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23Y1 -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 Google Patents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23Y1
KR200271323Y1 KR2020010035726U KR20010035726U KR200271323Y1 KR 200271323 Y1 KR200271323 Y1 KR 200271323Y1 KR 2020010035726 U KR2020010035726 U KR 2020010035726U KR 20010035726 U KR20010035726 U KR 20010035726U KR 200271323 Y1 KR200271323 Y1 KR 20027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bracket
opening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2020010035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23Y1/ko
Priority to JP2002002043U priority patent/JP3089256U/ja
Priority to US10/200,236 priority patent/US20030094459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26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 B65D2517/0029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the element being part of the pull-out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면에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따개를 오픈시킬 때 내부로부터 스트로우(STRAW)가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돌출된 스트로우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구성된 따개(23)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24)가 저절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24)의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24)의 하부에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측면에 환형 홈(24ba)이 형성된 연결부(24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24b)의 환형 홈(24ba)을 용이하게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24b)의 하단은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DRINK CAN WITH A DRINKING STRAW}
본 고안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에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따개를 오픈시킬 때 내부로부터 스트로우(STRAW)가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돌출된 스트로우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수, 맥주, 한약제, 드링크제 등(이하 '음료수'라 함)은 진공포장방법을 이용하여 1회용 캔에 내장하여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음료수 캔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캔에 음료수를 내장한 것으로서 유통이나 취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하며, 따개의 개방이 원터치방식의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극히 용이하게 따개를 열 수 있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날로 그 이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수 캔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수 캔(1)은 원통형으로 된 캔 본체(2)의 상부면(3) 일측에 노취(notch)선(4a)으로 형성된 따개(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따개(4)에는 리벳축(5)에 의해 연결된 손잡이(6)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음료수 캔(1)은 손잡이(6)를 잡아당기면 따개(4)가 그 노취선(4a)에 의해 본체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절취되어 그 곳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음료수를 마신다.
그런데 상기 배출구는 캔 본체(2)의 상부면(3)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므로 따개(4)가 절취되는 순간 내부의 내용물이 튀겨 나와 음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주위를 오염시키고, 또한 음용시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배출구주위에 접촉되는 상태로 음용하게 되어 배출구 주위가 더러운 경우에는 비위생적이 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입술에 바른 립스틱이 지워지며,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입술주위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음료수 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음료수 캔을 개발하여 이를 실용신안등록 제191393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 캔(10)은 손잡이(11)를 잡아당기면 그 따개(12)가 노취선(12a)에 의해 절취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따개(12)가 형성되는 캔 본체의 상부면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밑면부(13a)에 개구부를 갖는 브라켓트(13)가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에 주름에 의해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14)가 수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따개(12)가 개방될 경우 상기 수축된 스트로우(14)가 탄성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 신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라켓트(13)는 따개(12)의 크기보다 약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스트로우(14) 하단의 플랜지(14a)와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는 접착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음료수 캔(10)은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여 따개(12)를 개방하면 내부의 스트로우(14)가 탄성에 의하여 저절로 외부로 돌출하고 음용자는 스트로우(14)을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따라서 따개(12)를 개방할 때 충격에 의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튀겨 나오지 않고 또한 음용자의 입술이 따개(12) 주위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특히 입술에 립스틱을 바른 여성은 입술을 따개 주위에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립스틱이 지워질 우려가 없다.
또한 돌출된 스트로우(14)는 음용자의 입안에 완전히 들어오므로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들도 보호자의 도움이 없어도 입술주위로 흘러내림이 없이 청결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등록된 음료수 캔(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내부에 구성된 스트로우(14)의 상단이 따개(12)의 저면에 탄성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지만 음료수 캔(10)의 유통 및 취급과정에서 내부의 음료수 일부가 충격을 받아 스트로우(14)의 상단을 통하여 브라켓트(13)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고여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음료수를 마실 때 브라켓트(13)의 내부에 고여 있던 음료수가 밖으로 흘러 나와 음용자의 입술주위를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자연스럽게 음료수 캔(10)을 경사시키면서 마시게 되는데 이 때 브라켓트(13)의 외부에 남아 있는 음료수는 스트로우(14)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마실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된 스트로우(14) 하단의 플랜지(14a)와 금속으로 된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는 접착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접착력이 강하지 않아 이 연결부위가 유통 및 취급과정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고, 접착공정을 자동화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위생적이고도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고 또한 음용수단인 스트로우의 설치를 견고하게 하고 그 설치공정을 용이하게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음료수를 모두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캔 본체의 상부면에 구성된 따개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가 저절로 돌출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의 하부에 브라켓트의 개구부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측면에 환형 홈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의 환형 홈을 용이하게 브라켓트의 개구부 주위의 밑면부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의 하단은 브라켓트의 개구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상기 스트로우가 캔 본체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를 갖는 브라켓트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스트로우에 캔 본체 저면 근처까지 뻗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원터치방식의 따개가 구성된 일반적인 음료수 캔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음료수 캔 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다른 예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료수 캔 2: 캔 본체
