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223B1 -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 Google Patents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223B1
KR100752223B1 KR1020070062321A KR20070062321A KR100752223B1 KR 100752223 B1 KR100752223 B1 KR 100752223B1 KR 1020070062321 A KR1020070062321 A KR 1020070062321A KR 20070062321 A KR20070062321 A KR 20070062321A KR 100752223 B1 KR100752223 B1 KR 10075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exhaust
sealing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리엔리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리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리엔리하이테크(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한 뚜껑의 밀폐가 용이하고 내용물 보관성능이 뛰어나 과자용기, 반찬용기, 국그릇 , 비이커, 화학용기, 약품용기 등의 다양한 용기의 밀폐뚜껑으로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을 변질 없이 오래 그리고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냉장고 보관시 냄새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목적용 밀폐뚜껑은, 공기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압부와,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와의 밀폐를 위한 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는 돌출 누름부와 상기 돌출 누름부 상면에 절개된 흡배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배기부의 절개면은 선접촉을 이루면서 외부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흡배기부를 향한 배기 통로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본체에는 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과 접하기 위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용기와의 기밀 상태 유지를 위한 밀폐돌기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 또는 본체에 대한 가압에 의해 용기와 본체가 기밀상태가 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밀폐뚜껑, 진공, 밸브, 엘라스토머, 실리콘, 가압, 선접촉

Description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COVER FOR AIRTIGHT CONTAINER}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뚜껑과 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형태의 밀폐뚜껑과 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부 및 밸브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부를 개폐를 도시한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부의 평면도와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밀폐뚜껑 D: 용기
10: 본체 20: 밸브부 30: 가압부
11; 연장부 12: 밀폐돌기 15; 함몰부
21: 돌출 누름부 22: 흡배기부
본 발명은 음식물을 비롯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기존 용기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밀폐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대한 뚜껑의 밀폐가 용이하고 내용물 보관성능이 뛰어나 과자용기, 반찬용기, 국그릇 , 비이커, 화학용기, 약품용기 등의 다양한 용기의 밀폐뚜껑으로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을 변질 없이 오래 그리고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냉장고 보관시 냄새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용기 뚜껑(구체적인 형태에 따라서 캡, 커버 등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으나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은 단순히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밀폐가 안 될 뿐만 아니라 용기를 기울였을 때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므로 장기간 보관시 공기의 유통에 의하여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포장용 랩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포장용 랩은 특정한 용기에 담겨 있는 음식물을 냉장고 등에 넣어서 보관하거나 음식물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생활용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랩은 용기 내에 담겨진 음식물을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밀폐시키기 위해서 여러 겹으로 반복 포장을 해야 하는 것이기에 랩 사용량이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고 또한 여러 겹 반 복하여 음식물을 포장한 것이다 보니 개폐시에는 잘 벗겨지지 않는 등 용이한 개폐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많았다. 더욱이 한 번 사용한 랩은 접착력이 떨어져 재사용이 불가하여 계속 구입해야 함으로써 이 또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 왔으며, 이에 따라 쓰레기 양이 증가하여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 저면 테두리에 실리콘 패킹을 설치하여 뚜껑을 덮을 경우 패킹이 용기의 주연부와 밀착되도록 하여 밀폐시키는 뚜껑이 있었으나 뚜껑 양쪽에 잠근 장치를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등 구조적으로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많이 소개되고 있는 밀폐용기들 대부분은 용기와 뚜껑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용기를 사용할 수 없고 용기와 뚜껑을 하나의 세트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근래에는 진공포장기라는 별도의 진공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용기가 소개되어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식품보관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식품용기 외에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은 것들이다.
