거러움을 해소해 주어, 일시에 모든 것이 충족되는, 본 용기(1)를 기본으로 하는 제품의 소비가 한층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는 등 본 용기(1)의 산업상 그 이용 가치가 있는 기술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기(1)를 기본 구조, 구성원리 외에 다양하게 사용하는 일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고자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8), 보조용기체(820)의 하부로 본체(810)를 일체화 시킨 것이며, 상기한 본체(810)는 배출대(40)등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1)가 다단적층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810)의 하방이 상방보다 더 넓은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810)의 하방에는 내용물 내입후 밀폐를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시일부재(850)가 부가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9), 보조용기체(920)가 지관이나 플라스틱 또는 각종소재로 된 본체(910)의 단부에 인서트성형 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0), 본체(1010)와 보조용기체(1020)를 단일의 구성체로 한 것을 보인 것이고, 이러한 기술은 다이렉브로우 또는 인젝션브로우 공법으로 그 성형이 가능하며, 특징은 이음새가 없고, 금형비가 저렴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기디자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1), 본 발명의 용기(1) 구성은 원형은 물론 다각형으로도 그 제작이 가능한 것이며, 도시된 바는 본체(1110)와 보조용기체(1120)를 사각으로 한 것을 보인 일예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2), 보조용기체(1220)의 결합부(접착부)(1228)를 측방으로 하여 상기한 보조용기체(1220)를 연포장 등의 파우치 일 단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3), 보조용기체(1320)의 상방부가 용기의 상방부에 일 노출될 수 있도록 비교적 보조용기체(1320)의 하방부에 각종 형태의 결합부(1321)를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4), 본체(14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용기체(1420)의 결합 형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한 일 예를 보인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10)의 상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환테(1412, 1412')가 형성되고, 그 환테(1412, 1412')에 조립되는 보조용기체(1420)의 결합부(1421)도 상기한 환테(1412, 14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태(결합부(1421, 1421')로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5), 본체(15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용기체(1520)의 결합 형태를 스크류방식으로 한 일예를 보인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10)의 상단에 나사산(1513)을 형성하고, 그 나사산(1513)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보조용기체(1520)의 결합부(1521)의 내벽부에도 나사산 등을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6), 본체(16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용기체(1620)의 결합형태가 시일부재에 의해 동시에 밀폐되는 원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610)의 상단에 형성된 환테(1612)가 내부로 단이지게 구성되고, 상기한 환턱형으로 단이진 환테(1612)의 환턱부에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용기체(1620)의 결합부(1621)를 환턱부에 삽입될 수 있는 환테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7, 도 18), 종이팩 등으로 된 본체(1810)의 임의 일면 저부에 보조용기체(1820)를 결합시킴에 있어, 상기한 보조용기체(1820)는 결합부(1821)가 본체(1810)의 임의 일 측면 저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용기체(1820)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그 상면의 본체(1810) 일부를 개봉하여야 하는데, 그 실시를 위하여 상기한 결합부(1821)의 내측선상 상부에 절취선 등을 두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일예로, 상기한 절취선은 일측에 형성된 접철선(1813)을 기준으로 하여 그 맞은 편과 양측으로 절취선(1814)을 형성하고, 상기한 절취선(1814)을 파괴하기 위한 수단과 파괴후 재닫음시 공간(22)을 막을 수 있는 형태의 보조절취선(1815)과그 보조절취선(1815)을 최초 파기하기 위한 안내부(181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안내부(1816)는 박판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 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도 17과 같은 상태에서 박판형의 안내부에 손가락을 위치하여 그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절취선(1815)이 형성된 부위로 당기게 되면 보조절취선(1815)과 그 연장 선상의 절취선(1814)이 파괴되면서 본체(1810)의 일부가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그 남은 부위를 접철선(1813)를 기준으로 당기게 되면 양측의 절취선(1814)이 파괴되면서 보조용기체(1820)의 공간(22)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30)를 들어 올린후 절취된 부위를 공간(22)을 향해 다시 닫은 상태가 도 18과 같은 것이다.
