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873A -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73A
KR20230167873A KR1020220068032A KR20220068032A KR20230167873A KR 20230167873 A KR20230167873 A KR 20230167873A KR 1020220068032 A KR1020220068032 A KR 1020220068032A KR 20220068032 A KR20220068032 A KR 20220068032A KR 20230167873 A KR20230167873 A KR 2023016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opening
container
package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22006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873A/ko
Publication of KR2023016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7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33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81/3238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로 된 연포장 등에 국한하지 않고, 종이 재질로 된 포장도 이종의 용기에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게 스틱형 포장을 수용하는 개봉유도부를 갖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개봉유도부는 비교적 연질 재질 또는 종이 재질의 포장의 하단부나 하단 측면부를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천공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혼합장치{Mixing Devices}
본 발명은 별도로 포장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미국특허 4,832,230호, 미국특허 4,705,191호, 미국특허 3,080,094호 및 미국특허 5,836,479호 등이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4,705,191호의 경우는, 연포장 등의 재료로 된 혼합장치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특별한 구조만 적용이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질로 된 연포장 등에 국한하지 않고, 종이 재질로 된 포장도 이종의 용기에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게 스틱형 포장을 수용하는 개봉유도부를 갖는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개봉유도부는 비교적 연질 재질 또는 종이 재질의 포장의 하단부나 하단 측면부를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천공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혼합용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개봉유도부를 두고, 개봉유도부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포함한다.
또한, 천공핀은 갈라진 형태의 공간을 중심으로 본체의 양 하단 내측면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천공핀에 포장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천공되도록 하기 위해 포장의 하단부를 천공핀에 유도시키는 탄력가이드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또한, 개봉유도부의 하단부인 천공핀에 포장의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끝이 모아진 형태의 천공핀 유도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부는 거품 등을 제거하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그물망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혼합장치는, 스프레이어 버틀 또는 각종 음료용기 또는 생활용품 등의 용기에 결합되어 혼합장치에 든 내용물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고, 또한 필름 형태의 재질로 구성된 스틱형 포장 또는 종이 재질로 된 포장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개봉유도부에 의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혼합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연질의 재질 또는 종이재질로 혼합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쓰레기 공해를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용기의 개봉유도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용기의 개봉유도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봉유도부에 연질의 스틱 포장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천공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개봉유도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포장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개봉유도부에 탄력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개봉유도부의 저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개봉유도부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스틱형 포장의 일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개봉유도부에 그물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개봉유도부의 요부위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포장의 일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그물망이 형성된 개봉유도부의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도는 포장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는 개봉유도부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개봉유도부를 보조 결합구 형태로 한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천공핀이 있는 용기목의 일 부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천공핀이 있는 용기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0은 다중 용기목에 천공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1은 보조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보조 결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보조 결합구의 중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보조 결합구가 용기에 결합되고, 보조 결합구에는 트리거 스프레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5는 보조 결합구가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중요 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보조 결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7 및 도 38은 보조 결합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보조 결합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1 및 도 42는 보조 결합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3 내지 도 46은 보조 결합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47 내지 도 50은 배출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용기의 개봉유도부(100)를 나타낸 것으로서,개봉유도부(100)는 용기목에 걸려 하강이 안 되는 환테(101)와, 하방으로는 길게 갈라진 형태의 공간을 사이로 하나 이상의 본체(102)의 하단 내벽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천공핀(104)을 하나 이상 형성한다.
도 3은 용기(B)에 개봉유도부(100)가 결합되고, 개봉유도부(100)에 연질의 스틱형 포장(200)이 포장 본체(201)의 하단부가 날카로운 형태의 천공핀(104)에 의하여 포장 내부공간(202)이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특히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틱형 포장(200)은 포장 내부공간(202)에 든 내용물이 천공핀 공간(105)을 통해 용기(B)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 용이하다.
