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671A -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671A
KR20000030671A KR1020000012196A KR20000012196A KR20000030671A KR 20000030671 A KR20000030671 A KR 20000030671A KR 1020000012196 A KR1020000012196 A KR 1020000012196A KR 20000012196 A KR20000012196 A KR 20000012196A KR 20000030671 A KR20000030671 A KR 2000003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raw
outlet hole
discharge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0001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671A/ko
Publication of KR2000003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671A/ko
Priority to US09/980,550 priority patent/US6571995B2/en
Priority to PCT/KR2001/000337 priority patent/WO2001066418A2/en
Priority to EP01910198A priority patent/EP1214249A2/en
Priority to CNB018004210A priority patent/CN1170739C/zh
Priority to JP2001565246A priority patent/JP2003525819A/ja
Priority to AU37778/01A priority patent/AU377780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2)발명의 목적
용기내의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음용하고,또한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과 빨아 먹는 것을 일시에 해결하며,그리고 상기의 것은 용기의 뚜껑에 뉘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배출대(가)는 용기뚜껑(C)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뉘어지고 상방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유입홈이 있는 접철용 스트로(200)를 내입하며,상기 본체(100)의 구부 상측으로는 밀폐용 본체뚜껑(300)를 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배출대가 측방으로 숙여지는 것이 가능한 바, 유통의 편리성이 있음은 물론,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과 직접 입을 대고 빨아 먹는 것이 가능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든 내용물을 용기뚜껑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대를 통하여 그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P C T WO 00/03921호가 있다.
상기 선행인 P C T WO 00/03921호의 경우,배출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그 기본 기술로 하고 있으며, 이 발명은 상기 배출대가 수평으로 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다단 적층이 원활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배출대가 조립상태로 되어 있데,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 1b는 본체뚜껑을 열고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c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기 위하여 본체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출공을 유출공삽입면에 내입시킨 상태이며,
도 1d는 배출대를 일측방으로 뉘인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e는 배출대가 일체로 된 용기뚜껑이 용기의 상면에 조립된 상태의 일 사시도이다.
도 2∼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배출대가 일체로 형성될 용기뚜껑의 결속부를 일예로 보인 요부도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배출대 100 : 본체 101 : 구부
102,304, C9 : 나사산 103 : 걸림테 104 : 유출공삽입면
105 : 접철부 106 : 접착면(조립면) 200 : 스트로
201 : 스트로접철부 202 : 유출공 203 : 환테
204 : 공기유입홈 300 : 본체뚜껑 301, C1 : 상면부
302, C2 : 측면부 303 : 밀폐벽 305, C3 : 절취선
306, C4 : 위조방지테 400 : 용기 C : 용기뚜껑
C5 : 손잡이 C6 : 측면절취선 C7 : 배출대삽입홈
C8 : 걸림턱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시스템은 접철될 수 있는 본체의 내부로 공기유입홈을 갖고 있는 내용물 배출용 스트로를 내입하고,상기 본체의 상단 구부에는 구부 밀폐용 본체뚜껑을 조립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는 휘어짐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접철부에 위치될 수 있는 부위에 스트로접철부를 형성하고, 그 하방으로는 유출공과 환테를 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 접철부는 별도 제작하여, 이를 본체의 구부와 용기뚜껑의 사이에 위치하여 조립(열,초음파 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본체는 별도 제작되어 용기뚜껑에 접착되거나 또는 걸림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본체는 파우치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대(가)는 용기뚜껑(C)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뉘어지고 상방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내부로 작동용 스트로(200)를 내입하며,상기 본체(100)의 구부 상측으로는 밀폐용 본체뚜껑(300)를 조립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측으로 나사산(102)과 걸림테(103)가 있는 구부(101)를 두고,상기 구부(101)와 유출공삽입면(104)의 사이에는 늘어나고 뉘어질 수 있는 형의 접철부(10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200)는 상기 본체(100) 접철부(105)에 위치되고 유출공삽입면(104) 하방에 각각 있는 스트로접철부(201)와 유출공(202)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유출공(202)을 인접하여 그 하측으로는 환테(203)를 형성하고,상기 본체(100)구부(101)의 상단에 약간 돌출되고 상기 환테(203)의 그 하측 까지 길게 홈이 파인 형의 공기유입홈(204)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뚜껑(300)은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고,그 측면부(302)의 상측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구부(101)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목적의 밀폐벽(303)을 형성하고,상기 밀폐벽(303)의 하측 내벽면에는 결속용 나사산(304)을 형성하며,상기 나사산(304)의 하방으로는 절취선(305)으로 구획된 위조방지테(306)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출대(가)가 바람직하게 적용된 예가 도 1e와 같은 것이며,일예로,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대(가)가 