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761A - 배출대 - Google Patents

배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761A
KR20020075761A KR1020020052184A KR20020052184A KR20020075761A KR 20020075761 A KR20020075761 A KR 20020075761A KR 1020020052184 A KR1020020052184 A KR 1020020052184A KR 20020052184 A KR20020052184 A KR 20020052184A KR 20020075761 A KR20020075761 A KR 2002007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opper
protrusion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2005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5761A/ko
Priority to JP2003526776A priority patent/JP2005516850A/ja
Priority to PCT/KR2002/001699 priority patent/WO2003022690A2/en
Priority to EP02798053A priority patent/EP1581432A2/en
Priority to AU2002362269A priority patent/AU2002362269A1/en
Priority to US10/489,558 priority patent/US20040245286A1/en
Priority to CNA028196422A priority patent/CN1635972A/zh
Publication of KR2002007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61A/ko
Priority to TW92123511A priority patent/TWI295263B/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snap-o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배출대( s p o u t )
(2)발명의 목적
종래의 배출대는 밀폐 및 마개를 고정시키는 연결부의 구성이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구부의 상단에 공간 구성으로 탄성이 있는 탄력돌기와 이에 상대되는 밀폐돌기 그리고 지지대의 내향에 고정용돌기가 연결부로 연결되고, 그 고정용돌기는 돌편에 고정되는 걸림장치와 구부의 하방에 있는 결합부로 구성된다.
(4)발명의 효과
구부로 부터 마개를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것과, 탄력적인 밀폐로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되는 것과, 마개는 걸림장치에 의해 개봉후 일정 그 각도를 유지하는 바,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출대{SPOU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배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취부(절취선)로 구획된 구부와 개폐용 마개로 구분되고, 상기한 마개를 개폐시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목적의 걸림장치와, 상기 마개와 구부 그리고 걸림장치를 갖고 있는 상기 배출대를 용기에 결합(고정)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 도 40∼도44의 것이 있고, 타인의 것으로서는 도 45∼도 47이 있다.
상기 도 40은 대한민국 공개실용92-7889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구부(S3)의 상단이 절취와 동시 회전하여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 도 41∼도 4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91-19682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구부(S3)의 상단이 강제적으로 확장되면서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 도 4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2000-17989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마개(S2)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산이 회전하면서 구부(S3)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홈에 물려 그 상단이 밀폐되는 원리이나,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 도 44는 대한민국 공개특허2001-25252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위치 고정되지 못하고 복원력에 의해 구부(S3)의 상단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부(S3)의 상단이 강제적으로 확장되면서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 도 45는 일본 특개평7-232751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구부(S3)의 밀폐부가 상단을 향한체 설계되어 있는 바, 개봉후 재밀폐시 상단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이 용기내부로 유입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연유로, 현재는 배출대(S)를 비닐로 감싸는 형태로 하여 마개(S2)의 상단 밀폐부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예방하는 등의 이유로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다.
또한 마개(S2)의 상단에 형성된 밀폐부가 구부(S3)의 내벽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 도 46은 PCT/EP98/02008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구부(S3)의 밀폐부가 상단을 향한체 설계되어 있는 바, 개봉후 재밀폐시 상단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배출대(S)를 비닐로 감싸는 형태로 하여 마개(S2)의 상단 밀폐부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예방하여야 하는 바,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다.
