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59Y1 - 위생 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위생 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959Y1
KR200179959Y1 KR2019990026890U KR19990026890U KR200179959Y1 KR 200179959 Y1 KR200179959 Y1 KR 200179959Y1 KR 2019990026890 U KR2019990026890 U KR 2019990026890U KR 19990026890 U KR19990026890 U KR 19990026890U KR 200179959 Y1 KR200179959 Y1 KR 200179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lid
food
hos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완
Original Assignee
박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완 filed Critical 박수완
Priority to KR2019990026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몸체(1)의 개구부가 뚜껑체(2)에 의해 밀폐된 캔 음료용기에 있어서, 에칠렌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뚜껑체(2)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성형시킨 원판형의 고정판(4) 주연부를 상방부로 절곡시켜 상기 뚜껑체(2)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시킨 '∩'형 압지부(23)를 통해 고정하되, 상기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과 동일한 위치의 고정판(4)상에는 상단 개구부에 열융착부(411)를 구비한 꼬깔형상의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또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일측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인출띠(4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캔 마개의 제거시 상기 식음용 호스가 음료의 팽창압력 및 인출띠의 당김력에 의해 뚜껑체의 음료 배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여 별도의 컵 용기나 빨대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캔 음료용기내에 담겨진 음료를 쉽게 식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뚜껑체상에 쌓이거나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입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위생보건상 안전하게 식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 캔 음료용기 {Hygienic can for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위생 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음료수를 진공포장하여 유통시키는 캔 음료용기의 뚜껑체 내측부에 원판형으로 사출 성형한 고정판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판의 일측부에는 상단 개구부가 열융착을 통해 밀폐되고 그 중간 일부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된 식음용 호스를 일체로 성형시키고, 상기 식음용 호스의 상단 일측부와 뚜껑체에 설치된 캔 마개 사이에는 내용물의 성분에 따라(즉, 음료에 탄산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냐에 따라) 식음용 호스를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띠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음료의 식음시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음료용기의 외측 뚜껑체상에 쌓인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입안으로 들어가므로 인한 위생보건상의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음료나 탄산음료, 기능성 음료 및 알콜성 음료들은 별도의 컵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식음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용기나, 유리재 용기, 종이재 용기 및 캔 음료용기 등에 담아 유통시키고 있다.
상기에 있어 플라스틱 용기나 유리재 용기는 마개를 통해 그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종이재 용기는 그 일측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캔 음료용기는 상단 뚜껑체상에 일체로 설치된 캔 마개를 강제로 떼어내거나 일부를 내측으로 밀어 넣는 방식을 통해 구멍을 내어 그 내부에 담겨진 각종 음료를 식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에 있어서 캔 음료용기는 별도의 포장시설 없이 그데로 유통 및보관되므로 통상시 상기 캔 음료용기의 뚜껑체상에 먼지를 포함하여 각종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캔 음료용기에 담겨진 각종 음료를 식음할시에는 용기의 상단 뚜껑체상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고 직접 마시거나, 별도의 컵등에 따라 마시거나, 또는 구멍을 통해 별도의 빨대를 꼽고 빨아 마셔야만 위생 보건상 안전하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캔 마개을 딴 상태에서 그대로 입을 구멍측에 데고 마시는 경향에 있어 위생 보건상 많은 문제점을 앉고 있다.
