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64A -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64A
KR19990030464A KR1019980063947A KR19980063947A KR19990030464A KR 19990030464 A KR19990030464 A KR 19990030464A KR 1019980063947 A KR1019980063947 A KR 1019980063947A KR 19980063947 A KR19980063947 A KR 19980063947A KR 19990030464 A KR19990030464 A KR 1999003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ain body
operating part
contents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8006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64A/ko
Publication of KR1999003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64A/ko
Priority to JP2000560041A priority patent/JP4173640B2/ja
Priority to EP99929941A priority patent/EP1100726B1/en
Priority to US09/743,735 priority patent/US6435383B1/en
Priority to AU46573/99A priority patent/AU4657399A/en
Priority to AT99929941T priority patent/ATE307059T1/de
Priority to CNB998099074A priority patent/CN1213918C/zh
Priority to ES99929941T priority patent/ES2251201T3/es
Priority to PCT/KR1999/000377 priority patent/WO2000003921A2/en
Priority to DE69927825T priority patent/DE69927825T2/de
Priority to JP2004298604A priority patent/JP2005029275A/ja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충전함은 물론 그 충전된 용기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하도록 설계된 특징이 있는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C)의 임의 일 부위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배출구(100)가 용기본체(C)의 상방개구부 등을 봉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고 유출시키는 용도의 배출대(100)는;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어 조립시킨 특징의 것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12)이나 환형의 걸림턱을 갖는 등의 구부(111)로 두고, 그 하방에는 접착면(113)을 두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작동부삽입구(114)를 두되, 그 작동부삽입구(114)가 있는 임의 내벽면에는 환돌기(115)와 환홈(116)을 각각 형성한 것임과, 상기의 작동부(120)는 그 내측으로 유출구(121)가 있고, 그 유출구(121)의 임의 유출공(122)을 두며, 그 유출공(122)의 하측 외환부에는 환돌기(123)를 둠과,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는 환홈(124)을 형성한 것임과, 상기 마개(130)는 측면부(131)와 그 하측에 절취선(133)으로 구획된 스커트(132)가 있고, 상기 측면부(131)의 임의 상단 내벽면에는 환홈(135)을 포함한 환돌기(134)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측면부(131)의 내벽면에는 나사산(136)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충전함은 물론 그 충전된 용기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하도록 설계된 특징이 있는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실용공고 91-5740호와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공개 98-072053, 특공개 98-072085호가 있다.
종래의 액체용기는 그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그 상방부의 임의 일편을 가위나 칼 등으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얇은 박판의 인출부위를 스트로우로 뚫어 사용하게큼 된 것이 있었으나 그 사용시의 매우 큰 불편함은 해소되지 못했던것이 작금의 상황이었다.
상기와 같은 연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배출대의 임의 위치에 개구용 유출공을 측방과 하방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국내실공91-5740) 있었으나, 이의 단점으로서는 그 유출공을 측방과 하방으로 형성한 관계로 그 음용시는 측방의 유출공을 통해 용기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출된 후 진공력이 발생될 때 액체충전용기의 필름면이 그 측방의 유출공을 막게 되는 것이며, 이어 진공력이 생기게 되고 동시에 상기 배출대의 하방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흡입되어 배출되는 폐단으로 말미암아 폐활량이 적은 노약자나 어린이 등은 그 사용이 용이치 못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재결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공개 98-072053, 072085호로서, 그 특징은 일정 부위까지는 액체용기가 수축되지 않고도 내용물이 배출되는 특장점이 있었으나, 이의 단점으로서는, 특히 측방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의 경우 그사용시 작동부를 손으로 인출해야 