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793A -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793A
KR19990045793A KR1019990000457A KR19990000457A KR19990045793A KR 19990045793 A KR19990045793 A KR 19990045793A KR 1019990000457 A KR1019990000457 A KR 1019990000457A KR 19990000457 A KR19990000457 A KR 19990000457A KR 19990045793 A KR19990045793 A KR 1999004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ain body
thread
outlet
operat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0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5793A/ko
Publication of KR1999004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793A/ko
Priority to PCT/KR1999/000377 priority patent/WO2000003921A2/en
Priority to ES99929941T priority patent/ES2251201T3/es
Priority to JP2000560041A priority patent/JP4173640B2/ja
Priority to AT99929941T priority patent/ATE307059T1/de
Priority to EP99929941A priority patent/EP1100726B1/en
Priority to DE69927825T priority patent/DE69927825T2/de
Priority to CNB998099074A priority patent/CN1213918C/zh
Priority to AU46573/99A priority patent/AU4657399A/en
Priority to JP2004298604A priority patent/JP2005029275A/ja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사용을 위한 작동장치
(2)발명의 목적
종래의 액체용기는 과다한 흡입력을 필요로 하였던 바, 본 발명은 안정되게 음용함은 물론 그 배출대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개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배출대(100)는;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워 조립시킨 특징의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20)의 유출공(122) 행동거리인 「ℓ」 보다도 상기 본체(110)의 나사산(112)이 상층부 까지 형성된 구부(111)의 길이인 「L」 이 더 길게 된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작동부를 손으로 끌어 올리지 않고, 마개를 개봉할 때 작동부가 일정이상 상향되면 마개는 자동으로 작동부로 부터 이탈 되어지는 바,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음은 물론, 마개의 돌리는 힘에 의해 그 마개가 작동부로 부터 이탈되어지는 바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도 매우 안정되게 본 발명의 배출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AAAAA}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충전함은 물론 그 충전된 용기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배출대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특징이 있는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형으로는 국내실용공고 91-5740호와 본 발명인의 선형인 특공개98-072053,특공개98-072085호가 있다.
종래의 액체용기는 그 내용물의 음용을 위하여 임의 일편을 가위등으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스트로우를 사용 내용물을 음용하게금 된 것이 있었으나, 이 역시 그 사용의 불편함은 해소하지 못한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개량 고안된 것이 국내실용공고91-5740호,특공개98-072053호,특공개98-072085호가 있으나, 국내실용공고91-5740호의 경우 배출대의 하방에 형성된 유출공이 항시 열려져 있는 바, 그 음용시 과다한 흡입력이 발생하는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며, 본 발명인의 선형인 특공개98-072053,072085호의 경우는 그 사용시 유출공을 막기 위하여 당해 작동부를 손으로 인출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공개98-072053호와 특공개98-072085호를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 유출공을 막기 위한 작동부의 수동적 작용을 자동작용으로하게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분리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대가 조립되어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배출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마개를 돌려 작동부를 위로끌어 올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출대 110 : 본체 111 : 구부
112,137 : 나사산 113 : 접착면 114 : 작동부삽입구
115,123.124,135 : 환돌기 116 : 밀착면
117 : 밀폐태 118 : 걸림테 120 : 작동부
121 : 유출구 122 : 유출공 125,136 : 환홈
130 : 마개 133 : 스커트 138 : 밀폐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대는; 그 사용시 마개를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부가 자동으로 임의 위치까지 상향되어지는 바, 그 사용시 별도로 작동부를 인출해야하는 폐단이 일시에 해소되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마개를 돌리게 되면 마개의 내벽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본체의 구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돌게 되며, 동과정에 마개의 환돌기에 의해 걸려져 있던 작동부가 상향되고, 상기 행위가 일정 이상되면 작동부에 형성된 환돌기가 본체의 밀착면의 턱에 걸려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게 될때 마개의 환돌기는 작동부를 더이상 상향시키지 못하고 작동부로 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200)는 부드러운 물성을 갖는 적어도 1겹 이상의 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200)의 임의 일부위에는 내용물을 충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배출대(100)가 용기본체(200)의 상방개구부 등을 봉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대(100)는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워 조립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출대(100)에 있어서, 본체(1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12)이 있는 구부(111)를 두고, 그 하방에는 용기본체(200)에 접착되어지는 접착면(113)을 두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작동부삽입구(114)를 두되 그 작동부삽입구(114)가 있는 임의 내벽면에는 환돌기(115)를 하방에는 격층으로된 밀착면(116)을 형성함과 상기 구부(111)의 하방에는 밀폐테(117)와 걸림테(118)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작동부(120)는 내측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으로 된 유출구(121)가 있고, 그 유출구(121)의 임의 위치에는 축벽으로 뚫린 1개 이상의 유출공(122)을 두며, 상기 유출공(122)의 인접된 하외환으로는 상기 본체(110)의 밀착면(116)에 끼어 걸리게 될 환돌기(123)를 둠과,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는 상기 마개(130)의 환돌기에 걸려 상향되어질 목적의 환홈(125)이 있는 환돌기(124)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개(130)는 상면부(131)와 절취선(134)으로 구획된 스커트(133)가 있는 측면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132)의 상단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부(120)의 