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606A -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606A
KR19990064606A KR1019990013636A KR19990013636A KR19990064606A KR 19990064606 A KR19990064606 A KR 19990064606A KR 1019990013636 A KR1019990013636 A KR 1019990013636A KR 19990013636 A KR19990013636 A KR 19990013636A KR 19990064606 A KR19990064606 A KR 1999006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utlet
main body
open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1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606A/ko
Priority to AT99929941T priority patent/ATE307059T1/de
Priority to CNB998099074A priority patent/CN1213918C/zh
Priority to ES99929941T priority patent/ES2251201T3/es
Priority to JP2000560041A priority patent/JP4173640B2/ja
Priority to DE69927825T priority patent/DE69927825T2/de
Priority to PCT/KR1999/000377 priority patent/WO2000003921A2/en
Priority to AU46573/99A priority patent/AU4657399A/en
Priority to EP99929941A priority patent/EP1100726B1/en
Priority to US09/743,735 priority patent/US6435383B1/en
Publication of KR1999006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606A/ko
Priority to JP2004298604A priority patent/JP2005029275A/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2)발명의 목적
종래의 용기중 발달된 것은,용기의 내부에 스트로우를 내입한 것이 있으나, 그 특징은,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 외에는 다른 특징이 없는 것이며, 이 발명은 이상의 포장용기를 개량하여,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또는 내용물을 마실 수도 있게 설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본체(100)의 내부로 유출공(202)이 있는 배출대(200)를 삽입하고 그 상부로는 마개(300)를 통하여 배출대(200)를 끌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마개(300)를 조립한 특징의 포장용기(가)에 관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트로우를 구비하지 않고도 그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또는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완벽한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금속재의 용기에 배출대를 삽입하여 내용물을 자유스럽게 음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특징의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그 상단에 개폐용의 마개가 달리 것이 주된 것 이 었 다.
종래의 포장용기는 그 용기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수단으로 그 상단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그 기능에 따라 윈터치 또는 스크류방식으로 열고 닫게 된 것이 주류를 이뤘다.
본 발명과는 그 용도가 다르지만, 마개가 작동되는 것으로서는 미국특허 5,104,008호가 있으며,상기 선행은 마개의 유출공을 원터치방식으로 개폐하는 수단에 국한된 바,본 발명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 포장용기의 내부에 스트로우를 내입한 것이 있으나,그 특징은,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 외에는 다른 특징이 없는 것이며, 이 발명은 이상의 포장용기를 개량하여,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또는 내용물을 마실 수도 있게 설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핵심으로서, 배출대와 마개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도 4는 내용물을 빨아 먹을 수 있는 구조로 배출대가 작동되어진 것이며, 도 5는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수 있도록 배출대가 하향되어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포장용기 100 : 본체 101,303 : 나사산
200 : 배출대 201 : 유출구 202 : 유출공 203,204 : 환돌기 205 : 공기유입로 300 : 마개
304 : 위조방지테 306 : 밀폐벽 307 : 걸림환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그 포장용기 내에 별도의 배출대를 포함하고 있는 바,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때는 배출대를 하방으로 밀어 사용하고, 내용물을 빨아 먹을 때에는 배출대를 상방으로 당겨 사용하되, 이러한 행위는 원터치방식으로 행하여 지는 특징이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특징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되어 있고,그 상단의 개구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본체(100)의 개구부 내측으로는 배출대(200)를 조립시킴에 있어,그 배출대(200)는 내측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으로 된 유출구(201)가 있고, 그 유출구(201)의 임의 위치에는 측벽으로 뚫린 1개 이상의 유출공(202)을 두며,상기 유출공(202)의 인접된 하외환으로는 환돌기(203)를 둠과, 배출대(200)의 상측에는 마개의 환돌기에 걸려 상향되어질 목적의 환돌기(204)를,상기 환돌기(204) 부터 상방의 환돌기(204) 사이 측방부에는 공기유입로(20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00)에 배출대(200)가 조립되어진 그 상방으로는 마개(300)를 조립시키되,그 마개(300)는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어 있으며,내측에는 나사산(303)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에는 환형의 위조방지테(304)를 절취선(305)으로 구획하고,상측에는 본체(100)의 개구부 상외벽에 닿아 밀폐력을 유지할 목적의 밀폐벽(306)을,또한 그 상측으로는 배출대(200)의 환돌기(204)에 걸려지게 걸림환돌기(307)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본체(100)에 배출대(200)가 조립되고,그 상측으로는 마개(300)가 조립되어진 포장용기(가)를 잘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1과 같으며,그 사용시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마개(300)를 풀림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마개(300)의 나사산(303)이 본체(100)의 개구부 외벽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타고 상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개(300)가 상향되는 과정에,걸림환돌기(307)가 배출대(200)의 환돌기(204)에 걸려져 있는 바,이로 말미암아 배출대(200)는 마개(300)에 의해 일체로 상향되어지는 것이며, 이리한 상태를 잘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2와 같다.