상기 종래에 소개되고 있는 식품용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 대한민국 실용 신안등록 제0253320호(2001.10.26)『개폐가 용이한 식품용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0269043호(2002.03.08)『밀/개폐형 밸브구조를 갖는 식품용기』가 있는데, 이는 용기 본체에 덮개를 덮고 체크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를 용기 저면부를 향하여 가압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체크밸브를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 외주연에 패킹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형태의 진공커버와 관련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5863호(2001.08.29)『진공커버』, 몸체에 절첩용 나선테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커버와 관련된 실용신안등록 제0371282호(2002.03.27)『높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커버』, 기밀유지부재(패킹부재)가 커버의 저면과 접하는 안착면에 구비되어 있거나 안착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 본체의 저면 외주연에 구비된 기밀유지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게 요입된 수용부가 형성된 것과 관련된 특정 형태의 패킹수단이 기재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0280872호(2002.06.24)『진공커버』가 있다.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외에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7933호(2004.11.05) 『진공밀폐형 식품용기 뚜껑』, 실용신안등록 제0406663호(2006.01.13)『밀폐용기뚜껑』, 실용신안등록 제0389341호(2005.07.01)『용기의 압축 진공용 밀폐뚜껑』이 있으나,
대부분 밸브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거나 뚜껑과 별도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끼게 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밸브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기술 외에도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153881호 『용기』, 미국특허공보 제5213230호 『페인트 통용 밀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153881호에는 뚜껑 외측으로 설치된 밸브체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밸브체의 구성 및 진공 및 진공해제 작업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바와 같은 간단한 가압작용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 흡인 장치 등을 사용하여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어 구성 및 효과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153881호에는 용기와 접촉하여 기밀상태 유지를 위한 감압부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기능과 작용 효과를 가지는 구성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또한 미국특허공보 제5213230호에는 퍼지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하게 되는 본 발명의 밸브 구성과는 달리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미국특허공보 제5213230호에 개시된 퍼지밸브는 가압에 의하여 용기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브 구성 또한 아니라 할 것이어서 이 또한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밸브 구성과는 실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가정용기 특히 반찬용기에 대한 특정된 구성을 가지는 뚜껑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반찬용기에 한 정되지 않고 냄비, 나아가 화학실에서 사용되는 비이커 등의 화학용기 또는 약품 용기 등의 다양한 용기에 다목적으로 용기와 뚜껑의 크기만 맞다면 바로 적용될 수 있는 뚜껑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밸브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태의 가압부를 형성하여 가압부 또는 본체의 가압에 의하여 용기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쉽게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밀폐력을 증진시킨 밀폐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밀폐용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잠금장치 또는 체결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조이나 기밀성능이 우수한 구조의 밸브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기와 접촉하는 밀폐 돌기를 비롯한 저장공간인 용기 내의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밸브부까지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 후 반복 세척에 있어서도 이물질이 쉽게 끼지 않고 친환경적이고 위생적인 밀폐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목적용 밀폐뚜껑은, 공기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압부와,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와의 밀폐를 위한 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는 돌출 누름부와 상기 돌출 누름부 상면에 절개된 흡배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배기부의 절개면은 선접촉을 이루면서 외부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흡배기부를 향한 배기 통로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는 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과 접하기 위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용기와의 기밀 상태 유지를 위한 밀폐돌기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 또는 본체에 대한 가압에 의해 용기와 본체가 기밀상태가 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돌기는 연장부에서 용기와 접하는 방향으로 상승되는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돌기의 두께는 용기와 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뚜껑(C)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가압에 의한 공기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밸브부(20)와, 상기 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압부와, 그리고 상기 가압부(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D)와의 밀폐를 위한 본체(10)로 이루어지는데, 본체(10) 또는 가압부(30)를 가압함으로서 용기와 본체가 기밀상태가 되어 용기를 밀폐시키게 된다.
즉, 용기 밀폐시 본체(10) 일부분 또는 가압부(30)를 가압하게 됨으로 순간적으로 용기 내부에서 밸브부(20)를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달라지고 특정 구조의 밸브부(20)가 닫혀지면서 밀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10) 일부분 어디를 가압하더라도 밀폐상태를 만들 수 있지만, 편의를 위하여 가압부(30)만을 잡고서 이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용기(D)와 밀폐뚜껑(C)을 결합하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식품 밀폐 용기에서와 같은 밸브부 또는 체결수단(잠금수단) 등에 있어서 복잡한 구성 및 개폐방법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가압방식에 의해서 식품 용기에 대한 밀폐를 가능케하고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중앙 상부에는 즉, 가압부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부(20)는 상기 가압부와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가압부 주변 둘레에는 상기 가압부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20)는 상기 용기(D) 내의 기체 배출 또는 상기 용기(D) 내로의 기체 유입, 또는 이들 모두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부(20)를 포함한 가압부(30)는 상기 본체의 함몰부(15)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어 상기 본체의 상면과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부(20)는 외측으로 꺾이면서 상부가 모아지는 형상의 돌출 누름부(21)와, 상기 돌출 누름부(21) 상면에 절개(incised)된 흡배기부(22)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상기 밸브부의 돌출 누름부(21)의 구성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후부(厚部)(21a)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돌출 누름부(21)에 의해 밸브의 개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후부(厚部)(21a)의 구성으로 인하여 밸브 개방 후 신속하게 상기 흡배기부(22)를 폐쇄시킨다.
