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55Y1 -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 Google Patents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55Y1
KR200289155Y1 KR2020020017129U KR20020017129U KR200289155Y1 KR 200289155 Y1 KR200289155 Y1 KR 200289155Y1 KR 2020020017129 U KR2020020017129 U KR 2020020017129U KR 20020017129 U KR20020017129 U KR 20020017129U KR 200289155 Y1 KR200289155 Y1 KR 200289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bracket
ope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2020020017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5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면에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따개를 오픈시킬 때 내부로부터 스트로우(STRAW)가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돌출된 스트로우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캔 본체(31)의 상부면(32)에 구성되어 있고 손잡이(36)가 연결된 따개(33)의 하부에 위치하여 따개(33)를 개방할 경우 저절로 내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34a)(34a')가 구성되어 있는 스트로우(34)와, 상기 캔 본체(31)의 상부면(32)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스트로우(34)의 하부가 고정되는 개구부(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캔 본체(3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35a)를 갖는 브라켓트(35)가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따개(33)가 캔 본체(31)의 상부면(32)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34)의 하부가 고정되는 상기 브라켓트(35)의 개구부(35b)가 따개(33)의 하부 위치의 브라켓트 밑면부(35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밑면부(35a)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낮게 되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DRINK CAN WITH A DRINKING STRAW}
본 고안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에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따개를 오픈시킬 때 내부로부터 스트로우(STRAW)가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돌출된 스트로우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수, 맥주, 한약제, 드링크제 등(이하 '음료수'라 함)은 진공포장방법을 이용하여 1회용 캔에 내장하여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음료수 캔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캔에 음료수를 내장한 것으로서 유통이나 취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하며, 따개의 개방이 원터치방식의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극히 용이하게 따개를 열 수 있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날로 그 이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수 캔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수 캔(1)은 원통형으로 된 캔 본체(2)의 상부면(3) 일측에 노취(notch)선(4a)으로 형성된 따개(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따개(4)에는 리벳축(5)에 의해 연결된 손잡이(6)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음료수 캔(1)은 손잡이(6)를 잡아당기면 따개(4)가 그 노취선(4a)에 의해 본체의 바깥쪽으로 절취되어 그 곳에 토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여 음료수를 마신다.
그런데 상기 토출구는 캔 본체(2)의 상부면(3)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므로 따개(4)가 절취되는 순간 내부의 내용물이 튀겨 나와 음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주위를 오염시키고, 또한 음용시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토출구주위에 접촉되는 상태로 음용하게 되어 토출구 주위가 더러운 경우에는 비위생적이 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입술에 바른 립스틱이 지워지며,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입술주위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음료수 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음료수 캔을 개발하여 이를 실용신안등록 제191393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 캔(10)은 손잡이(11)를 잡아당기면 그 따개(12)가 노취선(12a)에 의해 절취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따개(12)가 형성되는 캔 본체의 상부면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밑면부(13a)에 개구부를 갖는 브라켓트(13)가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에 주름에 의해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14)가 수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따개(12)가 개방될 경우 상기 수축된 스트로우(14)가 탄성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 신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라켓트(13)는 따개(12)의 크기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스트로우(14) 하단의 플랜지(14a)와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는 접착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음료수 캔(10)은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여 따개(12)를 개방하면 내부의 스트로우(14)가 탄성에 의하여 저절로 외부로 돌출하고 음용자는 스트로우(14)을 통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따라서 따개(12)를 개방할 때 충격에 의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튀겨 나오지 않고 또한 음용자의 입술이 따개(12) 주위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특히 입술에 립스틱을 바른 여성은 입술을 따개 주위에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립스틱이 지워질 우려가 없다.
또한 돌출된 스트로우(14)는 음용자의 입안에 완전히 들어오므로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들도 보호자의 도움이 없어도 입술주위로 흘러내림이 없이 청결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등록된 음료수 캔(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내부에 구성된 스트로우(14)의 상단이 따개(12)의 저면에 탄성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지만 음료수 캔(10)의 유통 및 취급과정에서 내부의 음료수 일부가 충격을 받아 스트로우(14)의 상단을 통하여 브라켓트(13)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고여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음료수를 마실 때 브라켓트(13)의 내부에 고여 있던 음료수가 밖으로 흘러 나와 음용자의 입술주위를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자연스럽게 음료수 캔(10)을 경사시키면서 마시게 되는데 이 때 브라켓트(13)의 외부주위에 남아 있는 음료수는 스트로우(14)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마실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된 스트로우(14)하단의 플랜지(14a)와 금속으로 된 브라켓트(13)의 밑면부(13a)는 접착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접착력이 강하지 않아 이 연결부위가 유통 및 취급과정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고, 접착공정을 자동화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음료수 캔을 개발하여 2001년 11월 20일에 실용신안출원을 하여 2002년 3월 28일에 등록 제0271323호로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선등록의 음료수 캔(20)도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구성된 따개(23)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스트로우(24)가 저절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개(23)는 종래와 같이 캔 본체(21)의 상부면(22)에 형성된 노취선에 의하여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따개(23)에는 손잡이(26)가 리벳축(2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료수 캔(20)은 스트로우(24)의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24a)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24)의 하부에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개구부(25b)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측면에 환형 홈(24ba)이 형성된 연결부(24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24b)의 환형 홈(24ba)을 용이하게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의 개구부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24b)의 하단은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24)는 약간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주름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자바라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24) 상단의 덮개(24a)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어 스트로우(24)의 상단에삽입되는 삽입부(24aa)와, 상기 삽입부(24aa)의 상단에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4ab)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24)의 상단을 폐쇄시키고 그 상단 측면에 노취(notch)선(24a'a)을 형성하여 덮개(24a')를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음용시 덮개(24a')를 잡아당겨 스트로우(24)로부터 제거하여 음용한다.