도 5는 천공핀 공간(105)이 있는 천공핀(104)이 접합부(203)의 최근접면을 천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봉유도부(1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형 포장(200)의 하단부가 하단이 휘어진 형태의 본체(102)를 따라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접합부(203)의 근처 포장 본체(201)를 천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개봉유도부(100)에 탄력가이드(108)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스틱형 포장의 단부를 용이하게 천공핀(104)이 천공할수 있도록, 스틱형 포장의 하단부를 가지런하게 안쪽으로 모아지게 하는 탄력적인 가이드를 둔 것이고, 스틱형 포장을 개봉유도부에 삽입하게 되면 스틱형 포장의 단부가 탄력가이드(108)를 외측으로 밀고, 그 과정에 천공핀(104)이 정확하게 스틱형 포장의 접합부 근처를 천공하게 된다.
도 8은 개봉유도부(100)의 저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스틱형 포장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천공시키는 천공핀(104)을 다수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개봉유도부(100)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휘어진 형태의 본체(102) 하단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천공핀 공간(110)이 있는 천공핀(109)을 형성한 것이고, 도 10에서 나타낸 스틱형 포장(200)이 접합면(203)에 근접하게 천공핀(104)이 천공할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스틱형 포장(200) 일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은 접합부(203)의 하단부가 모아진 형태를 한 것이고, 도 12는 하단부가 평면하게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개봉유도부(100)에 그물망(11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상기 그물망(114) 용기에 물을 채울 때에 발생하는 거품이 그물망(114)에 의해 제거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고, 그물망(114)의 하단부에는 낙하공간(113)이 있는 천공핀 공간(112)이 있는 천공핀(111)을 형성한다.
도 14는 개봉유도부(100)의 중요 부위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로서, 스틱형 포장의 하단부가 정확하게 모아질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하고, 본체(116) 하단부가 모아진 형태를 하고, 본체(116)의 저부 내측 하단부에는 천공핀(115)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6)에는 갈라진 형태의 구멍 형태 등을 한 다수의 공감(117)을 둔다.
도 15는 포장의 일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스틱형 포장(200)의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는 개봉유도부에 삽입이 가능하게 좁아진 형태의 포장 본체(201)를 구성한 다.
도 16은 그물망(119)이 형성된 개봉유도부(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단부에는 천공핀 공간이 있는 천공핀(120)을 하나 이상의 연결부(121)로서 연결시킨다.
도 17 내지 도 22는 스틱형 포장(200)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개봉유도부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한 본체(20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캐릭터 등이나 문자 등으로 형상을 표현한 것이고, 개봉유도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의 본체(201)는 높이(H)를 잘 조절하여야 한다.
특히 도 19 및 도 20의 경우는, 종이 재질이나 플라스틱이나 연포장으로 된 포장(220)을 구성하고, 상기 포장(220)이 개봉유도부의 천공핀에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도록 단부의 일면에는 비교적 얇은 형태의 박판(221)이나 천공 유도선(222)을 형성한다.
도 21 및 도 22의 경우는, 포장(220)의 저부면에 박판이나 천공 유도선(222)을 형성하고, 도 22의 경우는, 접합부(231)의 일부위에 개봉부(232)를 두고, 상기 개봉부(232)는 개봉 절취선(235)으로 구획된 개봉편(233)과 개봉편 본체(234)를 둔 것이고, 이와 같은 포장(230)은 개봉편(233)을 비틀면 개봉 절취선(235)이 파괴되면서 포장(230)이 열리게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다른 용기에 이종물질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그리고 도 23의 경우에는 개봉유도부 등의 천공핀이 용이하게 포장(220)을 천공할 수 있도록 포장의 단부에는 금이 그어진 형태의 천공 유도선(222)을 형성한 다.
도 24의 경우는, 천공핀이 스틱형 포장(200)의 접합부(203) 방향에 근접한 포장 본체(201)를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천공 유도선(205)을 형성하고, 도 24의 경우는 박판(221)을 형성한다.
도 25는 개봉유도부(100)에 그물망(11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104)이 형성된다.