환홈(125)에 끼이게 될 환홈(136)을 포함한 환돌기(135)를 둔 것이며, 상기 측면부(132)의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10)의 외환부에 형성된 나사산(112)에 걸려 결속력을 유지할 목적의 나사산(137)을 형성함과, 그 나사산(137)의 하측이자 스커트(133)의 상측인 부위에는 상기 본체(110)의 밀폐테(117)에 밀착되어질 밀폐면(138)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배출대(100)를 조립한 상태가 도 2와 같은 것이며, 실 사용시에는 도 2와 같으나 처음에는 마개(13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점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용기본체(200)의 상방개구부를 봉합할때에 접착면(113)을 중심으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유출구(121)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한후 마개(130)를 닫은 상태가 최종의 완성품으로서 도 2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의 마개(130)를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연 환돌기(135)가 환홈(125)에 위치되어 있는 바, 마개(130)를 돌리면 돌릴 수록 작동부(120)는 본체(110)의 작동부삽입구(114)를 중심으로 하여 상향되어지다가 일정선상인 환돌기(123)가 밀착면(116)으로 된 격층의 밀폐벽에 닿게 상기의 작동부(120)는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고 잠시(순간적으로) 멈추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도 3 참조) 마개(130)를 좀더 힘껏 돌리게 되면 마개(130)의 나사산(137)이 본체(110)의 나사산(112)을 타고 상향되려하고 이런 과정에 작동부(120)의 환홈(125)에 걸려져 있던 마개(130)의 환돌기(135)가 빠져나오므로서 마개(130)는 본체(110)와 작동부(120)로 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된 작동부(120)의 상단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유출공(122)이 막혀져 있는 바, 유출구(121)에는 진공이 생기는 관계로 용기본체(200)에 든 내용물이 상기 유출구(121)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용기본체(200)에 내입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때는 작동부(120)를 눌러 유출공(122)이 형성되게 한후 용기본체(200)를 거꾸로 기울이게 하면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이 유출공(122)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한 사용상의 지득사항이 없는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배출대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배출대 및 그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출대(100)에 있어서, 도 2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유출공(122)의 행동거리인 「ℓ」 보다도 도 1에서 표시한 나사산(112)이 상층부 까지 형성된 구부(111)의 길이 「L」 이 더 길어야만 마개(130)가 작동부(120)로 부터 잘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즉, ℓ< L)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사용시 작동부를 손으로 끌어 올리지 않고 마개를 개봉할 때 작동부가 일정이상 상향되면 마개는 자동으로 작동부로 부터 이탈되어지는 바,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음은 물론, 마개의 돌리는 힘에 의해 그 마개가 작동부로 부터 이탈되어지는 바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도 매우 안정되게 본 발명의 배출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용기본체(200)는 부드러운 물성을 갖는 적어도 1겹 이상의 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200)의 임의 일부위에는 내용물을 충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배출대(100)가 용기본체(200)의 상방개구부 등을 봉착할때에 일체로 결합 고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대(1OO)는 본체(11O)의 중심부에 형성된 작동부삽입구에 유출구가 있는 작동부(120)를 조립시키는 것이며, 상기 본체(110)에 작동부(120)가 조립되어된 상방의 구부를 중심으로는 마개(130)를 끼워 조립시킨 특징의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적어도 1조(組) 이상의 나사산(112)이 있는 구부(111)를 두고, 그하방에는 용기본체(200)에 접착면(113)을 두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작동부삽입구(114)를 두되 그 작동부삽입구(114)가 있는 임의 내벽면에는 환돌기(115)를, 하방에는 밀착면(116)을 형성함과, 상기 구부(111)의 하방에는 밀폐테(117)와 걸림테(118)를 각각 형성한 것이고,
    또한 상기의 작동부(120)는 내측으로 유출구(121)가 있고, 그 유출구(121)의 임의위치에는 유출공(122)을 두며, 상기 유출공(122)의 인접된 하외환으로는 상기 본체(110)의 밀착면(116)에 끼어 걸리게 될 환돌기(123)를 둠과,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는 상기 마개(130)의 환돌기에 걸려 상향되어질 환홈(125)이 있는 환돌기(124)를 형성한 것임과,
    그리고 상기 마개(130)는 상면부(131)와 절취선(134)으로 구획된 스커트(133)가 있는 측면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132)의 상단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부(120)의 환홈(125)에 끼이게 될 환홈(136)을 포함한 환돌기(135)를 둔 것이며, 상기 측면부(132)의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10)의 외환부에 형성된 나사산(112)에 걸려 결속력을 유지할 목적의 나사산(137)을 형성함과, 그 나사산(137)의 하측이자 스커트(133)의 상측인 부위에는 상기 본체(110)의 밀폐테(117)에 밀착되어질 밀폐면(138)을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한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122)의 행동거리인 「ℓ」 보다도 상기 나사산(112)이 상층부 까지 형성된 구부(111)의 길이인 「ℓ」이 더 길게 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
KR1019990000457A 1998-07-15 1999-01-07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Ceased KR19990045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457A KR19990045793A (ko) 1999-01-07 1999-01-07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AU46573/99A AU4657399A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AT99929941T ATE307059T1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ES99929941T ES2251201T3 (es) 1998-07-15 1999-07-15 Conjunto de caño para un contenedor de liquidos.
JP2000560041A JP4173640B2 (ja) 1998-07-15 1999-07-15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PCT/KR1999/000377 WO2000003921A2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99929941A EP1100726B1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DE69927825T DE69927825T2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CNB998099074A CN1213918C (zh) 1998-07-15 1999-07-15 用于液体容器的喷嘴组件
JP2004298604A JP2005029275A (ja) 1998-07-15 2004-10-13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457A KR19990045793A (ko) 1999-01-07 1999-01-07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793A true KR19990045793A (ko) 1999-06-25

