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20Y1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120Y1
KR200262120Y1 KR2020010034098U KR20010034098U KR200262120Y1 KR 200262120 Y1 KR200262120 Y1 KR 200262120Y1 KR 2020010034098 U KR2020010034098 U KR 2020010034098U KR 20010034098 U KR20010034098 U KR 20010034098U KR 200262120 Y1 KR200262120 Y1 KR 200262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food storage
outlet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혁
Original Assignee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12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와 커버의 밀봉 기능이 뛰어나도록 하고 그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공되는 식품 저장공간의 상측 유출구가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유출구 외측에 둘레를 따라 상하 적어도 2줄 이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의 하측부위에 용기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복수개의 지지리브에 의해 돌출 구비된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일부분에 외력 제공시 파쇄되도록 파단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절췌부; 용기의 유출구를 감싸며 끼움 결합되는 커버의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2줄 이상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AN AIRTIGHT CONTAINER FOR FOOD STORAGE}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음식물 및 그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시판되지 않은 제품이 외부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는,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의 유출 및 그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최초 시판시 시판 제품의 커버가 외압 등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다시말해, 소비자는 최초 구입시 밀폐용기가 개폐되지 않고 완전 밀폐상태로 보관된 것을 요구함과 동시에 사용시에는 커버의 개폐가 가능하면서도 냄새 등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밀폐용기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밀폐용기가 시판된 바 있으며, 그 중 한 예로서 커버의 내측 저면에 고무패킹을 끼워 패킹의 밀착력으로 음식물의 액체나 냄새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커버를 개폐하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고무패킹이 마모되고 또한 늘어나 커버의 삽지홈으로 부터 이탈되어 쉽게 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완전한 밀폐효과를 얻을 수 없는 한편 시판시에는 투명 포장지로서 밀봉 판매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판중 커버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용기본체의 개방부로 억지끼움되는 커버와 이 커버와 용기본체에 고정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지지부가 절목선을 갖는 제거막과 실형태를 취하는 다수개 강제파손편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가 제공된 바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거막을 제거한 이후 강제파손편을 제거하는 2중 제거작업으로 커버를 개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밀폐용기의 개방구조는 제거막과 강제파손편이 이중 구성됨에 따라, 그 만큼 복잡한 구조에 따른 제작의 난해함을 갖는 문제점과 초기 개방작업을 행하는 사용자가 제거막과 다수개 강제파손편을 이중으로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본체와 커버의 밀봉 기능이 뛰어나고,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판중에 있는 밀폐용기로부터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C - C'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로부터 커버를 이탈시키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본체 120: 유출구
122: 안착턱 130: 결합돌기
140: 식품저장공간 150: 보강부재
152: 지지리브 160: 절췌부
162: 파단라인 200: 커버
210: 결합홈 220: 결합부
222: 경사단 230: 록킹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공되는 식품 저장공간의 상측 유출구가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유출구 외측에 둘레를 따라 상하 적어도 2줄 이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의 하측부위에 용기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복수개의 지지리브에 의해 돌출 구비된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일부분에 외력 제공시 파쇄되도록 파단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절췌부; 용기의 유출구를 감싸며 끼움 결합되는 커버의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2줄 이상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의 유출구와 끼움 결합되는 상기 커버의 결합부 외측 테두리단이 소정각도 외측으로 경사져 상기 보강부재 상측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저장용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밀폐용기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100)와, 이를 밀폐시키는 커버(20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얇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개방된 유출구(120)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식품 저장공간(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20)는 상기 커버(200)가 끼움 고정되어 걸릴 수 있도록 용기 본체(10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폭 절곡된 직립형상을 취한다. 즉 상기 유출구(120)의 하단과 용기 본체(100)의 상측 연결부위에는 소정폭의 안착턱(122)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은 중앙부가 소정폭 돌출된 형상을 취하여 그 외측에 안쪽 테두리를 따라 홈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구(120)는 외측 테두리면에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130) 라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0) 라인은 상하로 적어도 2줄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구(120)의 하단 외측에는 용기 본체(100)의 둘레를 따라 보강부재(150)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150)는 용기 본체(100)와의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152)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보강부재(150)는 용기 본체(10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어 유출구(120)에 결합된 커버(200)의 비틀림 및 열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150)의 일부분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커버(200)의 일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외력 제공시에 파쇄되도록 하는 절췌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절췌부(160)는 파단라인(162)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200)는, 테두리에 상기 용기 본체(100)의 유출구(120)를 감싸며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210)을 갖는 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10)의 일측에는 상기 유출구(120)의 결합돌기(130)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록킹돌기(230)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230)는 상하로 적어도 2줄 이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20)는, 내측단이 상기 유출구(120)의 내측 안착턱(122)에 밀착되고, 외측단은 상기 보강부재(150)의 상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0)의 외측단 하단은 소정각도 외측으로 경사져 그 단부가 상기 보강부재(150)의 상측단부와 일치된다.