또한 마개(S2)의 상단에 형성된 밀폐부가 구부(S3)의 내벽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도 47은 일본 특개평7-291276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배출대(S)가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절취선(S1)으로 구획된 마개(S2)와 구부(S3)를 두었으나, 단점으로서는 개봉후 마개(S2)가 분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마개(S2)에 형성된 밀폐부가 구부(S3)의 내벽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밀폐가 이루어 지는 바, 그 사용이 수 회 반복되면 밀폐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은 밀폐성과 사용의 편리성, 그리고 그 기술성이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특히, 본 유형의 배출대는, 그 특성상 수 회 반복되는 연유로, 마개는 분실위험이 없어야 하며, 또한 마개는 구부와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인위적이지 않는 한 원위치로 복귀되는 일이 없어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으나, 지금껏 상기한 제반 문제를 충족시키는 아이디어가 제공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유형의 배출대는, 누수(누액)를 예방하기 위하여 나름으로 강한 밀폐력을 강구하였으나, 이의 단점으로서는 그 밀폐 강도가 너무 강하면 구부(S3)로부터 마개(S2)를 발탈할시 그 행동이 부자연스러워 용기내의 내용물이 쏟아질 위험이 있고, 한편으로, 그 밀폐 강도가 약하면 자연 누액(누수)이 되는 등 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폐단을 예방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마개(S2)와 구부(S3)를 별도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이는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구부에 마개를 잘못 조립시키면 이 역시 누수(누액)가 발생되는 폐단으로 부터 자유스럽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기술로서는, 독일299 20 624U1, 독일298 02 038U1, 일본 특개평11-1248, PCT/EP99/03051, 미국특허 6,000,848, 대한민국 실출2001-21410호가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부와 마개의 사이를 절취선으로 구획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와 구부를 연결부로 일체화 시키되, 상기한 연결부는 일정 각도로 열린후 인위적이지 않는 한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걸림장치를 구성하여 내용물을 안정되게 배출하는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부의 상단 내경이 마개의 밀폐부 하단 외경 보다 더 크게하여, 최초 개봉후 재밀폐시 마개의 밀폐부가 구부의 내부로 일정 깊이는 매우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부의 상단 내벽에 탄력적인 탄력돌기를 형성하여 마개의 밀폐성이 지속적이고도 수 회 반복시에도 그 밀폐력이 탄력적으로 유지되는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부의 탄력돌기가 일시적으로 확장되는 것이 가능하여 마개를 용이하게 재개봉할 수 있는 특징의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의 하방에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삽입부를 형성하여 결합부가 용기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한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개와 구부 사이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스커트를 형성하여 구부로 부터 마개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의 저부에 밀봉장치를 부가하여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의 하방에 임의 길이의 유출유도부를 두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이 가능한 배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배출대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도 1선X-X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걸림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구부에 마개의 밀폐부가 밀폐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배출대의 결합부가 용기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도 6은 배출대가 용기에 결합된 일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의 다양한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걸림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걸림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연결부의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삽입부의 변형의 예를 보인것이며,
도 25∼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출대가 다양한 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도 31∼도 3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마개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고,
도 34∼도 3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구부의 상단에 절취선으 구획된 스커트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한 예이며,
도 38∼도 39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구부의 하방에 천공편을 형성한 일예이다.
도 40∼도 47은 종래의 선행기술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S : 배출대 10,S3 : 구부 11,15,2443,3200 : 공간
12 : 탄력돌기 14 : 천공편 16 : 작동부
17 : 환돌기 18 : 유출공 20,S2 : 마개
21 : 밀폐부 22 : 절취부 23 : 걸림돌기
24 : 밀폐돌기 30 : 걸림장치
31,1231,1331,1431,1531,1631,1731,1831 : 지지대 32,1132 : 돌편
33,1033 : 고정용돌기 36 : 환테 40 : 결합부
13,34,35,1234,1434,1534,1634,1734,1834,1934,2034 : 연결부
41,2641 : 접착면 42,2442 : 삽입부 1037,1531' :돌기
1233,1333,1433,1533,1633,1733,1833,1933,2033,2033' ,2233 : 고정돌기
1237,1637,1937,2237 : 결합구 1338,1438 : 결합홈
2300 : 방향전환부 2039 : 삽입돌기 2200 : 접철부
2500 : 유출유도부 2700 : 나사산 3400,3600 : 스커트
3401,3601,16,S1 : 절취선 3402,3602 : 손잡이 C : 용기
C1 : 삽입홈 C2 : 봉합부 C3 : 미봉합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대는, 내부가 공간으로 되고, 상단 내벽으로는 탄력적인 탄력돌기를 구비한 구부를 제공하고, 상기 탄력돌기의 내벽부중 임의 부위에는 일정 폭으로 밀폐부가 이격된체로 절취부에 의하여 마개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구부의 임의 외벽에는 일정 높이의 돌편을 안쪽으로 포함하고 있는 지지대를 구부의 외벽으로 부터 일정 이격된체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고정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돌기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한 고정용돌기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에 의해 상기 마개의 임의 부위에 연결되는 구조의 걸림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의 하방으로는 용기의 임의 단부에 결합(접착)될 수 있는접착면을 포함하고 있는 결합부를 구성하되, 상기한 결합부에는 용기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하방 안쪽으로 모아진 형태의 삽입부를 상기 결합부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개는 밀폐부의 중간 외환부에 형성된 밀폐돌기의 외경이 구부의 상단 내벽부에 형성된 탄력돌기의 내경보다 더 크게 하여 그 밀폐력이 탄력적으로 유지되는 배출대.
