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716A -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 Google Patents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716A
KR20140064716A KR1020137023718A KR20137023718A KR20140064716A KR 20140064716 A KR20140064716 A KR 20140064716A KR 1020137023718 A KR1020137023718 A KR 1020137023718A KR 20137023718 A KR20137023718 A KR 20137023718A KR 20140064716 A KR20140064716 A KR 2014006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ontainer
cover
valv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제트. 카이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트. 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트. 카이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트. 카이
Publication of KR2014006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7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closure, e.g. in caps or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77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14Combination, e.g. laminates, several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 B65D2543/00361Dome-like placed on a tray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7Flexible or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53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62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of the container peripheral U-shaped channel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18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46NO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6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direct by means of a gasket or similar intermediat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61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79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n the central part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플레이트, 주발, 냄비 및 심지어 커팅 보드를 포함하는 기존 용기를 진공 보관 용기로 변환하기 위한 진공 밀봉 덮개는 개구를 가지는 상단 플레이트, 측벽, 진공을 보전하기 위한 밀봉 수단 및 꼭지를 포함하고, 꼭지는 배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 위에 위치된 제1 위치와, 적층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 아래에 있는 제2 위치와, 진공이 해제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단 플레이트는 더 작은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탄성 멤브레인/매끄러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부 표면은 더 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멤브레인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멤브레인은 측벽 저부/외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밀봉은 각진 밀봉 멤브레인에 의해 더욱 개선된다. 꼭지는 밸브 개구와 밸브 개구를 세정하기 위한 밀봉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본 발명은 냄비, 플레이트 또는 주발 같은 용기를 위한 덮개 또는 커버, 특히,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덮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에 대한 진공 밀봉을 형성하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덮개 또는 커버는 냄비 및 플레이트를 위해 어디서나 사용되어 왔으며, 통상적으로 돔 형상을 가지고, 용이한 취급을 위해 꼭지 또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덮개와 냄비 또는 플레이트 사이의 밀봉은 통상적으로 기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덮개는 보관에 매우 적합하지는 못하다. 또한, 돌출된 손잡이는 덮개로 덮혀진 용기가 공간 절약을 위해 서로 적층될 수 없게 만든다.
FoodSaver® 및 Seal-A-Meal 진공 용기라 알려진, 또는, 예로서, 미국 특허 제5,969,632호, 제6,619,493호 및 제7,131,550호에서 고려된 바와 같은 다양한 진공 밀봉 덮개가 특수 제조 용기를 위해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냄비 및 플레이트 같은 기존 용기에 설치되도록 발명된 기밀 덮개는 몇가지 되지 않는다. 이런 기밀 덮개 중에서, Piccioni는 US 공개 번호 제2009/0173735호에서 디시(dish)를 밀봉하기 위해 U-형상의 연성 구조(4)가 설치되어 있는 종 모양 유리 덮개를 안출하였으며, US 공개 번호 제2009/0101535호에서 Hsieh는 펌프가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단 밸브와 용기에 대한 밀봉을 위한 저부 개스킷(30)을 구비하는 돔 형상 덮개를 안출하였고, 본 출원인은 미국 특허 제7,594,586호 및 US 공개 번호 제2006/0032852호와 제2010/018169호에서 거의 모든 용기를 진공 밀봉할 수 있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덮개를 안출하였다.
Picconi의 덮개는 공기 누설 가능성이 있으며, 그 이유는 완전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디시의 형상에 합치되기에는 플라스틱 구조체(4)가 너무 강성적이기 때문이다. Hsieh의 덮개는 Royal Sovereign International Inc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과 유사하며, 역시 특히 덮개가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된 이후 또는 진공 수준이 낮을 때 누설 가능성이 있다. 누설은 대부분의 디시 플레이트의 표면 상의 작은 만입부 또는 돌출부에 대한 개스킷(30)의 불충분한 합치에 의해 또는 일반적 세척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단 밸브의 통기공(63) 및 홈(61)의 슬롯 표면과 원형 밀봉부(293) 사이에 포획된 식품 잔류물이나 먼지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표명 Keepeez®로 판매되는 본 출원인의 덮개는 완전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용기의 형상에 잘 합치되지만, 여전히 덮개보다 큰 용기에 대해 또는 플레이트에 대해 양호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것 같은 일부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식품 같은 제품을 준비 및 보관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상술한 종래의 덮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레이트, 주발, 냄비 및 심지어 절단 판재를 포함하는 기존 용기를 진공 보관 용기로 변화시키기 위한 진공 밀봉 덮개가 제공된다. 덮개는 개구를 구비하는 상단 플레이트와, 측벽과, 진공을 보전하기 위한 밀봉 수단과, 상단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꼭지를 포함하고, 꼭지는 배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 위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적층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 아래에 위치된 제2 위치와, 진공이 해제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단 플레이트는 꼭지가 호스팅되는 하나의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단 플레이트는 개구가 위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꼭지가 부착되는 탄성 멤브레인 및 덮개보다 작은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밀봉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매끄러운 하부 표면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탄성 멤브레인은 제1 및 제2 리지를 갖는 멤브레인 로크에 의해 측벽에 고착되고, 제1 및 제2 리지는 단지 제2 플레이트 또는 탄성 멤브레인에 의해서만 분리되고 멤브레인의 분리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제1 플레이트와 측벽 상의 두 개의 채널에 의해 수용된다.
밀봉 수단은 덮개보다 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측벽의 외부 표면 상에 또는 저부 표면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탄성 밀봉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탄성 밀봉체를 더 포함한다.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봉 멤브레인은 측벽의 저부 또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격리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밀봉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밀봉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평면에 대해 각지게 경사져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밀봉체는 측벽의 저부에 부착되고, 밀봉 멤브레인은 일 단부가 탄성 밀봉체의 저부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탄성 밀봉체의 저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멤브레인은 측벽의 외부 표면 상에 또는 저부 표면 아래에 위치된 탄성 멤브레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은 내부 측벽과 외부 측벽을 포함하고, 밀봉 멤브레인은 내부 측벽과 외부 측벽 사이에서 각지게, 바람직하게는, 30°를 초과하여 각지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를 초과하여 각지게 경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꼭지는 꼭지 헤드와, 개구에 마찰식으로 끼워진 본체와, 그 저부 플레이트 상의 밸브 개구 및 배기 장치의 관을 마찰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관형 개구를 갖는 밸브 챔버와, 밸브 개구를 덮기 위한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밸브 밀봉체는 관형 개구 위로 연장되는 헤드와 스템 본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꼭지는 꼭지 헤드와, 밸브 개구와,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밸브 밀봉체는 밸브 개구 내로 마찰식으로 끼워지며, 덮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꼭지 헤드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브 개구를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마찰 결합의 소실 또는 부분적 소실은 밸브 개구를 위한 공기 통로를 초래한다. 꼭지는 운동 밀봉 거리를 가지며, 이 운동 밀봉 거리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어떠한 공기 통로로 유발하지 않고 밸브 밀봉체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며, 약 0.5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7 mm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상에 덮개를 배치하는 단계와, 용기를 배기시켜 용기에 대해 덮개를 진공 밀봉하도록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꼭지 헤드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미는 단계와, 진공을 해제하여 용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덮개를 들어올리도록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꼭지 헤드를 상방으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방법을 더 포함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비제한적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돌출된 위치의 꼭지를 도시하는, 디시 상의 덮개 또는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만입된 위치의 꼭지를 도시하는 도 1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돌출된 위치의 꼭지를 도시하는 도 1의 덮개의 제1 변형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만입된 위치의 꼭지를 도시하는 도 2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진공 펌프(미도시)에 대한 덮개의 연결을 위한 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덮개보다 큰 플레이트에 적용되기 이전에 또는 비사용시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2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의 B-B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의 C-C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의 덮개를 위한 개선된 멤브레인 로크의 단면도이다.
