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08Y1 - 다단식 밀폐형 용기 - Google Patents

다단식 밀폐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608Y1
KR200258608Y1 KR2020010030672U KR20010030672U KR200258608Y1 KR 200258608 Y1 KR200258608 Y1 KR 200258608Y1 KR 2020010030672 U KR2020010030672 U KR 2020010030672U KR 20010030672 U KR20010030672 U KR 20010030672U KR 200258608 Y1 KR200258608 Y1 KR 200258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inlet
lid
vacuum
in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to KR2020010030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0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식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상부에 적층되며, 일측 영역에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적층용기와; 상기 적층용기의 개구를 차단하며,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적층용기를 각각 독립적으로 진공 해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단식 밀폐형 용기{container for vacuum having multi-step type}
본 고안은, 다단식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의 용기를 각각 진공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 나들이 갈 때에는 여러 가지 음식물을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해 찬합이 사용된다. 찬합은 다단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수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 용이하다.
이러한 찬합은 다양한 포장형태를 가지며, 찬합을 각각 별개의 뚜껑을 가진 용기를 단지 세트로 형성하여 보자기나 찬합용 가방에 수용시키는 제품도 있고, 각 용기가 상호 유동하지 아니하도록 적층시키고 각 용기에 운반용 손잡이에 결합되는 돌기를 설치하여 운반시에는 손잡이와 용기가 결합되어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품도 있다.
근래에는 도시락도 찬합의 형태로 밥과 반찬을 다단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찬합과 도시락 등의 용기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여러 가지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더운 여름에 야외에 나갈 경우에는 별도의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냉각시키지 않는 이상 점심때가 되면 음식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선 출원에서, 다단의 찬합을 진공보관 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에 복수의 분리판을 장착하고, 뚜껑에 진공형성용 공기 유출입 밸브를 형성함으로써, 찬합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다단으로 다양한 음식물을 적재시킨 다음 진공상태에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찬합은 용기본체내 전체를 진공형성하고, 진공을 해제할 경우에는 각 분리판에 무관하게 진공이 해제되므로,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진공을 형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영역만 별도로 진공해제 하거나 진공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각 칸의 진공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다단식 밀폐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밀폐형 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공기유출입밸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단식 밀폐형 용기 5 : 뚜껑
8 : 결합리브 15 : 적층용기
15a : 제1적층용기 15b : 제2적층용기
17 : 밸브수용관 20 : 공기 유출입밸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통상의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상부에 적층되며, 일측 영역에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적층용기와; 상기 적층용기의 개구를 차단하며,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는, 상기 뚜껑의 공기 유출입밸브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상기 적층용기의 일측 영역은 상기 뚜껑을 향해 돌출된 관상의 밸브수용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는 상기 밸브수용관의 상기 뚜껑을 향한 단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용기와 상기 뚜껑의 하부면의 연부에는 패킹이 장착됨으로써,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적층용기를 차단하며,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의 연부를 따라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중간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다단식 밀폐형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메인용기(3)와, 메인용기(3)에 적층되는 복수의 적층용기(15)와, 적층용기(15)의 개구를 차단하는 뚜껑(5)을 포함한다.
뚜껑(5)의 중앙영역에는 진공형성을 위한 공기 유출입밸브(20)가 장착되어 있다. 뚜껑(5)의 적층용기(15)를 향한 하부면에는 그 연부를 따라 적층용기(15)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리브(8)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결합리브(8)의 외측에는 적층용기(15)와의 기밀한 결합을 위해 패킹(9)이 부착되어 있다.
적층용기(15)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에는 상향 돌출된 관상의 밸브수용관(17)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수용관(17)의 상단부에는 진공형성을 위한 공기 유출입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층용기(15)의 저부면의 연부에는 타 적층용기(15) 또는 메인용기(3)에 안착되도록 절취된 'ㄱ'자 형상의 안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16)에는 뚜껑(5)과 마찬가지로 패킹(13)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뚜껑(5)과 적층용기(15)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는, 본원 고안자가 선 등록한 (20-88100호)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를 적용한 것이다. 상기 공기유출입밸브는 반구형 덮개(21)와, 덮개(21)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중앙영역에 돌출된 누름봉(26)이 형성된 누름버튼(25)과, 덮개(21)를 뚜껑(5)과 적층용기(15)에 기밀하게 결합시키며 공기유출입공(35)이 형성된 관상의 기밀유지관(30)과, 누름버튼(25)의 가압에 따라 공기유출입공(35)을 개폐하는 차단판(27)을 포함한다.
반구형 덮개(21)의 중앙영역에는 누름버튼(25)이 수용되는 버튼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수용부(22)의 바닥면에는 누름버튼(25)의 누름봉(26)이 관통하는 봉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봉관통공(23)의 외측에는 공기의 통과를 위한 공기통과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27)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차단판(27)의 중앙영역에는 누름버튼(25)의 누름봉(26)이 삽입되는 누름봉삽입홈(28)을 갖는 주머니형상의 삽입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기밀유지관(30)은,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반구형 덮개(21)의 내측에서 버튼수용부(2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확경부(31)와, 장착부(11)를 향해 연장된 축경부(32)와, 확경부(31)와 축경부(32) 사이에 형성된 격판(33)을 갖는다. 격판(38)에는 삽입부(29)가 통과되는 삽입부통과공(34)과, 공기의 유출입을 위해 복수의 공기유출입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적층식 밀폐형 용기(1)에 음식물을 보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용기(3)와 각 적층용기(15)에 음식물을 수용시킨 다음, 하부용기의 상부에 제1 및 제2 적층용기(15a, 15b), 뚜껑(5) 순으로 적층시킨다. 그리고, 덮개의 공기 유출입밸브(20)에 펌프를 갖다 대고 펌핑을 한다. 그러면, 먼저 뚜껑(5)에 접해 있는 최상단의 제1적층용기(15a)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제1적층용기(15a)내의 공기가 배출되게 되면, 제1적층용기(15a)내의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제1적층용기(15a)와 제2적층용기(15b)와의 기압차에 의해 제1적층용기(15a)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의 차단판이 상향이동하게 되어 공기 유출입공이 개방되어 제2적층용기(15b)내의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제2적층용기(15b)내의 공기가 어느 정도 배출되어 기압차가 발생하면, 제2적층용기(15b)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의 공기 유출입공(35)이 개방되어메인용기(3)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메인용기(3)까지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면, 각 적층용기(15)와 메인용기(3)는 모두 진공을 형성하게 되고, 메인용기(3)는 중앙영역의 상향 만곡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진공이 형성된 밀폐형 용기(1)에 보관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해, 진공을 해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5)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의 누름버튼(25)을 가압하면, 차단판(27)의 중앙영역이 가압되어 차단판(27)이 공기 유출입공(35)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면, 제1적층용기(15a)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제1적층용기(15a)내의 진공이 해제된다. 이 때, 제1적층용기(15a)는 별도의 공기 유출입밸브(20)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2적층용기(15b)의 진공은 해제되지 아니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제2적층용기(15b)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제1적층용기(15a)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의 누름버튼(25)을 가압한다. 그러면, 제2적층용기(15b)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제2적층용기(15b)의 진공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메인용기(3)의 진공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적층용기(15b)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밸브(20)의 누름버튼(25)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다단식으로 형성된 각 적층용기(15)를 각각 별도로 진공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영역까지만 진공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식물을 보관할 때 먼저 사용할 음식물은 상부에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할 음식물은 하부에 저장함으로써, 진공해제시 하부의 음식물까지 진공이 해제되어 음식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적층용기(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뚜껑(30)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뚜껑(30)의 중앙영역에는 공기 유출입밸브(20)의 통과를 위한 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31)은 공기 유출입밸브(20)의 폭보다 소정 넓게 형성되어 진공 형성 및 해제시 중간뚜껑(30)과 공기 유출입밸브(20)간의 공기 유출입용 틈새를 제공한다. 각 적층용기(15)의 상단 연부에는 중간뚜껑(30)의 안착을 위한 지지턱(18)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뚜껑(30)에 의해, 각 적층용기(15)가 다시 한 번 분리되므로, 음식물이 상부에 안착된 적층용기(15)의 바닥에 묻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공해제 후 음식물을 잠시 놓아둘 때, 먼지나 벌레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적층용기를 각각 독립적으로 진공 해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통상의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상부에 적층되며, 일측 영역에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적층용기와;
    상기 적층용기의 개구를 차단하며,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는, 상기 뚜껑의 공기 유출입밸브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상기 적층용기의 일측 영역은 상기 뚜껑을 향해 돌출된 관상의 밸브수용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는 상기 밸브수용관의 상기 뚜껑을 향한 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기와 상기 뚜껑의 하부면의 연부에는 패킹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기를 차단하며, 상기 공기 유출입밸브의 연부를 따라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중간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20010030672U 2001-10-08 2001-10-08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0258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72U KR200258608Y1 (ko) 2001-10-08 2001-10-08 다단식 밀폐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72U KR200258608Y1 (ko) 2001-10-08 2001-10-08 다단식 밀폐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608Y1 true KR200258608Y1 (ko) 2001-12-29

