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78Y1 -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78Y1
KR200271878Y1 KR2020020000366U KR20020000366U KR200271878Y1 KR 200271878 Y1 KR200271878 Y1 KR 200271878Y1 KR 2020020000366 U KR2020020000366 U KR 2020020000366U KR 20020000366 U KR20020000366 U KR 20020000366U KR 200271878 Y1 KR200271878 Y1 KR 200271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bod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택
Original Assignee
오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택 filed Critical 오원택
Priority to KR2020020000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78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 시 빨대를 음료수 캔이나 팩과 같은 용기 속에 내장하고 취음 시 빨대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 되도록 함으로써, 유통 및 휴대 시 취급상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용기의 장기 보관으로 인한 보건 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음료수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용기 몸체; 용기 몸체 상단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밀봉하는 용기 마개; 용기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근접되며, 용기 마개의 하단과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내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직립형으로 지지되는 빨대; 및 용기 몸체 내부에 직립되는 빨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캔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Drinking water vessel for keeping straw inside}
본 고안은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시 빨대를 음료수 캔(Can)이나 팩(Pack) 등에 내장하기 위한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마시는 음료수는 팩, 병 및 캔 등과 같은 용기 속에 포장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이러한 용기 속에 담겨진 음료수를 마실 때, 용기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거나 빨대를 이용하여 마신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빨대는 용기와는 별도로 포장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또한 팩과 같은 용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휨성(flexible)있는 빨대가 외부에 부착되어 유통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빨대 외장형 음료수 팩의 사시도로서, 내부에 음료수가 수납되는 팩 몸체(11), 팩 몸체(11) 외부의 일측벽에 부착되는 빨대(12), 빨대(12)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용 비닐(13), 빨대(12)를 인입하기 위하여 팩 몸체(11) 상단의 일측면에 형성된 빨대 유입홀(14)로 구성된다.
여기서, 포장용 비닐(13)은 빨대(12)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묻지 않도록 하며,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빨대(12)를 팩 몸체(11)에 붙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팩 몸체(11)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있는 빨대(12)를 팩 몸체(11)에서 분리하여, 빨대(12)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용 비닐(13)을 제거한 후, 빨대 유입홀(14)에 빨대(12)를 인입하여 음료수를 마시게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빨대(12)가 팩 몸체(11)의 외부에 부착되면, 유통 도중에 빨대(12)가 팩 몸체(11)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빨대(12)가 떨어지지 않도록 취급상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유통 도중에 팩 몸체(11)로부터 빨대(12)가 떨어져 나가면, 판매자는 별도의 빨대를 소비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므로써, 경제적인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2는 일반적인 음료수 캔으로서, 내부에 음료수가 수납되는 캔 몸체(21), 그리고 캔 몸체(21)의 상단의 일측면에 형성된 캔 마개(22)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캔 마개(22)는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캔 몸체(21)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캔 마개(22)를 캔 몸체(21)에서 분리해 내면, 분리된부분에 구멍이 형성된다. 이때, 캔 몸체(21)에 형성되는 구멍은 어린아이들의 입으로도 밀봉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취음자는 이 구멍에 입을 대고 캔 몸체(22) 속에 담겨진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취음자는 캔 마개(22)의 분리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빨대를 인입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도 있다.
한편, 사람들은 대체로 이와 같은 음료수 캔들을 야외에서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사람들은 편의상 빨대를 이용하지 않고 캔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기도 하지만, 이외에도 매우 많은 사람들이 캔에 묻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들 때문에 빨대를 이용하여 마시고 있다.
결론적으로 취음자는 어느 정도 이물질을 인정하고 캔 음료수를 마시거나, 빨대를 이용하여 마실 경우, 사람들은 음료수 캔과 별도로 빨대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시 빨대를 음료수 캔이나 팩과 같은 용기 속에 내장하고 취음시 빨대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므로써, 유통 및 휴대시 취급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빨대 외장형 음료수 팩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음료수 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빨대 내장형 음료수 캔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31: 캔 몸체 33, 32: 캔 마개
32, 33: 빨대 34: 고정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음료수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 상단의 일측면에형성된 구멍을 밀봉하는 용기 마개; 상기 용기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근접되며, 상기 용기 마개의 하단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내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직립형으로 지지되는 빨대; 및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직립되는 상기 빨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캔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의 사시도로서, 빨대가 음료수 캔 속에 직립 형으로 내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음료수 캔은, 음료수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캔 몸체(31), 캔 몸체(31) 상단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밀봉하는 캔 마개(32), 캔 몸체(31) 내부의 일측벽에 근접되며, 캔 마개(32)의 하단과 캔 몸체(31)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직립형으로 지지되는 빨대(33), 그리고 캔 몸체(33) 내부에 직립되는 빨대(33)를 고정하기 위하여, 캔 몸체(31) 내부의 일측벽이나 캔 마개를 포함한 뚜껑 부위에 부착되는 고정부(34) - 여기서는 캔 몸체에 부착된 것을 주로 설명한다. - 로 구성된다.