걸림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구부의 하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그 방향은 접착면의 길이 방향중 어느 일 방향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장치는, 고정용돌기가 구부의 환테에 걸려 고정되는 기술적 사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걸림장치는 고정용돌기가 구부의 외벽부를 탄력적으로 상향으로 타고 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고정용돌기의 하단부에 임의 각도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그 돌출된 돌기를 수용하는 걸고리 형태의 돌기가 그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한 걸림장치는, 고정용돌기의 하단부가 구부의 외벽부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은 후 인위적이지 않는 한 복귀하지 않도록 그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탄력적인 돌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 고정돌기의 내측 방향에는 일정 높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구는 상기 고정돌기의 내측 방향 지지대의 상단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일정 부위에 결합홈을 형성하되, 그 결합홈의 상방으로는 고정돌기를 두고, 상기 고정돌기는 일정 이격된체로 연결부에 의해 상기 결합홈의 내측 상단부에 연결된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에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한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그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연결부로서 연결시킨 것이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태의 걸고리 모양을 구성하고, 그 상방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는 지지대에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연결부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상단에는 구부로 부터 일정 이격되어 상향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 고정돌기의 상측에는 접합구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구는 상기 고정돌기에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연결부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단부가 턱이 있게 구성되고, 그 상방에는 고정돌기를 두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지지대의 상대되는 구부의 외벽부에 연결부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지지대의 단부가 턱이 있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임의 부위에는 상방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하되, 그 고정돌기는일정 이격된체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는, 마개와 구부를 연결시키고 있는 연결부의 임의 위치에 구성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박판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에 상대되는 한쪽에는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결합구를 형성한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한 걸림장치는, 접철이 가능한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임의 형태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대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이 가능한 임의 형태의 삽입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는, 마개와 연결부상에 형성하되, 연결부의 상단부에 접힘이 자유로운 접철부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 상대되는 부위에는 결합구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마개를 절취하는 과정에 연결부가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부의 임의 부위에 방향 전환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삽입부는 접착면의 하방에 일정 부위가 트인 공간으로 두고, 그 공간의 다른측은 상기 접착면의 하방에 연결되어 그 접착면의 형태를 따라 연결되며, 그 하방은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삽입부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용기에 결합될 수 있되,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임의 단부 내측 필름면에 위치되어 접착될 수있도록 임의 형태로 양측방부에 형성된다. 이때는 유선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는, 결합부는, 용기의 표면(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부의 하단 외환부에 환태형의 접착면이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결합부는, 용기의 목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병뚜껑 형태의 결합부 내벽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용기의 목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병뚜껑 형태의 결합부 내벽에는 걸림턱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결합부는, 용기의 천공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나 걸림턱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결합부는, 용기의 몸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마개는, 최초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절취하고, 재밀폐후 용이한 개봉을 위하여, 마개의 상단부를 수도꼭지 형태로 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대안으로는, 상기한 마개는, 상방이 트인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로 부터 마개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부의 상단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 스커트를 형성한 것이다.