도 2a의 확대 도시한 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배기부(22)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것으로 그 절개된 면이 선접촉을 하면서 외부와 폐쇄되어 있으며,
도 2c의 [A]의 평면도 및 [B]의 저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배기부의 절개면은 선접촉을 하면서 직선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밀폐뚜껑(C)을 용기(D)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돌출 누름 부(21)에서 90도 회전시킨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배기부(22)의 양단을 절개방향 즉, 선접촉을 이루는 선과 연장되어 일치되는 방향으로 가압부(30)를 눌러 밸브부(20)의 흡배기부(22)를 개방 공기를 유입시킨 다음 밀폐뚜껑(C)을 용기(D)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밸브부의 흡배기부(22)를 향한 배기통로(22a)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도 2a의 확대된 원 "B" 내(內)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지붕을 구비한 집을 약식으로 표현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데,
상기 상협하광 형상의 배기통로(22a)로 인하여 상기 흡배기부(22) 인접부위의 벽 두께는 보다 두꺼운 후부(厚部)(21a)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의 흡배기부(22)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기 쉽게 되어 있어 밸브 개방 후 복귀시 신속한 맞물림과 강한 교합력을 보장한다.
결국, 상기 상협하광 형상의 배기 통로(22a)는 밸브부의 돌출 누름부(21) 구성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흡배기부(22) 인접부위의 벽 두께가 보다 두꺼운 후부(厚部)(21a)를 형성하게 되는 것은 상기 상협하광 형상의 배기통로(22a)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밸브부(20)의 형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밸브부(20)의 측면 특히, 선접촉을 이루는 부분과 연장된 방향과 일치하여 밸브부 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선접촉되면서 폐쇄되어 있던 흡배기부(22)는 개방된다. 즉, 밸브부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의 흡배기부(22)는 선접촉을 이루면서 공기의 유입이 완벽히 차단되는 형태이고, 가압을 하게 되면 도 2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배기부(22)가 열려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밸브부(20)의 흡배기부(22) 형태가 일자형태로 선접촉을 하면서 폐쇄되어 있고, 상기 밸브부(20)의 내부 전체 형상은 그 단면이 아래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형상을 취하게 되면 어떠한 힘을 가하는 경우라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즉, 선접촉에 의해 형성된 부분이 연장되어 이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만 흡배기부(22)가 열리게 되고 다른 방향으로 측면 가압을 하는 경우에는 개방되지 않는 구조로 되는 것이어서 안정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페뚜껑이 덮혀있는 용기를 이동하는 경우, 돌출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후부(厚部)(21a)가 형성된 가압부를 잡고서 용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진공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에),
이동 후 돌출누름부로부터 90도 회전된 방향인 선접촉을 이루는 흡배기부의 절개면과 연장된 방향으로 일치하는 가압부 측면을 누르면서 용기에 대한 진공을 해제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 주변에는 함몰부(15)가 형성되어 밸브부를 포함한 가압부(30)의 돌출을 방지하고 가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가압부(30)를 측면 또는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손이 쉽게 수용되는 정도 크기의 함몰부(15)를 형성하여 측면 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가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함몰부(15)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압부(30)와 본체(10) 상부 높이가 동일하게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폐뚜껑 상부에 별도의 용기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밸브부 구성에서 벗어나 밀폐뚜껑(C)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a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본체(10)에는 용기의 내면과 접하기 위한 연장부(11)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용기와의 기밀 상태 유지를 위한 밀폐돌기(12)가 더 구비되고,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에는 용기의 외면과 접하기 위한 연장부(11)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용기와의 기밀 상태 유지를 위한 밀폐돌기(12)가 형성된다.