계 속 하 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300)를 좀더 돌리게 되면 배출대(200)의 환돌기(203)가 본체(200)의 개구부 하단 내벽턱에 의해 더이상 끌려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 것이며,연속하여,마개(300)를 좀더 힘껏 돌리게 되면 걸림환돌기(307)가 환돌기(204)를 탄력적으로 벗어나면서 마개(300)는 본체(100)와 배출대(200)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인데, 이러한 상태가 도 4와 같다.
이상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200)의 상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a부위를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b 부위로는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이며,도 5와 같이 배출대(200)를 하향시킨후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a 부위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b' 부위로는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이 자유로울 수 있음은,도 4와 같이 배출대(200)를 당기게 되면 배출대(200)의 측벽에 형성된 유출공(202)이 상향되는 과정에 본체(100) 개구부의 내벽면에 의해 그 유출공(202)이 일시 폐쇄되기 때문에 그 배출대(200)의 유출구(201)는 순간 완벽한 스트로우 역활을 수행하는 것이며, 반대로 도 5와 같이 배출대(200)를 하향시키게 되면 유출공(202)이 개구부의 내벽면을 벗어나 그 유출공(202)은 천공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10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그 유출공(202)을 경유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내용물을 재보관 하고자 할때는 도 4,5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300)를 그 상측에 위치시킨후 잠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완벽한 밀폐가 이뤄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A, A′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0)의 길이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이며,공기유입로(205)는 배출대(200)에형성하지 않고 도 2에서 B 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개구부 내벽면에 공기유입로를 수 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본체(100)의 상방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산(101) 대신 일예로형상의 환돌기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원터치 방식의 마개를 조립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때는 마개를 제거한후 배출대(200)의 상단을 손으로 잡고 당겨 사용할 수 있 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본체의 내용물을 빨아 먹을 수 있음은 물론,필요에 따라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수월한 특징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5)

  1. 본체(100)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되어 있고,그 상단의 개구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본체(100)의 개구부 내측으로는 배출대(200)를 조립시킴에 있어, 그 배출대(200)는 유출구(201)와 측벽으로 뚫린 1개 이상의 유출공(202)을 두며,상기 유출공(202)의 인접된 하외환으로는 환돌기(203)를 둠과, 배출대(200)의 상측에는 환돌기(204)를,상기 환돌기(204) 부터 상방의 환돌기(204) 사이 측방부에는 공기유입로(205)를 형성한 것임과,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00)에 배출대(200)가 조립되어진 그 상방으로는 마개(300)를 조립시키되,그 마개(300)는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나사산(303)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에는 위조방지테(304)를 절취선(305)으로 구획하고, 상측에는 본체(100)의 개구부 상외벽에 닿아 밀폐력을 유지할 목적의 밀폐벽(306)을,또한 그 상측으로는 배출대(200)의 환돌기(204)에 걸려지게 걸림환돌기(30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대(200)는 그 길이가 환돌기(203) 까지인 것을 그 특징으로한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개구부 내벽면에 공기유입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개구부 외벽면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환돌기가 형성되어 있고,그 환돌기에 걸리어 작동되게 원터치방식의 마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상기의 적용 배출대(200)에는 유출공(202)이 없이된 것을 특징으로한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KR1019990013636A 1998-07-15 1999-04-13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KR19990064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636A KR19990064606A (ko) 1999-04-13 1999-04-13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DE69927825T DE69927825T2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CNB998099074A CN1213918C (zh) 1998-07-15 1999-07-15 用于液体容器的喷嘴组件
ES99929941T ES2251201T3 (es) 1998-07-15 1999-07-15 Conjunto de caño para un contenedor de liquidos.
