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701Y1 -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701Y1
KR200228701Y1 KR2020000028129U KR20000028129U KR200228701Y1 KR 200228701 Y1 KR200228701 Y1 KR 200228701Y1 KR 2020000028129 U KR2020000028129 U KR 2020000028129U KR 20000028129 U KR20000028129 U KR 20000028129U KR 200228701 Y1 KR200228701 Y1 KR 200228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cup
doub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해
Original Assignee
권경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해 filed Critical 권경해
Priority to KR202000002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70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보관용 병을 사용할 때 느껴지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을 사용할 때 느껴지는 불편함은 마개가 작아서 주로 엄지와 검지의 힘으로 돌려서 열어야 하는 것과 컵을 준비하지 못한 곳에서 여러 사람이 음료를 나눠 마실 경우 컵이 없어서 입으로 병의 입구를 감싸고 마셔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병의 마개와 컵이 일체가 되도록 고안해서 마개의 기능과 컵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고, 컵의 바닥 부분이 큰 마개의 역할을 해서 손바닥과 모든 손가락의 힘으로 수월하게 병의 마개를 돌려서 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새로운 기능은 하나의 PET 병에 다른 종류의 상품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가운데에 막이 있는 프리폼을 양쪽에서 블로잉하거나, 분리 제작된 상부와 하부용 PET 병의 납작한 바닥면을 저온에서 단시간에 경화되고 무공해인 UV 경화형 아크릴접착제(TGA) 또는 우레탄, 핫멜트(폴리마이드계) 접착제 등 적절한 본드로 붙여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PET 병에 두개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Cork Cup and Partial Storage Device of Bottle for Beverage}
본 고안은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상 합성수지재로 성형 되는 비교적 큰 음료수 용기 통체에 분할면을 두어 2 중 구조의 통체로 형성하여 마개의 기능과 더불어 캡으로 겸용될 수 있도록 한 음료수 병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수 병에 있어서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의 통체(1) 상부에 병목 개구부(2)를 형성하고, 그 둘레에는 숫나사(3)를 형성하며, 외측에 체결되는 캡(4)의 내면에는 암나사(5)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들의 결합부 하단 둘레에는 돌출 환테(6)를 형성하여 캡의 체결 완료 스토퍼 기능과 더불어 이동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던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병은 컵이 준비되지 못한 곳에서 여러사람이 음료를 마실 경우 입으로 병의 입구를 감싸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과 캡이 작아서 돌려 열 때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여 열어야 하기 때문에 잘 열리지 않아 힘이 들게 되며, 병 통체가 일체형으로 단일화 되어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분리 저장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 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 성형 되는 음료수 병에 있어서의 통체 구조를 단일 또는 상, 하가 분리된 2 중 통체 구조로 하여 단일의 내용물 또는 서로 다른 이종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캡의 구조를 내측 캡과 외측 캡의 2 중 구조로 하여 내측 캡은 종래와 같은 본래의 캡 기능을 갖도록 하고, 외측 캡은 컵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캡을 열었을 때 컵으로 대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레져 활동이나 관광, 여행 등에서 별도로 컵을 준비하는 불편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합성수지재 음료수 병의 구조를 부분 단면하여 보인 정면도도 2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부분절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부분절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조립 단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통체 1a, 1b- 2중 통체2- 병목 개구부 3- 숫나사부4- 캡 4a, 4b- 내, 외측 캡5- 암나사부 6- 돌출 환테7- 밀봉 비닐테이프 8- 절취선
통체(1) 상부에 병목 개구부(2)를 형성하고, 그 둘레에는 숫나사(3)를 형성하며, 외측에 체결되는 캡(4)의 내면에는 암나사(5)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들의 결합부 하단 둘레에는 돌출 환테(6)를 형성하여 캡의 체결 완료 스토퍼 기능과 더불어 이동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합성수지재 음료수 병에 있어서, 상기의 캡의 구조를 내측 캡(4a) 외측으로 일체화되게 컵 형태로 형성한 외측 캡(4b)의 하단 둘레 통체(1) 결합부를 밀봉 비닐테이프(7)로 포감하되, 중간부에 절취선(8)을 형성하여 외측 캡(4b)을 손 전체로 잡고 틀어 개방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그리고 하나의 PET 병에 두개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은 2 중 캡의 구조를 갖는 음료수 병을 상, 하 2 중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가운데 막이 있는 프리폼을 양쪽에서 블로잉하여 2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2 중 통체를 만들거나, 바닥을 수평상태로 하여 두쪽으로 분리 형성한 다음 초음파 