상기 도 18에서는 공간(22)에 식품이 내입된 상태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실사용시는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이 내입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공간(22)의 상부를 본체(1810)의 일부로 재막음 한 것은, 용기(1)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기 위하여 거꾸로 숙이는 과정에 공간(22)에 든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9, 도 20), 본체(1910)의 저부에 부착된 보조용기체(1920)의 공간(22) 상면의 본체(1910)가 절취선에 의해 전면 제거되게 하거나, 또는 도 19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간(22)의 상면이 트이게 하고 그 공간(22)을 밀폐시키도록 그 공간(22)이 있는 본체(1910) 부에 시일부재로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사용시는 상기한 시일부재를 제거하게 되면 도 19와 같이 되는 것이고, 상기한 상태에서 덮개(30)를 치켜 세우게 되면 도 20과 같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1), 이상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의 내부에 있는 구부(23)의 형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의 내부에 배출공(2128)을 두고, 그 배출공(2128)에는 공기유입공(2129)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용시는 용기(1)를 구부(23) 방향으로 숙이게 되면 배출공으로는 본체(2110)의 내부에 든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 공기유입공(2129)으로 외기의 공기가 들어 가게 됨으로 쿨럭임 없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1)의 내용물을 흡음하고자 할때는 배출공(2128)에 빨대를 꼽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2), 이상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의 내부에 있는 배출대(40)의 형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의 내부에서 상하 일정 길이로 이동되는 것이 자유스러운 별도의 보조배출대(2240)를 조립시킨 것이며, 그 사용시는 상기한 보조배출대(2240)가 일정 길이 늘어 나는 바, 그 음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23)의 내벽부나 구부(23)에 위치된 배출대(40)부위에는 공기유입홈을 두어 내용물의 배출을 돕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3), 이상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의 내부에 있는 배출대(40)의 형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대(40)의 상방부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이 자유스러운 별도의 보조배출대(2340)를 조립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용시는, 별도의 보조배출대(2340)가 상하 일정 길이 늘어나는 바, 그 음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부(23)의 내벽부에 공기유입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구부(23)에 위치한 배출대(40)의 부위에 공기유입홈을 형성하여 외기의 공기가 용기(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돕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4), 이상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의 내부에 있는 배출대(40)의 형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의 내벽부에 지지대(2428)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2428) 상에는 배출대(40)를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용시는, 흡음시 배출대(40)가 상하 일정 길이 이동되는 바, 그 흡음을 을 위한 행동이 자유스럽고, 또한 용기(1)의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또는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때는 용기(1)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구부(23)의 내부 공간(2429)을 경유 본체(241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5), 이상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의 내부에 있는 배출대(40)의 형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의 내부가 배출공(2528)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용시는, 배출공(2528)을 통하여 용기(1)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또는 그 내용물이 다른 용기에 옮겨지는 것이며, 또는 상기한 배출공(2528)에 스트로 등을 꼽아 그 내용물을 흡음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6), 이상 도 1 내지 도 25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보조용기체(2620)의 공간(2622)의 구조를 달리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가 별도의 공간(2622)과 구별되게 격리벽(2670)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스낵 등의 내용물이 구부(23)와 구별된 별도의 공간(2622)에 수용된 바, 그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7),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금속캔이나 기타 용기의 천공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721)를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8), 이상 도 1 내지 도 27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구부를 포함하는 배출대(2840)의 구조를 달리 한 것으로서, 공간(22)의 측방에 결합돌기(2841)에 의해 일정 각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배출대(2840)를 구성하되, 상기한 배출대(2840)는 내부로 길게 관통된 배출공(2842)이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돌기(2841)가 있는 고정부(2843)에는 스트로조립부(2844)의 상단공을 막을 수 있는 형태의 밀페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스트로조립부(2844)의 근처에는 공기유입공(2845)을 형성하되, 상기한 공기유입공(2845)을 막을 수 있는 밀폐돌기(2846)를 그 상대되는 배출대(2840) 부위에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배출대(2840)를 치켜 세우게 되면 상기한 배출대(2840)가 결합돌기(2841)를 중심으로 일정 원을 그리면서 상향되게 되는데, 이 때 스트로조립부(2844)의 상단공과 공기유입공(2845)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대(2840)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배출공(2842)과 스트로(2847)의 내부 배출공이 상호 연통되어 있는 바, 배출공(2842)을 통해 본체(2810)내의 내용물이 흡출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공기유입공(2845)으로는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는 관계로 스 흡음성이 좋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28에서 보인 배출대(2840)의 단부가 외측을 향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배출대(2840)를 통한 흡음성은 동일하나, 용기(1)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때는 용기(1)를 숙이게 되면 배출대(2840)의 배출공(2842)을 통하여는 용기(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유입공(2845)을 통하여는 용기(1)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공기유입공(2845)이 상황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고, 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한 공기유입공(2845)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데에 지장이 없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9), 이상 도 1 내지 도 27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구부(2923)를 달리한 것으로서, 원터치방식의 구부(2923)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공의 상단은 절취선(2924)으로 구획된 절취막(2925)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절취막(2925)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그 절취막(2925)에는 당김손잡이(2926)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당김손잡이(2926)를 잡아 당기게 되면 절취선(2924)이 파괴되면서 절취막(2925)이 열리게 되며, 상기한 절취막(2925)이 분리되면서 생긴 배출공을 통하여는 본체(291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공에는 스트로 등을 삽입하여 용기(1) 내의 내용물을 흡음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1)내의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25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구부(2923)의 배출공을 막을 수 있는 구부 배출공 밀폐돌기(A)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원리는 주지의 것이나, 설명하면, 구부(2923)를 접철부(26) 방향으로 숙이게 되면 구부(2923) 내부의 배출공 하단부가 밀폐돌기(A)에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하는 구성 원리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0), 본 발명은 도 29의 변형의 것이다.