즉, 상기 결합부(220)의 외측 밀착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경사단(2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단(222)이 밀착 지지되는 상기 보강부재(150)의 상측부에는 경사단 밀착홈(154)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 저장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 본체(100)의 식품 저장공간(140)에 내용물을 넣고 커버(200)를 닫게 되면, 커버(200)의 결합부(220)에 형성된 록킹돌기(230)가 용기 본체(100)의 유출구(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30)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결합부(220)의 결합단이 안착턱(122)에 안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220)의 경사단(222)이 보강부재(150)의 경사단 밀착홈(154)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로부터 커버(200)를 개방시키고자 하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위가 없어 반듯이 보강부재(150)에 형성된 절췌부(160)를 이탈시켜야만 커버(20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보강부재(150)에 형성된 절췌부(160)에 외압을 가하게 되면, 절췌부(160)와 보강부재(150)를 연결하는 파단라인(162)이 파쇄되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 본체(100)의 보강부재(150)로부터 절췌부(160)가 이탈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이 절췌부(160)의 공간을 이용하여 커버(200)를 개방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는, 용기 본체와 커버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기와 록킹돌기들에 의해 상호 결합됨에 따라 밀봉 기능이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커버의 결합단이 용기 본체의 밀착부에 경사진 상태로 밀착 지지됨에 따라 절췌부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커버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용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가 얇은 수지재의 경우에도 용기 본체의 비틀림 및 커버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공되는 식품 저장공간의 상측 유출구가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유출구 외측에 둘레를 따라 상하 적어도 2줄 이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의 하측부위에 용기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복수개의 지지리브에 의해 돌출 구비된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일부분에 외력 제공시 파쇄되도록 파단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절췌부;
    용기의 유출구를 감싸며 끼움 결합되는 커버의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2줄 이상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유출구와 끼움 결합되는 상기 커버의 결합부 외측 테두리단이 소정각도 외측으로 경사져 상기 보강부재 상측면에 안착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20010034098U 2001-11-07 2001-11-07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62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98U KR200262120Y1 (ko) 2001-11-07 2001-11-07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98U KR200262120Y1 (ko) 2001-11-07 2001-11-07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120Y1 true KR200262120Y1 (ko) 2002-02-06

Family

ID=730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0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2120Y1 (ko) 2001-11-07 2001-11-07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1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74Y1 (ko) 2012-10-12 2015-11-04 이영철 식품 저장 용기
KR20160112811A (ko) 2015-03-20 2016-09-28 (주)효성피엔지 식품 저장용기
KR200483289Y1 (ko) 2016-12-13 2017-04-26 한규정 밀폐형 식품 포장용기
CN109969584A (zh) * 2019-04-25 2019-07-05 伍京栋 食品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74Y1 (ko) 2012-10-12 2015-11-04 이영철 식품 저장 용기
KR20160112811A (ko) 2015-03-20 2016-09-28 (주)효성피엔지 식품 저장용기
KR200483289Y1 (ko) 2016-12-13 2017-04-26 한규정 밀폐형 식품 포장용기
CN109969584A (zh) * 2019-04-25 2019-07-05 伍京栋 食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420A (en) Dispensing package
US3160327A (en) Dispensing spout with rupturable breathing diaphragm and closure therefor
US4600127A (en) Dispensing taps
US9382045B2 (en) Dispensing closure
MXPA01012408A (es) Cierre con valvula de distribucion.
US7661547B2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4580064B2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4977709B2 (ja) 貯蔵容器用容器蓋
KR100542068B1 (ko) 특히 최초 사용 전에 보호 부재가 제거 가능한 용기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30016349A (ko) 밀폐용기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JP7091051B2 (ja) 食品容器用キャップ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KR200315375Y1 (ko) 봉인구조를 갖는 튜브용기 뚜껑
KR200324151Y1 (ko) 실링지가 내측에 취부된 포장용기 구조
KR100368537B1 (ko) 마개기능을 갖는 개봉탭
KR20020075761A (ko) 배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1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