적용된 용기뚜껑(C)은; 상면부(C1)와 측면부(C2) 그리고 측면부(C2)의 하방에는 절취선(C3)으로 구획된 위조방지테(C4)를 형성하고,상기 측면부(C2)의 내벽면은 용기(400)의 목에 형성된 결속부에 따라 나사산이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며,상기 위조방지테(C4)의 일측에는 손잡이(C5)를 두되,그 손잡이(C5)의 양측에는 측면절취선(C6)이 절취선(C3)과 연결되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C1)의 임의 면에는 함몰된 형의 배출대삽입홈(C7)을 두고,그 배출대삽입홈(C7)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유출공삽입면(104) 하방을 일체로 연결시킨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하방은 배출대삽입홈(C)면에 형성되지 않고 용기뚜껑 (C)의 상면부(C1)에 직접 형성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d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가)를 치켜 세운 상태가 도 1a와 같은 것이며,상기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뚜껑(300)을 벗긴 후 용기(400)를 거꾸로 세우게 되면 도 1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기유입홈(204)을 경우하여 용기(400)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와 동시 유출공(202)을 통하여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며,필요에 따라 스트로(200)의 상단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용기내의 내용물이 유출공(202)능 경유 흡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구부(101)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본체(100)의 접철부(105)외 스트로(200)의 스트로접철부(201)가 펼쳐지면서 상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트로(200)는 일정 길이가 상향되게 되는데,이는 본체(100)에 형성된 접철부(105)의 펼침 길이가 스트로접철부(201)의 펼침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이다. 계속된 것으로서, 또한 상기 스트로(200)는 일정 길이로 상향되다가 환테(203)가 유출공삽입면(104)의 하방에 닿게 되면 상기 스트로(200)는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데,이러한 상태가 도 1c와 같다.
상기 도 1c와 같은 상태에서 스트로(200)의 상단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스트로(200)의 내부 공을 통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흡출되고,이와 동시 공기유입홈(204)을 경유하여는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이 흡출될 수 있는 것은 도 1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유출공(202)이 유출공삽입면(104)에 삽입되어 상기 유출공(202)이 일시 폐쇄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e와 같은 용기뚜껑(C)을 벗기고자 할때는 손잡이(C5)에 손가락을 넣은 후 당기게 되면 측면절취선(C6)과 동 연장 선상의 절취선(C3)이 절취되면서 용기뚜껑(C)이 벗겨지는 것이며,이와 같은 용기뚜껑(C)을 벗기기 위한 구조는 상기 손잡이(C5) 외에 다양한 구조의 탭(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대(가)는 용기뚜껑(C)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뚜껑(C)의 천공부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지용기 등의 상면부에 조립(접착)될 수 있는 것이며,이때는 배출대(가) 본체(100)의 접착면(조립면)(106)이 그 천공면의 상부나 저면부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도 2 접착 형태 참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상기 배출대(가)의 본체(100)는 용기뚜껑(C)이나 또는 용기의 임의 부위에 형성된 천공형의 내턱에 걸릴 수 있도록 유출공삽입면(104) 하방에 걸림돌기(108)를 갖고 있는 접착면(조립면)(106)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걸림돌기(108)의 내벽면에는 경질의 보강링(109)을 끼워 상기 걸림돌기(108)가 상기 용기뚜껑의 내턱으로 부터 발탈되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배출대(가)는 파우치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유출공삽입면부에 측방향의 접착면(조립면)(106)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배출대(가)가 형성(조립)된 용기뚜껑(C)의 측면부(C2)에는 걸림턱(C8)이나 나사산(C9)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대(가)는 용기의 상단에 그 배출대(가)의 외면이 직접 접촉되어 일체로 성형 사출될 수 도 있는 것이며,상기의 스트로(200) 또한 스트로접철부(201)가 없는 형태로 될 수 있데,이때는 그 스트로(200)는 잘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 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대가 측방으로 숙여지는 것이 가능한 바,유통의 편리성이 있음은 물론,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과 직접 입을 대고 빨아 먹는 것이 가능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배출대(가)는 용기뚜껑(C)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뉘어지고 상방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유입홈이 있는 접철용 스트로(200)를 내입하며,상기 본체(100)의 구부 상측으로는 밀폐용 본체뚜껑(300)를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는 상측으로 나사산(102)과 걸림테(103)가 있는 구부(101)를 두고,상기 구부(101)와 유출공삽입면(104)의 사이에는 접철부(10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로(200)는 상기 본체(100) 접철부(105)에 위치되고 유출공삽입면(104) 하방에 각각 있는 스트로접철부(201)와 유출공(202)을 형성한 것이며,상기 유출공(202)을 인접하여 그 하측으로는 환테(203)를 형성하고,상기 본체(100) 구부(101)의 상단에 약간 돌출되고 상기 환테(203)의 그 하측 까지 길게 홈이 파인 형의 공기유입홈(20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뚜껑(300)은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고,그 측면부(302)의 상측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구부(101)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목적의 밀폐벽(303)을 형성하고,상기 밀폐벽(303)의 하측 내벽면에는 결속용 나사산(304)을 형성하며,상기 나사산(304)의 하방으로는 절취선(305)으로 구획된 위조방지테(30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공삽입면(104)의 하방은 용기뚜껑(C)의 천공부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지용기 등의 천공된 상면 외주부에 조립(접착)되도록 접착면(조립면)(10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면(조립면)(106)은,그 천공면의 상부나 저면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공삽입면(104)의 하방은 용기의 임의 부위에 형성된 천공형의 내턱이나 용기뚜껑(C)의 천공부 내턱에 걸릴 수 있도록 유출공삽입면(104) 하방에 걸림돌기(108)를 갖고 있는 접착면(조립면)(106)을 형성하는 것이며,상기 걸림돌기(108)의 내벽면에는 경질의 보강링(109)을 끼운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공삽입면 외부로는 측방향의 접착면(조립면)(10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9.