물론, 일부의 사람들은 캔 마개을 따고 목을 젓힌 상태에서 용기 자체를 입으로 부터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 음료를 입안에 붓는 방식을 통해 식음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역시 음료 배출공 주변에 묻은 각종 이물질이 음료에 씻기어 입안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식음자세 자체가 매우 불편하고, 특히 상기와 같은 자세로 음료를 먹다 보면 일부 옷에 흘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캔 음료용기의 뚜껑체 내면에 캔 마개을 열시 내용물의 팽창력 또는 인출띠가 당기는 힘에 의해 동시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식음용 호스를 설치하여 별도의 용기나 빨대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캔 음료용기내에 담겨진 음료를 식음할 수 있도록 하여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뚜껑체상에 쌓이거나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로 인한 위생보건상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위생 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방부가 개구된 소정용적의 원통형 몸체와; 일측부에 형성된 음료 배출공에 손잡이가 구비된 캔 마개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개구부상에 고정 설치되어 몸체내의 내용물이 진공 포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뚜껑체로 구성된 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지름 보다 작게 에칠렌수지로 사출 성형한 원판형의 고정판 주연부를 상기 뚜껑체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킨 압지부를 통해 고정하되, 상기 뚜껑체의 음료 배출공과 동일한 위치의 고정판상에는 상단 개구부에 열융착부를 구비하고 통상시에는 그 중간부가 접히어 상방 일부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있다가 캔 마개의 제거시 내용물의 팽창 압력 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뚜껑체의 음료 배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꼬깔형상의 식음용 호스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꼬깔형 식음용 호스의 열융착부 일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인출띠를 돌출 형성시켜 그 자유단부가 상기 캔 마개의 리벳부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캔 음료용기에 담겨진 음료를 식음할시 뚜껑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으로 부터 튕겨져 나온 꼬깔형 식음용 호스에 입을 데고 마실수 있으므로 뚜껑체의 외측에 어떻한 이물질이 묻어 있다할지라도 입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 보건상 안전하게 식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캔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땃을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따기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땃을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캔 마개을 딴시점에서의 식음용 호스의 평면도.
도 6은 캔 마개을 따고 식음용 호스의 입구를 개구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통형 몸체 2 : 뚜껑체
3 : 캔 마개 4 : 원판형 고정판
21 : 음료 배출공 23 : '∩'형 압지부
41 : 식음용 호스 42 : 인출띠
411 : 열융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캔 음료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땃을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따기전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음료용기의 캔 마개을 땃을시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캔 마개을 딴시점에서의 식음용 호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캔 마개을 따고 식음용 호스의 입구를 개구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방부가 개구된 소정용적의 원통형 몸체(1)와; 타 용기의 저부가 얹혀지도록 하방부로 움푹들어간 안치홈(22)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일측부에 형성된 음료 배출공(21)에는 손잡이(31)가 구비된 캔 마개(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1)의 개구부상에 고정 설치되어 몸체내의 내용물이 진공 포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뚜껑체(2)로 구성된 캔 음료용기에 있어서,
에칠렌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뚜껑체(2)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성형시킨 원판형의 고정판(4) 주연부를 상방부로 절곡시켜 상기 뚜껑체(2)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킨 압지부(23)를 통해 고정하되,
상기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과 동일한 위치의 고정판(4)상에는 상단 개구부에 열융착부(411)를 구비하고 통상시에는 그 중간부가 접히어 상방 일부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있다가 캔 마개의 제거시 내용물의 팽창 압력에 의해 원래의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꼬깔형상의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일측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인출띠(4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되 그 자유단부는 상기 캔 마개(3)의 리벳(32)부분에 고정시켜 캔 마개(3)의 제거시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있던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 일부가 상기 인출띠(42)에 의해 강제로 당겨져 외측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구비하고 그 지름은 상기 뚜껑체(2)의 지름보다 작도록 에칠렌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원판형의 고정판(4)를 상기 뚜껑체(2)의 저부에 위치시켜 소정형상을 갖는 프레스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원판형의 고정판(4) 주연부가 상방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체(2)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형 압지부(23)에 의해 물리는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음료 배출공(21)상에 손잡이(31)가 구비된 캔 마개(3)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식음용 호스(41)가 일체로 구비된 고정판(4)이 저부에 고정된 상태에 있는 상기 뚜껑체(2)를 소정용적을 갖는 원통형 몸체(1)내에 소정의 음료를 담고 원통형 몸체(1)의 개구부상에 고정 설치하여 주면 외형상으로는 종래에 기 알려진 캔 음료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체(2)의 원형 음료 배출공(21)이 위치되는 곳에는 고정판(4)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꼬깔형 식음용 호스(41)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중간부는 접힐 수 있도록 얇게 형성시켜 통상시 상방 일부를 내측으로 밀려넣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와 같이 몸체(1)의 개구부를 뚜껑체(2)로 밀폐시켰을시 상기 뚜껑체(2)와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판(4)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가 뚜껑체(2)의 캔 마개(3) 저부에 거의 밀착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꼬깔 형상을 갖도록 에칠렌수지로 사출 성형된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 개구부는 소정압력 이상의 외압이 가해졌을시에만 개구되도록 열융착부(53)를 형성시켜 주므로써 통상시 용기내의 내용물인 각종 음료가 상기 식음용 호스(41)를 통해 뚜껑체(2)와 고정판(4)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캔 음료용기상에는 탄산음료와 같이 흔들었을시 부피가 팽창되는 음료를 담을 수도 있고, 일반 물이나 기능음료 등과 같이 아무리 흔들어도 부피가 팽창하지 않는 음료를 담을 수도 있다.