스트로우(24)를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할 때에는 스트로우(24)의 연결부(24b)를 개구부(25b)로 밀어 넣기만 하면 연결부(24b)가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오므라들면서 그 환형 홈(24ba)이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끼워진다. 따라서 스트로우(24)를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자동화시킬 수 있다.
스트로우(24)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와의 사이에 기밀이 자연스럽게 유지되지만, 필요한 경우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 주위의 밑면부(25a)에 고무로 된 패킹을 끼워 스트로우(24)와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사이의 기밀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 음료수 캔은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우(24)는 캔 본체(2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25a)를 갖는 브라켓트(25)의 개구부(25b)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는 캔 본체(2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캔 본체(21)의 내부공간의 천장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25)의 밑면부(25a)에 형성된 개구부(25b)와 캔 본체(21) 상부면(22)의 따개(23)를 가능한 일측 가장자리로 치우친 위치에 구성하여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를 가능한 남김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등록의 음료수 캔은 원터치방식의 따개를 개방하는 순간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내용물이 브라켓트의 상부공간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마시는 도중에도 일부 음료수가 입주위로 흘림이 없이 깨끗하게 마실 수 있고 또한 입술을 따개 주위에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이고도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의 음료수 캔은 따개(23) 및 스트로우(24)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가장자리로 치우쳐져 있는데 상부면(22) 및 브라켓트(25)와 캔 본체(21)와의 결합구조 때문에 완전히 가장자리로 치우치게 할 수 없고 어느 정도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도록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음용시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를 어느 정도는 남길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따개(23) 및 스트로우(24)가 일측 가장자리로 치우쳐져 있으므로 따개(23)에 연결된 손잡이(26) 및 리벳축(27)이 상부면(22) 및 브라켓트(25)와 캔 본체(21)를 결합시키는 제조공정에서 작업상의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음용시 보다 편리하고 남김없이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한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캔 본체의 상부면에 구성된 따개의 하부에 위치하여 따개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저절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가 구성되어 있는 스트로우와, 캔 본체의 상부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의 하부가 고정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캔 본체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를 갖는 브라켓트가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따개는 캔 본체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의 개구부는 따개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트 밑면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밑면부는 개구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낮게 되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브라켓트 밑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원터치방식의 따개가 구성된 일반적인 음료수 캔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음료수 캔 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음료수 캔의 단면도,
도 5a는 종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6a는 종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다른 예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종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다른 예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료수 캔 2: 캔 본체
3: 상부면 4: 따개
4a: 노취선 5: 리벳축
6: 손잡이
10: 음료수 캔 11: 손잡이
12: 따개 12a: 노취선
13: 브라켓트 13a: 밑면부
14: 스트로우 14a: 플랜지
20: 음료수 캔 21: 캔 본체
22: 상부면 23: 따개
24: 스트로우 24a, 24a': 덮개
24aa: 삽입부 24ab: 플랜지
24a'a: 노취선 24b: 연결부
24ba: 환형 홈
25: 브라켓트 25a: 밑면부
25b: 개구부 26: 손잡이
27: 리벳축
30: 음료수 캔 31: 캔 본체
32: 상부면 33: 따개
34: 스트로우 34a, 34a': 덮개
34aa: 삽입부 34ab: 플랜지
34a'a: 노취선 34b: 연결부
34ba: 환형 홈
34c: 링 34d: 끈
35: 브라켓트 35a: 밑면부
35b: 개구부 36: 손잡이
37: 리벳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10a는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한 구성요소인 스트로우의 다른 예의 덮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스트로우의 덮개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로우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수 캔(30)은 캔 본체(31)의 상부면(32)에 구성되어 있고 손잡이(36)가 연결된 따개(33)의 하부에 위치하여 따개(33)를 개방할 경우 내부로부터 저절로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34a)가 구성되어 있는 스트로우(34)와, 캔 본체(31)의 상부면(32)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스트로우(34)의 하부가 고정되는 개구부(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캔 본체(3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35a)를 갖는 브라켓트(35)가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30)은 상기 따개(33)가 캔 본체(31)의 상부면(32)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35)의 개구부(35b)가 따개(33)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트 밑면부(35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밑면부(35a)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낮게 되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우(34)가 상기 브라켓트 밑면부(35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5b)에 고정되어 있다.