상세하게는, 구부(3023)의 내부는 배출공이나 또는 배출공과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를 별도의 밀폐막(3024)으로 밀폐시킨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1, 도 32), 이상 도 1 내지 도 30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공간(3122)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즉, 스낵이나 기타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이 아닌 실질적으로 다른 기능을 추가하여 갖는 그러한 공간(3122)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3122)의 하방에 절취선(3123)으로 구획된 절취막(3124)을 형성하고, 상기한 절취막(3124)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절취막(3124)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312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절취막(3124)이 제거되면서 생긴 절취공(3126)을 향하여는 공간(3122)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기부(3127)를 다 수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돌기부(3127)는 바닥면에 고인 액체가 상방에서 어떤 물질이 압압할지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그 액체가 절취공(3126)을 향하여 흘러 내려 가는데 도움이 되는 정도이면 족하다.
이유가 그러한 바, 상기한 돌기부(3127)는 절취공(3126)을 향하여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거나 또는 돌출된 다 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종래에는 바닥면에 다 수의 구멍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액체가 저항없이 용이하게 흘러 내리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공간(3122)에는 여과지(3100)가 내입되고, 그 여과지(3100)와 함께는 원두커피(3200) 봉지나 기타 식품이 내입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용시는, 당김손잡이(3125)를 당겨 절취막(3124)을 제거하고, 상기한 형태의 공간(3122)에는 여과지(3100)를 정위치 시킨후, 그 여과지(3100)상에 원두커피(3200)를 투입하며, 상기한 상태에서 여과지(3100)에 물을 붙게 되면 상기한 액체가 원두커피(3200)의 맛과 향을 우려내어 여과지(3100)를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통해 여과지(3100)를 통과한 액체는 공간(3122)의 저부로 흘러 내리고, 그 액체는 돌기부(3127)에 의해 절취공(3126)으로 모여들며, 상기한 절취공(3126) 주위의 흘러든 내용물은 그 절취공(3126)을 통해 본체(3210)의 본체공간(11)으로 흘러들게 되는 것인데 그 일예를 도시한 것이 도 32와 같다.
보충된 설명으로서, 돌기부(3127)가 없으면 여과지(3100)를 통과한 액체가 공간(3122)의 저부에 흘러 내림과 동시 상기한 여과지(3100)도 공간(3122)의 바닥면에 달라 붙게 되는 바, 그 액체는 절취공(3126) 주위로 모여드는 것이 불가능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공간(3122)의 바닥면에 다 수의 구멍을 천공하면 상기한 폐단은 극복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본체(3210)의 본체공간(11)에 또 다른 액체가 내입될 경우 그 액체가 보조용기체(3220)의 공간(3122)으로 이동되는 폐단이 있게 되는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3210)의 본체공간(11)에 액체등의 내용물이 내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한 공간(3122)의 바닥면에는 다 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도 3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취막(3124)은 공간(3122)의 외측 내벽부에 최근거리에 위치되게 한 것이 좋은 일예이다.
그 이유는, 치근거리(B)가 유지될수록 용기(1)를 일측으로 숙여 용기(1)내의 내용물을 배출할때 절취막(3124)이 파괴되면서 생긴 절취공(3126)을 통하여용기(1)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예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돌기부(3127)의 높이를 나타내는 부호표시 「C」는 공간(3122)의 체적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3), 본 발명은 도 31 내지 도 32의 기술을 보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3122)의 하부에 형성된 절취공을 마개(3300)로 밀폐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1)를 일측으로 숙일시 그 절취공을 통하여 액체가 넘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절취공은 처음부터 형성되고, 그 절취공에 마개(3300)가 밀폐된 상태로 최초 구성되는 것도 좋은 예이다.
