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087U - 물통의 마개 - Google Patents

물통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087U
KR20090011087U KR2020080005545U KR20080005545U KR20090011087U KR 20090011087 U KR20090011087 U KR 20090011087U KR 2020080005545 U KR2020080005545 U KR 2020080005545U KR 20080005545 U KR20080005545 U KR 20080005545U KR 20090011087 U KR20090011087 U KR 200900110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topper
center
gu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2020080005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087U/ko
Publication of KR20090011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0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0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opening automatically when container is tilted for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덮개부가 상하왕복 운동을 하며 물통을 기울여 내용물의 급격히 토출되었을 덮개편에 부딛히게 하여 물통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통을 직립시켰을 때 덮개부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폐쇄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물통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물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물통의 토출구에 탈/장착되고 상측면 중앙에는 연결공을 형성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연결공에 삽입 연결되도록 중앙에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 중앙에는 가이드관을 형성하고 가이드관 외경과 연결관 내경은 다수의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배수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 상측 외경으로는 유도편을 형성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의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덮개편의 저면 중앙에는 가이드봉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 저면에는 덮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구를 체결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통의 마개{The stopper of a water pail}
본 고안은 물통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덮개부가 상하왕복 운동을 하며 물통을 기울여 내용물의 급격히 토출되었을 덮개편에 부딛히게 하여 물통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통을 직립시켰을 때 덮개부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폐쇄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물통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물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은 액체의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물통에서 내용물을 따르기 위하여 물통을 기울이면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물통은 물통의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토출할 때 내용물이 토출구를 모두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물통 내로 유입되지 못하여 물통 내부의 압력이 점점 낮아지면서 물통에 담겨 있는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물통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압으 로 인하여 공기가 내용물의 압력을 극복하여 물통 내로 유입되게 되면서 물통 내부의 압력을 높아져 내용물이 계속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가 물통 내로 내용물를 뚫고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의 체적 크기 만큼 물통 내부의 내용물이 순간적으로 토출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이 크게 줄었다 다시 다량으로 토출됨을 반복하여 벌컥거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내용물의 토출이 일정하지 않아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될 때는 내용물을 옮겨 담는 용기에 정확하게 옮길 수 없었으며 내용물이 강하게 토출될 때는 내용물이 다른 용기주변을 오염시키며 내용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물통을 기울였을 때 물통의 내용물이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통을 기울였을 때 물통의 내용물에 의해 개방되고 직립시켰을 때 폐쇄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방향으로 급속히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속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토출 방향을 선회시켜 별도의 용기에 쏟아짐 없이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몸체의 자중 및 내용물의 토출력으로 개방되고 가동몸체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물통의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물통 마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통의 토출구에 탈/장착되고 상측면 중앙에는 연결공을 형성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연결공에 삽입 연결되도록 중앙에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 중앙에는 가이드관을 형성하고 가이드관 외경과 연결관 내경은 다수의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배수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 상측 외경으로는 유도편을 형성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의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덮개편의 저면 중앙에는 가이드봉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 저면에는 덮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구를 체결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를 제공한다.
상기 마개부의 연결공 내경에는 삽입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테두리가 삽입 결합되도록 토출부의 연결관 외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의 유도편은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연결관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덮개부는 상기 토출부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측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토출부와 덮개부의 외경은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물통에 장착하여 물통의 내용물이 쏟기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흐름의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물이 외부로 순식간에 쏟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이 쏟아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물통에서의 사용이 끝나면 회수하여 다른 생수통에 또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통 마개는 물통(1)의 토출구(2)에 탈/장착되는 마개부(10)와, 상기 마개부(10)에 고정되어 물통의 매용물이 토출되는 토 출부(20)와, 상기 토출부(20)에서 승, 하강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을 제어하며 토출부(20)를 개폐시키는 덮개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물통 마개의 마개부(10)는 일반적인 물통(1)의 토출구(2)에 스냅결합이나 나선 결합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측면 중앙에는 연결공(11)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마개부(10)의 연결공(11)에는 토출부(20)가 삽입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토출부(20)는 중앙에 연결관(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1) 중앙에는 가이드관(22)이 직립하도록 가이드관(22) 외경과 연결관(21) 내경을 다수의 연결편(23)으로 연결형성 한다.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연결편(23) 사이에는 다수의 배수홀(2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21) 상측 외경으로는 유도편(25)을 형성한다.
상술한 마개부(10)와 토출부(20)는 마개부(10)의 연결공(11) 내경에 삽입테두리(12)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테두리(12)가 삽입 결합되도록 토출부(20)의 연결관(21) 외경에 삽입홈(2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토출부(20)의 가이드관(2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토출부(20)를 개폐하는 덮개부(30)를 상기 토출부(20)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토출부(20)의 유도편(25)은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연결관(21)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27)을 형성하고 덮개부(30)는 상측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상기 덮개부(30)는 덮개편(31)의 저면 중앙에 가이드봉(3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32) 저면에는 덮개편(31)이 가이드관(22)에서 이탈을 방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구(33)를 체결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20)와 덮개부(30)의 외경은 물통(1)의 내용물이 토출되면서 안내되기 쉬운 형상이면 전부 적용이 가능하며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의 토출구(2)에 체결되어 있는 종래의 마개를 분리한 후 상기 토출구(2)에 마개부(1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물통(1)에 고정된 마개부(10)의 연결공(11)에는 물통(1)에 충진된 내용물을 토출을 하며 안내할 수 있도록 토출부(20)를 고정하고 상기 토출부(20)의 가이드관(22)에는 덮개부(30)를 가이드관(22)을 통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통(1)을 세워 놓으면 상기 덮개부(30)의 무게에 의해 덮개부(30)의 덮개편(31)이 가이드관(22)의 내경을 따라 가이드봉(32)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하강하여 토출부(20)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통(1)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토출시기기 위해서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물통(1)을 기울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통(1)을 기울이면 물통(1)의 토출구(2)를 통하여 내용물이 배수홀(24)을 통하여 토출된다.
이렇게 토출되는 내용물의 압력과 기울어진 물통(1)에 의해 덮개부(30)의 하중으로 덮개부(30)의 기이드봉(32)이 가이드관(22)을 통하여 상승하여 토출부(20) 와 덮개부(30)가 이격된다.
이와 같이 토출부(20)와 덮개부(30)가 이격된 사이로 물통(1)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배수홀(24)을 통하여 토출되며 토출되는 내용물은 토출부(20)의 유도편(25)의 경사면(27)을 따라 토출되며 내용물의 양이 많이 토출될 경우에는 덮개부(30)의 덮개편(31)에 부딛히면서 토출되어 외부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통 2 : 토출구
10 : 마개부 11 : 연결공
12 : 삽입테두리 20 : 토출부
21 : 연결관 22 : 가이드관
23 : 연결편 24 : 배수홀
25 : 유도편 26 : 삽입홈
27 : 경사면 30 : 덮개부
31 : 덮개편 32 : 가이드봉
33: 이탈방지구