도 3e는 도 3d의 E-E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용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꼭지가 눌러지는 경우, 도 3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진공이 형성된 이후 꼭지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 3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진공을 해제하도록 꼭지가 당겨지는 경우, 도 3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덮개보다 작은 주발에 대해 밀봉된 이후, 도 3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장치에 연결된 진공 펌프(미도시)에 의해 용기가 배기되는 경우, 도 2b의 배기 장치를 갖는 도 3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덮개보다 큰 플레이트에 적용되기 이전에 또는 비사용시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3 변형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용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꼭지가 가압되는 경우, 도 5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의 덮개에 대한 연결을 위한 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의 탄성 밀봉체(10)를 위한 제1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의 탄성 밀봉체(10)를 위한 제2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레이트에 대해 진공 밀봉된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4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덮개보다 큰 주발에 적용되기 이전에 또는 비사용시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5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A-A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의 B-B 선을 따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주발에 대해 진공 밀봉된 덮개를 도시하는 도 7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의 덮개의 개선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6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병에 대해 진공 밀봉된 도 8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 및 도 8의 덮개를 위한 대안적 탄성 밀봉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7 변형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용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꼭지가 눌러질 때 도 9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2b의 장치가 꼭지 내로 삽입될 때 도 9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a는 림(24)과 내부 표면(23)을 갖는 디시 플레이트(21) 내의 식품(20)을 밀봉하기 위한 둥근 덮개 또는 커버(1)를 도시한다. 덮개(1)는 상단 플레이트(30), 상단 플레이트와 디시 사이에 폐쇄 챔버(22)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표면(23)에 대한 밀봉을 위한 탄성 밀봉체(10), 측벽(29) 및 덮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꼭지(50)를 포함한다. 측벽(29)은 본체(28), 외향 돌출 상부 단부(6) 및 하부 단부를 포함하고, 하부 단부는 탄성 밀봉체(10)를 수용하기 위해 저부 표면(15), 하부 외향 돌출 리지(14) 및 상부 외향 돌출 리지(27)를 갖는다. 상부 단부(6)는 상단 플레이트(30)의스커트(4)에 수용되고, 스커트는 상단 플레이트에 측벽(29)을 로킹하도록 수평 링(5)을 형성하기 위해 열 또는 압력에 의해 그 하부 단부에서 굴곡되어 있다.
탄성 밀봉체(10)는 탄성 밀봉체의 저부 상에 형성된 세 개의 밀봉 평면(16, 17, 18)을 갖는다. 밀봉 평면(18)은 수평이고, 밀봉 평면(17)은 약 20도이다. 밀봉 평면(16)은 내부로부터 탄성 밀봉체의 외부 주연부로 평면(17)보다 더 많이 상향으로 기울어지고, 디시 플레이트의 저부 표면 또는 수평 표면에 대해 약 40도이다. 밀봉 평면(16, 17)은 내부 표면(23)이 더욱 수직일 때 이들이 더 많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게 하도록 밀봉체(10)의 외향 돌출 링(25)의 저부에 형성된다. 밀봉 평면이 더 더욱 상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하도록 밀봉체(10)의 측벽(11)과 링(25) 사이에 링형 간극(26)이 형성된다. 엘라스토머 및 고무 재료는 ASTM D-2240에 따라 측정된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의 듀로미터(쇼어 A)를 가지며, 밀봉체(10)를 위해 사용된다. 저부 표면(15) 및 리지(15, 27)는 디시의 내부 표면(23)에 대한 기밀 밀봉을 달성하도록 제어되고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방식으로 밀봉 평면(16, 17, 18)으로 도 3에서 설명된 덮개의 무게력 또는 진공력을 전달한다.
평탄한 또는 둥근 밀봉 표면을 갖는 종래의 개스킷 또는 하향 경사 밀봉 표면을 갖는 US 공보 번호 2009/0101535에서 Hsieh에 의해 고려된 개스킷은 일부 디시 플레이트에 밀봉될 때, 특히, 폐쇄 챔버(22)의 진공 레벨이 낮을 때, 몇일 또는 심지어 몇분 내에 진공 소실을 유발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탄성 밀봉체(10)를 갖는 덮개(10)는 몇주 및 심지어 몇달까지의 매우 긴 시간 동안 진공 밀봉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꼭지(50)는 상단 플레이트의 오목한 중앙 섹션(75) 상에 형성된 개구(34) 내에 수용된 원통형 본체(73)와, 개구(34)의 외부로 꼭지(5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부 플레이트(56)를 갖는 부착 스크류(77), 본체(73)의 상단 단부 상에 수평 돌출부(59)를 갖는 꼭지 헤드(60) 및 O-링(78)을 포함한다. 원통형 본체(73)는 개구(34)에 마찰식으로 끼워진다. 디시 플레이트 상에 덮개를 배치한 이후에, 헤드(60)를 누름으로써 꼭지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고, 꼭지를 상방으로 당기기 위한 돌출부(59)를 보유할 수 있다. 마찰 결합은 꼭지 헤드에 손쉽게 접근하게 하도록 꼭지를 하방으로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상방 위치(도 1)에 유지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50)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O-링(78)은 개구(34)를 밀봉하고, 꼭지는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30) 상에 또는 그 위에 다른 디시 플레이트(21)가 적층될 수 있게 하도록 폐쇄 챔버(22) 내의 상단 플레이트 아래에 대부분 은닉된다.
필요하지 않을 때 꼭지를 은닉하는 기능은 냉장고 및 저장고 내의 보관 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또한, 야외 파티를 위한 호스트 또는 호스테스 또는 식당의 남종업원 또는 여종업원이 서비스를 가속하고,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번에 다수의 디시를 나를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에 의한 기밀 밀봉은 또한 식품을 더 신선하게 유지하고, 조리된 식품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누설을 방지하는 것 같은 다른 이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추후의 실시예에서, 냄비 및 플레이트 이외에, 덮개 또는 커버(1)가 주발, 컵, 병, 캐니스터, 챔버, 절단 보드 및 그 내부에 또는 그 상에 다른 물품이 지지될 수 있는 표면 같은 다른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식품 이외에, 가정용, 상업용 및 산업용 물품 같은 다른 제품이 용기 내에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추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둥근 형태 이외에, 덮개(1)는 또한 정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용어 상단 플레이트는 단순히 플레이트가 용기의 저부 위에 있고,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링, 하트 또는 타원 형상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가능한 꼭지(50)는 보관 및 적층을 위해 꼭지의 은닉을 가능하게 하도록 냄비 및 다른 조리 기기를 위한 기존 유리 또는 스테인레스 덮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2a에서, 덮개의 상부 반부만을 도시하는 도 1의 덮개(1)의 제1 변형 형태가 제공된다. 변형된 꼭지는 헤드(60a)에 의해 덮여지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스크류(77)에 의해 상단 플레이트(30)의 눌려질 수 있는 돌출 섹션(85a)에 연결된 본체(73a)와, 베이스 플레이트(129) 및 밸브 개구(125)를 갖는 밸브 챔버(35), 밸브 개구를 덮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위의 탄성 또는 고무질 밸브 밀봉체(127), 밀봉체가 밸브 챔버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체(127)의 림(32)을 고정하기 위해 밸브 챔버 내에 끼워지는 밸브 튜브(74) 및 도 2b에 도시된 배기 장치(84)를 수용하기 위한 관형 개구(53)를 포함한다. 장치(84)는 튜브(83) 및 튜브(83)의 하부 단부의 절단부(87)와,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된 수평 튜브(76)를 갖는다. 밸브 밀봉체(127)는 스템 본체(73b)와, 손쉬운 접근을 위해 개구(53) 위로 연장된 헤드(60b)를 갖는다. 관형 개구(53)는 배기 동안 튜브(83)가 탈락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84)의 튜브(83)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치수설정된다. 밸브 밀봉체(127)의 스템(73b)과 헤드(60b)는 튜브(8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다. 밀봉체(127)의 림(32)의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129)와 밀봉체(127) 사이의 공간을 세척 또는 세정하기 위해 10 내지 100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5도까지 밸브 밀봉체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을 이동시키도록 헤드(60b)를 당길 수 있게 하도록 밸브 튜브(74)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
배기 동안 손으로 정적으로 배기 장치를 보유하여야 하는 Seal-A-Meal® 또는 FoodSaver® 진공 용기의 덮개와는 달리, 덮개(1)는 손이 자유로운 상태의 배기가 가능하다. 긴밀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관형 개구(53) 내로 장치(84)의 튜브(83)를 삽입하고, 스템 본체(73b) 및 헤드(60b)는 튜브(83)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된다. 진공은 밸브 개구(125)를 개방시킬 때까지 밸브 밀봉체(127)를 당기고, 폐쇄 챔버(22)가 배기되게 한다(도 2a). 챔버(22) 내에 진공기 발생됨에 따라, 눌려질 수 있는 돌출 섹션(85a)은 상단 플레이트(30) 아래에 꼭지(50)를 수용 및 은닉하기 위해 만입된 섹션(85b)을 형성하도록 진공에 의해 하향 견인됨으로써 다른 디시 플레이트(미도시)가 상단 플레이트 위에 배치 또는 적층될 수 있게 한다. 장치(84)가 제거된 이후, 밀봉체(127)는 폐쇄 챔버(22) 내의 진공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개구(125)를 밀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9)로 들어간다.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밸브 개구(125)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으로 헤드(60b)를 당기기만 하면 된다.