특히, 용기 외면과 접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는 밀폐 뚜껑의 방식은 용기의 상단 개구가 벌어진 밥그릇이나, 용기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연장부 및 밀폐 돌기가 용기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면 내용물이 묻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는 냄비 또는 뚝배기 등의 용기에 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밀폐뚜껑은 먹다 남은 과일 등을 보관할 때에도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장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된 밀폐돌기(12)는 모두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 즉, 용기(D)와 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돌기(12)는 연장부(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평행되게 돌출형성될 수도 있으나 용기와 접하는 방향으로 상승되는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용기에 대한 밀폐력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크기가 조금 차이가 나는 다양한 용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뚜껑은 본체 또는 밸브, 또는 이들 모두는 모두 엘라스토머,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고 내열성이 뛰어난 실리콘고무를 사용하므로
소재 특유의 탄성으로 인하여 용기 내의 공기 배출 및 용기 내로의 공기 흡입을 위한 펌프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밀폐뚜껑(C)은 그 구성부분 즉, 밸브부(20), 가압부(30), 본체(10) 및 연장부(11), 밀폐 돌기(12) 등을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하여 이를 체결함으로써 밀페뚜껑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일체로 형성한다 함은 각 구성을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방식과, 이중사출로 성형하는 방식 모두를 가르킨다.
즉, 각 구성을 별도로 형성하여 체결하는 방식이라면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각 구성의 연결부위에 이입되어 위생상 좋지 못하며, 또한 사용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청소 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실리콘에는 은나노 성분을 함유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실리콘 재질로 뚜껑 등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실리콘에 유기물이 오랜 시간 동안 접촉하게 되면 곰팡이 등의 박테리아 서식이 가능하게 되어 위생성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 성분을 실리콘에 함유시킴으로써 박테리아 등의 세균 서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밀폐뚜껑은 내열성이 강하여 열세척이 가능하고 나아가 식기세척시에도 변형이 전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밀폐뚜껑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있어서, 구현 형태는 상이하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기밀성능이 우수한 형태의 밸브부를 구비하여 가압부 또는 본체 일부분에 대한 가압에 의해 용기와 본체가 용이하게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밀폐가 용이하고 밀폐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밀폐뚜껑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밀폐돌기의 독특한 구성에 의해 용기와의 밀폐력을 보다 증진시키고 크기가 다른 다양한 용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엘라스토머(elastomer), 특히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져 환경호르몬 문제가 전혀 없고, 내열성 또한 뛰어나 마이크로웨이브오븐에 투입하거나 막 조리된 뜨거운 음식을 넣어도 전혀 형상 변화나 밀폐성 저하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유출물 발생 우려 또한 없으며,
밀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장부 및 밀폐돌기까지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심지어는 용기 내의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밸브까지 일체형인 밀폐뚜껑을 제공하여, 종래 밀폐용기와 같이 패킹링과 커버가 결합(접착 또는 억지끼움)된 형태일 경우 링과 커버 틈새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거나 누적되어 지저분해지고 위생 문제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절개된 흡배기부를 통하여 공기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와의 밀폐를 위한 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 유출입을 위한 흡배기부의 절개면은 선접촉을 이루면서 외부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흡배기부를 향한 배기 통로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과 접하기 위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용기와의 기밀 상태 유지를 위한 밀폐돌기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 또는 본체에 대한 가압에 의해 용기와 본체가 기밀상태가 되어 밀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하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부가 모아지는 형상의 돌출 누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기는 연장부에서 용기와 접하는 방향으로 상승되는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기의 두께는 용기와 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주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가압부 높이가 본체 상부 높이와 동일하게 맞추어져 밀폐뚜껑 상부에 타용기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뚜껑은 일체 성형되고,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20070062321A 2006-10-02 2007-06-25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075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7316 2006-10-02
KR1020060097316 2006-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223B1 true KR100752223B1 (ko) 2007-08-27

