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60U -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 Google Patents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60U
KR19990022160U KR2019990003681U KR19990003681U KR19990022160U KR 19990022160 U KR19990022160 U KR 19990022160U KR 2019990003681 U KR2019990003681 U KR 2019990003681U KR 19990003681 U KR19990003681 U KR 19990003681U KR 19990022160 U KR19990022160 U KR 19990022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ortion
synthetic resin
spou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유운
Original Assignee
태유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유운 filed Critical 태유운
Priority to KR201999000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160U/ko
Publication of KR19990022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4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합성수지 용기의 수거시 여러 겹으로 접어 그 부피를 현저하게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몸체에 주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수집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뚜껑(12)이 결합되는 주둥이부(10)와, 중앙의 몸통부(30), 및 상기 몸통부(30)를 지지하는 받침부(5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측 주둥이부(10)가 용기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주둥이부(10)와 몸통부(30) 사이에 다단의 제 1 주름부(20)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둥이부(10)와 제 1 주름부(20)로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30) 하부에, 상기 받침부(50)와 연결되는 제 2 주름부(40)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Synthetic Resin Vessel Being able to be Reduced on Gathering for Regeneration }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용기의 몸체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여러 겹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수집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재활용을 위한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P.P(Propylene & 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용기는, 그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간장용기나 음료수용기 또는 세제 용기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합성수지 용기는 내용물이 사용된 후, 수거하여 재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재활용은 한정된 지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 용기는, 내용물이 사용된 후에도 최초의 큰 부피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가정에서 분리 수거를 위한 보관이 몹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빈 용지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됨으로써, 온전한 수거가 어렵게 되어 재활용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큰 부피를 갖은 상태로 수거된 합성수지 용기는 재활용을 위한 운송 및 하역 작업시 많은 장비와 인력이 소요되므로 재활용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 용기의 수거시 여러 겹으로 접어 그 부피를 현저하게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몸체에 주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수집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1차 압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최종 압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둥이부, 12:뚜껑, 20:제 1 주름부, 21,41:연결편, 22,42:주름, 30:몸통부, 40:제 2 주름부, 50:받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이 결합되는 주둥이부와, 중앙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측 주둥이부가 용기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주둥이부와 몸체부 사이에 다단의 제 1 주름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둥이부와 제 1 주름부로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 하부에,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제 2 주름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주름부가 하부로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몸통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름부는,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몸통부로 각각 삽입되는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받침부가 상호 간섭없이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용기는, 주둥이부(10), 제 1 주름부(20), 몸통부(30), 제 2 주름부(40) 및 받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둥이부(10)는 뚜껑(12)이 결합되는 용기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통부(30)는 용기의 중앙부를 구성하며, 상기 받침부(50)는 용기의 하부를 구성하여 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주름부(20)는, 상기 주둥이부(10)와 몸통부(30) 사이에 연결되며, 다단의 주름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 1 주름부(20)는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주름부(20)에 의하여 상기 주둥이부(10)가 상기 몸통부(30)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주름부(20)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용기 외측으로 향하게 되는 다수의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둥이부(10)가 상기 몸통부(3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각 계단(22)의 벽측(22b)이 그에 인접한 수평측(22a)과 각각 70∼80℃ 정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주름부(40), 상기 몸통부(30)와 받침부(50) 사이에 연결되며, 다단의 주름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 2 주름부(4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2 주름부(40)에 의하여 상기 몸통부(30)가 상기 받침부(50)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주름부(40)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용기 중심을 향하게 되는 다수의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받침부(50)가 상기 몸통부(30) 내측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각 계단(42)의 벽측(42b)이 그에 인접한 수평측(42a)과 각각 70∼80℃ 정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 1, 제 2 주름부(20)(40)에 의하여, 상기 주둥이부(10)와 상기 받침부(50)가 상기 몸통부(30)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주둥이부(10)와 받침부(50)가 각각 상기 몸통부(3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주름부(20)의 상향 경사각이 상기 제 2 주름부(40)의 하향 경사각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통부(30) 내측에 삽입된 주둥이부(10)와 받침부(50)가 상호 간섭없이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주름부(20)(40)중 상기 몸통부(30)에 인접한 첫번째 주름이, 각각 상기 몸통부(30) 내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용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편(21)(41)에 의하여 몸통부(30) 상하 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주둥이부(10)와 받침부(50)의 접힘동작시, 그 초기 동작이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수행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 용기의 수거시 압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용기 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상기 주둥이부(10)를 잡고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몸통부(30) 상단의 연결편(21)이 몸통부(30) 내측으로 접힘과 동시에, 상기 제 1 주름부(20)가 뒤집어지면서 몸통부(30)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둥이부(10)가 상기 몸통부(30) 내측, 즉 뒤집어진 제 1 주름부(2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몸통부(30) 하단의 연결편(41)이 몸통부(30) 내측으로 접힘과 동시에, 상기 제 2 주름부(40)가 뒤집어지면서 