눌려질 수 있는 돌출 섹션(85a)은 어떠한 외력도 없을 때 돌출된 형태로 머무르도록 설계됨으로써, 꼭지 헤드(60a)를 누르는 것에 의해 폐쇄 챔버(22) 내에 작은 진공이 생성될 수 있게 한다. 꼭지 헤드가 가압될 때, 돌출 섹션(85a)은 만입된 섹션(85b)이 되고, 압력 해제까지 탄성 밀봉체(127)를 누르도록 폐쇄 챔버 내에 양의 압력이 생성된다. 꼭지 헤드가 해제될 때, 만입된 섹션(85b)은 돌출 형태로 되돌아가고 진공을 생성하며, 이는 순차적으로 밸브 개구(125)를 폐쇄하도록 밸브 밀봉체를 하방으로 당기고, 만입된 섹션(85b)이 돌출 형태(85a)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비록, 도 2의 덮개가 본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된 기존 덮개의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하지만, 이는 여전히 다수의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탄성 밀봉체(127)에 의해 밀봉된 밸브 개구(125)는 밸브 밀봉체와 베이스 플레이트(129) 사이에 포획된 식품 이물질 또는 먼지에 기인하여 종종 누설이 발생한다. 두 번째로, 입수할 수 있는 펌프가 공기의 단지 60 내지 70%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장치(84)에 의해서도 폐쇄 챔버(22)의 단지 약 60 내지 70%의 양의 공기만이 제거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단 플레이트(30) 및 측벽(29)은 파괴 없이 진공을 견디기 위해 두껍고 강해질 필요가 있어서 덮개가 무거워지고 제조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네 번째로, 덮개는 덮개보다 작은 용기를 밀봉할 수 없게 한다.
도 3 내지 도 3c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의 덮개를 위한 제2 변형 형태를 나타낸다. 개선된 덮개는 개구(34)와 립(lip)(33)을 갖는 제1 상단 플레이트(30a)와, 폐쇄 챔버(22) 내에 진공을 생성하고 기밀 밀봉과 진공을 보전하기 위해 탄성 밀봉체(10)에 적용되도록 진공을 하향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탄성 멤브레인(30b)을 포함하는 제2 상단 플레이트와, 도 4 내지 도 4d에 도시된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개구(34)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30b)에 연결된 꼭지(50)와, 탄성 멤브레인의 주연 섹션((7)을 측벽(29)에 로킹하기 위한 멤브레인 로크(31)를 포함한다. 개구(34)는 상단 플레이트 아래의 위치로부터 도 4 내지 도 4d에서 추후에 설명되는 플레이트 위의 위치로 꼭지(50)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이 관통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크다. 탄성 멤브레인(30b) 또는 제2 플레이트의 상단 표면은 꼭지가 상단 위치 또는 비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30a)와 접촉한다. 이런 접촉은 플레이트 사이에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식기세척기 내에서 하나의 플레이트로서 보여지며 하나의 플레이트로서 기능하게 한다. 이런 접촉을 위한 예측되지 않은 이득은 수명 전체에 걸쳐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덮개의 기능 및 제품 수명이 현저히 증가되게 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7,594,586호에 기초한 덮개(Keepeez®)에서, 탄성 멤브레인은 측벽 또는 강체 림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멤브레인 로크(31)는 이 문제를 해소하며, 이는 상단 플레이트(30a) 상에 형성되고 제1 리지(8) 및 탄성 멤브레인의 수용을 위한 제1 채널(2)을 구비하는 제1 로크와, 측벽(29) 상에 형성되고 제2 리지(3) 및 역시 탄성 멤브레인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채널(9)을 구비하는 제2 로크를 포함한다. 제2 리지(3)는 제1 채널(2)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1 리지(8)는 제2 채널(9) 내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리지는 서로 인접하고, 탄성 멤브레인(30b)의 수직 섹션에 의해서만 분리된다. 미국 특허 제7,594,586호에 기초한 덮개 내의 강체 림으로부터의 멤브레인의 분리를 유발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탄성 멤브레인(30b), 측벽(29) 및 플레이트(30a)의 치수 변동은 멤브레인 로크(31)에서 소거되고, 따라서, 멤브레인 분리 문제를 회피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꼭지(50)는 베이스(45), 원통형 챔버(51) 및 측벽(35)을 갖는 꼭지 본체(73)와, 베이스(36, 45) 사이 및 측벽(35, 43) 사이에 탄성 멤브레인을 개재하기 위해 챔버(51) 내로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 베이스(36) 및 측벽(43)을 갖는 내부 본체(37)와, 수평 돌출부(59)와 제1 튜브 수용 개구(54) 및 개구(54)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위의 만입부(57)를 갖는 꼭지 헤드(60)와, 꼭지 헤드에 고정된 상단 단부와 밸브 밀봉기(42)에 연결된 하부 단부를 갖는 밸브 샤프트(55)와, 각각 일 단부가 측벽(35)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밸브 샤프트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판형 스프링(61a, 61b)과, 폐쇄 챔버(22)와 대기와의 소통을 위해 내부 본체(37)에 의해 형성된 밸브 개구(80)를 포함한다. 밸브 샤프트 상의 돌출부(41)는 밸브 밀봉체(42)가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꼭지(50)가 식품에 도달할 때 밸브 개구(80)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공기 채널(44)이 베이스(36) 상에 형성된다. 베이스(45)는 꼭지를 안정화하기 위해 제1 상단 플레이트의 개구(33) 내로 꼭맞게 끼워지며, 꼭지는 립(34)에 의해 개구(33)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측벽(35)의 내부 표면 상의 돌출부(46)는 측벽(35, 4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43)의 외부 표면 상의 대응 만입부 내로 끼워진다. 멤브레인 스카(49; scar)는 멤브레인이 측벽(35, 43)에 영구적으로 고착되게 하도록 탄성 멤브레인(30b)의 에지에 형성된다. 스카(49)는 내부 본체(37) 위의 탄성 멤브레인의 섹션 상의 구멍을 생성함으로써, 그리고, 구멍의 에지 둘레의 멤브레인을 가열함으로써 멤브레인이 내부 본체(37)의 측벽(43)이 꼭지 본체(73)의 측벽(35)과 만나는 영역 또는 접합부로 비드형성(bead) 및 진행되게하도록 형성된다.
밸브 개구(80)는 밸브 밀봉체가 밸브 개구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하도록 밸브 측벽과 밸브 밀봉체 사이의 기밀 밀봉을 유발하도록 밸브 밀봉체에 대한 마찰 결합을 형성하도록 치수설정된 밸브 측벽(79)을 갖는다. 밸브 밀봉체(42)는 밸브 개구(80)에서 마찰식으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동시 밸브 측벽을 비우도록 구성된다. 원통형 연장부(40)는 밸브 밀봉체의 이동을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해 밸브 측벽 위에 형성된다. 세 개의 수직 채널(47)(도 3 및 도 3a)은 밸브 개구로부터 연장부 내로 밸브 밀봉체가 이동할 때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장부(40)의 측벽 상에 형성된다. 밸브 밀봉체는 밸브 개구로부터 연장부(40)로 이동할 때, 마찰 결합의 부분적 소실이 초래되며, 이는 순차적으로 플레이트형 스프링(61b), 링형 챔버(48) 및 밸브 개구(80)(도 4b) 상의 개구(53)를 통해 챔버(22)에 주변 공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도록 채널(47)의 저부 단부에 공기 통로(58)를 형성한다.
밸브 밀봉체(42)는 밸브 샤프트(55)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밸브 샤프트의 일체형 비분리 부분이 되도록 동일한 재료로 밸브 샤프트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밸브 샤프트(55)의 밸브 밀봉체(42) 또는 밸브 개구(80)의 측벽(79)은 측벽(79)과 밸브 밀봉체(42) 사이의 마찰 결합 또는 밀봉을 개선시키기 위해 탄성 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탄성 링이 밸브 샤프트(55) 상에 위치되어 있는 덮개 또는 커버의 작동 수명에 비해 측벽(79) 상에 탄성 링(미도시)을 배치함으로써 덮개 또는 커버(1)의 작동 수명이 200%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래 기술 덮개의 밸브와는 달리 또는 도 6에서, 꼭지의 튜브 수용 개구(53, 54)는 밸브 개구(80)의 상류에 위치되고, 세정액 또는 물에 대한 직접적 접근을 위해 밸브 밀봉체(42) 위에 공간을 개방하며, 밸브(50) 내에 어떠한 비사용 공간이나 세정이 곤란한 공간도 생성하지 않는다. 튜브 수용 개구(53, 54)는 진공 펌프가 폐쇄 챔버(22)를 배기시킬 수 있게 하도록 도 2b의 배기 장치(84)의 튜브(83)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다. 개구(54)는, 장치의 튜브(83)가 개구(53, 54) 내로 삽입될 때, 장치(84)가 꼭지 헤드(60)와 상호작용하여 꼭지 헤드를 하방으로 누르고, 따라서, 밸브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마찰 결합의 적어도 부분적 소실 및 공기 통로(81)의 형성(도 4d)을 유발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개구(53)는 꼭지 헤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긴밀하게 튜브(83)에 끼워진다.