Family

ID=3861542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96A KR100759487B1 (ko) 2006-10-02 2007-03-28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20070040805A KR100855708B1 (ko) 2006-10-02 2007-04-26 용기 내접형 진공커버
KR1020070040806A KR100855713B1 (ko) 2006-10-02 2007-04-26 진공커버
KR1020070062321A KR100752223B1 (ko) 2006-10-02 2007-06-25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96A KR100759487B1 (ko) 2006-10-02 2007-03-28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20070040805A KR100855708B1 (ko) 2006-10-02 2007-04-26 용기 내접형 진공커버
KR1020070040806A KR100855713B1 (ko) 2006-10-02 2007-04-26 진공커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37071A1 (ko)
EP (1) EP2081848B1 (ko)
JP (1) JP5216775B2 (ko)
KR (4) KR100759487B1 (ko)
CN (1) CN101522541A (ko)
AT (1) ATE523447T1 (ko)
WO (1) WO200804179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07B1 (ko) 2007-07-26 2008-03-18 (주)명문엘씨 날개부를 갖는 패킹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을 갖는 용기
KR101242634B1 (ko) * 2010-12-02 2013-03-19 손진 밀폐용기용 뚜껑
KR101825305B1 (ko) 2016-09-02 2018-02-05 추중휴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KR20180026168A (ko) * 2016-09-02 2018-03-12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KR20180027938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베베락 식품용기 및 식품용기세트
KR20240040150A (ko)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아워홈 트레이 결합 구조
KR20240040149A (ko)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아워홈 밀폐 뚜껑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9582A1 (en) * 2011-02-07 2012-08-09 Cai Edward Z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WO2015179885A2 (en) * 2014-05-23 2015-11-26 Leigh Stephen Andrew A liquid preserver
FR3023463B1 (fr) * 2014-07-11 2017-02-10 Ecodrop Procede de cuisson en depression des aliments, et recipient de cuisson de type marmite ou analogue pour sa mise en oeuvre
KR101737102B1 (ko) * 2016-06-22 2017-05-18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KR101827129B1 (ko) * 2016-07-04 2018-02-07 황상우 진공밀폐 용기
DE102016115950A1 (de) 2016-08-26 2018-03-01 Roland Kittmann Schnappdeckel mit Originalitätssicherheit
KR200489101Y1 (ko) * 2017-08-08 2019-05-02 최영진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늘 다짐기
KR102036504B1 (ko) 2017-08-17 2019-10-25 신예현 실리콘용기와 실리콘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93015A (ko) 2018-01-31 2019-08-08 조상은 결로 방지 반찬 뚜껑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072A (ko) 1974-09-13 1976-03-23 Kunio Akyama
JPS59165347U (ja) 1983-04-21 1984-11-06 橋本 章吾 食品等貯蔵容器
JPH038338U (ko) * 1989-06-09 1991-01-25
JP3065300U (ja) * 1999-06-29 2000-02-02 ハリオグラス株式会社 食品保存容器
JP2002173168A (ja) 2000-12-01 2002-06-18 Seretsuku Kk 食品保存用容器
JP2003246341A (ja) 2002-02-21 2003-09-02 Meita Kasei Kk 樹脂製容器
JP2003335356A (ja) 2002-05-17 2003-11-25 Japan Poorekkusu Kk ゴム製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3622B (de) * 1963-11-18 1969-04-24 Esposito, Vincent John, Wayne, N.Y. (V.St.A.) Lösbarer Verschluß für Flaschen oder sonstige Behälter
DE1672296U (de) * 1966-04-26 1954-02-18 Paul Wentz Verpackungsbehaelter.
US3380610A (en) * 1966-10-13 1968-04-30 Container Corp Snap-on lid for plastic container
US4105133A (en) * 1974-10-23 1978-08-08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ontainer wall with rupturable weakening line
JPS5256220Y2 (ko) * 1975-06-20 1977-12-19
US4165020A (en) * 1978-07-17 1979-08-21 Polysar Resins, Inc. Closures and container assemblies
US4723674A (en) * 1986-10-28 1988-02-09 Nunes Morris A Leveled food preserver storage device container with floating lid
JPH01100731U (ko) * 1987-12-25 1989-07-06
JPH0329759A (ja) * 1989-06-22 1991-02-07 Kato Sangyo Kk 減圧容器
US5213230A (en) 1992-07-09 1993-05-25 Dean Kral Paint can sealer
JPH0977145A (ja) * 1995-09-19 1997-03-25 Hikari Kinzoku Kogyo Kk 食品の二段積み真空密閉保存容器
US5979688A (en) * 1997-02-26 1999-11-09 Container Development, Ltd. Vacuum container with reclosable sealing closure having a vacuum release sealing button
US5944211A (en) * 1997-08-26 1999-08-31 Anchor Hocking Plastics/Plastics Inc. Container system including an air evacuation valve
JP3070008B2 (ja) 1998-11-20 2000-07-24 株式会社アイホー 惣菜用容器
ITMI20032192A1 (it) * 2003-11-13 2005-05-14 Bruno Meroni Membrana di chiusura di recipienti in genere e dispositivo di conservazione di prodotti comprendenti detta membrana.
