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907B1 -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907B1
KR100828907B1 KR1020070019103A KR20070019103A KR100828907B1 KR 100828907 B1 KR100828907 B1 KR 100828907B1 KR 1020070019103 A KR1020070019103 A KR 1020070019103A KR 20070019103 A KR20070019103 A KR 20070019103A KR 100828907 B1 KR100828907 B1 KR 10082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lid
integrally
packing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07001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65D43/025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에 의해서 다수 부품의 결합에 의해서가 아닌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위한 마개수단을 회전 개폐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배출관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일체형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 용기뚜껑에 있어서, 평판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어서 용기(10)의 내주면(10a)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20),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배출관(114), 상기 공기배출관(114)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116) 및 상기 손잡이(116)에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을 여닫는 작동마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용기, 뚜껑, 밀폐, 일체화, 회전 개폐식, 적층

Description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One Body-type Air tight Container Lid for Seal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 용기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용기 상방에 위치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작동마개가 열린 경우의 용기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뚜껑이 용기에 삽입되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해서 용기뚜껑이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뚜껑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12 ; 패킹걸림리브
114 ; 공기배출관 116 ; 손잡이
117 ; 작동절곡부 118 ; 작동마개
118a; 덮개부 118b; 삽입부
120 ; 패킹 120a; 걸림홈
130 ; 적층대 116a; 리브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뚜껑을 다수 부품의 결합에 의해서가 아닌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위한 마개수단을 회전 개폐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배출관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일체형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밀폐형 용기뚜껑이 개발되어 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07042호에 의해서 개시된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7042호에 의한 기술인 "뚫음 및 밀폐겸용 분실방지 기능의 공기개폐마개를 가진 밀폐형 음식물 보관용기"는 그 등록공보에 잘 나타나 있으므로 그 구조 및 작용 관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 용기뚜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뚫음 및 밀폐겸용 분실방지 기능의 공기개폐마개를 가진 밀폐형 음식물 보관용기"의 경우 용기 뚜껑은, 밀폐덮개(8)와 누름판(2)과 실링을 유지하기 위한 2개의 패킹(5,9) 등의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덮개(8)에는 연결줄(11)과 공기개폐마개(10)와 끼움봉(14) 등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부품이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용기 뚜껑은 별도의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품(즉, 부품)에 대한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였고, 그 결과 제품 원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별도의 금형에 의해서 제작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공수가 많아지고 동시에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서 제품 코스트가 매우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에 의한 밀폐 용기뚜껑은 비록 패킹(9)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고 있지만, 2 개의 부품인 밀폐덮개(8)와 누름판(2) 사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셋째, 종래기술에 의한 밀폐 용기뚜껑은 용기 내부에 들어가서 위치한 밀폐덮개(8) 또는 누름판(2)을 빼내기 위한 동작이 번거롭고, 또한 그 동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종래기술에 의한 밀폐 용기뚜껑은 공기개폐마개(10)를 위로 뽑아 올려서 열어야 했고, 닫을 경우에도 공기개폐구멍(6)에 조준을 한 상태에서 닫아야 했기 때문에 여닫는 동작이 매우 불편하였고 여간 성가신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목적은,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뚜껑을 다수 부품의 결합에 의해서가 아닌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다른 목적은, 용기뚜껑 자체를 하나의 일체로 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완벽한 기밀 유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밀폐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위한 마개수단을 회전 개폐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배출관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용기뚜껑에 구성함으로써 용기뚜껑을 용기에 넣거나 빼낼 경우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뚜껑에 평판 형상의 손잡이와 한 쌍의 적층대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뚜껑 위에 용기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 용기뚜껑에 있어서, 평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서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상기 몸체의 일 측에서 상기 몸체에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에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을 여닫는 작동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패킹걸림리브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패킹걸림리브에 걸림 체결되도록 내부에 걸림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상기 작동마개는 상기 손잡이에 작동절곡부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상기 작동마개는, 상기 작동절곡부에 의해서 손잡이에 연결되는 박형의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서 내향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에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의 단면과 동일 단면 형상인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상기 몸체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 상기 손잡이와 같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적층대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상기 손잡이(116)와 몸체(110)를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1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둥부(116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용기 상방에 위치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서 작동마개가 열린 경우의 용기뚜껑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뚜껑이 용기에 삽입되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의해서 용기뚜껑이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뚜껑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100)은 평판상의 몸체(110)와 패킹걸림리브(112)와 패킹(120)과 공기배출관(114)과 손잡이(116)와 기둥부(116a)와 한 쌍의 적층대(130)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걸림리브(112)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연에 몸체(110)에 대하여 상하 수직으로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패킹(120)을 걸림 체결한다.