접착가공에 의하여 일체화 할 수 있으며, 또는 저온에서 단기간에 경화되고 무공해인 UV 경화형 아크릴 접착제(TGA) 또는 우레탄, 핫메트(폴리마이드계) 접착제 등에 의하여 2 중 통체(1a)(1b)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캡의 구조가 2 중 구조로 되어 본래 캡의 고유기능 외에 컵의 기능을 갖게 됨으로써 별도의 컵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종래 엄지와 검지 손가락 만을 이용하여 작은 캡을 개방하던 불편을 해소하고, 크게 형성된 외측 캡(4b)을 손 전체로 잡고 틀어 개방 시키게 되면, 밀봉 비닐테이프(7)의 절취선(8)이 터지면서 분리 됨으로 개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작은 캡을 전체적으로 둘러쌌던 밀봉 비닐테이프를 별도로 벗겨내는 불편 없이 외측 캡(4b)을 개방 시키는 힘에 의하여 분리가 이루어져 캡의 개방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체의 구조가 2 중 분할 구조로 되어 있어 동일한 음료를 일부 마신 후 타측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 하였다가 음용 하기에 용이하며, 특히 서로 다른 이종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성형 되는 음료수 병에 있어서의 통체 구조를 단일 또는 상, 하가 분리된 2 중 통체 구조로 하여 단일의 내용물 또는 서로 다른 이종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캡의 구조를 내측 캡과 외측 캡의 2 중 구조로 하여 내측 캡은 종래와 같은 본래의 캡 기능을 갖도록 하고, 외측 캡은 컵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캡을 열었을 때 컵으로 대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레져 활동이나 관광, 여행 등에서 별도의 컵을 준비하는 불편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체(1) 상부에 병목 개구부(2)를 형성하고, 그 둘레에는 숫나사(3)를 형성하며, 외측에 체결되는 캡(4)의 내면에는 암나사(5)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들의 결합부 하단 둘레에는 돌출 환테(6)를 형성하여 캡의 체결 완결 스토퍼기능과 더불어 이동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합성수지재 음료수 병에 있어서, 상기 캡의 구조를 내측 캡(4a) 외측으로 일체화되게 컵의 형태로 형성한 외측 캡(4b)과 2 중 구조로 일체화 시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측 캡(4b)의 하단 둘레 통체(1) 결합부를 밀봉 비닐 테이프(7)로 포감하되, 중간부에 절취선(8)을 형성하여 외측 캡(4b)을 손 전체로 잡고 틀어 개방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체의 2 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 음료수 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중 캡의 구조를 갖는 음료수 병을 상, 하 2 중 통체(1a)(1b)로 분할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체의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 음료수 병
KR2020000028129U 2000-10-09 2000-10-09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KR200228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29U KR200228701Y1 (ko) 2000-10-09 2000-10-09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29U KR200228701Y1 (ko) 2000-10-09 2000-10-09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535A Division KR20000072821A (ko) 2000-09-29 2000-09-29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701Y1 true KR200228701Y1 (ko) 2001-07-19

Family

ID=7308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129U KR200228701Y1 (ko) 2000-10-09 2000-10-09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7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8B1 (ko) * 2000-11-28 2004-05-10 권경해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8B1 (ko) * 2000-11-28 2004-05-10 권경해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73158A (ja) 胴体の二重分割構造と栓のコップ兼用構造を有する飲料水瓶
WO1999037190A1 (en) Bottle convertible into drinking utensil
US6530493B2 (en) Snap top, easy pouring dispensing cap
CN104136340A (zh) 具有带有标签形成延伸部分的盖子部件的液体盛装瓶
US20080197101A1 (en) Screw Top Closures
JP5059979B1 (ja) 容量可変容器
KR200228701Y1 (ko)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221669Y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270743Y1 (ko) 캐릭터가 설치된 음료수용 페트병의 뚜껑따개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100558748B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KR200200588Y1 (ko) 열기 쉬운 pet 병마개
CN201071124Y (zh) 一种新型饮料包装瓶
KR200182992Y1 (ko) 컵 겸용 병뚜껑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200259295Y1 (ko)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한 병뚜껑
KR200397840Y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KR200350442Y1 (ko) 페트병
JP2004106898A (ja) ボトル用表示具
KR200285751Y1 (ko)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KR200337491Y1 (ko) 페트병 뚜껑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KR200174393Y1 (ko) 캔의 스트로 개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