3: 상부면 4: 따개
4a: 노취선 5: 리벳축
6: 손잡이
10: 음료수 캔 11: 손잡이
12: 따개 12a: 노취선
13: 브라켓트 13a: 밑면부
14: 스트로우 14a: 플랜지
20: 음료수 캔 21: 캔 본체
22: 상부면 23: 따개
24: 스트로우 24a, 24a': 덮개
24aa: 삽입부 24ab: 플랜지
24a'a: 노취선 24b: 연결부
24ba: 환형 홈 24c: 연장부
25: 브라켓트 25a: 밑면부
25b: 개구부 26: 손잡이
27: 리벳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다른 예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 상부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수 캔(20)은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구성된 따개(23)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24)가 저절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개(23)는 종래와 같이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형성된 노취선에 의하여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따개(23)에는 손잡이(26)가 리벳축(2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20)은 상기 스트로우(24)의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24a)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24)의 하부에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측면에 환형 홈(24ba)이 형성된 연결부(24b)가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24b)의 환형 홈(24ba)을 용이하게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24b)의 하단은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24)는 약간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자바라식으로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24) 상단의 덮개(24a)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어 스트로우(24)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부(24aa)와, 상기 삽입부(24aa)의 상단에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4ab)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24)의 상단을 폐쇄시키고 그 상단 주위에 노취(notch)선(24a'a)을 형성하여 덮개(24a')를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음용시 덮개(24a')를 잡아당겨 스트로우(24)로부터 제거하여 음용한다.
스트로우(24)를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할 때에는 스트로우(24)의 연결부(24b)를 개구부(25b)로 밀어 넣기만 하면 연결부(24b)가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오므라들면서 그 환형 홈(24ba)이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끼워진다. 따라서 스트로우(24)를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자동화시킬 수 있다.
스트로우(24)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와의 사이에 기밀이 자연스럽게 유지되지만, 필요한 경우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고무로 된 패킹을 끼워 스트로우(24)와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사이의 기밀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우(24)는 캔 본체(2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25a)를 갖는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는 캔 본체(2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캔 본체(21)의 내부공간의 천장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에 형성된 개구부(25b)와 캔 본체(21) 상부면(22)의 따개(23)는 가능한 일측 가장자리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또한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우(24)의 연결부(24b)의 하단에 캔 본체(21)의 저면 근처까지 뻗은 연장부(24c)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용자는 스트로우(24)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빨아 마셔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스트로우(24)의 상단에 덮개(24a)(24a')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통 및 취급과정에서 내용물이 스트로우(24)를 통하여 브라켓트(25)의 상부공간으로 흘러 들어갈 염려가 없다.
음용자가 손잡이(26)를 이용하여 따개(23)를 잡아당기면 따개(23)는 노취선에 의하여 절취되어 개방되고 따개(23)가 개방되면 따개(23)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던 스트로우(24)가 주름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따개(23)가 개방되는 순간 스트로우(24)가 외부로 돌출하고 스트로우(24)의 상단이 덮개(24a)(24a')에 의하여 막혀 있으므로 내용물이 충격을 받거나 음료수 캔이 경사지더라도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음용자는 스트로우(24)의 상단에 구성된 덮개(24a)(24a')를 제거하여 스트로우(24)의 상부를 입안에 넣고 음료수를 마신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캔 본체(21)를 서서히 경사시키면서 음료수를 마시고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스트로우(24)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빨아 마신다.
도 4 및 도 8의 실시예의 경우에 음료수를 거의 다 마실 때에는 캔 본체(21)의 하단이 위로 향하게 되는데 이 때 캔 본체(21)의 상단모서리에 모이는 음료수는 스트로우(24)와 통하는 상태가 되므로 거의 모든 음료수를 불편없이 마실 수 있다.
도 5 및 도 9의 실시예의 경우에 스트로우(24)의 연장부(24c)가 캔 본체(21)의 저면 근처까지 뻗어 있으므로 거의 모든 음료수를 빨아 마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원터치방식의 따개를 개방하는 순간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내용물이 브라켓트의 상부공간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마시는 도중에도 일부 음료수가 입주위로 흘림이 없이 깨끗하게 마실 수 있고 또한 입술을 따개 주위에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이고도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며 내부의 모든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스트로우를 용이하게 브라켓트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공정을 자동화하기가 쉽다는 효과도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구성된 따개(23)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24)가 저절로 돌출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24)의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24)의 하부에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측면에 환형 홈(24ba)이 형성된 연결부(24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24b)의 환형 홈(24ba)을 용이하게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24b)의 하단은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24)는 캔 본체(2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25a)를 갖는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24)의 연결부(24b)의 하단에 캔 본체(21)의 저면 근처까지 뻗은 연장부(24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20010035726U 2001-11-20 2001-11-20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27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26U KR200271323Y1 (ko) 2001-11-20 2001-11-20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JP2002002043U JP3089256U (ja) 2001-11-20 2002-04-11 飲用手段を備えた飲料水缶
US10/200,236 US20030094459A1 (en) 2001-11-20 2002-07-19 Beverage can with suck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26U KR200271323Y1 (ko) 2001-11-20 2001-11-20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23Y1 true KR200271323Y1 (ko) 2002-04-10

Family

ID=1971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726U KR200271323Y1 (ko) 2001-11-20 2001-11-20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94459A1 (ko)
JP (1) JP3089256U (ko)
KR (1) KR2002713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3826A1 (en) * 2004-09-15 2006-03-16 Louis Drabkin Beverage apparatus for freezer
ES1072723Y (es) * 2010-05-27 2010-12-20 Marques Salvador Alimbau Dispensador para envases de bebidas
US20120100266A1 (en) 2010-10-20 2012-04-26 Pepsico., Inc.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NL2010915C2 (en) * 2013-06-04 2014-12-0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container.