하는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공개98-072053호와 특공개98-072085호를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 측방에 유출공이 있는 작동부의 수동적 작용을 용이하게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분리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대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은 마개를 돌려 작동부를 위로 끌어 올린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상향된 마개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5는 도 4의 연속적인 것으로서 배출대를 거꾸로 하여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유출공을 통하여 배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출대 110 : 본체 111 : 구부
112,136 : 나사산 113 : 접착면 114 : 작동부삽입구
115,123,134 : 환돌기 116,124,135 : 환홈 117 : 밀폐용환돌기
120 : 작동부 121 : 유출구 122 : 유출공
130 : 마개 137 : 밀폐용환돌기삽입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출대는; 그 사용시 마개를 돌리게 되면 자동으로 작동부가 임의 위치까지 상향되어지는 바, 그 사용시 별도로 작동부를 인출해야하는 불편이 일시에 해소되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대를 분리하여 본 것으로서,
용기본체(C)는 비교적 부드러운 물성을 갖는 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상기 용기본체(C)의 임의 일 부위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배출구(100)가 용기본체(C)의 상방개구부 등을 봉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고 유출시키는 용도의 배출대(100)는;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어 조립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기의 배출대(100)에 있어서, 본체(1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12)이나 환형의 걸림턱을 갖는 등의 구부(111)로 두고, 그 하방에는 용기본체(C)에 접착되어지는 접착면(113)을 두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작동부삽입구(114)를 두되, 그 작동부삽입구(114)가 있는 임의 내벽면에는 상하측으로 환돌기(115)와 환홈(116)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작동부(120)는; 내측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의 유출구(121)가 있고, 그 유출구(121)의 임의 위치에는 측면으로 뚫린 유출공(122)을 두며, 그 유출공(122)의 하측 외환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환홈(116)에 걸리게 될 환돌기(123)를 둠과,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는 상기 마개(130)의 환돌기에 걸려 상향되어질 환홈(124)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개(130)는 측면부(131)와 그 하측에 절취선(133)으로 구획된 스커트(132)가 있고, 상기 측면부(131)의 임의 상단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부(120)의 환홈(124)에 걸려 위치될 목적의 환홈(135)을 포함한 환돌기(134)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측면부(131)의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10) 구부(111)의 외환부에 형성된 나사산(112)에 걸려 결속력을 유지할 목적의 나사산(136)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배출대(100)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2와 같으며, 도 2와 같은 상태의 접착면(113)을 중심으로는,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은 용기본체(C)의 상방개구부를 봉착(봉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의 마개(130)를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환홈(124)이 환돌기(134)에 의해 끼어져 있는 바, 마개(130)와 함께 작동부(120)가 상향되어지는 것이며, 이때(무의식적으로) 마개(130)를 벗길 목적으로 마개(130)를 당기게 되면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환돌기(123)가 환홈(116)에 걸리게 됨과 동시마개(130)는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 3의 상태에서 좀더 힘을 주어 마개(130)를 당기게 되면 환돌기(134)가 작동부(120)의 환홈(124)을 탄력적으로 벗어나면서 도 4와 같은 사용상의 상태로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상태로 된 배출대(100)의 a 부위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유출공(122)이 막혀져 있는 바 유출구(121)에는 진공력이 생겨 도 4에서 예시한(b부위) 바와 같이 유출구(121)의 하측을 경유 내용물이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C)에 든 내용물을 컵 등의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 때는 도 4와 같은 상태의 작동부(120)를 눌러 그 용기본체(C)를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C)를 거꾸로 하게 되면 유출공(122)을 경유 내용물이 유출구(121)로 배출되게 된다.