대안으로는, 손잡이가 있는 스커트는 구부의 상단과 마개의 밀폐부 사이에 절취선으로 구획하여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탄력돌기의 상방이나 내벽 상단부에서 시작하여 밀폐부의 외환부에 스커트가 일체로 연결된 것이다.
스커트의 구성에 있어서, 탄력돌기와 밀폐부의 각 부위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그 스커트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르면, 구부의 하방에 형성된 천공편이 일정힘에 의해 겹합부로 부터 이탈되어 하향될 수 있도록 천공편 외부 공간 상단부 지점에는 상기 결합부 상단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의 저부에는 상기 천공편과 상기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일예로, 알루미늄박판을 접착시킬 수 있다.
천공편에 있어서, 상기 천공편은 절취선이 파괴되면서 상기 천공편이 일정 하향될 수 있도록 구부와의 사이가 작동부가 구성되고, 그 작동부는 하향된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공간의 중간턱에 걸려 고정되는 환돌기를 형성함과, 또한 상기 천공편의 임의 측방에는 적에도 1개 이상의 내용물 유출공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상 제 10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개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대 결합부 하방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구부를 통하여 빨대 용기의 면이 흡착되지 않고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는 유출유도부를 형성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기의 재질은 도 1 내지 도 25의 경우,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종이나 수지(합성수지) 및 알루미늄포일 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재질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선택하여 라미네이팅한 다층필름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6 내지 도 30은 종이나 합성수지, 금속 또는 유리병 등의 용기에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1 내지 도 39의 경우는, 도 1 내지 도 25와 마찬가지로,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종이나 수지(합성수지) 및 알루미늄포일 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재질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선택하여 라미네이팅한 다층필름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배출대의 바람직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대(1)는 내부가 공간(11)으로 되고, 상단 내벽으로는 탄력적인 탄력돌기(12)를 구비한 구부(10)를 제공하고, 상지 탄력돌기(12)의 내벽부중 임의 부위에는 일정 폭으로 밀폐부(21)가 이격된체로 절취부(22)에 의하여 마개(20)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밀폐부(21)의 상단 외환부에는 걸림돌기(23)와 밀폐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부(10)의 임의 외벽 외향에는 일정 높이의 돌편(32)을 안쪽으로 포함하고 있게 함과, 상기 돌편(32)를 갖고 있는 지지대(31)를 구부(10)의 외벽으로 부터 일정 이격된체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고정용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돌기(33)는 연결부(34)에 의해 상기 지지대(31)의 상단부에 지렛대형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한 고정용돌기(33)의 상단은 일정길이의 연결부(35)에 의해 상기 마개(20)의 임의 부위에 연결되는 형태의 걸림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10)의 하방으로는 용기의 임의 단부에 결합(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41)을 포함하고 있는 결합부(40)를 구성하되, 상기한 결합부(40)에는 용기(C)의 삽입홈(C1)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하방 안쪽으로 모아진 형태의 삽입부(42)를 상기 접착면(41)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개(20)는 밀폐부(21)의 중간 외환부에 형성된 밀폐돌기(24)의 외경이 구부(10)의 상단 내벽부에 형성된 탄력돌기(12)의 내경보다 더 크게 하여 그 밀폐력이 탄력적으로 유지되는 배출대(1)가 밀폐성이 좋다.
또한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밀폐부(21)의 외경 「a」가 탄력돌기(12)의 내경「b」보다 크게 하여 절취부(22) 파괴후 재밀폐시 밀폐부(21)가 구부(10)의 탄력돌기(1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한 것이다.
걸림장치(3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30)는 구부(10)의 하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그 방향은 접착면(41)의 길이 방향중 어느 일 방향으로 된것이 사용상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개(20)의 기능과 연 이은 구부(10)의 작용에 대해 논한다.
