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325A -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 Google Patents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325A
KR20030036325A KR1020030014191A KR20030014191A KR20030036325A KR 20030036325 A KR20030036325 A KR 20030036325A KR 1020030014191 A KR1020030014191 A KR 1020030014191A KR 20030014191 A KR20030014191 A KR 20030014191A KR 20030036325 A KR20030036325 A KR 2003003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guide
guide portion
discharge indu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3001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6325A/ko
Publication of KR2003003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325A/ko
Priority to CNB2004800098381A priority patent/CN100494007C/zh
Priority to US10/547,822 priority patent/US7506784B2/en
Priority to PCT/KR2004/000450 priority patent/WO2004078600A2/en
Priority to JP2006507743A priority patent/JP2006519148A/ja
Priority to EP04716805A priority patent/EP1606173A4/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65D47/128Snap-on caps with intern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2)발명의 목적
선행인 미국특허 6,435,383호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흡음하는 것과, 그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을 용기를 치켜든 상태에서 흡음이 가능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액체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인 배출대는, 액체용기의 목 부위에 스크류방식이나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구부본체와, 상기 구부본체의 상방부에는 일정크기의 작동부를 두고, 외환부로는 결합장치가 형성되는 등의 구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부의 상방부에 형성된 작동부를 기준으로 하여는 상하 이동되는 배출유도부를 조립시키되, 상기한 배출유도부는 일정 이상 상하향되지 않도록 구성됨과, 상기 배출유도부의 하방에는 밀폐돌기가 형성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 음용시 일정 연장된 배출유도부를 통하여 음용하는 편리성과, 또한 그 음용시 외기의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바,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도 안전되게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omitted}
본 발명은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본 발명인의 미국특허 6,435,383호가 있다.
상기 선행 미국특허 6,435,383호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흡음하는 것과, 그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거나 또는 용기를 치켜든 상태에서 흡음이 가능하도록 배출유도부를 설계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이고 있는 조립된 배출대의 종단면도.
도 2 는 배출대의 사용상태를 보이고 있는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출대
100 : 구부본체
110 : 구부
111 : 작동부
112 : 환홈
113 : 밀폐돌기
114 : 측면배출공
200 : 배출유도부
201 : 환테
202 : 배출공
203 : 걸림환테
204 : 공기유입부
205 : 밀폐부
300 : 뚜껑
301 : 상면부
302 : 측면부
303 : 걸림환돌기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목에 조립되는 구부본체와 상기 구부본체의 구부상에서 상하 작동하는 배출유도부를 조립하되, 상기한 배출유도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음용하도록 편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본 사상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유도부는 일정 상향되는 과정에 용기내로 공기 유입이 가능한 공기유입부를 형성하는 바, 그 음용시 용기가 수축되지 않고 음용할 수 있는 특징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유도부는 구부에 장착된 뚜껑을 발탈할 시 함께 상향되게 하는 기술적 구성과, 또는 뚜껑을 발탈한 후 손가락으로 상기한 배출유도부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유도부의 하방부를 밀폐하는 밀폐돌기가 구부의 저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배출용 배출대(1)는 용기의 내용물 배출방향에 조립되는 구부본체(100)와, 상기 구부본체의 구부(110)에 조립되는 배출유도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110)와 배출유도부(200)의 외부로는 개폐용 뚜껑(30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중, 구부본체(100)는 각양의 액체용기 목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부본체(100)의 상방에는 배출유도부(200)를 수용하는 작동부(111)를 형성하고, 그 작동부(111)의 외부에는 나사산이나 걸림턱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부(111)의 내벽부에 밀착되어 일정 이동되는 배출유도부(200)는 상기 작동부(111)의 내벽부상에서 일정 이상은 상하향되지 않도록 구성되데, 바람직하게는 배출유도부(200)의 하단부에 환테(201)를 두어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과, 아울러 그 환테(201)가 작동부(111)의 하단 내벽에 형성된 환홈(112)에 걸려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유가 상기한 바, 배출유도부(200)에 형성되는 환테(201)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결과가 상기한 배출유도부(200)가 일정 이상 상향된 후 더이상 올라가지 못함과, 또한 상기한 배출유도부(200) 하단 배출공(202)을 통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유도부(200)의 상단부에는 환테형의 걸림환테(203)를 형성하고, 그 걸림환테(203)의 하부에는 작동부(111)와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일정 돌출되는 등의 형태로 된 밀폐면이 확보되며, 그 하단부로는 길게 연장된 공기유입부(204)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110)의 작동부(111)에 조립된 배출유도부(200)를 중심으로 하여는 개폐용 뚜껑(300)을 조립시킨 것이다.
상기한 뚜껑(300)은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302)의 상단 내벽부에는 상기한 배출유도부(200)를 일정 들어 올리는 구조의 걸림환돌기(303)를 형성하며, 또한 작동부(111)의 외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측면부(302)의 내벽부에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부(110)의 저부에는 상기 배출유도부(200)의 저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돌기(113)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돌기(113)는 상기 배출유도부(200)가 들어 올려질때 측방을 경유 상방으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측면배출공(114)이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같은 배출대(1)의 사용시는, 뚜껑(300)을 발탈하게 되면 걸림환돌기(303)가 걸림환테(203)에 걸려 있는 바, 상기한 뚜껑(300)이 발탈되는 과정에 상기한 배출유도부(200)도 상향되어지는 것이며, 이때 배출유도부(200)의 저부는 밀폐돌기(113)로부터 이격되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뚜껑(300)이 구부(110)의 작동부(111)를 벗어나려고 하는 과정에 상기한 배출유도부(200)의 하단에 형성된 환테(201)가 환홈(112)에 걸려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때에 상기한 뚜껑(300)의 걸림환돌기(303)가 배출유도부(200)의 걸림환테(203)를 탄력적으로 벗어나면서 상기한 뚜껑(300)이 그 상대부로 부터 분리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가 도 2 와 같다.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고 배출유도부(200)의 상단부를 빨게 되면 용기내의 내용물이 측면배출공(114)과 배출공(202)을 통해 흡출되며, 이와 동시 공기유입부(204)를 통하여는 외기의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바, 용기의 수축현상 없이 음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유도부(200)의 상하 이동은, 뚜껑(300)에 의하지 않고 손가락으로도 이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 음용시 일정 연장된 배출유도부를통하여 음용하는 편리성과, 또한 그 음용시 외기의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바,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도 안정되게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분실하여도 배출유도부의 저부를 밀폐돌기가 밀폐시키기 때문에 그 보관성이 향상된 특징도 있다.