개구(67)는 내부에 샤프트(55)를 수용하여 그 내부에서의 샤프트(5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치수설정되며, 원통형 연장부(40)의 상단 벽(66) 상에 형성된다. 개구(69)는 플레이트형 스프링(61a, 61b)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샤프트(55)를 수용하여 그 내부에서의 샤프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치수설정되고, 이는 밸브 샤프트, 그리고, 이에 따라, 밸브 밀봉체(42)가 스프링(61a, 61b)에 연결되게 한다. 스프링(61a, 61b)의 독립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스프링(61a, 61b) 사이에 공간 또는 간극(68)이 있다. 샤프트(55) 상에 형성되어 정지 플레이트와 꼭지 헤드(60)의 저부 사이에 스프링(61a, 61b)을 개재하도록, 그리고, 밸브 개구(80)를 개방시켜 공기 통로(58)를 생성하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 헤드가 스프링(61a, 61b)을 상방으로 당길 수 있게하도록 정지 플레이트(68)가 샤프트(55) 상에 형성된다. 밀봉 슬리브(62)는 꼭지 헤드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눌러질 때 꼭지 헤드(60)에 대한 밀봉을 위해 측벽(35)의 상단 단부 둘레에 부착된다.
스프링(61a, 61b)은 밸브 밀봉체와 밸브 측벽(79) 사이의 모든 마찰 결합을 소실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81)를 생성하도록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58)를 생성하도록 마찰 결합의 일부를 소실하도록 밸브 개구(80) 외부로 밸브 밀봉체(42)가 이동하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밸브 샤프트가 이동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길다. 또한, 스프링은 공기 통로(81 또는 58)를 생성하기 위한 마찰 결합의 소실 또는 부분적 소실을 유발하도록 밸브 밀봉체가 이동된 이후 밸브 개구(80) 내로 밸브 밀봉체가 복귀하게 하도록 마찰 결합의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밸브 개구(80)는 약 2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노화, 우발적 접촉 또는 건드림에 기인한 보관 동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밀봉체(42)의 운동 밀봉 거리는 일반적으로 약 0.5 mm 내지 15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mm 및 7 mm보다 더 길며, 운동 밀봉 거리는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 어떠한 공기 통로도 형성하지 않고 용기를 향해 밸브 개구(80) 내에서 밸브 밀봉체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다.
도 3 내지 도 9의 꼭지(50)는 다른 밸브에 비해 다수의 고유한 특징을 갖는다. 첫 번째로, 밸브 밀봉체(42)는 밸브 밀봉체 또는 밸브 샤프트가 소정 거리로 이동될 때에도 이 거리가 운동 밀봉 거리보다 작은 한, 밸브 개구(80)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고, 따라서, 꼭지(50)가 밸브 밀봉체의 매우 미소한 이동시에도 유체가 누설되는 다른 밸브보다 누설 가능성이 매우 더 작아지게 한다. 두 번째로, 밸브 밀봉체(42)는 밀봉체가 일반적 사용 동안 상하로 이동할 때 밸브 개구의 측벽(79) 상의, 즉, 밀봉 표면 상의 임의의 먼지, 식품 또는 다른 이물질을 닦아낸다. 이는 꼭지 또는 밸브가 자체 정화성이 되게하며, 이는 덮개의 신뢰성에 중요하다. 세 번째로, 그리고, 또한, 중요하게, 밸브 밀봉체는 밸브 밀봉체가 밸브 개구(80)에 대한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제1 위치와, 밸브 밀봉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브 개구 위에 존재하여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의 제1 공기 통로(58)를 형성하는 제2 위치와, 밸브 밀봉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브 개구 아래에 존재하여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의 제2 공기 통로(81)를 형성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덮개의 꼭지 헤드(60)는 조작자에 의해 눌려져서 밸브 샤프트(55)를 이동시키고 따라서 밸브 밀봉체(42)를 하강시켜 공기 통로(58)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폐쇄 챔버(2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꼭지 헤드(60)는 조작자에 의해 당겨져서 밸브 샤프트(55)를 이동시키고 따라서 밸브 밀봉체(42)를 상승시켜 공기 통로(58)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덮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공기가 폐쇄 챔버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원통형 연장부(40)와 유사한 연장부가 밸브 개구(80)의 하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개구(67, 69), 밸브 샤프트(55)의 수평 단면 및 밸브 개구(80)는 개구(53, 54) 사이의 임의의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비원형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꼭지는 둥근 형상 이외에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성형 및 하트형 같은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30a)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개구(34)는 꼭지 본체(73)의 베이스(45)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꼭지 헤드(60) 및 다른 비-필수적 부분은 최소화 또는 심지어 제거될 수 있고, 꼭지는 단지 사용 동안 자체 세정식 밀봉 표면을 갖는 밸브로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덮개(1) 사용을 위해, 용기가 덮개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점검한다. 용기가 더 큰 경우, 용기의 내부 표면(23) 상에 탄성 밀봉체(10)를 배치하기 위해 꼭지(50)를 파지한다. 사용 이전에, 꼭지는 플레이트(30a)의 개구(34) 위에 있고, 베이스(45)는 제1 또는 비사용 위치(도 3)에서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그래서, 꼭지를 통한 공기 배기 및 취급을 위한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다. 식품(20)을 보전하기 위해 진공을 생성하기 위하여, 꼭지 헤드를 가압하여 꼭지(50)를 개구(34) 내에서 하방으로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개구(34) 아래 또는 부분적 아래의 제2 또는 보관 위치로 이동시킨다. 꼭지의 베이스(45)는 꼭지에 연결된 제2 플레이트 또는 탄성 멤브레인(30b)을 밀어서 공기 통로(81), 개구(80), 채널(47), 챔버(48) 및 개구(53, 54)를 통해 외부로 식품(20) 위의 공기를 밀어낸다. 꼭지 헤드(60)를 누르는 것은 스프링(61a, 61b)이 굴곡되게 하고, 밸브 샤프트의 단부의 밸브 밀봉체(42)가 마찰 결합에 대항하여 밸브 개구(80)의 외부로 이동함으로써 통로(81)(도 4)를 형성하게 한다. 꼭지 헤드(1)가 해제될 때, 스프링(61a, 61b)은 밸브 개구(80)를 폐쇄하도록 꼭지 헤드, 밸브 샤프트 및 밸브 밀봉체를 상방으로 밀어서 꼭지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관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챔버(22) 내의 진공을 보전한다. 밸브 개구(80)를 개방시키기 위해, 유사하게 꼭지 헤드(60)를 상방으로 당겨서 꼭지를 제3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61a, 61b)이 굴곡되게 하고, 밸브 샤프트(55)와 밸브 밀봉체(42)가 상방으로 원통형 연장부(40) 내로 이동하여 공기 통로(58)(도 4b)를 형성하게 한다. 꼭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제3 위치에 있는 동안, 통로(58)를 통해 공기가 지속적으로 챔버(22)에 들어오고, 결과적으로, 꼭지의 제3 위치가 꼭지가 제1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변화되게 한다.
용기가 덮개보다 작은 경우(도 4c), 용기(21)의 림(24) 위에 상단 플레이트(30a, 30b)를 배치한다. 탄성 멤브레인(30b)의 저부 표면은 매끄럽고, 림(24)에 대한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여 덮개보다 작은 용기를 덮개가 밀봉할 수 있게하도록 용기에 대해 접근가능한 주연 섹션(7)을 갖는다. 공기를 제거하고 진공을 생성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꼭지(60)를 가압한다. 진공을 해제하고 덮개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꼭지를 당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꼭지(5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공기를 제거하도록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하향 가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높거나 더 낮은 진공 레벨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a)의 립(34) 또는 개구에 대한 꼭지의 위치는 덮개 아래의 진공 레벨을 나타낸다. 예로서, 꼭지 헤드(60)가 립(33) 매우 위쪽에 배치될 때, 진공 레벨은 낮고, 립과 동일한 높이일 때, 진공 레벨은 중간이며, 립 매우 아래에 존재할 때, 진공 레벨은 높다.