도 1,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20)를 엄지와 검지로 움켜 쥐고 임의 일측으로 꺽거나 비틀게 되면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얇게 성형된 절취부(22)가 파괴되면서 구부(10)로 부터 마개(20)가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마개(20)는 연결부(35)에 의해서만 구부(10)에 연결되는 형색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마개(20)를 연결부(35)가 있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연결부(34)에 의해 고정용돌기(33)가 시계 시침 방향으로 원을 그리면서 상향되고, 이런 상태에서 좀더 연결부(35)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용돌기(33)의 하단부가 돌편(32)를 밀침과 동시 그 돌편(32)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그 상단에 고정되는데, 상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 도 3과 같다.
배출대(1)가 용기(C)에 조립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공간(11)을 통해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후는, 마개(20)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돌편(32)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던 고정용돌기(33)가 원위치 되는 것이며, 상기한 상태에서, 밀폐부(21)를 구부(10)의 탄력돌기(12) 중심을 향하여 삽입하면 밀폐부(21)의 외경이 탄력돌기(12)의 내경 보다 적게 구성되어 있는 바, 밀폐부(21)의 하단부는 구부(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걸림돌기(23)가 탄력돌기(12) 부위에 위치되면 밀폐부(21)는 더이상 하향되지 않고 일시 멈추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마개(20)를 좀더 힘껏 하방으로 밀게 되면 탄력돌기(12)가 일시 확장됨과 동시 걸림돌기(23)가 탄력돌기(12)를 순간적으로 타고 넘어 밀폐돌기(24)가 탄력돌기(12)의 내벽부에 긴히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 도 4와 같은 것이며, 상기한 상태에서, 마개(20)를 들어 올리게 되면 걸림돌기(23)에 의해 탄력돌기(12)가 일시 확장되면서밀폐부(21)를 포함한 마개(20)가 구부(10)로 부터 부분 이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마개(20)를 좀더 힘껏 위로 당기게 되면 처음과 마찬기지로 고정용돌기(33)의 단부가 돌편(32)을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그 돌편(32)의 상단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행위는 몇 번이고 행하여도 그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즉, 마개(20)를 구부(10)에 재밀폐시에도 탄력돌기(12)의 하방 외측이 환형의 공간으로 구성된 바, 상기한 탄력돌기(12)는 마개(20)의 밀폐돌기(24)에 탄력적으로 밀폐성을 지속시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대(1) 삽입부(42) 작용에 관한 것으로서, 도 5는 용기(C)의 삽입홈(C1)에 배출대(1)의 삽입부(42) 유도에 의해 배출대(1)가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1)를 일련의 기계장치로 밀어 넣은 후, 봉합부(C2)의 사이에 있는 삽입홈(C1) 부위를 접착(도면부호(C1' )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참고적으로, 용기(C)에 내용물을 내입하고자 할때는 미봉합부(C3)를 벌려 그 부위에 내용물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도 8에 따르면, 상기 걸림장치(30)는, 고정용돌기(33)가 구부(10)의 환테(36)에 걸려 고정되는 기술적 사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도 9에 따르면, 상기 걸림장치(30)는 고정용돌기(33)가 구부(10)의 외벽부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는, 도 10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고정용돌기(1033)의 하단부에 임의 각도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그 돌출된 돌기를 수용하는 걸고리 형태의 돌기(1037)가 그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사용시는 고정용돌기(1033)의 돌기가 걸고리 형태의 돌기(1037)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 도 11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고정용돌기(33)의 하단부가 구부(10)의 외벽부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은 후 인위적이지 않는 한 복귀하지 않도록 그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 탄력적인 돌편(11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2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231)의 상단부에 고정돌기(1233)를 형성하고 그 고정돌기(1233)의 내측 방향 일정 높이에는 상기 고정돌기(1233)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1237)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구(1237)는 상기 고정돌기(1233)의 내측 방향 지지대(1231)의 상단과 연결부(12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그 