계속된 설명으로서,
상기의 작동부(120)가 본체(110)의 내벽면에서 비교적 부드럽게 유동될수 있는것은 상기의 환돌기(115)가 내벽면에서 돌출되어 작동부(120)의 외벽면에 맞닿는 형으로 그 접촉면을 최소화 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10)의 B 부위에 B'와 같이 밀폐용환돌기(117)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밀폐용환돌기(117)가 삽입되어 질수 있도록 상기 마개(130)의 환돌기(134) 가 있는 하측이자 나사산(136)이 있는 상측의 내벽면에는 밀폐용환돌기삽입홈(137)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사용시 작동부를 손으로 끌어 올리지 않고도 마개를 개봉할시 자동으로 작동부를 끌어 올리게 할 수 있는 바,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위생적으로도 그 청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용기본체(C)는 비교적 부드러운 물성을 갖는 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C)의 임의 일 부위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배출구(100)가 용기본체(C)의 상방개구부 등을 봉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고 유출시키는 용도의 배출대(100)는;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어 조립시킨 특징의 것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12)이나 환형의 걸림턱을 갖는 등의 구부(111)로 두고, 그 하방에는 접착면(113)을 두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작동부삽입구(114)를 두되, 그 작동부삽입구(114)가 있는 임의 내벽면에는 환돌기(115)와 환홈(116)을 각각 형성한 것임과,
    상기의 작동부(120)는 그 내측으로 유출구(121)가 있고, 그 유출구(121)의 임의 유출공(122)을 두며, 그 유출공(122)의 하측 외환부에는 환돌기(123)를 둠과,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는 환홈(124)을 형성한 것임과,
    상기 마개(130)는 측면부(131)와 그 하측에 절취선(133)으로 구획된 스커트(132)가 있고, 상기 측면부(131)의 임의 상단 내벽면에는 환홈(135)을 포함한 환돌기(134)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측면부(131)의 내벽면에는 나사산(13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구부(111) 상단에는 밀폐용환돌기(117)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밀폐용환돌기(117)가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상기 마개(130)의 환돌기(134)가 있는 하측이자 나사산(136)이 있는 상측의 내벽면에는 밀폐용환돌기삽입홈(1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019980063947A 1998-07-15 1998-12-28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9990030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47A KR19990030464A (ko) 1998-12-28 1998-12-28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DE69927825T DE69927825T2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AU46573/99A AU4657399A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99929941A EP1100726B1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09/743,735 US6435383B1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0560041A JP4173640B2 (ja) 1998-07-15 1999-07-15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T99929941T ATE307059T1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CNB998099074A CN1213918C (zh) 1998-07-15 1999-07-15 用于液体容器的喷嘴组件
ES99929941T ES2251201T3 (es) 1998-07-15 1999-07-15 Conjunto de caño para un contenedor de liquidos.
PCT/KR1999/000377 WO2000003921A2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4298604A JP2005029275A (ja) 1998-07-15 2004-10-13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47A KR19990030464A (ko) 1998-12-28 1998-12-28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64A true KR19990030464A (ko) 1999-04-26

Family

ID=6595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947A KR19990030464A (ko) 1998-07-15 1998-12-28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06A (ko) * 1999-04-13 1999-08-05 이정민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KR20000030671A (ko) * 2000-03-06 2000-06-05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00030578A (ko) * 2000-03-05 2000-06-05 이정민 흡입 빨대가 부설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08A (ja) * 1994-11-10 1996-05-28 Fuji Seal Co Ltd 液体用容器
JPH10273161A (ja) * 1997-03-26 1998-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 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容器
KR19980072085A (ko) * 1998-07-15 1998-10-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대의 구조
KR19980062544U (ko) * 1997-04-03 1998-11-16 이경철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200236154Y1 (ko) * 1998-12-21 2001-11-22 이현영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08A (ja) * 1994-11-10 1996-05-28 Fuji Seal Co Ltd 液体用容器
JPH10273161A (ja) * 1997-03-26 1998-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 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容器
KR19980062544U (ko) * 1997-04-03 1998-11-16 이경철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19980072085A (ko) * 1998-07-15 1998-10-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대의 구조
KR200236154Y1 (ko) * 1998-12-21 2001-11-22 이현영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06A (ko) * 1999-04-13 1999-08-05 이정민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KR20000030578A (ko) * 2000-03-05 2000-06-05 이정민 흡입 빨대가 부설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00030671A (ko) * 2000-03-06 2000-06-05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596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4998633A (en) Stopper for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and including slit valve structure, for use with a pump for altering and thereafter maintaining altered pressure in the container
US10897981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traw
RU2277062C2 (ru) Контейнер
CA2666575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20100025356A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tegral type working member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JP2004513031A (ja) 液体容器
JPH09328152A (ja) 流動体用袋
KR200195236Y1 (ko)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212599Y1 (ko) 액체용기용 배출대의 뚜껑 구조
KR100550687B1 (ko)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의 긴요홈 구조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200178553Y1 (ko) 돌출된 흡음구가 두 개 구비된 파우치 용기
KR1999006465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
KR200287574Y1 (ko) 원터치형 위생병뚜껑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9990045793A (ko)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KR20020075353A (ko) 빨대가 내장된 병마개구조
KR20000017800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KR20020075761A (ko) 배출대
KR200188691Y1 (ko) 음료컵
KR20040043720A (ko)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KR20030036336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