또는 도 3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막(3124)의 저부에 마개(3300)를 일체시킨 것도 좋은 예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4), 이상 도 1 내지 도 33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공간(3422)의 상방에 쒸어지는 시일부재(3450)를 달리한 것으로서, 상기한 공간(3422)의 상방에 개폐가 반복되는 시일부재(3450)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한 시일부재(3450)의 상방에 별도의 시일부재를 부가하여 밀폐성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5), 이상 도 1 내지 도 33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공간(3522)이 격리벽(3570)에 의해 구별되고, 상기한공간(3522)의 저부에는 절취선(3523)으로 구획된 절취막(3524)과 그 상방에 당김손잡이(3525)이 등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한 절취막(3524)과 절취공을 중심으로는 다 수의 돌기부(3526)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공간(3522)의 상방에는 별도의 시일부재(3550)가 조립되거나 또는 시일부재(3550)와 그 상부에 밀폐를 위한 시일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1 내지 도 33 또는 도 35에서 보인 절취막과 마개를 대신하여는 별도의 은박지 등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6, 도 37), 이상 도 1 내지 도 35에서 설명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용의 기술중, 덮개(30)를 포함한 구부(23), 또는 구부(23)의 변형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23)를 포함한 덮개(30) 또는 각종의 구부 또는 배출대 등이 비교적 수직 상태로 형성되고, 그러한 구조의 측방에 공간(3622)이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료수와 스낵 등을 용기에 각각 분리 내입하고, 그러한 용기는 장기 보관이 가능한 장점과,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45)

  1.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밀폐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갖고 있는 보조용기체와,
    상기 결합부의 내향으로는 함몰된 형의 공간을 구성하되, 그 공간의 측방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구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구부는 공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숙여질 수 있도록 상기 구부의 상면부와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접철부를 형성하며, 상기한 구부에는 개폐를 위하여 덮개가 조립되는 등 선행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용기체의 격리된 공간은 스낵 등의 식품을 저정할 수 있는 형태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스낵 등의 식품을 저장하고, 구부가 공간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상기 공간의 상방부를 시일부재로서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그 보조용기체의 하부로 본체를 일체화 시키고, 상기 본체의 하방에는 시일부재로서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방보다 하방이 넓은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의 단부에 인서트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와 단일의 구성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파우치의 일 단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공간의 외측향에 측방향으로 된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상기 보조용기체의 상방부가 용기의 일 상방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용기체의 하방부에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의 상단에 초음파,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의 상단에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의 상단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본체의 상단에 내부로 환턱이 형성된 환턱부에 상기 보조용기체의 결합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방부를 중심으로 하여는 격리된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한 결합부를 밀폐시키는 용도의 시일부재를 부가한 갓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종이팩 등으로 된 본체의 임의 일측 저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체의 공간 등 상방부를 개방하기 위하여,그 상방부에 위치한 본체의 일면을 절취선으로 구획하여 개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체의 공간 등 상방부의 본체부가 개방된후, 필요에 따라 상기 공간을 막아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절취 제거되는 본체부의 일부를 접철선으로 연결시켜 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종이팩 등으로 된 본체의 임의 일측 천공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구부가 형성되데, 상기한 구부에는 본체의 본체공간에 든 내용물을 꺼내는 장치인 배출대를 조립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는 구부 내벽부상에서 상하 일정 이동되는 작동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구부가 형성되데, 상기한 구부에는 배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 내부에는 배출공과 공기유입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의 내부에는, 구부의 내부에서 상하 일정 이동되는 것이 가능한 유형의 보조배출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상측 내부에는 일정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의 보조배출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는 구부의 내벽부에 공간을 사이에 둔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형태의 공간은 구부와 분리될 수 있도록 격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이 형성된 공간의 상방에는 그 마감으로 시일부재로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금속캔 등의 용기천공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있는 쐐기형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구부를 포함하는 배출대가 형성되데, 상기한 배출대는 공간의 측방에 결합돌기에 의해 일정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한 배출대는 내부로 길게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한 결합돌기가 있는 고정부에는 스트로조립부의 상단을 막을 수 있는 형태의 밀폐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조립부의 근처에는 공기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공기유입공의 상대되는 배출대 부위에는 상기 공기유입공을 막을 수 있는 밀폐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0.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밀폐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갖고 있는 보조용기체와,