사용예는 고정돌기(1233)에 결합구(1237)가 긴히 끼워져 고정되고, 또한 일정 힘에 의해 발탈되는 특징이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3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331)의 일정 부위에 결합홈(1338)을 형성하되, 그 결합홈(1338)의 상방으로는 고정돌기(1333)를 두고, 상기 고정돌기(1333)는 일정 이격된체로 연결부(35)에 의해 상기 결합홈(1338)의 내측 상단부에 연결된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4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431)에 결합홈(1438)을 형성하되, 상기한 결합홈(143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1433)를 그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 연결부(1434)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이상 도13, 도 14에 있어서, 고정돌기(1333,1433)가 결합홈(1338,1438)에 걸려 고정되는 특징의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5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531)의 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태의 걸고리 모양의 돌기(1531')를 구성하고, 그 상방에는 고정돌기(1533)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1533)는 지지대(1531)에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 연결부(1534)로서 연결시킨 것이며, 그 사용시는 고정돌기(1533)가 지지대(1531)의 내측 돌기(1531' )에 탄력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6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631)의 상단에는 구부(10)로 부터 일정 이격되어 상향된 고정돌기(1633)를 형성하고, 그 고정돌기(1633)의 상측에는 결합구(1637)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구(1637)는 상기 고정돌기(1633)에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 연결부(1634)로서 연결시킨 것이며, 그 사용시는 결합구(1637)가 고정돌기(1633)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는, 도 17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731)의 단부가 턱이 있게 구성되고, 그 상방에는 고정돌기(1733)를 두되, 상기 고정돌기(1733)는 상기 지지대(1731)의 상대되는 구부(10)의 외벽부에연결부(1734)로서 연결시킨 것이며, 그 사용시는 고정돌기(1733)가 지지대(1731)의 단턱에 걸려 고정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18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지지대(1831)의 단부가 턱이 있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831)의 임의 부위에는 상방으로 고정돌기(1833)를 형성하되, 그 고정돌기(1833)는 일정 이격된체로 연결부(18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그 사용시는 고정돌기(1833)가 지지대(1831)의 단턱에 탄력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9는 상기한 걸림장치(30)는, 마개(20)와 구부(10)를 연결시키고 있는 연결부(35)의 임의 위치에 구성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박판의 연결부(1934)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933)를 형성하고, 그에 상대되는 한쪽에는 고정돌기(1933)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결합구(1937)를 형성한 것이며, 그 사용시는 연결부(1934)가 접혀짐과 동시 고정돌기(1933)가 결합구(193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는, 도 20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 접철이 가능한 연결부(2034)를 기준으로 하여 임의 형태의 고정돌기(203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033)에 상대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2033)가 끼워져 고정이 가능한 임의 형태의 삽입돌기(2039)를 형성한 것이다. (도 21은 고정돌기(2033)와 삽입돌기(2039)의 방향성만 틀림)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서, 도 22에 따르면, 상기한 걸림장치(30)는,마개(20)와 연결부(35) 상에 형성하되, 연결부(35)의 상단부에 접힘이 자유로운 전철부(2200)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는 고정돌기(2233)를 형성하고, 그 상대되는 부위에는 결합구(2237)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서, 도 23에 따르면, 상기한 마개(20)를 절취하는 과정에 연결부(35)가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부(35)의 임의 부위에 방향 전환부(230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서, 도 24에 따르면, 상기한 삽입부(2442)는 접착면(41)의 하방에 일정 부위가 트인 공간(2443)으로 두고, 그 공간(2443)의 다른측은 상기 접착면(41)의 하방에 연결되어 그 접착면(41)의 형태를 따라 연결되며, 그 하방은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삽입부(2442)로 된 것이다.
