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60U - 음료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음료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60U
KR20220000960U KR2020200003832U KR20200003832U KR20220000960U KR 20220000960 U KR20220000960 U KR 20220000960U KR 2020200003832 U KR2020200003832 U KR 2020200003832U KR 20200003832 U KR20200003832 U KR 20200003832U KR 20220000960 U KR20220000960 U KR 20220000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beverage
cut
drin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민
Original Assignee
박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민 filed Critical 박현민
Priority to KR2020200003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960U/ko
Publication of KR20220000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 상단에 하나 이상의 토출부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파우치 음료를 마시기 편하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인원이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하고, 토출부의 절취부 하단에 밀봉을 위한 지퍼부를 형성하여 마시다 남은 용기를 흘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10a)(10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되어 내부에 액상의 음료가 수용되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부(2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출부(20) 상단에 형성되어 파우치(10)를 개봉하기 위한 절취부(21)와: 상기 토출부(20)의 절취부 하단에 형성되어 파우치(10)의 밀봉을 위한 지퍼부(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취부(21)의 양단부에는 절취부(21)를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도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홈(22)이 요입 형성된다.

Description

음료용 파우치{BEVERAGE POUCH}
본 고안은 음료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 상단에 하나 이상의 토출부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음료를 마시기 편하도록 하고 동시에 2인 이상이 마실 수도 있으며, 토출부의 절취부 하단에 밀봉을 위한 지퍼부를 형성하여 마시다 남은 음료를 흘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파우치는 보통 직사각형 형태의 비닐 재질로 형성되어 한약 또는 과일즙과 같은 액상 음료를 수납한 후 열융착 방식에 의해 밀봉 상태를 유지하여 유통된다. 이러한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된 파우치 내부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그 파우치의 형태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파우치 상단의 모서리를 가위 등의 절단 도구를 통해 절단·개봉한 후 파우치 내부의 음료를 마시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 파우치는 파우치를 절단·개봉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며, 도구가 없는 경우에는 파우치 개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 파우치의 개봉 부분이 넓게 형성되거나, 불규칙하게 개봉된 경우에는 파우치 내부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는 도중 음료가 흘러내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하나의 파우치로는 한 명만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2인 이상이 동시에 마실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열융착 방식이라 파우치를 한 번 개봉하게 되면 다시 밀봉하기가 어려워 파우치 개봉 시 음료를 모두 마셔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만약 파우치에 담겨진 음료를 모두 마시지 못하거나 나눠 마시고자 하는 경우 이를 보관하기 위한 마땅한 수단이 없어 음료가 누출·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음료가 담긴 파우치를 개봉하여 마실 때, 파우치의 음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마실 수 있고, 개봉 후 밀봉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도 용이한 음료용 파우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223호(2006. 10. 30. 등록)
이에 본 고안의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파우치 상단에 토출부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파우치 음료를 흘리지 않고 마시기 편하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우치 상단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토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2인 이상이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토출부의 절취부 하단에 밀봉을 위한 지퍼부를 형성하여 개봉 후 마시다 남은 음료를 흘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의 가장자리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되어 내부에 액상의 음료가 수용되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출부 상단에 형성되어 파우치를 개봉하기 위한 절취부와:
상기 토출부의 절취부 하단에 형성되어 파우치의 밀봉을 위한 지퍼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토출부 상단에 형성되는 절취부의 양단부에는 절취홈을 요입 형성하여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취부를 손으로도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파우치 상단에 토출부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파우치 음료를 흘리지 않고 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파우치 상단 외측에 토출부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2인 이상이 동시에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토출부의 절취부 하단에 밀봉을 위한 지퍼부를 형성하여 마시다 남은 음료를 흘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 파우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 파우치를 보인 정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부(10a)(10b)를 구비한 다음, 상호 결합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부(10a)(10b)의 상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내부에 액상의 음료를 안정적으로 수용·보관하기 위한 음료용 파우치(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파우치(10)에서 제1, 2 시트부(10a)(10b) 상부를 제외한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액상의 음료를 안정적으로 수용·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고 내부 공간에 액상의 음료가 수용되면, 상부 역시 열융착으로 접합한다. 파우치 재질은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비닐화합물로 사용된다.
또한 파우치(10)의 형태는 주머니 모양의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한약 또는 야채즙과 같이 음료용 파우치(10)에 충진되는 음료가 쓰거나 아이들이 쉽게 마시지 못하는 음료일 경우, 거부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동물 또는 캐릭터 형태와 같이 친숙한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파우치(10) 상단에는 파우치(10) 내부의 음료가 토출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토출부(20)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토출부(20)는 복수의 인원이 동시에 마시면서 같은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파우치(10) 상단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하나 이상의 토출부(20) 상단에는 파우치(10)를 개봉하기 위한 절취부(21)를 형성한다.
이때 토출부(20) 상단에 형성되는 절취부(21) 양 단부에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도 절취부(21)를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홈(22)을 요입 형성한다.
이어 상기 토출부(20)의 절취부(21) 하단에는 파우치(10)의 개봉 후 파우치(10)의 재밀봉을 위한 지퍼부(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토출부(20)에 형성되는 지퍼부(23)는 통상의 암지퍼부와 수지퍼부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 2 시트부(10a)(10b)에 형성되어 서로 압력에 의해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 파우치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부(10a)(10b) 단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내부에 액상의 음료가 충진되는 음료용 파우치(10)를 형성하고, 파우치(10) 상단에는 파우치(10) 내부의 음료가 토출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토출부(20)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에 따라 파우치(10)에 담겨진 음료를 흘리지 않고 편하게 마실 수 있다.
또 파우치(10)에 담겨진 음료가 파우치(10) 상단에 작게 형성되는 토출부(20)를 통해 토출됨에 따라 토출부(20)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음료의 배출량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파우치(10) 상단의 토출부(20)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인원이 동시에 마실 수 있다.
또 하나 이상의 토출부(20) 상단에 파우치(10)를 개봉하기 위한 절취부(21)를 형성함에 따라 파우치(10)의 개봉이 용이함은 물론 절취부(21) 양 단부에 절취홈(22)을 요입 형성함에 따라 절취부(21)를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도 쉽게 절취할 수 있다.
또 상기 토출부(20)의 절취부(21) 하단에 파우치(10)의 개봉 후 파우치(10)의 재밀봉을 위한 지퍼부(23)를 형성함에 따라 파우치(10) 개봉 후, 마시다 남은 음료를 흘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우치 10a, 10b : 제 1, 2 시트
20 : 토출부 21 : 절취부
22 : 절취홈 23 : 지퍼부