KR100554354B1 (ko) * 2004-07-27 2006-02-24 (주)씨에스이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0606603B1 (ko) * 2004-07-23 2006-07-28 (주)씨에스이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0599579B1 (ko) * 2004-12-22 2006-07-13 하나코비 주식회사 밀폐 용기 뚜껑
DE202005009608U1 (de) * 2005-06-20 2005-09-01 Ds Produkte Dieter Schwarz Gmbh Überzugverschluss für Behälteröffnunge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072A (ko) 1974-09-13 1976-03-23 Kunio Akyama
JPS59165347U (ja) 1983-04-21 1984-11-06 橋本 章吾 食品等貯蔵容器
JPH038338U (ko) * 1989-06-09 1991-01-25
JP3065300U (ja) * 1999-06-29 2000-02-02 ハリオグラス株式会社 食品保存容器
JP2002173168A (ja) 2000-12-01 2002-06-18 Seretsuku Kk 食品保存用容器
JP2003246341A (ja) 2002-02-21 2003-09-02 Meita Kasei Kk 樹脂製容器
JP2003335356A (ja) 2002-05-17 2003-11-25 Japan Poorekkusu Kk ゴム製蓋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07B1 (ko) 2007-07-26 2008-03-18 (주)명문엘씨 날개부를 갖는 패킹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을 갖는 용기
KR101242634B1 (ko) * 2010-12-02 2013-03-19 손진 밀폐용기용 뚜껑
KR101825305B1 (ko) 2016-09-02 2018-02-05 추중휴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KR20180026168A (ko) * 2016-09-02 2018-03-12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KR101912357B1 (ko) * 2016-09-02 2018-10-26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KR20180027938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베베락 식품용기 및 식품용기세트
KR101954323B1 (ko) * 2016-09-07 2019-03-05 주식회사 베베락 식품용기 및 식품용기세트
KR20240040150A (ko)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아워홈 트레이 결합 구조
KR20240040149A (ko)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아워홈 밀폐 뚜껑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14A (ko) 2008-04-07
EP2081848A4 (en) 2010-05-05
WO2008041791A1 (en) 2008-04-10
ATE523447T1 (de) 2011-09-15
EP2081848A1 (en) 2009-07-29
JP2010505709A (ja) 2010-02-25
US20100237071A1 (en) 2010-09-23
KR100855708B1 (ko) 2008-09-03
KR100855713B1 (ko) 2008-09-03
CN101522541A (zh) 2009-09-02
KR100759487B1 (ko) 2007-09-20
JP5216775B2 (ja) 2013-06-19
KR20080030913A (ko) 2008-04-07
EP2081848B1 (en)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102898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090051001A (ko) 부패 가능 제품을 위한 진공 생성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US8186533B1 (en) Food storage device
JP2012501920A (ja) 食物真空圧縮パックの真空転換装置
CN208233780U (zh) 一种真空储物罐
KR100780813B1 (ko)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20070000578U (ko)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JP2018108832A (ja) 吐出容器
JP2003252393A (ja) 減圧容器
KR200389341Y1 (ko) 용기의 압축 진공용 밀폐뚜껑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060119361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CN216469611U (zh) 一种防漏食物贮存盒
KR200332153Y1 (ko) 진공용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CN208868592U (zh) 一种便捷式真空密封盖和食品罐
JP2014510678A (ja) 鍋、プレート、ボウル類の蓋
KR200334238Y1 (ko) 진공 밀폐형 용기 뚜껑
US20220061613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KR200271740Y1 (ko) 진공 밀폐형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