도 25∼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서, 도 25에 따르면, 상기한 결합부(40)는 다양한 형태로 용기에 결합될 수 있되,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임의 단부 내측 필름면에 위치되어 접착될 수 있도록 임의 형태로 양측방부에 접착면(41)이 형성된다. 이때는 유선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는, 도 26에 따르면, 결합부(40)는, 용기의 표면(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부(10)의 하단 외환부에 환테형의 접착면(2641)이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27에 따르면, 결합부(40)는, 용기의 목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병뚜껑 형태의 결합부 내벽에는 나사산(2700) 등이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28에 따르면, 용기의 목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수 있도록 병뚜껑 형태의 결합부 내벽애는 걸림턱(2800)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29에 따르면, 결합부(40)는, 용기의 천공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900)나 걸림턱(2901)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도 30에 따르면, 결합부(40)는, 용기(C)의 몸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31∼도 3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로서, 도 31에 따르면, 상기한 마개(20)는, 최초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절취하고, 재밀폐후 용이한 개봉을 위하여, 마개(20)의 상단부를 수도꼭지 형태 등으로 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대안으로는, 도 32∼도 33에 따르면, 상기한 마개(20)는, 상방이 트인 공간(3200)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4∼도 3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로서, 도 34에 따르면, 구부(10)로 부터 마개(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부(10)의 상단에 절취선(3401)으로 구획된 손잡이(3402)가 있는 위조방지용 스커트(3400)를 형성한 것이며, 도 35는 조립상태를 보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의 「d」부위가 스커트(3400)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바, 그 사용시 손잡이(3402)를 통하여 스커트(3400)를 제거하지 않고는 마개(20)를 개봉할 수 없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대안으로는, 도 36에 따르면, 손잡이(3602)가 있는 스커트(3600)는 구부(10)의 상단과 마개(20)의 밀폐부 사이에 절취선(3601)으로 구획하여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탄력돌기(12)의 상방이나 내벽 상단부에서 시작하여밀폐부(21)의 외환부에 그커트(3600)가 일체로 연결된 것이다.
스커트(3600)의 구성에 있어서, 탄력돌기(12)와 밀폐부(21)의 각 부위에는 절취선(3601)이 형성되어 그 스커트(3600)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커트(3600)가 제거되면 도 3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탄력돌기(12)와 밀폐부(21)의 의 사이가 간극(도면 부호 「e」)이 유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로서(도 38, 도 39), 도 38에 따르면, 구부(10)의 하방에 형성된 천공편(14)이 일정힘에 의해 결합부(40)로 부터 이탈되어 하향될 수 있도록 천공편(14) 외부 공간(15) 상단부 지점에는 상기 결합부(40) 상단과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40)의 저부에는 상기 천공편(14)과 상기 공간(15)을 감싸는 형태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일예로, 알루미늄박판(AL)을 접착시킬 수 있다.
천공편(14)에 있어서, 상기 천공편(14)은 연결부(절취선)(13)가 파괴되면서 상기 천공편(14)이 일정 하향될 수 있도록 구부(10)와의 사이가 작동부(16)가 구성되고, 그 작동부(16)는 하향된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공간의 중간턱에 걸려 고정되는 환돌기(17)를 형성함과, 또한 상기 천공편(14)의 임의 측방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내용물 유출공(18)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그 사용시 구부(10)를 하압하게 되면 연결부(13)가 파괴되면서 작동부(16)가 하향되고, 작동부(16)의 환돌기(17)가 공간(15)의 내벽턱에 걸리는 정도이면 구부(10)는 더 이상 하향되지 않고 멈추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도39와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상 제 10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개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대(1) 결합부 하방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구부(10)를 통하여 흡음시 용기의 면이 흡착되지 않고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는 유출유도부(2500)를 형성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유출유도부(2500)는 도 25에서 점선으로 예시하였다.