도 26은 개봉유도부를 보조 결합구(140) 형태로 한 것이고, 상기 보조 결합구는 다른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보조 결합구(140)는 결합구 본체(144)의 내측에 다양한 용기목에 결합이 가능한 다 중나사산(141, 142, 143)이 형성되는 것이고, 중앙 내부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145)이 형성된 것이다,
도 27은 천공핀(151)이 있는 용기목(150)의 일 부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8 및 도 29는 천공핀(153)이 있는 용기목(1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서, 도 28의 경우에는 천공핀 결합체(152)를 중심으로 천공핀 공간(154)이 있는 천공핀(153)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9의 경우는 거품을 걸러주는 그물망(155)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특히 거품이 용기목(15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0은 다중 용기목(160)에 천공핀(163)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이러한 천공핀(163)은 도 1 내지 도 29에서 설명된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도 31은 보조 결합구(17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이고, 스프레이어 등이 결합되는 구부(171)가 있고, 그 구부(171)의 일 방향에는 천공핀(175)이 있는 개봉부 본체(174)를 둔 것이다. 이의 사용시에는, 상부 덮개(173)를 열고 스틱형 포장을 집어넣게 되면, 하부의 날카로운 천공핀(175)이 스틱형 포장의 단부를 천공시키고, 이 과정에 이종물질이 용기(B)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특히 결합 본체(172)에 의해 보조 결합구(170)를 다른 용기의 용기목(B-1)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고, 덮개(173)를 덮는 과정에 스틱형 포장의 하단부가 천공핀에 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2는 보조 결합구(1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스프레이어 등을 결합하는 구부(181)를 두고, 그 구부(181)의 일부에는 포장을 넣고 압박할 수 있는 작동용 덮개(183)를 형성한 것이다. 이의 사용시에는 고정턱(182)에 고정된 작동용 덮개(183)를 열고 본체(183')의 내부에 액체나 분말 포장을 넣고 작동용덮개(183)를 닫으면, 내부에 든 포장이 압박되고 동시에 하단에 형성된 천공핀에 의해 포장이 파괴되도록 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것을 도 33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면, 공간(187)에 포장을 넣고 작동용 덮개(183)를 닫게 되면, 압박부(186)가 포장을 압박하고 동 과정에 낙하공간(190)이 있는 천공핀(189)이 포장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포장이 파괴되면서 발생한 내용물은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특히 작동용 덮개(183)는 회전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 것보다는 연결부(185)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좋고, 도면부호 (184)는 용기에 결합되는 결합구 본체(184)를 나타낸 것이고, (188)은 포장 결합부를 나타낸다.
도 34는 보조 결합구(18)의 중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구부에 트리거 스프레이어(S)가 결합된 것이고, 보조 결합구(180)는 별도의 용기(B)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시에는, 고정턱(182)에 걸린 작동용 덮개(183)를 열고 상기한 상태에서 본체(183')에 포장을 넣은 후 다시 작동용 덮개(183)를 닫게 되면, 포장이 날카로운 형태의 천공핀(189)에 의해 파괴되면서 내용물이 용기(B) 내부로 낙하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도 35는 보조 결합구(180)가 용기(B)에 결합되고, 보조 결합구(180)에는 트리거 스프에이어가 결합되는 것이고, 도 34에 따른 것을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포장 결합부(188)에는 그물망(192)을 형성한 것이고, 천공핀(189)의 주위에는 낙하공간(191)을 형성한 것이다.,
도 36은 보조 결합구(18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포장결합부(188)의 내부에 포장(240)을 넣고 작동용덮개(183)를 덮개되면 압박부(186)가 포장(240)을 압박하고 동 과정에 천공핀(189)이 포장(240)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파괴된 내용물은 낙하공간(191)을 통해 낙하 혼합되는 것이고, 도 35에서 나타낸 그물망(192)의 크기는 도 36에서 나타낸 부호표시 "h"의 크기로 결정한다.