JP2000560041A JP4173640B2 (ja) 1998-07-15 1999-07-15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T99929941T ATE307059T1 (de) 1998-07-15 1999-07-15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PCT/KR1999/000377 WO2000003921A2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AU46573/99A AU4657399A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99929941A EP1100726B1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09/743,735 US6435383B1 (en) 1998-07-15 1999-07-15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4298604A JP2005029275A (ja) 1998-07-15 2004-10-13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636A KR19990064606A (ko) 1999-04-13 1999-04-13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606A true KR19990064606A (ko) 1999-08-05

Family

ID=5477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636A KR19990064606A (ko) 1998-07-15 1999-04-13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6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0A (ko) * 1999-12-31 2000-04-06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37Y1 (ko) * 1982-03-17 1983-12-10 이해명 합성수지 난간
KR840002783U (ko) * 1982-11-18 1984-06-30 신한공기주식회사 다이아후램식 개스미터 작동축의 축수구
US4657399A (en) * 1983-12-23 1987-04-14 Hall Neil R Color mixture indicator device
JPH08217163A (ja) * 1995-02-10 1996-08-27 Moriya Tomochika あらゆる角度でも中身を排出できる容器の導出管
KR19980072085A (ko) * 1998-07-15 1998-10-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대의 구조
KR19990030464A (ko) * 1998-12-28 1999-04-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9990045793A (ko) * 1999-01-07 1999-06-25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KR19990064705A (ko) * 1999-04-26 1999-08-05 이정민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의 긴요홈 구조
KR19990064493A (ko) * 1999-03-15 1999-08-05 이정민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
WO2000003921A2 (en) * 1998-07-15 2000-01-27 Kim, Soon, Hong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6435383B1 (en) * 1998-07-15 2002-08-20 Jung-Min Le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01313822B1 (ko) * 2012-08-07 2013-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경망 분석 기법을 이용한 풍력 밀도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37Y1 (ko) * 1982-03-17 1983-12-10 이해명 합성수지 난간
KR840002783U (ko) * 1982-11-18 1984-06-30 신한공기주식회사 다이아후램식 개스미터 작동축의 축수구
US4657399A (en) * 1983-12-23 1987-04-14 Hall Neil R Color mixture indicator device
JPH08217163A (ja) * 1995-02-10 1996-08-27 Moriya Tomochika あらゆる角度でも中身を排出できる容器の導出管
WO2000003921A2 (en) * 1998-07-15 2000-01-27 Kim, Soon, Hong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9980072085A (ko) * 1998-07-15 1998-10-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대의 구조
EP1100726A2 (en) * 1998-07-15 2001-05-23 Jung-Min Le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2520232A (ja) * 1998-07-15 2002-07-09 ジャン、 ミン リー、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US6435383B1 (en) * 1998-07-15 2002-08-20 Jung-Min Le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5029275A (ja) * 1998-07-15 2005-02-03 Jung Min Lee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KR19990030464A (ko) * 1998-12-28 1999-04-26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9990045793A (ko) * 1999-01-07 1999-06-25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용배출대의구조및그작동장치
KR19990064493A (ko) * 1999-03-15 1999-08-05 이정민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
KR19990064705A (ko) * 1999-04-26 1999-08-05 이정민 내용물 유출용 작동부가 있는 병뚜껑의 긴요홈 구조
KR101313822B1 (ko) * 2012-08-07 2013-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경망 분석 기법을 이용한 풍력 밀도 예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0A (ko) * 1999-12-31 2000-04-06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JP2006519148A (ja) 上下作動形排出誘導部を有する排出台
KR19990064606A (ko) 액체 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포장용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2007510595A (ja)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KR2003003632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KR100969418B1 (ko) 인출식 배출유도부를 갖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KR2003002367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36326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100969419B1 (ko) 인출식 배출유도부를 갖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173733Y1 (ko) 스토로우
KR910004479Y1 (ko) 화장품 포장용 튜우브
KR20030022191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40039224A (ko) 체크벨브를 수용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
KR20030019543A (ko) 인출식 배출유도부를 갖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00030416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구조
KR20030038580A (ko) 인출식 배출유도부를 갖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00017990A (ko)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KR20030020341A (ko) 보조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00030212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KR20000030671A (ko)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