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800A -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 Google Patents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800A
KR20000017800A KR1019990057699A KR19990057699A KR20000017800A KR 20000017800 A KR20000017800 A KR 20000017800A KR 1019990057699 A KR1019990057699 A KR 1019990057699A KR 19990057699 A KR19990057699 A KR 19990057699A KR 20000017800 A KR20000017800 A KR 20000017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ttle cap
container
conten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5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800A/ko
Publication of KR2000001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2)발명의 목적
종래의 배출대는 음용(흡입)하는 것과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동시 충족되지 않았으나,이 발명은 이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병뚜껑은, 그 사용시 덮개를 벗긴후 유출대의 단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그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빨려 나올 수 있도록 본체의 중심부에 긴 대롱 형태의 유출대를 형성하되, 그 유출대의 외주는 배출공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용기에 든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사용시,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지 않고도 그 용기에 든 내용물을 흡입하여 음용하는 것과, 또는 상기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여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별도의 장치없이도 단일의 병뚜껑 만으로도 해결이 되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상기 용기에 든 내용물의 배출(또는 흡출)시에도 용기가 수축(쿨럭이는 현상 포함)되지 않고 매우 안정되게 이용 되어지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본 발명은 용기에 든 액상의 내용물을 유출대를 통해 음용하거나 또는 그 외주의 배출공을 통해 용기속에 든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의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선행으로는 미국특허 5,894,962 및 본 발명인의 선행인 PCT/KR99/00377이 있다.
종래의 선행인 미국특허 5,894,962의 경우,탄산수(SODA)에는 적합하지만 일반 음용수에는 부적합한 폐단이 있음은 물론,그 사용시 용기 내부로 공기 유입이 원활치 못함과,또한 병뚜껑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대는 용기의 내부 팽창압력에 의존하지 않고는 자력으로 용기에 든 내용물을 흡출하거나 배출시키는 것이 자유롭지 못한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상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 본 발명인의 PCT/KR99/00377이며,이 발명은 상기 선행의 문제점 및 상기 선행의 기능을 근본적으로 개선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g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병뚜껑의 종단면도이며,
도 1b는 덮개의 종단면도이며,
도 1c는 본체의 평면도이며,
도 1d는 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1e는 본 발명의 병뚜껑이 용기의 목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f는 도 1e의 연속적인 것으로서,덮개를 벗긴 상태이며,
도 1g는 일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뚜껑 100 : 본체 101 : 구부
102,108,207 : 나사산 103 : 걸림테 104 : 유출대
105 : 유출공 106 : 연결부 107 : 배출공
109,202,150,151,251 : 측면부 110 : 긴요홈
111,154,204,252 : 절취선 112,205,253 : 위조방지용테113,206 : 걸림돌기
130 : 보조유출대 140 : 조립식유출대 141 : 환테
152,153,180 : 걸림턱 157,158 : 환돌기 160,170 : 접착부
181 : 걸림홈 200 : 덮개 201,250 : 상면부
203 : 밀폐부300,300' ,300": 용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병뚜껑은,그 사용시 덮개를 벗긴후 유출대의 단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그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빨려 나올 수 있도록 본체의 중심부에 긴 대롱 형태의 유출대를 형성하되,그 유출대의 외주는 배출공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용기에 든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것이다.
다른 유형으로는,상기 유출대를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하지 않고 일측으로 붙여 형성하거나,또는 유출대는 일정 크기의 대롱을 별도 가공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것 이 다.
다른 실시예로서,상기 유출대는 별도 가공하여 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 이 다.
