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432Y1 -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432Y1
KR200231432Y1 KR2020010006062U KR20010006062U KR200231432Y1 KR 200231432 Y1 KR200231432 Y1 KR 200231432Y1 KR 2020010006062 U KR2020010006062 U KR 2020010006062U KR 20010006062 U KR20010006062 U KR 20010006062U KR 200231432 Y1 KR200231432 Y1 KR 200231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abel
container
container bod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2020010006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43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필요에 따라 분리가능하도록 컵이 제공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에 관한것으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0)의 외표면에 라벨지(20)가 부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20)의 내측에 박형의 컵(30)을 개재하되, 컵(30) 상단에 제공된 부착고리(32)를 라벨지(20)에 점착시켜 컵(30)을 고정하여 음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BOTTLE WITH PAPER CUP}
본 고안은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표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컵을 제공하여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수 있도록 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 내용물을 컵에 따라서 마시게 되는데, 구입 즉시 마시고자 할때에는 컵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대용량의 음료용기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용기본체의 표면에 컵을 부가하여 일체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용기본체 12 : 뚜껑
20 : 라벨지 30 : 컵
32 : 부착편 34 : 개방단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의 외표면에 라벨지가 부착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의 내측에 박형의 컵을 개재하되, 컵 상단에 제공된 부착고리를 라벨지에 접착시켜 컵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컵은 상기 라벨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라벨지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먼지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컵은 출입구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 또한, 출입구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더욱 위생적인 측면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0)가 도시된다. 이 용기본체(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뚜껑(12)에 의해 개폐되며, 외표면에 상표명, 제조회사 등의 표시를 위한 라벨지(20)가 부착된다.
상기 라벨지(20)와 용기본체(10)의 표면사이에는 컵(30)이 개재되어 있다. 컵(30)은 박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사용시에 출입구를 확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컵(30)의 상단에는 부착고리(3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고리(32)는 적어도 상기 라벨지(20)의 상부로 노출되고 외측으로 접혀져 라벨지(2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부착고리(32)는 컵(30)이 라벨지(20)와 용기본체(10)의 표면 사이에서 유동 및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게 되는 것으로, 라벨지(20)에 붙는 접착력은 필요시에 라벨지(20)로부터 손쉽게 떼어낼수 있는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30)은 용기본체(10)와 라벨지(20) 어디에도 부착되지 않고 단지 부착고리(32)에 의해서만 라벨지(20)에 고정된다. 다시말해 부착고리(32)를 제거하면 컵(30)은 라벨지(20)와 용기본체(10)사이에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컵(30)은 용기본체(10)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상기 컵(30)은 라벨지(20)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라벨지(20)의 높이보다 작게 구성된다.
상기 컵(30)은 출입구(34)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실제 컵(30)의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고리(3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출입구(34)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는 라벨지(20)로부터 부착고리(32)를 떼어내면 컵(30)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착고리(32)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컵(30)은 라벨지(20)와 용기본체(10)사이를 빠져나오게된다. 따라서, 컵(30)은 도 2와 같이 출입구(34)를 확장하여 컵(30)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음료의 구입 즉시 또는 컵이 갖추어지지 않은 장소에서 손쉽게 음료를 마실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는 용기본체의 외표면에 필요에 따라 분리가능한 컵을 제공하여 음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0)의 외표면에 라벨지(20)가 부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20)의 내측에 박형의 컵(30)을 개재하되, 컵(30) 상단에 제공된 부착고리(32)를 라벨지(20)에 점착시켜 컵(30)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30)은 상기 라벨지(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라벨지(20)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컵(30)은 출입구(34)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KR2020010006062U 2001-03-07 2001-03-07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KR200231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62U KR200231432Y1 (ko) 2001-03-07 2001-03-07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62U KR200231432Y1 (ko) 2001-03-07 2001-03-07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432Y1 true KR200231432Y1 (ko) 2001-07-19

Family

ID=7309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62U KR200231432Y1 (ko) 2001-03-07 2001-03-07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4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66B1 (ko) * 2010-04-14 2012-07-09 이남수 간이 컵이 포함된 용기
KR20220009043A (ko) 2020-07-15 2022-01-24 박상수 종이컵이 포함된 음료 용기 라벨지와 음료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66B1 (ko) * 2010-04-14 2012-07-09 이남수 간이 컵이 포함된 용기
KR20220009043A (ko) 2020-07-15 2022-01-24 박상수 종이컵이 포함된 음료 용기 라벨지와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403B1 (en) Beverage container
US6494332B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US5381924A (en) Non-spill drinking vessel
US5503296A (en) Liquid container and novelty articles
US8006854B2 (en) Container
US7392916B1 (en) Retractable straw for drinking containers
JPH02121606A (ja) 飲料缶より直接液体を飲むための装置
US20200339313A1 (en) Plug for beverage cup lid
US20080073415A1 (en) Cap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US4615457A (en) Disposable combination lid and straw for containers
WO1991007125A1 (en) Drinking device
US20080061025A1 (en) Handle for a bottle
US20090045206A1 (en) Disposable non-spillable childs dispensing cup
KR200231432Y1 (ko)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BG6342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или други течности със сгъваем накрайник
PL191792B1 (pl) Pojemnik do picia jednorazowego użytku, zwłaszcza dla niemowląt
US6305584B1 (en) Dispensing cover assembly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JP2005138901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JP2001097389A (ja) キャップ付き飲料容器
JPH03256861A (ja) 飲料用容器
KR200267944Y1 (ko) 종이팩 용기
WO2004069673A1 (en) A container
WO2000046123A1 (en) Pull-off open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with pop-up str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