Family

ID=547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457A Ceased KR19990045793A (ko) 1998-07-15 1999-01-07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5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06A (ko) * 1999-04-13 1999-08-05 이정민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6653U (ko) * 1986-06-10 1988-05-21
JPS649153B2 (ko) * 1984-06-12 1989-02-16 Sumitomo Rubber Ind
JPH0544841U (ja) * 1991-11-15 1993-06-15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詰め替え容器
JPH0651140U (ja) * 1992-12-22 1994-07-12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充填容器
JPH111250A (ja) * 1997-06-16 1999-01-06 Fuji Seal Co Ltd 口栓付きパウチ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153B2 (ko) * 1984-06-12 1989-02-16 Sumitomo Rubber Ind
JPS6376653U (ko) * 1986-06-10 1988-05-21
JPH0544841U (ja) * 1991-11-15 1993-06-15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詰め替え容器
JPH0651140U (ja) * 1992-12-22 1994-07-12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充填容器
JPH111250A (ja) * 1997-06-16 1999-01-06 Fuji Seal Co Ltd 口栓付きパウ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06A (ko) * 1999-04-13 1999-08-05 이정민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596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5462194A (en) Self-venting straw tip
MXPA97003802A (en) Container cover and unit to successliqui
EP1100726A2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9990045793A (ko)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JP3949335B2 (ja) 注出ノズル付キャップ
JP5242494B2 (ja) 中栓付容器
KR200195236Y1 (ko)
US20040137139A1 (en) Combined liquid candy and hard candy
KR1999006465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및 그 작동장치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JP3946399B2 (ja) 注出ノズル付キャップ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KR200308960Y1 (ko) 음료용기 내부의 진공방지를 위한 마개구조
JP2020050367A (ja) 容器用栓体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JPH0715501Y2 (ja) 漏れ防止吸引ストロー
KR20030022191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186581Y1 (ko) 이중병
KR0127872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KR200173350Y1 (ko) 액체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40043720A (ko)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KR200453481Y1 (ko) 액상인출용기
KR200201763Y1 (ko) 음료캔 음용구조
KR200182085Y1 (ko) 빨대를 구비하는 음료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406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1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727

Appeal identifier: 2005101003974

Request date: 2005062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0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0

Effective date: 200607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7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50620

Decision date: 20060727

Appeal identifier: 2005101003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