다른 실시예로서,상기의 유출대가 있는 본체는 용기의 목에 결합하는 수단이 나사산 방식이나,또는 눌러서 닫는 형태의 원터치 결합방식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상기 유출대가 있는 본체는 용기에 접착하거나 또는 인서트 성형방식으로 본체의 외주면을 용기의 단부와 일체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본체는 금속재의 토출구 내턱에 걸림형식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한 것 이 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상측인 구부(球部)에 덮개(200)를 조립하여 된 병뚜껑(1)에 있 어 서,
상기 본체(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2)과 걸림테(103)를 갖고 있는 구부(球部)(101)를 두고,그 구부(101)의 중심부에는 유출공(105)이 있는 긴 형태의 유출대(104)를 형성하되,그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상방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고 하방으로도 용기의 길이에 비례한 만큼으로 된 유출대(104)를 둔 것이며,이상 상기의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내벽면과를 수 개의 연결부(106)로서 일체화 되어 있데,상기 연결부(106)의 사이는 배출공(10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101)의 하방은 용기의 목에 결합될수 있도록 내벽은 나사산(108)이 형성되고,외부는 긴요홈(110)이 일정 간격으로 된 측면부(10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상기 측면부(109)의 하단에는 절취선(111)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테(112)를 형성하되,그 내벽에는 걸림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상면부(201)와 측면부(202)로 구성되어 있데,상면부(201)의 저부에는 본체(100)의 구부(101) 임의 단부에 접촉되어 밀폐될 수 있는 형의 밀폐부(203)를 형성하고,그 밀폐부(203)의 하방에는 절취선(204)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테(205)를 형성하되,그 내벽에는 걸림돌기(206)를 둔 것이며,상기 측면부(202)의 내벽면에는 나사산(207)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병뚜껑(1)을 용기(300)의 목에 조립한 상태가 도 1e와 같으며, 그 사용에 있어서는,덮개(200)를 개봉하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위조방지용테(205)의 절취선(204)이 파괴되면서 덮개(200)가 열리게 되는데,이러한 상태가 도 1f와 같은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유출대(104)의 단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용기(300)에 든 내용물이 유출공(105)을 통해 유출되고,이와 동시 배출공(107)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바,용기(300)가 수축되는 현상없이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
그리고 필요에 따라 용기(300)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 때는 도 1g와 같이 용기(30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유출공(105)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면서 배출공(107)으로는 내용물이 매우 안정되게 유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병뚜껑(1)은 용기(300)를 일측으로 기울이지 않고도 그 용기(300)에 든 내용물을 흡입하여 음용하는 것과,또는 상기 용기(300)를 일측으로 기울여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별도의 장치없이도 단일의 병뚜껑(1)만으로도 해결이 되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상기 용기(300)에 든 내용물의 배출(또는 흡출)시에도 용기(300)가 수축(쿨럭이는 현상 포함)되지 않고 매우 안정되게 이용되어지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300)에 든 내용물을 재보관 하고자 할때는 덮개(200)를 구부(101)에 조립하면 완벽한 밀폐가 되는 것이며,필요에 따라 용기(300) 목에 조립된 본체(100)를 벗기고자 할때는 상기 본체(100)를 개봉하는 방향으로(일반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 돌리게 되면 절취선(111)이 파괴되면서 본체(10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보충 설명으로서,후술 되겠지만,본 발명의 병뚜껑(1) 본체(100)는 용기(300)의 목에 조립되는 수단의 것이 나사산(108)은 기본이고,필요에 따라 나사산 대신 원터치 방식의 걸림턱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또한 구부(101)에 형성된 나사산(102)도 나사산 대신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원터치 형의 구부가 될 수 있되,이때는 이에 적용되는 덮개(200)의 측면부(202) 내벽도 상기 구부에 맞게 걸림홈과 걸림턱 등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2),본 발명의 본체(100)에 형성된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내벽 일측벽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본체(100)에 형성된 유출대(104)는 적정 길이로 그 하방을 단축 형성하되,상기 유출대(104)의 하방(단부)에는 별도의 보조유출대(130)를 조립시킨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상기 유출대(104)는 개체로 된 형의 조립식유출대(140)로 두되,그 조립식유출대(140)는 쉬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부(106)의 단부에 끼일 수 있는 형의 환테(141)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기 병뚜껑(1)은 덮개(200)의 개폐 형태나 본체(100)의 개폐 형태가 나사산 방식은 물론 눌러서 닫고 들어 올려 개봉하는 등의 원터치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일 형태의 것을 도 5와 같이 표시 하였다.
상기 도 5는,그 본체(100)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측면부(150,151)로 구성되고,그 측면부(150,151)의 내벽에는 용기의 목에 고정될 수 있는 형의 걸림턱(152, 153)이 형성되는 것이며,상기 측면부(150,151)의 사이는 경우에 따라 절취선(154)으로 구획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예로 상기의 본체(100)를 개봉하는 수단으로 하 측면부(151)의 일측에 손잡이(155)를 두어 그 본체(100)의 개봉을 용이하게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방에 형성된 구부도 적어도 1개 이상의 환돌기(157,158)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상기 구부에 조립 되어지는 덮개(200)도 그에 적응되게 설계 되어지는 것인데,일예로,그 덮개(200)는 상면부(250)와 측면부(251)로 구성되고,상기 측면부(251)의 하방에는 절취선(252)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테(253)를 두되,그 위조방지용테(253)는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254) 등이 형성 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6,255)는 보조절취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6),상기 본체(100)를 용기에 결합하는 수단을 달리한 것으로서,일예로,파우치 등의 용기(300' )에 본 발명의 본체(100)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구부(101)의 하방에 환테형의 접착부(160)를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7),상기 본체(100)를 용기에 결합하는 수단을 달리한 것으로서,일예로,종이팩으로된 용기(300' )의 단부에 본 발명의 본체(100) 접착부(170)가 인서트 방식으로 성형사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8),상기 본체(100)를 용기에 결합하는 수단을 달리한 것으로서,일예로,금속 용기(300") 등의 토출구에 본 발명의 본체(10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구부(101)의 하방에 걸림턱(180)과 