그런데, 전기와 같이 뚜껑체(2)의 저부에 '∩'형 압지부(23)를 통해 주면부가 물려지는 방식을 통해 고정 설치된 고정판(4)상의 식음용 호스(41)와 상기 뚜껑체(2) 상에 설치된 캔 마개(3) 사이에 아무런 연결장치가 없는 경우, 흔들었을시 부피가 팽창되는 탄산음료가 담겨진 캔 음료용기는 캔 마개(3)를 따는 순간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가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후술과 같이 부피의 팽창이 없는 음료가 담겨진 캔 음료용기는 캔 마개(3)를 따더라도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가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지않게 된다.
즉, 탄산음료의 경우 캔 마개(3)를 따기에 앞서 몇번 흔들어줄 경우 음료의 부피가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식음용 호스(41)와 캔 마개(3) 사이에 어떻한 인출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막고 있는 캔 마개(3)를 따는 순간 상기 탄산음료의 팽창압력에 의해 중간부분이 접혀진 상태로 내측으로 들어가 있던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가 자동으로 빠져나와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나, 아무리 흔들어도 부피의 팽창이 전혀 없는 음료의 경우는 상기 캔 마개(3)를 따더라도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를 그데로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캔 음료용기의 제작성 및 생산원가를 감안하여 탄산음료가 담겨지는 캔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전술과 같이 상기 식음용 호스(41)와 캔 마개(3) 사이에 어떻한 인출장치도 설치하지 않고,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음료가 담겨지는 캔 음료용기의 경우는 상기 식음용 호스(41)에 인출띠(4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그 자유단부를 상기 캔 마개(3)의 손잡이(31) 부분을 고정시켜 주는 리벳(32)부분에 고정 설치하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일측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인출띠(4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그 자유단부를 상기 캔 마개(3)의 리벳(32)부분에 고정시켜 주므로써, 캔 마개(3)를 딸때 리벳(32) 부분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기 인출띠(42)가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를 강제로 잡아 당기게 되므로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를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강제로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인출띠(42)에 의해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를 외측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계속해서 캔 마개(3)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인출띠(42)가 식음용 호스(41)의 상단부로 부터 도 2 및 도 4와 같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식음용 호스(41)를 통해 내용물을 섭취할시 인출띠(42)가 걸리적거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 개구부를 막아주고 있는 열융착부(411)는 소정압력 이상의 외압이 가해졌을시 개구될 정도의 융착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캔 마개(3)를 제거시키므로 인해 외측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 5와 같이 막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열융착부(411)를 손으로 잡거나 입으로 깨무는 형태에서 세로방향으로 누르게나 물게 되면 상기 열융착부(411)가 도 2 및 도 6과 같이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식음용 호스(41)를 통해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판(4)을 뚜껑체(2)상에 고정 설치할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원판형의 고정판(4) 주연부가 상방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체(2)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형 압지부(23)에 의해 물리는 방식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고, 접착제(물론 인체에 해롭지 않는 것을 전재로함)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음용 호스(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꼬깔형상에 한정하는 것을아니고, 자라바식 빨대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시킬 수도 있고, 또 그 길이를 좀더 길게 형성시켜 접힘부위가 용기 몸체(1)의 중간부분 또는 그 이하인 바닥면 까지 내려간 상태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캔 음료용기의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체의 저부에 식음용 호스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판을 설치하여 뚜껑체상에 설치된 캔 마개을 딸시 내용물의 팽창력 또는 인출띠가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식음용 호스가 자동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므로써, 별도의 컵 용기나 빨대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캔 음료용기내에 담겨진 음료를 쉽게 식음할 수 있음은 물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뚜껑체상에 쌓이거나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입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위생보건상 안전하게 식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방부가 개구된 소정용적의 원통형 몸체(1)와; 타 용기의 저부가 얹혀지도록 하방부로 움푹들어간 안치홈(22)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일측부에 형성된 음료 배출공(21)에는 손잡이(31)가 구비된 캔 마개(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1)의 개구부상에 고정 설치되어 몸체(1)내의 내용물이 진공 포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뚜껑체(2)로 구성된 캔 음료용기에 있어서,