상기 패킹(120)은 상기 패킹걸림리브(12)에 걸림 체결되도록 내부에 걸림홈(120a)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며, 용기(10)의 내주면(10a)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공기배출관(114)은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공기배출관(114)은 원통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116)는 상기 공기배출관(114)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작동마개(118)를 지지 또 는 홀딩(holding)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손잡이(116)는 사용자가 용기뚜껑(100)을 파지할 때 즉, 용기뚜껑(100)을 용기(10) 내부로 넣을 경우나 용기(10)로부터 빼낼 경우 파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손가락을 손잡이(116)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지가 더욱 용이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16)는 넓이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중앙 적층대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손잡이(116)의 형상이 'ㄱ'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작동마개(118)를 지지하여 위치를 잡아주거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경우 또는 적층 역할을 하는 경우라면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둥부(116a)는 상기 손잡이(116)와 몸체(110)를 연결하여 손잡이(116)가 적층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상기 손잡이(1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즉, 받쳐주며), 또한 손잡이(116)가 파지 기능을 더욱 더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손잡이(116)를 더욱 견고하게 몸체(110)에 결합시켜 준다.
상기 작동마개(118)는 작동절곡부(117)를 통해서 상기 손잡이(116)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을 여닫는다.
그리고, 상기 작동마개(118)는 상기 작동절곡부(117)에 의해서 손잡이(116)에 연결되는 박형의 덮개부(118a)와 상기 덮개부(118a)의 하면에서 내향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에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114)의 단면과 동일 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부(118b)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18b)는 예컨대 연질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므로 상기 공기배출관(114)과 완전 밀착되어서 기밀이 더욱 완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층대(130)는 상기 몸체(1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 상기 손잡이(116)와 같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다른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한다.
상기 적층대(130)는 중앙에서 적층역할을 하는 손잡이(116)의 양 쪽에서 부가적 또는 보조적으로 적층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손잡이(116)만 있는 경우에는 적층된 용기가 쓰러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적층대(130)를 부가 구성함으로써 더욱 더 안정적으로 용기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용기뚜껑(100)을 용기(10) 내부로 넣거나 용기(10)로부터 빼낼 경우에 용기뚜껑(100)이 휘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한 쌍의 적층대(130)는 상기와 같이 용기뚜껑(100)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적층대(130)는 적층 기능 외에 용기뚜껑(100)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패킹(120)을 제외한 용기뚜껑은 예컨대 연질플라스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연질플라스틱으로 구현함으로써, 작동마개의 삽입부(118b)가 공기배출관(114)에 원활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절곡부(117)가 원활하게 동작하여 작동마개(118)의 여닫이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의 제조 및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조상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100)은 상기 패킹(120)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패킹을 제외하고 하나의 제조공정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그 후 패킹(120)을 조립함으로써 용기뚜껑(100) 전체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용기(10)에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용기뚜껑(100)을 용기(10) 내부로 삽입하면 패킹(120)이 용기(10) 내주면(10a)에 밀착되면서 용기뚜껑(100)이 용기(10) 내부로 진입한다. 이 때 작동마개(118)는 젖혀져서 공기배출관(114)이 열려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용기뚜껑(100)을 용기(10) 내부로 삽입할 때 종래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가 손잡이(116)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용기(10) 내부로 삽입하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뚜껑(100)이 용기 내부로 삽입 진입되는 과정에서 용기 내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배출관(114)을 통해서 배출되며 공기가 대략 전부 배출되면 작동마개(118)에 손가락 끝으로 외력을 작용하여 공기배출관(114)을 닫는다.