걸림홈(181)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6~도 8에 있어,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유출대(10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보조유출대(130),조립식유출대(140))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그 사용시,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지 않고도 그 용기에 든 내용물을 흡입하여 음용하는 것과,또는 상기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여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별도의 장치 없이도 단일의 병뚜껑 만으로도 해결이 되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상기 용기에 든 내용물의 배출(또는 흡출)시에도 용기가 수축(쿨럭이는 현상 포함)되지 않고 매우 안정되게 이용 되어지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100)의 상측인 구부(球部)에 덮개(200)를 조립하여 된 병뚜껑(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2)과 걸림테(103)를 갖고 있는 구부(球部)(101)를 두고,그 구부(101)의 내부에는 유출공(105)이 있는 임의 길이의 유출대(104)를 형성하되,그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상방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고 하방으로도 용기의 길이에 비례한 만큼으로 된 유출대(104)를 둔 것이며,상기의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내벽면과를 수 개의 연결부(106)로서 일체화 되어 있데,상기 연결부(106)의 사이는 배출공(107)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과,
    그리고 상기 구부(101)의 하방은 나사산(108)이 형성되고,외부는 긴요홈(110)이 일정 간격으로 된 측면부(109)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측면부(109)의 하단에는 절취선(111)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테(112)를 형성하되,그 내벽에는 걸림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과,
    또한 상기 덮개(200)는 상면부(201)와 측면부(202)로 구성되어 있데,상면부(201)의 저부에는 밀폐부(203)를 형성하고, 그 밀폐부(203)의 하방에는 절취선(204)으로 구획된 위조방지용테(205)를 형성하되,그 내벽에는 걸림돌기(206)를,상기 측면부(202)의 내벽면에는 나사산(20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104)는 구부(101)의 내벽 일측벽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104)는 적정 길이로 그 하방으로 단축 형성하되,상기 유출대(104)의 하방(단부)에는 별도의 보조유출대(130)를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104)는 개체로 된 형의 조립식유출대(140)로 두되,그 조립식유출대(140)에는 1개 이상의 환테(1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조립식유출대,보조유출대)가 있는 본체(100)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측면부(150,151)로 구성되고, 그 측면부(150, 151)의 내벽에는 용기의 목에 고정될 수 있는 형의 걸림턱(152,1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조립식유출대,보조유출대)가 있는 본체(100)의 상방에 형성된 구부(101)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환돌기(157,158)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조립식유출대,보조유출대)가 있는 본체(100)의 하방은 접착부(160,170)나 걸림홈(181)이 있는 걸림턱(180)으로 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KR1019990057699A 1999-12-09 1999-12-09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KR20000017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699A KR20000017800A (ko) 1999-12-09 1999-12-09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699A KR20000017800A (ko) 1999-12-09 1999-12-09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00A true KR20000017800A (ko) 2000-04-06

Family

ID=1962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699A KR20000017800A (ko) 1999-12-09 1999-12-09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44A (ko) * 2000-06-23 2002-01-09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54U (ko) * 1986-11-19 1988-05-31
JPH0789564A (ja) * 1993-06-23 1995-04-04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取り出し部材
JPH0731607U (ja) * 1993-11-22 1995-06-13 謙夫 松留 液化ガス貯蔵容器の出入口
JPH09240714A (ja) * 1996-03-05 1997-09-16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計量キャップ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54U (ko) * 1986-11-19 1988-05-31
JPH0789564A (ja) * 1993-06-23 1995-04-04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取り出し部材
JPH0731607U (ja) * 1993-11-22 1995-06-13 謙夫 松留 液化ガス貯蔵容器の出入口
JPH09240714A (ja) * 1996-03-05 1997-09-16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計量キャップ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44A (ko) * 2000-06-23 2002-01-09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4008A (en)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EP0918731B1 (en) One-piece cap for liquid dispenser container
US5535908A (en) Receptacle combination for milk powder
AU680926B2 (en) A beverage container
GB2260125A (en) Tamper evident closure and associated container neck construction
KR20000017800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병뚜껑의 구조
JP3938960B2 (ja) 複合キャップ
US5979716A (en) Vented container seal with pouring spout
US8453865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tamper resistant lid
JP3922750B2 (ja) 複合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EP0600647A1 (en) Mouthpiece for drinking liquid containing cans
JP2001097389A (ja) キャップ付き飲料容器
KR900009111Y1 (ko) 액체용기의 유출보조구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KR100550687B1 (ko)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의 긴요홈 구조
JP2004217250A (ja) 複合容器蓋
KR20000030416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구조
JP2006306472A (ja) 合成樹脂製薄肉容器
KR20000030212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JP2010042835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415696B2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KR100432235B1 (ko) 합성수지 병뚜껑의 밸브식 내용물 유출장치 구조
JP2001206328A (ja) 飲料用ボトル
JP4388622B2 (ja) プルリング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