    에칠렌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뚜껑체(2)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성형시킨 원판형의 고정판(4) 주연부를 상방부로 절곡시켜 상기 뚜껑체(2)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켜서 된 압지부(23)를 통해 고정 설치하되,
    상기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과 동일한 위치의 상기 고정판(4)상에는 상단 개구부에 열융착부(411)를 구비하고 통상시에는 그 중간부가 접히어 상방 일부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있다가 캔 마개(3)의 제거시 내용물의 팽창 압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식음용 호스(41)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캔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일측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인출띠(4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되 그 자유단부는 상기 캔 마개(3)의 리벳(32)부분에 고정시켜 캔 마개(3)의 제거시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있던 상기 식음용 호스(41)의 상단 일부가 상기 인출띠(42)에 의해 강제로 당겨져 외측 뚜껑체(2)의 음료 배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캔 음료용기.
KR2019990026890U 1999-12-02 1999-12-02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179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90U KR200179959Y1 (ko) 1999-12-02 1999-12-02 위생 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90U KR200179959Y1 (ko) 1999-12-02 1999-12-02 위생 캔 음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479A Division KR20010053916A (ko) 1999-12-02 1999-12-02 위생 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959Y1 true KR200179959Y1 (ko) 2000-04-15

Family

ID=1959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890U KR200179959Y1 (ko) 1999-12-02 1999-12-02 위생 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9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487A (zh) * 2018-01-11 2018-06-01 李超彪 一种饮料小吃分层杯
KR20210055959A (ko) 2019-11-08 2021-05-18 차진명 개봉 시 입에 닿는 부분이 돌출되는 캔 음료수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487A (zh) * 2018-01-11 2018-06-01 李超彪 一种饮料小吃分层杯
KR20210055959A (ko) 2019-11-08 2021-05-18 차진명 개봉 시 입에 닿는 부분이 돌출되는 캔 음료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332B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US4961510A (en) Sanitary lid for metal beverage container
US4403709A (en) Drinking and pouring aid for containers of beverages and other liquids
US5301833A (en) Liquid dispenser with cup holder
US5381924A (en) Non-spill drinking vessel
US20040000551A1 (en) Trainer cup adapter lid for a beverage can
US5503296A (en) Liquid container and novelty articles
US7017769B1 (en) Lid for canned beverages avoiding pollution both to beverage and environment
WO2002058518A1 (en) Hygienic beverage can attachment
US20030085232A1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EP3598925B1 (en) One-piece drink-through cup lid with a straw section
US20090045206A1 (en) Disposable non-spillable childs dispensing cup
KR200179959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PL191792B1 (pl) Pojemnik do picia jednorazowego użytku, zwłaszcza dla niemowląt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10053916A (ko) 위생 캔 음료용기
WO2004039688A1 (en)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KR101051102B1 (ko) 용기뚜껑
KR200197922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210340Y1 (ko) 음료수 용기 뚜껑
KR200382387Y1 (ko) 빨대가 형성된 병뚜껑
KR930003094Y1 (ko) 팩 내장형 빨대의 설치구조
KR200289155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