CN103625762A (zh) * 2013-12-04 2014-03-12 苏州多贝机械科技有限公司 耐高温漆桶盖
FR3024440B1 (fr) * 2014-07-30 2016-08-26 Jean-Pierre Hardy Dispositif d'extraction d'une paille d'un recipient
FR3055616B1 (fr) * 2016-09-07 2020-06-26 Abdelhamid Rabhi Canette metallique refermable
US20200130888A1 (en) * 2017-04-20 2020-04-30 Dionysios Pavlatos Liquid product packaging cap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5809A (en) * 1955-07-26 1957-09-10 William A Pugh Container with sipper straw
US3149743A (en) * 1961-01-23 1964-09-22 Nat Can Corp Secondary closure
US3298577A (en) * 1964-10-01 1967-01-17 Walter K Chlystun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3547308A (en) * 1968-08-05 1970-12-15 Lester G Gilliem Beverage drinking tube installation
CA952455A (en) * 1973-08-16 1974-08-06 Marcel Lamothe Container with tear-out portion
US4073413A (en) * 1976-06-10 1978-02-14 Tabler Herman L Dispensing apparatus with self contained spout
US4305521A (en) * 1979-03-26 1981-12-15 Hiroshi Komatsuta Beverage container with a straw
US4228913A (en) * 1979-04-19 1980-10-21 Alberto Mack Beverage can having a self contained straw
DE2920159A1 (de) * 1979-05-18 1980-11-27 Wolfgang Dr Ing Meins Trinkhilfsvorrichtung fuer getraenkedosen
US4907724A (en) * 1985-08-09 1990-03-13 The Coca-Cola Company Disposable pre-mix beverage package for use in outer space
USD331348S (en) * 1991-02-08 1992-12-01 Park Chin K Collapsible drinking straw
US5167354A (en) * 1991-05-06 1992-12-01 Bahram Cohanfard Beverage-container carrier and sipping assembly
DE4136985C1 (ko) * 1991-11-11 1993-05-13 Marsteller & Killmann Gmbh & Co Kg, 4300 Essen, De
US5172827A (en) * 1992-05-20 1992-12-22 Chang In Y Beverage container
US5431297A (en) * 1993-12-02 1995-07-11 Rosello; Agustin A. Pop-up straw for beverage containers
US5503296A (en) * 1994-07-21 1996-04-02 Tensai Group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novelty articles
AU3078895A (en) * 1994-07-22 1996-02-22 Investigacion Desarrollo, Creacion Y Mejora De Productos, S.L. Container for beverages, preserved food products and the like
US5482158A (en) * 1994-11-23 1996-01-09 The Coca-Cola Company Promotional device for delivering a prize from a beverage can
US6056116A (en) * 1997-12-24 2000-05-02 The Coca-Cola Company Noise suppressed prize dispenser for a container
US6116446A (en) * 1998-05-18 2000-09-12 Snappull Technologies Inc. Stoppers for individual bottle-type beverage container
AU4784200A (en) * 1999-05-27 2000-12-18 Jong-Ki Kim Beverage container
DE29919069U1 (de) * 1999-10-29 2001-03-08 Sisi Werke Gmbh Wiederverschließbarer Trinkha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9256U (ja) 2002-10-18
US20030094459A1 (en)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902A (en) No spill lid
US6073797A (en) Sanitary lid for a beverage can that forms a seal with an aperture of the can
JP2005511441A (ja) 関節付飲み口を有する飲料用缶の蓋
US20030222083A1 (en) Top for mounting on a container
US20040256386A1 (en) Beverage can cover and seal combination
US7392916B1 (en) Retractable straw for drinking containers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070187410A1 (en) Hygienic beverage can lid
US20080073415A1 (en) Cap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JP2002002767A (ja)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ストロー
JP6291383B2 (ja)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GB231901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tained tear tab and straw
KR200289155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050269376A1 (en) Cap for cup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179959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200169033Y1 (ko) 캔 결합체
KR200231432Y1 (ko)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367252Y1 (ko) 스트로우가 결합된 음료용 캔
JP3116238U (ja) 筒状飲み口を有するボトルキャップ
JP2001315828A (ja) 飲料缶用キャップ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