덮개가 형상 및 치수가 변하지 않는 기존 진공 덮개와는 달리, 도 3, 도 5 및 도 7의 덮개는 식품의 형상에 합치되도록 구성된 제2 상단 플레이트(30b)를 가지며, 그래서,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된 배기 장치(84)에 의해 식품 위쪽의 매우 더 많은 공기가 배기될 수 있게 한다. 사용을 위해, 장치의 튜브(83)를 튜브 수용 개구(53, 54) 내로 삽입하여 꼭지 헤드(60)를 하방으로 누르고, 이는 순차적으로 스프링(61a, 61b)을 굴곡시키고 밸브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공기 통로(81)를 형성한다. 밀봉 슬리브(62)는 꼭지 헤드(60)에 대해 밸브 본체(73)를 밀봉하고, 튜브(83)와 튜브 수용 개구(53) 사이의 밀접한 결합은 스프링(61a, 61b)에 의해 꼭지 헤드가 상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진공 펌프가 공기를 통로(81), 밸브 개구(80), 채널(47), 챔버(48) 및 튜브(83)를 통해 폐쇄 챔버(22) 외부로 인출함에 따라, 탄성 멤브레인이 신장되고, 하향 이동하여 식품(20)을 덮고 식품의 형상에 합치된다(도 4d).
도 3d에서, 개선된 멤브레인 로크(31)가 도 3의 덮개(1)를 위해 제공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30a, 30b)의 일부와 측벽(29)의 단지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측벽(29)은 덮개의 중심을 향해 내향으로 기울어지고, 멤브레인 로크(31)는 측벽(29)으로부터 덮개의 중심을 향해 내향 돌출되어 복수의 동일한 크기의 덮개가 서로 적층될 수 있게 한다. 개구(34) 및 꼭지(50)로부터 이격되어 측벽(29) 부근에 위치된 제1 플레이트 상에 작은 개구(162)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의 물 또는 공기 같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개선된 멤브레인 로크(31)는 상단 플레이트(30a) 상에 형성되고 제1 리지(171)와 탄성 멤브레인(30b)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채널(163)을 갖는 제1 로크(165)와, 측벽(29) 상에 형성되고, 탄성 멤브레인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채널(166)과 제2 리지(164)를 구비하는 제2 로크(167)를 포함한다. 제2 리지(164)는 제1 채널(163) 내로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1 리지(171)는 제2 채널(166)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1 채널(163)은 제1 플레이트의 저부 부분이 탄성 멤브레인에 의해 감싸여짐으로써 멤브레인이 채널(163)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도 3의 멤브레인 로크와 유사하게, 로크(31)로부터 탄성 멤브레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리지는 탄성 멤브레인(30b)의 수직 섹션에 의해서만 분리된다.
플레이트(30a) 상의 제1 채널(163)은 연속적 둥근 채널이다. 그러나, 제2 리지(164) 둘레의 측벽(29) 상의 복수의 제2 채널(166)과, 제2 리지(164)가 제1 채널(163)에 진입할 때 복수의 제2 채널(166)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제1 채널(163) 둘레의 플레이트(30a) 상의 복수의 제1 리지(171)가 존재한다. 각 제1 리지(171)는 후크형 단부(170a)를 갖는 좌측 리지(171a)와, 후크형 단부(170b)를 갖는 우측 리지(171b) 및 좌측 및 우측 리지 사이의 간극(172)을 포함한다(도 3e). 측부 채널(168)은 제1 리지의 후크형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각 제2 채널(166) 아래에 형성된다. 각 제2 채널(166)의 폭은 각 측부 채널(168)의 폭 보다 작고, 각각의 후크형 단부(170a, 170b)가 통과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 리지(171a, 171b)가 서로를 향해 굴곡될 필요가 있도록 크기설정된다. 제1 리지(171), 제2 채널(166) 및 측부 채널(168)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리지(171)가 제2 채널(166)을 향해 밀려질 때 탄성 멤브레인(30b)의 일부를 파괴하도록 날카로운 요소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멤브레인의 파괴는 멤브레인 로크로부터 멤브레인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1 로크(165) 상에 제2 채널 및 리지를 형성하고, 제2 로크(167) 상에 제1 채널 및 리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5 내지 도 5c는 밀봉 평면(16, 17, 18)에 연결된 미니 개스킷(93)을 구비하는 개선된 탄성 밀봉체(10)를 갖는 도 1의 덮개의 제3 변형 형태를 제공한다. 도 1의 탄성 밀봉체가 다른 덮개보다 길게 지속되는 밀봉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밀봉은 충분하지 못하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주방 용기가 그 내부 표면(23) 상의 미소한 만입 또는 돌출 영역을 가지며, 완전히 둥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용기가 완전히 둥근 경우에도, 이는 여전히 덮개가 이에 중심설정되지 않는 경우 덮개에 대한 타원 또는 둥글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미니 개스킷(93)은 탄성 밀봉체의 저부로부터 이격되어 그 아래에 배치된 밀봉 멤브레인(94)을 포함하고, 이 밀봉 멤브레인은 탄성 밀봉체의 저부 표면에 연결된 제1 단부(105)와, 탄성 밀봉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제2 단부(106)를 갖는다. 밀봉 멤브레인(94)은 약 1 내지 89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0도로 수평 평면에 대한 각도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짐으로써 길게 지속되는 밀봉을 달성한다. 여기서, 밀봉 멤브레인은 경사진 문자(I)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단부(106)가 제1 단부(105)보다 탄성 밀봉체의 외부 주연부에 근접하도록 외향으로 밀봉 멤브레인을 경사지게 하거나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매우 더 길게 지속되는 밀봉이 달성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도 5). 밀봉 멤브레인의 일부는 덮개가 용기 상에 세워질 때 덮개의 중량에 의해 탄성 접혀져서 그 일부가 탄성 밀봉체의 저부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진공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얇을 수 있다.