도 37 및 도 38은 보조 결합구(300)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포장 결합부(301)의 내부에 일 예로 수용성 포장(320)을 넣은 후에 작동부(310)를 결합하게 되면, 압박부(311) 또는 중앙 압박부(312)가 포장(320)을 압박하고, 동 과정에 다수의 천공핀(302)이 포장(320)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괴된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됨과 동시에 파괴된 포장(320)은 중앙 압박부(312) 등이 포장(320)을 낙하공간(303)을 통해 낙하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낙하된 포장(320)은 용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부(310)는 구부(306)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고, 포장(320)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중앙이 중앙 압박부(312)에 의해 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납작한 형태의 포장공간(321)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보조 결합구(300)는 수용성 포장(320)을 낙하공간(303)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작동부(310)를 연결부(30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보조 결합구(300)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트레이 형태의 포장(320)이 포장 결합부(301)에 넣어진 후에 작동부 덮개를 회전식이나 연결부 방식으로 닫히는 과정에 포장(320)이 압박되고, 동 과정에 천공핀(302)이 포장(320)의 저부를 파괴하고, 이 과정에 포장공간(321)의 내용물은 낙하공간(303)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0의 경우는, 도 39의 경우와 거의 유사하지만, 트레이 형태의 포장(330)을 작동부(310)의 포장 삽입부(314)에 끼워 넣은 후에 구부(305)를 중심으로 결합하고, 압박부 본체(313)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에 상부 시일부(332)가 포장결합부(30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날카로운 형태의 천공핀에 의해 파괴되면서 저장공간(331)의 내용물이 낙하공간(303)을 통해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도 41 및 도 42는 보조 결합구(340)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보조 결합구(340)는 연결부(342)에 의해서 작동부(345)가 개폐되는 것이나, 다르게는 회전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41은 작동부(345)가 열리고 있는 장면이고, 완전히 열고 포장 결합부(341)에 포장(330)을 넣고 작동부(345)를 닫게 되면, 동 과정에 날카로운 형태의 천공핀(346)이 시일부재편(332')을 파괴하고, 또한 하단의 포장 저단부(330)를 파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포장공간(331)에 든 내용물은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 혼합된 내용물은 상부 배출대 마개(349)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배출대 마개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3 내지 도 46은 보조 결합구(350))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 나사산(351) 등이 구비되고, 상부는 연결부(353)에 의해 연결된 작동부(352)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352)의 저부에는 용기의 목에 저항을 받아 밀쳐지는 것이 가능한 개방유도부(354)를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결합부(350)는 연질의 필름 포장(360)에 의해 연포장 용기를 구성하게 되고,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360)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결합부(350)는 절취선(361)으로 구획된 절취편(362)을 두어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부호표시 (363)은 열접착 등에 의해 접합부(363)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사용 시에는, 절취편(362)을 제거하고, 보조 결합구(350)를 용기의 구부에 결합하면, 개방유도부(354)가 용기 구부의 내벽부에 저항을 받아 상부로 열리면서 포장(360) 내부에 든 내용물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52)는 연결부(353)는 선택사항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도 45의 경우는, 포장(370)의 포장 절취편(375)을 당기면 포장 절취선(374)에 의해 분리가 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은 상태의 개봉유도부(100)에 결합하게 되면, 천공핀(111)이 개봉 절취선(372)을 파괴하면서 포장(370) 내부에 든 내용물을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봉편 본체(371)는 포장 본체(373)에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46의 경우는 포장(370)의 단부에 개봉편 본체(380)를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개봉편(381)을 비틀면 개봉편 절취선(382)이 파괴되면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개봉편 본체(380)를 도 3과 같은 개봉유도부(100)에 결합하면 천공핀(111)이 개방부(383)를 상부로 밀어 내용물이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방부(383)는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개방부(383)의 저부에는 개방을 돕는 개방유도부(384)를 둘 수 있다.