따개(33)는 종래와 같이 상부면(32)에 형성된 노취선에 의하여 절취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음료수 캔(30)은 따개(33), 손잡이(36) 및 리벳축(37)이 캔 본체(31) 상부면(32) 중앙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상부면(32) 및 브라켓트(35)와 캔 본체(31)를 결합하는 공정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로우(34)는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트로우(34)의 본체외부에 링(34c)을 설치하고 그 링(34b)과 덮개(34a)사이에 끈(34c)이 연결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스트로우(34)는 덮개(34a)가 스트로우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4aa)와, 상기 삽입부(34aa)의 상단에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4a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스트로우(34)는 덮개(34a')가 스트로우 상단면을 폐쇄시키고 그 상부 측면에 노취(notch)선(34a'a)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음용시 덮개(34a')를 잡아당겨 스트로우(34)로부터 제거하여 음용한다.
스트로우(34)의 하부에는 종래와 같이 브라켓트(35)의 개구부(35b)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개구부(35b)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측면에 환형 홈(34ba)이 형성된 연결부(34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34b)의 환형 홈(34ba)을 용이하게 브라켓트(35)의 밑면부(35a)의 개구부에 끼우기 위하여 그 연결부(34b)의 하단은 브라켓트(35)의 개구부(35b)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스토로우(34)의 길이는 다소 길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음용수 캔은 음용시 리벳축(37)에 의하여 따개(33)와 연결된 손잡이(36)를 잡아 당겨 따개(33)를 제거하면 스트로우(34)는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덮개(34a)(34a')를 제거하여 음료수를 마시는데 음료수를 거의 마신 경우에는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 캔(30)이 180°회전한 수직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트로우(34)가 자연스럽게 굴곡되므로 음용자가 음료수를 마시는데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으며 또한 브라켓트(35)의 밑면부(35a)가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마지막 남은 음료수가 중앙으로 모여 음료수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다.
그리고 스트로우(34)의 덮개(34a)(34a')는 끈(34c)의하여 그 본체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된 후 폐기되지 않고 있다가 음료수 캔(30) 전체와 함께 폐기되므로 덮개(34a)만을 아무 곳에나 폐기하여 환경을 더럽히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음료수를 일부만 먹고 나머지 일부는 남겨 놓을 경우 덮개(34a)(34a')를 다시 닫아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수 캔은 원터치방식의 따개를 개방하는 순간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내용물이 브라켓트의 상부공간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마시는 도중에도 일부 음료수가 입주위로 흘림이 없이 깨끗하게 마실 수 있고 또한 입술을 따개 주위에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이고도 편리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되고, 내부의 음료수를 편리하고 남김없이 마실 수 있으며, 스트로우 덮개만을 폐기할 수 없게 하여 환경을 더럽히는 일이 일어나지 않으며 음료수 일부를 남겨 놓을 경우 다시 덮개를 닫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

Claims (2)

  1. 캔 본체(31)의 상부면(32)에 구성되어 있고 손잡이(36)가 연결된 따개(33)의 하부에 위치하여 따개(33)를 개방할 경우 저절로 내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에 개방가능한 덮개(34a)(34a')가 구성되어 있는 스트로우(34)와, 상기 캔 본체(31)의 상부면(32)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스트로우(34)의 하부가 고정되는 개구부(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캔 본체(3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밑면부(35a)를 갖는 브라켓트(35)가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따개(33)가 캔 본체(31)의 상부면(32)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우(34)의 하부가 고정되는 상기 브라켓트(35)의 개구부(35b)가 따개(33)의 하부 위치의 브라켓트 밑면부(35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밑면부(35a)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낮게 되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34)의 본체외부에 링(34c)이 설치되어 있고 그 링(34c)과 덮개(34a)사이에 끈(34d)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KR2020020017129U 2002-06-04 2002-06-04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289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29U KR200289155Y1 (ko) 2002-06-04 2002-06-04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29U KR200289155Y1 (ko) 2002-06-04 2002-06-04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55Y1 true KR200289155Y1 (ko) 2002-09-13

Family

ID=7312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29U KR200289155Y1 (ko) 2002-06-04 2002-06-04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42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pop-up drinking straw
US5381924A (en) Non-spill drinking vessel
US7059490B2 (en) Beverage can lid with articulated neck
US6079588A (en) Resealable container cover
US8672163B2 (en) Reinforced paper lid
US20030222083A1 (en) Top for mounting on a container
CA2332611A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EP3598925B1 (en) One-piece drink-through cup lid with a straw section
US7392916B1 (en) Retractable straw for drinking containers
JP2007030984A (ja) 飲み口付き蓋体
US20070187410A1 (en) Hygienic beverage can lid
US20080073415A1 (en) Cap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289155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179959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169033Y1 (ko) 캔 결합체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KR200231432Y1 (ko)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JP2001315828A (ja) 飲料缶用キャップ
KR200362564Y1 (ko)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용기
KR200367252Y1 (ko) 스트로우가 결합된 음료용 캔
KR19980087780A (ko) 위생적인 출수관을 가진 음료수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