Family

ID=7306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672U KR200258608Y1 (ko) 2001-10-08 2001-10-08 다단식 밀폐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35Y1 (ko) * 2010-08-05 2013-05-09 주식회사 프리메이드 다단수납장
KR101412367B1 (ko) 2009-11-04 2014-06-25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멀티-챔버 용기
KR20220060464A (ko) * 2020-02-25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WO2022097887A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67B1 (ko) 2009-11-04 2014-06-25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멀티-챔버 용기
KR200466835Y1 (ko) * 2010-08-05 2013-05-09 주식회사 프리메이드 다단수납장
KR20220060464A (ko) * 2020-02-25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102448020B1 (ko) * 2020-02-25 2022-09-28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WO2022097887A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6085906A (en) Vacuum sealing system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JP6979975B2 (ja) 真空容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WO198400074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ontainers
KR102352535B1 (ko)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US20080199335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pump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334238Y1 (ko) 진공 밀폐형 용기 뚜껑
KR200240733Y1 (ko) 진공 용기
KR200271740Y1 (ko) 진공 밀폐형 식품용기
JP3045265U (ja) 食品用携帯容器
KR19990010727U (ko) 기체배출 압력밸브가 형성된 음식물 저장용기
KR200223001Y1 (ko) 적층식 진공용기
KR0138695Y1 (ko)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KR100554354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