제47도를 참고로 하여 배출대(400)를 설명을 하면, 하부에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접착테(401)를 두고, 상기 접착테(401)의 상방으로는 본체(402)를 두고, 상기 본체(402)의 내향으로는 연결부(406)에 접철부(405)가 접철이 되는 구부 배출공(408)이 있는 구부(407)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407)를 보호하는 보조테(410)를 보조테 연결부(409)로서 연결시키고, 상기 보조테(410)의 상방에는 안전돌기 절취선(413)으로 구획된 삽입홈(412)이 있는 안전돌기(411)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406)의 인근에는 보조돌기 고정부(414)를 형성하고, 상기 구부 배출공(408)의 하단부에는 그물망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부(407)의 단부가 닿아 밀폐가 되는 구부 접철부(415) 부위에는 공기유입공(417)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배출대(400)는 접철된 접철부(405)의 저부면을 알루미늄 포일 등의 시일부재(420)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출대(400)는 47도와 같은 상태가 구부(407)가 상향된 상태이고, 도 48의 경우가 구부(407)가 접철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사용 시에는 도 50과 같은 상태에서 구부(407)를 상부로 당기면, 안전돌기 절취선(413)이 파괴되면서 보조테(410)와 함께 구부(407)가 상향되고, 이와 같은 상태가 제49도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포장용기(500)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용기 내부에 든 내용물이 구부 배출공(408)을 통해 배출되고,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공(417) 및 공기 유입부(418)를 통해 유입되는 바 내용물이 쿨럭임 없이 배출된다.
그리고 접철부(405)가 상향되는 과정에 시일부재(420)는 자동으로 파괴되고, 그물망(416)은 이물질이 구부 배출공(408)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예방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배출대(400)는 포장용기(500)의 배출공 상부나 저면부를 중심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파우치 용기에 본체(402) 면에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본체(402)가 나사산 등이 형성된 병목에 결합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용테가 있는 용기 등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400)는 본체(402)가 여러 규격을 갖는 용기목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다중 나사산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출대(400)의 접철부(405)는 비교적 부드러운 고무재질, 일 예로 실리콘 등의 고무재질 또는 기타 합성고무 등으로 다중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타 공기유입공(417)의 주위 또는 그 상대 부위에 고무 등을 다중성형할 수 있다.

Claims (4)

  1. 개방유도부의 단부에는 천공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두고,
    상기 천공핀에 포장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돕는 탄력가이드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의 단부에는 박판이나 천공 유도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은 연포장 형태의 스틱형 포장이거나 또는 종이로 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부에는 그물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KR1020220068032A 2022-06-03 2022-06-03 혼합장치 KR20230167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32A KR20230167873A (ko) 2022-06-03 2022-06-03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32A KR20230167873A (ko) 2022-06-03 2022-06-03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73A true KR20230167873A (ko) 2023-12-12

Family

ID=8915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032A KR20230167873A (ko) 2022-06-03 2022-06-03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144A (ko) 개봉이 쉬운 연질 파우치
KR100994113B1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CN101495381B (zh) 用于填充有医用液体的容器的封闭盖和带有封闭盖的容器
CN101247992A (zh) 用于存储和分配可流动物质的多腔室泡罩包装件
KR20120048758A (ko) 본체를 통해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JP2007530370A (ja) 貯蔵空間を有するキャップ構造
CA2907307A1 (en) Food packaging having an integrated spout
US8640899B2 (en) Vial for receiving a predefined dose of a liquid
KR20230167873A (ko) 혼합장치
JP5309308B2 (ja) 注出具
JP4800962B2 (ja) パウチ容器の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JP2007510595A (ja)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EP0334839A4 (en) SELF-SEALING LIQUID DISTRIBUTION TANK.
EP2454169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316761Y1 (ko)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MXPA97003336A (en) Container for flu material
KR101152745B1 (ko) 포장용기
KR101074905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70081065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339953Y1 (ko) 스파우트용기
EP0711708A2 (en) Container for fluid material
JP2004051119A (ja) 押出容器用蓋
KR20070065170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326765B1 (ko) 종이팩 액체내용물 출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