그리고, 용기뚜껑(100)의 용기(10)로의 삽입 진입이 멈추면, 패킹(120)이 그림과 같이 내주면(10a)에 탄성에 의하여 완전 밀착되기 때문에 용기뚜껑(120)이 용기(1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용기뚜껑(100)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16)에 손가락을 걸어서 잡고 빼면 되므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100)이 용기 내부에 삽입 고정되지 않고 용기(100) 상단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손잡이(116)와 적층대(130)를 이용하여 용기(10)를 다단으로 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킹(120)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뚜껑을 다수 부품의 결합에 의해서가 아닌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한 번의 제조공정으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용기뚜껑 자체를 하나의 일체로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다수 부품에 의하여 완성되는 경우와는 달리 더욱 더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용기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위한 마개수단을 회전 개폐식의 작동마개(118)로 구현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배출관(114)를 여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 끝에 의한 작은 힘만 작용하여도 작동마개(118)를 여닫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배출관(114)를 여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용기뚜껑에 손잡이(116)와 한 쌍의 적층대(130)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뚜껑 위에 또 다른 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좁은 면적에 많은 용기를 쌓을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용기뚜껑(100)을 용기(10) 내부로 삽입할 때 종래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가 손잡이(116)를 손으로 파지한 후 용기(10) 내부로 삽입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용기뚜껑(100)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손잡이(116)에 손가락을 걸어 넣어서 잡고 빼면 되므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 용기뚜껑에 있어서:
    평판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어서 용기(10)의 내주면(10a)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20);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배출관(114);
    상기 공기배출관(114)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116); 및
    상기 손잡이(116)에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을 여닫는 작동마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작동마개(118)는 상기 손잡이(116)에 작동절곡부(117)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2. 패킹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 용기뚜껑에 있어서:
    평판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어서 용기(10)의 내주면(10a)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20);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배출관(114);
    상기 공기배출관(114)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116); 및
    상기 손잡이(116)에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을 여닫는 작동마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1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패킹걸림리브(11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패킹(120)은 상기 패킹걸림리브(112)에 걸림 체결되도록 내부에 걸림홈(120a)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마개(118)는 상기 손잡이(116)에 작동절곡부(117)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마개(118)는,
    상기 작동절곡부(117)에 의해서 손잡이(116)에 연결되는 박형의 덮개부(118a); 및
    상기 덮개부(118a)의 하면에서 내향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14)에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114)의 단면과 동일 단면 형상인 삽입부(11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 상기 손잡이(116)와 같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적층대(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 상기 손잡이(116)와 같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적층대(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6)와 몸체(110)를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1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둥부(116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1020070019103A 2007-02-26 2007-02-26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10082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103A KR100828907B1 (ko) 2007-02-26 2007-02-26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103A KR100828907B1 (ko) 2007-02-26 2007-02-26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907B1 true KR100828907B1 (ko) 2008-05-09

Family

ID=3965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103A KR100828907B1 (ko) 2007-02-26 2007-02-26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50Y1 (ko) * 2003-08-27 2004-01-07 홍성철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50Y1 (ko) * 2003-08-27 2004-01-07 홍성철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US11772853B2 (en) 2018-10-25 2023-10-03 Hyunwoo GU Sto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20060124654A1 (en) Sealed food box
RU2007135348A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RU2019106596A (ru) Улучшенные пластиковые корпус емкости, за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емкости и ухват рукоятки для переноски/рычаж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емкости в сборе
KR100828907B1 (ko)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US20140054308A1 (en) Food container
EP3184450B1 (en) Container
KR200408386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433746Y1 (ko) 원터치식 밀폐 용기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20080000507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KR100935641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200449423Y1 (ko)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20110036228A (ko) 의류용 압축보관팩
CN214825497U (zh) 便于取放的储物盒
CN209684345U (zh) 一种高密封性的食品包装盒
KR101927704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KR101828429B1 (ko) 용적 가변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