Claims (3)

  1. 액체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인 배출대는,
    액체용기의 목 부위에 스크류방식이나 원터치방식, 또는 접착방식으로 결합되는 구부본체와,
    상기 구부본체의 상방부에는 일정 크기의 작동부를 두고, 외환부로는 결합장치가 형성되는 등의 구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부의 상방부에 형성된 작동부를 기준으로 하여는 상하 이동되는 배출유도부를 조립시키되,
    상기한 배출유도부는 일정 이상 상하향되지 않도록 구성됨과,
    상기 배출유도부의 저부를 막는 측면배출공이 있는 밀폐돌기를 그 대응되는 구부의 저부에 형성하며,
    상기한 배출유도부의 상방부와 구부 작동부를 기준으로 하여는 뚜껑을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의 하단에는 일정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환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의 측방부에는 길게 연장된 공기유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1020030014191A 2003-03-03 2003-03-03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3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91A KR20030036325A (ko) 2003-03-03 2003-03-03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CNB2004800098381A CN100494007C (zh) 2003-03-03 2004-03-03 具有垂直可移动喷射导向件的喷管组件
US10/547,822 US7506784B2 (en) 2003-03-03 2004-03-03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PCT/KR2004/000450 WO2004078600A2 (en) 2003-03-03 2004-03-03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JP2006507743A JP2006519148A (ja) 2003-03-03 2004-03-03 上下作動形排出誘導部を有する排出台
EP04716805A EP1606173A4 (en) 2003-03-03 2004-03-03 SPOUT SET WITH FLOW GUIDING ELEMENT THAT CAN BE VERTICALLY MOV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91A KR20030036325A (ko) 2003-03-03 2003-03-03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325A true KR20030036325A (ko) 2003-05-09

Family

ID=3676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191A KR20030036325A (ko) 2003-03-03 2003-03-03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36325A (ko)
CN (1) CN10049400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305A (ja) * 2004-10-25 2006-05-11 Coca Cola Co:The ボトルキャップ
JP2007510595A (ja) * 2003-11-05 2007-04-26 リー、ジュン ミン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892815T (pt) * 2012-09-10 2016-12-21 Guala Closures Spa Funil com bico retráctil
CN104401580A (zh) * 2014-11-21 2015-03-11 李红彪 一种自动密封式托盘瓶盖
CN104386350A (zh) * 2014-11-21 2015-03-04 李红彪 一种压式托盘瓶盖
GB2568886A (en) * 2017-11-29 2019-06-05 Nolato Jaycare Ltd Nozzle and closure system
CN112607213B (zh) * 2020-12-19 2022-08-02 烟台海普制盖有限公司 容器及其瓶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85A (ko) * 2002-12-16 2003-02-20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595A (ja) * 2003-11-05 2007-04-26 リー、ジュン ミン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JP2006117305A (ja) * 2004-10-25 2006-05-11 Coca Cola Co:The ボトル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372A (zh) 2006-05-17
CN100494007C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84B2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2003003632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KR2003002367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36323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36326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24752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29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31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30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35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28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6327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101177960B1 (ko) 저장공간이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30036324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에 체크벨브를 구성하고 있는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8577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KR20030038578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파우치용기의 배출대
KR101074986B1 (ko) 이동형 배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의 밀폐구조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KR101169803B1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뚜껑
KR20060129134A (ko) 밀폐용기
KR100650801B1 (ko) 음료용 배출대의 작동부 개폐장치
KR20030022191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JP2007061753A (ja) 液注出容器
KR20040039224A (ko) 체크벨브를 수용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