Claims (3)

  1.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2 시트(10a)(10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되어 내부에 액상의 음료가 수용되도록 한 음료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부(20)와:
    상기 토출부(20) 상단에 형성되어 파우치(10)를 개봉하기 위한 절취부(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21)의 양단부에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도 절취부(21)를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홈(22)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의 절취부(21) 하단에는 파우치(10)의 밀봉을 위한 지퍼부(2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파우치.
KR2020200003832U 2020-10-26 2020-10-26 음료용 파우치 KR202200009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32U KR20220000960U (ko) 2020-10-26 2020-10-26 음료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32U KR20220000960U (ko) 2020-10-26 2020-10-26 음료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60U true KR20220000960U (ko) 2022-05-03

Family

ID=8158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32U KR20220000960U (ko) 2020-10-26 2020-10-26 음료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96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223Y1 (ko) 2006-08-09 2006-11-10 황경연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223Y1 (ko) 2006-08-09 2006-11-10 황경연 포장용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US3282493A (en) Synthetic resinous bag construction having frangible sealing means
US6422753B1 (en) Separable beverage receptacle packaging with integral drinking spout
US20090180718A1 (en) Disposable seal and lock beverage pouch
CN104995108A (zh) 用于制备饮料的包装件
US20160244237A1 (en) Two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US10016079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KR102420951B1 (ko)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US20060285782A1 (en) Disposable seal and lock foil beverage pouch and the operating machinery to manufacture such product
US20070231431A1 (en)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KR20220000960U (ko) 음료용 파우치
US10822136B2 (en) Dual dispenser
US4799619A (en) Drinking fluids carton
KR20040023841A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KR102128116B1 (ko) 접철부상부밀폐부를 원터치방식으로 압박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병뚜껑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90007513U (ko) 커피믹스용 분할포장구조
JP2013039979A (ja) チャック付スパウト及びチャック付スパウトを備えた容器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CN109823682A (zh) 一种设有固态或液态物料储存结构的瓶盖
CN207374941U (zh) 多格果蔬包装盒
KR200331167Y1 (ko) 음료 용기의 빨대 삽입 구조
US20060043206A1 (en) Drink Pouch with Inner Snap-on Straw/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