도 5c는 밀봉 멤브레인(94)이 제2 단부(106)에 밀봉 림(124)을 갖는 미니 개스킷(93)의 개선된 형태를 도시한다. 밀봉 림은 밀봉 멤브레인보다 또는 적어도 밀봉 림에 인접한 밀봉 멤브레인의 일부보다 더 두껍거나 평탄하다. 도 5d에서, 측벽(29)은 측벽의 내부면이 외부면보다 더 크도록 경사진 저부 표면(15)을 가지며, 이는 사용 동안 탄성 밀봉체와 측벽(29) 사이에 식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도 5d는 밀봉 멤브레인(94)이 용기의 내부 표면(23)에 대한 밀봉을 위해 다리부(123)와 발부(122)를 포함하는 다른 개선된 미니 개스킷(93)을 도시한다. 여기서, 밀봉 멤브레인(94)은 문자 L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5c의 다리부(123)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밀봉 멤브레인(94)은 경사진 V 형상으로 구성되고, 다리부(123)와 발부(122)를 굴곡시킴으로써, 밀봉 멤브레인은 C 형상으로 구성되고, 발부(122)를 다리부(123)의 좌측으로 약 50% 이동시킴으로써, 밀봉 멤브레인은 반전 T 형상으로 구성되고, 발부(122)를 다리부(123)의 좌측으로 약 50% 이동시키고 발부(122)를 굴곡시킴으로써, 밀봉 멤브레인은 반전된 Y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 단부(106)에 다리부를 추가함으로써, 밀봉 멤브레인은 문자 U 형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다리부(123)와 발부(122)의 조합 및 변형은 경사진 밀봉 멤브레인의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상술한 L, 경사진 V, C, 반전 T, 반전 Y 및 U 형상 밀봉 멤브레인(94)은 모두 일반적으로 경사진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밀봉 멤브레인은 탄성 밀봉체를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링의 저부 상에 형성되거나 그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탄성 밀봉체(10)는 내부 표면(23)에 대한 충분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단 하나의 미니 개스킷 또는 밀봉 멤브레인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내부 표면(23)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밀봉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표면의 미소한 만입부 및 돌출부에 대해 합치되기에 충분하게 얇게 형성되고, 약 1.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75 mm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측벽(29)은 스테인레스 스틸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 플레이트(30a)는 유리로 형성된다. 채널(88)은 링(90)을 수용하고 탄성 멤브레인의 주연 섹션(7)을 개재하도록 측벽(29)의 상단 부분(97)에 형성된다. 유리 플레이트(30a)는 링(90) 위에 배치되고, 측벽의 상단 단부(91)는 멤브레인의 주연부에 형성된 스카(92)와 탄성 멤브레인을 고정하도록 유리 플레이트(30a) 위로 말려진다. 도 3의 꼭지(50)와 같이, 변형된 꼭지는 꼭지 헤드(60)와, 꼭지 본체(73)와, 그 사이에 탄성 멤브레인을 개재하기 위한 내부 본체(37)를 포함한다. 꼭지 본체(73)는 꼭지 헤드(60)를 수용하기 위해 상단 챔버(57)를 구비한다. 만입부(52)가 챔버(57)의 림 상에 형성되어 꼭지 헤드의 누름에 의한 폐쇄 챔버(22)의 배기를 용이하게 한다. 꼭지 헤드는 링형 챔버(48) 내에 수용되어 그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측벽(102)을 갖는다. 제1 스프링(100)은 원통형 연장부(40)의 상단 벽(66)과 밸브 밀봉체(42) 사이에서 압축되어 밸브 샤프트(55)와 밸브 밀봉체(42)를 하향 이동시키고, 제2 스프링(101)은 상단 벽(66)과 꼭지 헤드 사이에서 압축되어 밸브 샤프트와 밸브 밀봉체를 상향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 스프링은 보관 동안 또는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밸브 개구(80) 내에 밸브 밀봉체를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제1 스프링(101)은 진공 보관 동안 덮개와 꼭지(50)의 밀봉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스프링(100)보다 더 강하거나 또는 더 큰 스프링 힘 상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플레이트(30a) 및 탄성 멤브레인(30b) 이외에, 상단 플레이트(30)는 내부 본체의 베이스(36)에 연결된 차폐부(143)를 아래에 더 구비한다. 차폐부는 사용 이전에 탄성 멤브레인과 접촉 상태로 존재하고, 폐쇄 챔버(22) 내의 공기가 배기됨에 따라 탄성 멤브레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더 이격되게 이동한다(도 5a). 이는 꼭지 본체의 베이스(45)보다 크고, 플레이트(144) 및 복수의 개구(146)를 갖는다. 차폐부는 식품에 대해 멤브레인을 밀기 위해 꼭지를 누를 때 또는 덮개가 진공 펌프에 연결될 때, 식품의 날카로운 뼈 또는 껍질에 의해 탄성 멤브레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차폐부(143)의 기대밖의 이득은 특히 덮개(1)가 토마토 소스나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을 덮고 있을 때 마이크로파 오븐에 의해 탄성 멤브레인(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이며, 이는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7,594,586호에서 고려되는 Keepeez®덮개와 관련한 주된 문제점이다. 차폐부는 덮개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벽(29)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40 mm 더 작다.
사용을 위해, 제2 스프링(101)을 압축시키기 위해 단순히 꼭지 헤드(60)를 눌러서 밸브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를 하향 이동시켜 공기 통로(81)를 생성하고, 탄성 멤브레인(30)을 하향 이동시켜 공기를 공기 통로(81)를 통해 폐쇄 챔버(22)의 외부로 밀어낸다(도 5a). 탄성 멤브레인의 하향 이동은, 공기가 챔버(22)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멤브레인에 연결된 차폐부(143)와 꼭지(50)가 멤브레인과 함께 하향 이동하게 한다. 식품을 위해 더 많은 공기를 제거하기를 원하는 경우, 꼭지 헤드(60)를 추진하기 위해 핀(107)과 상단 챔버(57)에 대한 밀봉을 위한 튜브(83)를 구비하는 배기 장치(84)(도 5b)는 꼭지(50)의 상단 챔버(5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덮개의 제4 변형 형태를 보여준다. 도 5의 덮개에 비해, 여기서, 상단 플레이트(30)는 단 하나의 층을 가지며, 내부 본체(37)는 꼭지 본체(73)로서 기능하며, 상단 플레이트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관형 채널(112)은 상단 단부가 챔버(115)에 연결되고 하부 단부(111)가 폐쇄 챔버에 연결된 상태로 밸브 샤프트(55) 내에 형성된다. 튜브 수용 개구(54)는 챔버(115)에 대해 밀봉된 디스크(117) 상에 형성된다. 볼 밀봉체(120)는 개구(54)를 폐쇄하도록 스프링(116)에 의해 디스크(117)에 대해 밀려진다. 측벽(29)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챔버(22)의 외부로 공기를 축출하기 위해 가압될 때 높이가 변화하거나 절첩되도록, 그리고, 가압되지 않을 때 그 원래 높이로 반동 또는 복귀되어 폐쇄 챔버 내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를 갖도록 구성된 복수의 탄성 주름부(119a, 119b)를 가진다.
도 5의 덮개와 유사하게, 밸브 샤프트(55)와 밸브 밀봉체(42)를 하방으로 밀어서 공기 통로(81)(미도시)를 형성하도록 꼭지 헤드(60)를 누른다. 꼭지 헤드(60) 및 스프링(101)은 가압력을 꼭지 본체(37)와 상단 플레이트(30)를 통해 측벽(29)으로 전달함으로써 탄성 주름(119a, 119b)을 압축하여 공기를 공기 통로(81)(미도시)를 통해 챔버(22)의 외부로 밀어낸다. 가압되지 않을 때, 꼭지 헤드(60)는 스프링(101)에 의해 상향 추진됨으로써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가 상향 이동하고 밸브 개구(80)를 폐쇄하게 하며, 압축된 탄성 주름이 팽창을 시도하게되고, 그에 의해, 폐쇄 챔버(22) 내에 진공을 생성한다. 진공을 해제하고, 덮개(1)를 들어 올리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돌출된 부분(59) 또는 꼭지 헤드(60)를 보유하고 꼭지를 상방으로 당기며, 이는 밸브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가 원통형 연장부(40) 내로 상향 이동하게 하여 공기 통로(58)(미도시)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공기가 챔버(22)에 진입할 수 있게하고, 압축된 주름이 팽창하여 그 원래 높이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도 2b의 배기 장치(84)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튜브(83)를 튜브 수용 개구(54) 내로 삽입함으로써 볼 밀봉체(118)를 하향 추진하여 채널(112)을 통해 폐쇄 챔버(22)로부터 공기를 배기시킨다.
도 1의 덮개의 제5 변형 형태가 도 7 내지 도 7c에 제공되어 있다. 개선된 덮개는 제1 플레이트(30a), 제1 플레이트 위에 연결되면서 채널(2) 및 제1 플레이트의 저부 표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있는 저부 표면(15)을 가지는 측벽(29)과, 제2 플레이트 또는 탄성 멤브레인(30b)을 포함한다. 멤브레인(30b)은 도 4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덮개가 용기(21)의 림(24)에 대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끄러운 하부 표면을 가지는 주연 섹션(7)을 포함한다. 주연 섹션(7)은 대부분 평탄한 섹션(18)이며, 이는 덮개가 용기(21)의 내부 표면(23)에 대한 기밀 밀봉을 형성할 수 있게 하도록 탄성 밀봉체(10)를 형성하기 위해 측벽(29)의 저부 표면(15)을 덮거나 감싼다. 이는 도 3 및 도 5의 덮개와 유사하게, 덮개가 덮개보다 크고 작은 모든 용기를 밀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도 3 및 도 5의 덮개보다 매우 작은 비용이 들며, 그 이유는 그 탄성 밀봉체(10)가 탄성 멤브레인(30b)의 주연 섹션에만 있고, 그 측벽(29)이 제1 플레이트(30a)의 단지 일부이기 때문이다. 측벽(29)에 인접하게 배치된 주연 섹션(7)은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용기에 적용되지 않았을 때(도 7) 수평 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측벽(29)으로부터 꼭지(50)까지 하향 경사지거나 기울어진다. 제1 플레이트(30a)의 하부 표면은 또한 측벽(29)으로부터 중심까지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각도 또는 경사는 약 5 내지 75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도이다. 이런 경사는 용기의 림(24)에 대한 밀봉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경사 또는 각도가 클 때 탄성 멤브레인이 내부 표면(23)에 대해 밀봉될 수 있게 하고, 플레이트(30a, 30b) 사이의 유체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주연 섹션(7)은 경사부(17)를 구비하며, 이 경사부는 측벽(29)의 외부 표면의 사전결정된 높이를 덮으면서 용기에 대한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의 내부 표면(23)에 대하여 접근될 수 있다. 주연 섹션(7)의 대부분의 외부 부분은 링(82)에 의해 채널(2)에 고착되고, 멤브레인의 주연에 형성된 스카(92)를 구비한다. 유체 간극(19)이 측벽(29)과 경사부(17)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나 액체 같은 유체의 층을 수용함으로써 용기의 내부 표면(23)에 대한 탄성 멤브레인의 밀봉을 추가로 개선시킨다. 측벽(29)의 외부 표면을 덮으면서 저부 표면(15)과 접촉하는 탄성 멤브레인(30b)의 탄성 밀봉체(10)의 섹션(17, 18)과 측벽(29) 사이의 거리는 기밀 밀봉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의 내부 표면(23)에 탄성 멤브레인의 섹션(17, 18)이 더 양호하게 합치될 수 있게 하도록 변화가능하게 구성된다.