Claims (4)

  1. 물통(1)의 토출구(2)에 탈/장착되고 상측면 중앙에는 연결공(11)을 형성한 마개부(10)와,
    상기 마개부(10)의 연결공(11)에 삽입 연결되도록 중앙에는 연결관(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1) 중앙에는 가이드관(22)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관(22) 외경과 연결관(21) 내경은 다수의 연결편(23)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배수홀(2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21) 상측 외경으로는 유도편(25)을 형성한 토출부(20)와,
    상기 토출부(20)의 가이드관(2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덮개편(31)의 저면 중앙에 가이드봉(3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32) 저면에는 덮개편(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구(33)를 체결하는 덮개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10)의 연결공(11) 내경에는 삽입테두리(12)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테두리(12)가 삽입 결합되도록 토출부(20)의 연결관(21) 외경에는 삽입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의 유도편(25)은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연결관(21)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27)으로 형성되고 덮개부(30)는 상기 토출부(20)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측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와 덮개부(30)의 외경은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마개.
KR2020080005545U 2008-04-25 2008-04-25 물통의 마개 KR200900110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545U KR20090011087U (ko) 2008-04-25 2008-04-25 물통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545U KR20090011087U (ko) 2008-04-25 2008-04-25 물통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087U true KR20090011087U (ko) 2009-10-29

Family

ID=4155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545U KR20090011087U (ko) 2008-04-25 2008-04-25 물통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0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0Y1 (ko) * 2011-09-07 2013-06-03 린 홀딩 에이피에스 액체 용기 캡
KR20230024659A (ko) * 2021-08-12 2023-02-21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0Y1 (ko) * 2011-09-07 2013-06-03 린 홀딩 에이피에스 액체 용기 캡
KR20230024659A (ko) * 2021-08-12 2023-02-21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775A (en) Skimming ladle
JP6501699B2 (ja) 注出容器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US8757224B2 (en) Container for fluid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5512421B2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WO2017014638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2009286465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70203Y1 (ko)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KR200322345Y1 (ko) 대용량 식용유 용기의 파지 및 유출입의 개선
KR20110009627U (ko) 물통
KR102186940B1 (ko)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CN102133022A (zh) 茶壶形去油去渣汤勺
KR100806757B1 (ko) 보조출구와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광구 용기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JP5468937B2 (ja) 液体容器の注出具
AU2005242173B2 (en) Anti-Glug Container
KR101378355B1 (ko) 뉴 캡
KR200280924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KR20180086091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KR200292088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KR20220088825A (ko) 밑으로 열 수 있는 펌핑 용기
CN114275326A (zh) 一种可自动控制出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