여기서, 빨대(33)는 용수철과 같이 신축적이면서도 휨성이 있는 부분(이하, "자바라"라 칭함)이 고정부(3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자바라는 빨대(33)가 고정부(34)로부터의 완전한 이탈을 막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부(34) 상측의 자바라는 취음자가 빨대(33)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마실 경우 "ㄱ"자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하므로써, 편안한 자세에서 음료수를 마실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34)는 일측이 캔 몸체(31) 내부의 측벽에 부착되고 타측이 캔 몸체(31) 내부로 돌출되는데, 이 돌출 부분에는 빨대(33)를 고정시키면서 또한 빨대(33)가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34)는 음료수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부식성이 없는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알루미늄 재질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빨대(33)의 양 끝단, 즉 캔 몸체(31)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분과 캔 마개(32)에 접촉되는 부분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빨대(33)의 양 끝단이 밀봉되어 있어, 제조시 빨대(33)에 자연적으로 공기가 존재한다. 이렇게, 캔 몸체(31) 내부에 직립되는 빨대(33)는 고정부(3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빨대(32)가 캔 몸체(31)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취음자가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캔 마개(32)를 오픈(open)시키게 되면, 음료수 보다 가벼운 공기를 내부에 가진 빨대(33)의 일정 부분이 캔 마개(32)의 개봉에 의해 생기는 구멍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빨대(33)의 밀봉된 부분은 사람이 입으로 빨대(32)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을 만큼 입으로 살짝 빨아들이거나 불면, 빨대(33)의 양끝이 오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취음자가 직접 입을 대고 음료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 빨대(33)는 캔 몸체(31)에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캔 몸체(31)로부터 빨대(33)를 제거하고 음료수를 마시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팩과 같이 사람이 마시는 음료수를 담는 모든 포장용 용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캔 내부에 빨대를 내장시켜 유통 및 휴대시 취급상의 편리성을 도모하여, 상품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조시 빨대를 캔 내부에 내장시키므로써, 빨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음료수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 상단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밀봉하는 용기 마개;
    상기 용기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근접되며, 내부의 공기에 의해 직립형으로 지지되는 빨대; 및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직립되는 상기 빨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캔 뚜껑이나 몸체 내부의 일측벽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음료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용수철과 같이 신축적이면서도 반동작용이 있는 자바라가 상기 고정부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용기 마개 개봉시 상기 빨대의 일부분만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자바라가 설치되고 그 최대 길이는 음료수 용기 바닥에 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조시 주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에 일정 크기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빨대의 양 끝단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용기 뚜껑이나 몸체 내부의 측벽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 몸체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 부분에는 상기 빨대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빨대가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실질적으로 음료수 포장용 캔(Can)이나 음료수 포장용 팩(P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KR2020020000366U 2002-01-05 2002-01-05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KR200271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66U KR200271878Y1 (ko) 2002-01-05 2002-01-05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66U KR200271878Y1 (ko) 2002-01-05 2002-01-05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78Y1 true KR200271878Y1 (ko) 2002-04-12

Family

ID=7311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366U KR200271878Y1 (ko) 2002-01-05 2002-01-05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56A (ko) * 2000-02-16 2001-09-01 박문주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KR100857531B1 (ko) 2006-03-29 2008-09-08 김균하 다목적 위생용기
KR101888826B1 (ko) 2018-01-12 2018-08-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관을 갖는 흡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56A (ko) * 2000-02-16 2001-09-01 박문주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KR100857531B1 (ko) 2006-03-29 2008-09-08 김균하 다목적 위생용기
KR101888826B1 (ko) 2018-01-12 2018-08-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관을 갖는 흡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6239T3 (es) Recipiente para la conservacion termostatica de liquidos.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6695163B2 (en) Water bottle with molded-in handle
US4671406A (en) Convertible tennis ball container
KR200271878Y1 (ko)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KR20190091840A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JP4866249B2 (ja)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0385096Y1 (ko) 음료수 용기
KR200343019Y1 (ko) 아이스크림 용기
KR20200033447A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KR200182064Y1 (ko) 덮개를 갖춘 캔음료 용기
JPH0551773U (ja) ストロー内蔵型飲料入り容器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JP2004099051A (ja) ボトルキャップ及びこれを取り付けてなる飲料用ボトル
US20060261069A1 (en) Interior safety capsules
KR200179959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200365527Y1 (ko) 일회분량으로 담겨진 차 재료의 포장팩
KR200235802Y1 (ko) 일회용 라면용기
KR200301959Y1 (ko) 수출용 꿀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