탄성 멤브레인(30b)은 덮개의 조립 또는 제조 동안 링(82)에 의해 측벽(29)에 멤브레인이 부착될 때 또는 그 이전에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신장되며,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용기에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장 및 인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신장은 꼭지가 부분적으로 개구(34) 또는 플레이트(30a) 아래에 있는 진공 보관 위치로부터 꼭지가 개구(34) 위에 또는 거의 위에 있는 비사용 위치로 꼭지가 이동될 때 제1 플레이트(30a)와 제2 플레이트(30b) 사이에 공기 및 물 같은 유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7,594,586호에서 고려된 덮개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수 달 동안 과중한 사용 이후, 덮개 중 소수 비율(예를 들어, 덮개의 노화(age)에 따라 약 4%)에서 소량의 누설이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예로서 0.05 mm으로부터 0.1 mm으로 멤브레인의 두께를 두배로 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단지 일부의 제한된 성공만이 달성되었다. 멤브레인 두께가 두배가 되었을 때, 평균적으로, 누설이 발생하는 덮개의 비율은 약 30%만큼, 즉, 약 4%에서 약 3%로 감소되었다. 놀랍게도, 하나의 탄성 멤브레인이 덮개(1) 내의 두 개의 동일한 탄성 멤브레인으로 대체되는 경우, 누설이 발생하는 덮개의 비율은 거의 250%만큼, 즉, 약 4%로부터 약 1.5%로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선량은 예상에 비해 거의 10배 양호하다. 결과적으로, 탄성 멤브레인(30b)은 그 주연 섹션이 측벽(29)에 함께 연결된 상태의 하나의 적층체로 복수의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놀랍게는, 덮개(1) 내의 두 개의 멤브레인이 열로 함께 결합되었을 때, 과도한 사용 이후 거의 200개 덮개에서 어떠한 누설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결합 공정이 누설 문제를 해결하였고, 2개 이상의 탄성 멤브레인이 캘린더링, 가열 또는 가압 결합, 적층 또는 압출 코팅 같은 결합 공정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있는 결합된 멤브레인이 덮개(1)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의 개선된 꼭지(50)는도 3 및 도 5의 꼭지의 링형 챔버(48)를 제거함으로써 단순화되고, 개구(34) 아래로 꼭지 본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림(109)을 갖는 꼭지 본체(73)와, 꼭지 헤드(60) 상의 관형 개구(54) 직접적으로 아래에 관형 개구(72, 53)를 통해 대기로 개방된 원통형 연장부(40)와 밸브 개구(80)를 갖는 내부 본체(37)와, 밸브 밀봉체(42)와, 꼭지 헤드(60)가 눌려지지 않거나 당겨지지 않는 한 꼭지 아래의 진공이 존재할 때에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브 개구(80) 내에 밸브 밀봉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스프링(100, 101)을 포함한다. 원통형 연장부(40)는 밸브 샤프트(55)를 수용하도록 개구(67)를 갖는 꼭지 본체(73)의 상단 벽(66)에 의해 덮여진다. 꼭지 본체(73)는 개구 내에서 상하로 꼭지가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0a, 30b)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 덩어리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34)보다 단지 미소하게 작다. 꼭지가 개구(34) 내의 하부 위치로 이동된 이후, 정적 공기의 층(120)이 폐쇄 챔버(20) 내의 제품(20)을 위한 단열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다(도 7c). 제1 플레이트(30a)는 측벽(29)의 상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 또는 탄성 멤브레인(30b)로부터 이격되어 그 위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꼭지(60)가 제1 비사용 위치(도 7)로부터 제2 밀봉 보관 위치로 이동된 이후 제1 플레이트(30a)와 제2 플레이트(30b) 사이의 진공을 보전하도록 O-링 또는 밀봉 개스킷에 의해 개구(34)와 꼭지 본체(73) 사이에 기밀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사용을 위해, 용기(20)가 덮개(1)보다 큰 경우, 내부 표면(23) 상에 탄성 밀봉체(10)를 배치하고, 챔버(22) 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공기 통로(81)를 생성하도록 꼭지 헤드(60)를 가압하고(도 7c), 밸브 밀봉체(42)가 밸브 개구 내로 복귀하여 챔버 내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꼭지 헤드를 해제한다. 덮개를 제거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꼭지 헤드를 당긴다. 용기가 덮개보다 작은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용기의 림(24) 위에 탄성 멤브레인(30b)을 배치한다. 펌프를 통한 배기를 위해, 도 2b의 장치(84)의 튜브(83)를 개구(54, 53, 72) 내로 삽입하여 꼭지 헤드(6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튜브(84)는 꼭지 헤드를 해제한 이후에도 O-링(108)이 배기 동안 개구(67)를 밀봉하도록 꼭지 헤드를 하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개구(53, 54, 72)에 마찰식으로 결합한다.
도 7의 개선된 덮개가 도 7d에 도시되어 있다. 개선된 덮개의 채널(2)은 측방향을 향함으로써 플라스틱 또는 금속 슬리브(82)가 내부로 추진되어 탄성 멤브레인의 주연 섹션을 개재하고 이들을 측벽(29)에 고정하며, 따라서, 탄성 멤브레인의 경사 섹션(17) 모두가 개선된 밀봉을 위해 용기의 내부 표면에 대해 쉽게 접근가능하게 한다. 꼭지(50)의 베이스 플레이트(45) 아래에 디스크 플레이트(144)를 갖는 차폐부(143)는 도 5의 차폐부와 유사한 방식으로 탄성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한 내부 본체(37)에 연결된다. 또한, 차폐부는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카운터탑 또는 테이블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림(121)을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45)는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멤브레인(30b)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구(34)보다 작다. 탄성 멤브레인(30b)은 먼저 하방으로, 그리고, 그후, 측벽(29)으로부터 덮개의 중심으로 상방으로 기울어지거나 경사진다. 챔버(128)는 베이스 플레이트(45)와 디스크 플레이트(144) 아래에 형성된다. 스프링(101)의 상단 단부는 꼭지 헤드(60)의 저부 단부에 대해 부동화되고, 스프링(101)의 하부 단부는 꼭지 본체의 플레이트(66)에 대해 부동화되며, 그래서, 스프링(101)은 꼭지 헤드가 가압된 이후에 밸브 개구 내로 다시 밸브 밀봉체(42)를 당길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꼭지 헤드가 위로 당겨진 이후 밸브 개구 내로 밸브 밀봉체를 다시 밀어넣을 수 있다. 스프링의 단부의 이런 부동화는 스프링(100)의 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또한 꼭지가 더 짧아질 수 있게하여 적층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도 8 및 도 8a에서, 도 1의 덮개의 제6 변형 형태가 제공된다. 여기서, 측벽은 외부 측벽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 위치된 외부 측벽(28a) 및 내부 측벽(28b)을 포함한다.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 즉, 탄성 멤브레인(30b)의 주연 섹션은 외부 측벽(28a)과 내부 측벽(28b) 사이에 위치된다. 멤브레인 로크(31)는 멤브레인의 외부 부분을 개재하도록 채널(9)과 리지(8)를 갖는다. 스테인레스 스틸 커버(149)는 측벽(29)을 덮으며, 제1 플레이트(30a), 도 2b의 장치(84)가 삽입될 때 튜브(83)에 대한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형 개구(53) 내에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링(199)을 부동화하기 위한 상단 커버 상의 개구(141) 및 외부 측벽(28a)의 저부 위로 말려진 저부 커버(148)를 덮기 위한 상단 커버(30c)를 갖는다.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에 대한 내부 표면(23)의 밀봉을 용이하게 하도록 유체 간극(19)에 공기가 진입 및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제1 플레이트(30a) 내에 통로(162)가 형성된다. 사용을 위해,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을 용기(21) 내로 삽입하고, 용기 내의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공기 통로를 생성하도록 밸브 개구(80)의 외부로 밸브 샤프트(55) 및 밸브 밀봉체(42)를 추진하도록 꼭지 헤드(60)를 가압하고, 용기 내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밸브 밀봉체가 밸브 개구를 폐쇄할 수 있게하도록 꼭지 헤드를 해제한다(도 8a). 덮개를 제거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꼭지 헤드를 상방으로 당기기만 하면 된다.