    상기 결합부의 내향으로는 함몰된 형의 공간을 구성하되, 그 공간의 측방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원터치방식의 구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구부는 공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숙여질 수 있도록 접철부를 형성하며,
    상기한 보조용기체의 격리된 공간은 스낵 등의 식품을 저정할 수 있는 형태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공의 상단은 절취선으로 구획된 당김손잡이가 있는 절취막을 형성한 것을 특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공의 상단은 밀폐막으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공의 측방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4. 제 1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의 저부에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형성하고, 상기한 절취막에는 당김손잡이를 형성한 것이며, 그리고 상기한 절취막이 제거되면서 생긴 절취공을 향하여는 공간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막의 저부에는 절취공을 막을 수 있는 마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커피 등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여과지를 내입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8. 제 1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의 저부에는 절취공(천공부)을 형성하고, 그 절취공을 중심으로 하여는 저부에서 일정 이격된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취공에는 마개를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39. 제 1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의 저부에는 절취공(천공부)을 형성하고, 그 절취공을 중심으로 하여는 저부에서 일정 이격된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의 상방에는 개폐가 반복되는 시일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 반복되는 시일부재의 상방으로는 밀폐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별도의 시일부재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이 있는 보조용기체는, 상기 공간에 구부와 분리되는 격리벽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된 공간 저부에는 절취공을 형성하는 절취막과 여과지가 공간의 저부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간의 상방에는 별도의 시일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4.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밀폐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갖고 있는 보조용기체와,
    상기 결합부의 내향으로는 함몰된 형의 공간을 구성하되, 그 공간의 측방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밀폐용 구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보조용기체의 격리된 공간은 스낵 등의 식품을 저정할 수 있는 형태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공간에는 내용물을 내입하고 그 상방부를 시일부재로서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KR1020020076434A 2002-11-30 2002-11-30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KR20030019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434A KR20030019284A (ko) 2002-11-30 2002-11-30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US10/536,578 US8783506B2 (en) 2002-11-30 2003-12-01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JP2004556962A JP2006520722A (ja) 2002-11-30 2003-12-01 飲食用容器
CNA2003801046445A CN1720178A (zh) 2002-11-30 2003-12-01 食品和饮料的容器
AU2003302658A AU2003302658A1 (en) 2002-11-30 2003-12-01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PCT/KR2003/002618 WO2004050499A1 (en) 2002-11-30 2003-12-01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EP03812380A EP1585685A4 (en) 2002-11-30 2003-12-01 CONTAINERS FOR FOOD AND BEVERAGES
EP08075126A EP1947024B1 (en) 2002-11-30 2003-12-01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DE60333048T DE60333048D1 (de) 2002-11-30 2003-12-01 Behälter für Lebensmittel und Getränke
AT08075126T ATE471283T1 (de) 2002-11-30 2003-12-01 Behälter für lebensmittel und geträn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434A KR20030019284A (ko) 2002-11-30 2002-11-30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284A true KR20030019284A (ko) 2003-03-06

Family

ID=2772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434A KR20030019284A (ko) 2002-11-30 2002-11-30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9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03B1 (ko) * 2019-01-29 2020-04-10 서광열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03B1 (ko) * 2019-01-29 2020-04-10 서광열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506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CN101203440A (zh) 带有一体的附件和内部吸管的柔性直立袋
KR20030019284A (ko)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JP4482723B2 (ja) 密封容器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KR20030015179A (ko)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KR200390087Y1 (ko) 음료용기
KR200491225Y1 (ko) 개방 상태에서 공기 차단 기능을 갖는 배출 유로를 구비한 식용유 포장용 파우치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200328359Y1 (ko) 음료 용기의 뚜껑 캡 구조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20040043720A (ko)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JPH11348979A (ja) 飲料用容器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01034710B1 (ko) 혼합용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
KR20160001208U (ko) 음료 배출구의 개봉이 용이한 음료 팩
KR20110008018U (ko) 스트로가 내장된 특수 음료수 팩
KR101184045B1 (ko) 음료용 팩 케이스
JPH0511174Y2 (ko)
KR20220000960U (ko) 음료용 파우치
KR2004610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JP2006517892A (ja) 食飲料容器
KR100914599B1 (ko) 음료용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