본 발명은 구부와 마개를 연결부로 일체화 시키되, 그 연결부는 일정 각도로 열린후 인위적이지 않는 한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걸림장치를 구성하여 내용물을 안정되게 배출하는 것과,
그리고 구부의 상단 내경이 마개의 밀폐부 하단 외경 보다 더 크게하여 최초 개봉후 재밀폐시 마개의 밀폐부가 구부의 내부로 일정 길이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바, 그 사용이 매우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탄력돌기를 두어 밀폐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8)

  1. 용기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용물 배출 홀이 형성되는 구부와, 상기 구부의 배출홀을 밀봉하며 상기 결합부 또는 구부에 연결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배출대에 있어서,
    상기 마개를 구부로 부터 개봉하고 내용물을 배출할 때, 배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각도로 상기 마개를 유지시켜주는 마개 위치 유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배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절취부를 경계로 상기 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의 외벽에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으로서 상기 마개를 일정 각도로 유지시켜 주는 고정용돌기를 포함하는 배출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박막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며 상기 마개의 외벽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고정용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고정용돌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배출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돌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로 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편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돌기 고정부는 상기 마개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테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마개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박막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배출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마개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박막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고정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갖는 배출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구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배출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연결부와 상기 박막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부재 상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결합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마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용기는 파우치용기,패트용기,금속용기,유리용기,카톤팩 용기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배출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연포장용기의 개봉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가 상기 개봉부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면의 하방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배출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접착부의 좌우단으로 부터 시작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대.
KR1020020052184A 2001-09-10 2002-08-27 배출대 KR20020075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84A KR20020075761A (ko) 2002-08-27 2002-08-27 배출대
JP2003526776A JP2005516850A (ja) 2001-09-10 2002-09-10 スパウトアセンブリ
PCT/KR2002/001699 WO2003022690A2 (en) 2001-09-10 2002-09-10 Spout assembly
EP02798053A EP1581432A2 (en) 2001-09-10 2002-09-10 Spout assembly
AU2002362269A AU2002362269A1 (en) 2001-09-10 2002-09-10 Spout assembly
US10/489,558 US20040245286A1 (en) 2001-09-10 2002-09-10 Spout assembly
CNA028196422A CN1635972A (zh) 2001-09-10 2002-09-10 喷嘴组件
TW92123511A TWI295263B (en) 2002-08-27 2003-08-27 Spou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84A KR20020075761A (ko) 2002-08-27 2002-08-27 배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61A true KR20020075761A (ko) 2002-10-05

Family

ID=2772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184A KR20020075761A (ko) 2001-09-10 2002-08-27 배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57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154A1 (en) * 2019-10-01 2021-04-08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for a pouch
WO2023169722A1 (de) * 2022-03-09 2023-09-14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VORRICHTUNG
WO2023174591A1 (de) * 2022-03-14 2023-09-21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VORRICHT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154A1 (en) * 2019-10-01 2021-04-08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for a pouch
CN114585569A (zh) * 2019-10-01 2022-06-03 奥布里斯特封闭瑞士有限公司 袋封闭件
WO2023169722A1 (de) * 2022-03-09 2023-09-14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VORRICHTUNG
WO2023174591A1 (de) * 2022-03-14 2023-09-21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3924C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US20040026422A1 (en)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MXPA06004751A (es) Cierre de apertura por torsion que tiene membrana frangible inclinada.
JP2019534218A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MXPA05005016A (es) Tapa articulada inviolable para botellas y envases sellados con una pelicula que se llenan con un contenido fluido.
JP2006206187A (ja) 容器のスパウト
JP4173640B2 (ja)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JP4462475B2 (ja) パウチ用ノズル
KR20020075761A (ko) 배출대
US6408904B1 (en) Hygienic bottle cap
EP1470056B1 (en) Drinking container with sealing device for a drinking straw and method for making it
US20040007587A1 (en) Membrane piercing closure
JP2005096824A (ja) ブロー成形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US8087571B2 (en) Pouring package and pouring member formed from a wall extending over an opening
JP4502194B2 (ja) 可撓性容器のスパウト
KR20020075346A (ko) 배출대
KR200187704Y1 (ko) 음료용 캔의 개방구조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2004291988A (ja) 容器の口栓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JP2001206328A (ja) 飲料用ボトル
KR20230167873A (ko) 혼합장치
KR0118155Y1 (ko) 고리부재가 있는 합성수지재병마개
KR20030023685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카톤팩
KR200313957Y1 (ko) 뚜껑을 외부에 체결 할수 있는 내용물 위조방지용 속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