몸통부(30)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50)가 상기 몸통부(30) 내측, 즉, 뒤집어진 제 2 주름부(4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주름부(40)의 경사각이 상기 제 1 주름부(20)의 경사각보다 작게 구성됨으로써, 뒤집혀진 제 2 주름부(40)와 받침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 1 주름부(20)와 몸통부(30) 사이에 끼는 형태로 삽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는 최외측의 몸통부(3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 2 주름부(40), 받침부(50), 제 1 주름부(20) 및 주둥이부(10)가 차례로 겹쳐진 상태, 즉 5겹으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주둥이부(10), 제 1 주름부(20), 몸통부(30), 제 2 주름부(40) 및 받침부(50)를 각각 동일한 길이로 구성할 경우, 약 1/5 정도의 부피로 압축된 부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주름부(40)가 하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제 2 주름부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받침부가 상기 몸통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빈 용기의 압축시에는, 상기 제 2 주름부와 함께 상기 몸통부가 상기 받침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최외측의 받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제 2 주름부, 몸통부, 제 1 주름부 및 주둥이부가 차례로 겹쳐지는 형태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1/5 정도의 부피로 용기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몸통부의 상하측에 한 쌍의 주름부(20)(40)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용기의 중앙부에 일련의 주름부만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용기는 주둥이부, 주름부 및 받침부가 각각 동일한 길이로서 하나의 용기를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의 내용물을 이용한 후에는, 초기 부피의 1/3의 정도의 크기로 압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용기의 제작시,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용기 각 부의 두께를 적당하게 조절함으로써,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면서도, 내용물이 사용된 후에는 주름부가 용이하게 뒤집어지면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즉, 경도가 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작시에는 상기 주름부(20)(40)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구성시킴으로써 주름부(20)(40)가 용이하게 뒤집혀질 수 있도록 하며, 경도가 작은 PE(Propylene) 수지를 이용한 용기의 제작시에는 용기 중앙을 구성하는 몸통부(30)에 요철부를 겹층시키는 등으로 몸통부(30)의 경도를 보강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에 의하여, 상기 용기의 수거시, 여러 겹으로 접어서 현저하게 작은 크기로 압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가정에서의 수집 및 보관이 용이해 질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의 수거 작업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재활용을 위한 용기의 수거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가 작은 크기로 압축된 상태로 수거됨으로써, 재활용을 위한 운송 및 하역작업에 소요되는 장비 및 인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재활용 처리비용을 현저하게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압축이 불가능한 종래 1.5리터 음료용기의 경우, 수거 작업시 하나의 80㎏용 자루에 36개 정도밖에 넣을 수 없는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용기를 압축할 경우 하나의 80㎏용 자루에 120개 이상을 넣을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의 수거작업 및 운송이 현저하게 간단해지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빈 합성수지 용기를 가정에서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기 위하여 보관할 경우, 용기를 작은 크기로 축소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빈 용기의 보관을 위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또한, 생산된 빈 용기를 내용물 투입공장으로 운송 시에도, 작은 크기로 압축한 상태로 운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동일한 적재차량을 이용하여 종래보다 더 많은 수의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뚜껑이 결합되는 주둥이부와, 중앙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측 주둥이부가 용기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주둥이부와 몸체부 사이에 다단의 제 1 주름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주둥이부와 제 1 주름부로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 하부에,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제 2 주름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름부가 하부로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몸통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름부가 하부로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통부가 상기 받침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주름부는,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몸통부로 각각 삽입되는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받침부가 상호 간섭없이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름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직경의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형상의 주름들중 상기 몸통부에 인접한 첫번째 주름은, 각각 상기 몸통부 내면과 예각을 이루는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수거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
KR2019990003681U 1999-03-09 1999-03-09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KR199900221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81U KR19990022160U (ko) 1999-03-09 1999-03-09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81U KR19990022160U (ko) 1999-03-09 1999-03-09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60U true KR19990022160U (ko) 1999-06-25

Family

ID=5475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681U KR19990022160U (ko) 1999-03-09 1999-03-09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16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367A (ko) * 2002-12-10 2004-06-16 정인철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101107377B1 (ko) * 2004-02-17 2012-03-07 이선희 저부로 접철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367A (ko) * 2002-12-10 2004-06-16 정인철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101107377B1 (ko) * 2004-02-17 2012-03-07 이선희 저부로 접철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808A (en) Foldable bottle
CN1812916B (zh) 箱中衬袋(bib)
US5002194A (en) Fold up wire frame containing a plastic bottle
US4930661A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CN101041388B (zh) 用于装入粉体类的包装袋
KR20030023882A (ko) 용기
US20110168598A1 (en) Collapsible crate
CA2067871A1 (en) Folding container
JPS649153A (en) Foldable container and unloading method of freight to said container
US4764029A (en) Disposable and collapsible trash receptacle
EP2219957A1 (en) Collapsible crate
KR19990022160U (ko)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KR200223746Y1 (ko) 접히는 페트병
GB2300622A (en) Collapsible containers
US4322013A (en) Breakdown container
EP1586437A1 (en) Longitudinally expandable plastic bott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059364A (ja) 組立式箱体
JP3860376B2 (ja)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CN109264170A (zh) 一种带rfid芯片的智能端口型内衬袋及其折叠方法
CN214525039U (zh) 一种折叠式陈列箱
JP3268313B2 (ja) 減容廃棄処分用ボトル
AU2009217459A1 (en) Stacking unit
CN213974914U (zh) 一种可拆卸式通用塑料包装盒
CN209921827U (zh) 一种可折叠周转容器
CN213620918U (zh) 一种新型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