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로(200)는 스트로접철부(201)가 없는 형태로 될 수 있데,그 스트로(200)는 잘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용기뚜껑(C)의 측면부(C2) 내벽면에는 걸림턱(C8)이나 나사산(C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11.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유출공삽입면(104)의 하방 외주면은 용기의 상단부에 직접 접촉되어 일체로 성형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1020000012196A 2000-03-05 2000-03-06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00030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196A KR20000030671A (ko) 2000-03-06 2000-03-06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US09/980,550 US6571995B2 (en) 2000-03-05 2001-03-0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PCT/KR2001/000337 WO2001066418A2 (en) 2000-03-05 2001-03-0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01910198A EP1214249A2 (en) 2000-03-05 2001-03-0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CNB018004210A CN1170739C (zh) 2000-03-05 2001-03-05 用于液体容器的管嘴组件
JP2001565246A JP2003525819A (ja) 2000-03-05 2001-03-05 飲料容器用スパウトアセンブリー
AU37778/01A AU3777801A (en) 2000-03-05 2001-03-0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196A KR20000030671A (ko) 2000-03-06 2000-03-06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671A true KR20000030671A (ko) 2000-06-05

Family

ID=1965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196A KR20000030671A (ko) 2000-03-05 2000-03-06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6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92B1 (ko) * 2012-08-17 2014-01-24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캡 장착형 파우치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272A (ja) * 1988-09-16 1990-03-19 Hitachi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H0317039A (ja) * 1989-06-13 1991-01-25 Mitsubishi Kasei Corp アルデヒドの製造法
KR19990030464A (ko) * 1998-12-28 1999-04-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174603Y1 (ko) * 1999-10-23 2000-03-15 김종기 스트로 부착형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272A (ja) * 1988-09-16 1990-03-19 Hitachi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H0317039A (ja) * 1989-06-13 1991-01-25 Mitsubishi Kasei Corp アルデヒドの製造法
KR19990030464A (ko) * 1998-12-28 1999-04-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174603Y1 (ko) * 1999-10-23 2000-03-15 김종기 스트로 부착형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92B1 (ko) * 2012-08-17 2014-01-24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캡 장착형 파우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20000030671A (ko)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WO2001066418A2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20020075761A (ko) 배출대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20090000903A (ko) 일회용 빨대
KR100634629B1 (ko) 빨대를 갖고 있는 유출구가 접철되는 특징의 음료용기
KR20000030578A (ko) 흡입 빨대가 부설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100641450B1 (ko) 구부접철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및 그 구조
KR20010025691A (ko)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뚜껑
KR100650800B1 (ko) 용기천공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밀폐용 용기뚜껑
KR20000030212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KR20000059190A (ko)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KR100640305B1 (ko) 흡입빨대가 부설된 음료용기용 배출대에 있어서, 그배출대의 공기유입공 구조
KR20000058375A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고, 그구부에는 내용물을 빨아 먹고 다른 용기에 배출시킬 수있게 된 형의 작동용 유출대 및 그 구조
KR20030036418A (ko) 확장식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30046346A (ko) 접철식 용기와 그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 배출장치
KR20030019542A (ko) 인출식 배출유도부를 갖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00063885A (ko)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구부접철부가 있는 용기뚜껑및 그 구부접철부의 구조
KR20030022188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36351A (ko)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00064102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구조
KR20030022218A (ko)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00030226A (ko) 흡입빨대가 부설된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배출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