도 8의 덮개를 테스트할 때, 이는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이 꼭지(50)가 제거될 때에도 용기에 대한 길게 지속되는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꼭지(50) 없이, 단지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을 용기 내로 삽입하고 상단 플레이트(30c)를 가압하여 탄성 밀봉체의 경사 섹션(17)의 대부분 또는 모두가 용기에 진입할 때까지 경사 섹션(17)을 변형시킨다. 덮개는 경사 섹션(17)이 수평 평면에 대해 또는 수평 평면(30a)에 대해, 15도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45도보다 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때 최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덮개가 해제된 이후 미소하게 반동되는 것으로 판명되고, 이런 반동은 통로(162)가 존재할 때 및/또는 경사 각도가 약 60도 이상일 때 감소 또는 제거된다. 도 7 및 도 7d의 덮개는 또한 꼭지(50) 없이 용기에 대한 길게 지속되는 기밀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도 8의 탄성 멤브레인(30b)은 외부 측벽(28a)과 내부 측벽(28b) 사이의 결합을 위해 구성된 탄성 개스킷 또는 밀봉체(10)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상단 플레이트(30a) 및 측벽(29)를 접촉시키기 위한 수평 상단 베이스(120)와, 저부 링(18)과, 상단 베이스 및 저부 링에 연결된 얇은 밀봉 멤브레인(17)을 포함(도 8b)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밀봉 멤브레인(17)은 바람직하게는 15도보다 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도보다 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도보다 큰 수평 평면에 대한 또는 수평 상단 베이스(120)에 대한 각도로 경사진다. 밀봉 멤브레인(17)은 용기의 내부 표면(23)에 대한 기밀 밀봉을 향상시키도록 바람직하게는 1.5 mm 미만,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m 미만이다.
도 9 내지 도 9b에서, 도 1의 덮개의 제7 변형 형태가 제공된다. 이 변형 덮개는 도 8의 것과 유사하지만 더 작은 꼭지 헤드(60)를 구비하는 개조된 꼭지(50)를 갖는다. 개조된 꼭지는 밸브 개구(80) 및 챔버(150)를 구비하는 본체(37)를 포함하고, 꼭지 헤드(60)는 챔버(150)에 끼워지고 챔버(150) 내로 이동할 수 있는 관형 본체(151)와, 챔버(150)의 외부로 꼭지 헤드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향 돌출부(152)와, 관형 개구(54)와, 내향 돌출 상단 립(155) 및 상단 립 상의 만입부(52)와, 밸브 밀봉체(42)를 고정하기 위해 하부 단부(41)와 관형 본체(15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단 실린더(156)를 갖는 밸브 샤프트(55)를 갖는다. 상단 실린더(156)는 내향 돌출부(155)에 의해 관형 본체(151)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관통 개구(158)를 갖는다.
진공 밀봉을 위해, 그 내부 표면(23)에 대한 밀봉을 위해 용기(21) 내로의 탄성 멤브레인(30b)의 탄성 밀봉체(10)의 경사 섹션(17)을 삽입하고, 꼭지 헤드(60)를 가압하여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공기 통로(81)를 생성하도록 밸브 개구(80)의 외부로 밸브 밀봉체(42)를 밸브 샤프트가 추진하게 하고(도 9a), 스프링(100)이 진공을 밀봉 및 유지하기 위해 밸브 밀봉체를 밸브 개구(80) 내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꼭지를 해제한다. 펌프로 더 많은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도 2b의 장치(84)의 튜브(83)를 개구(54) 내로 삽입하여 공기 통로(81)를 생성하도록 밸브 개구(80)의 외부로 밸브 밀봉체(42)를 추진하기 위해 상단 실린더(156) 및 밸브 샤프트(55)를 가압한다(도 9b). 튜브(84)가 제거될 때, 스프링(100)은 용기 내의 진공을 밀봉 및 보전하도록 밸브 개구(80) 내로 밸브 밀봉체(42)를 복귀시킬 때까지 상단 실린더(156)를 추진한다.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밸브 개구(80)의 외부로 밸브 밀봉체(42)를 추진하기에 단지 충분하게 꼭지 헤드(60)를 가압한다. 도 8의 돌출부(59)가 도 9의 꼭지 헤드(60) 상에 형성됨으로써 진공을 해제하고 용기로부터 덮개를 들어올릴때까지 꼭지 헤드를 당길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는 명백하게 예로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 또는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수의 변형, 변경, 추가 및 그 응용이 존재한다.

Claims (64)

  1.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로서,
    상단 플레이트와,
    상단 플레이트에 연결된 측벽과,
    용기로부터 덮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꼭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용기 사이에 폐쇄 챔버를 형성하도록 용기에 대해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꼭지의 적어도 일부는 덮개가 용기에 적용된 이후 용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상단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리고 상기 꼭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단 플레이트 위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꼭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꼭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단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되어 제2 용기가 상기 상단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꼭지를 보유 및 이동시키도록 수평으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상기 꼭지가 연결되는 눌려질 수 있는 섹션과 만입된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상기 꼭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 위에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꼭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 아래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구 내에서 상기 꼭지가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꼭지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꼭지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이물질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꼭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멤브레인의 적어도 주연 섹션이 상기 측벽으로부터 꼭지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져서 용기에 대한 밀봉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하부 표면을 구비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기와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체의 축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용기에 덮개를 적용하기 이전에 신장된, 그리고, 인장된 상태의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에 충분히 크고, 상기 꼭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챔버 내의 제품을 위한 단열을 제공하도록 공기 층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꼭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측벽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밸브 개구 및 상기 꼭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보관 동안 상기 밸브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꼭지가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개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손이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꼭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꼭지의 상향 및 하향 이동 중 하나로 상기 꼭지가 상기 개구의 외부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된 이후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진공을 유지하도록 상기 개구와 꼭지 본체 사이에 밀봉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주연 섹션을 갖는 탄성 멤브레인과, 멤브레인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로크는 제1 리지와 상기 주연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채널을 구비하는 제1 로크와, 제2 리지와 또한 상기 주연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채널을 구비하는 제2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지는 상기 제2 리지가 상기 제1 채널에 진입하여 상기 측벽에 대해 상기 주연 섹션을 로킹할 때 상기 제2 채널을 종결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지는 상기 채널의 외부로 상기 멤브레인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지 상기 멤브레인의 상기 주연 섹션의 수직 섹션에 의해서만 분리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리지 둘레에 복수의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지는 상기 제1 채널 둘레에 복수의 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리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더 넓은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는 상기 복수의 리지 각각의 상기 더 넓은 단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측부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부 채널, 상기 제1 리지 및 상기 제2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을 파괴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채널을 갖는 제1 플레이트와 탄성 멤브레인을 갖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탄성 멤브레인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저부 표면을 감싸서 상기 채널 외부로 상기 탄성 멤브레인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과, 상기 측벽에 대해 상기 탄성 멤브레인을 로킹하기 위한 멤브레인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복수의 상기 덮개가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덮개의 중심을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측벽은 상기 멤브레인 로크를 호스팅하여 상기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상단 단부에 내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측벽과 측부 꼭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멤브레인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멤브레인의 에지에 스카(scar)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용기의 내부 표면에 대한 기밀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밀봉체를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은 상기 폐쇄 챔버내에 진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기밀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진공을 상기 탄성 밀봉체에 적용된 하향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은 용기의 림에 대한 밀봉을 위해 용기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매끄러운 하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덮개가 덮개보다 작은 용기를 밀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탄성 밀봉체는 덮개가 덮개보다 큰 용기를 밀봉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체는 수평 표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복수의 밀봉 평면을 포함하고, 외부 밀봉 평면은 내부로부터 내부 밀봉 평면보다 상기 밀봉체의 외부 주연으로 더 많이 상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기밀 밀봉을 유발하도록 상기 밀봉체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밀봉체와 접촉하는 저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저부 표면은 상기 측벽의 내부 면이 외부면보다 더 크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은 덮개가 용기의 림에 대해 밀봉될 수 있게 하도록 매끄러운 하부 표면과, 덮개가 용기의 내부 표면에 대한 밀봉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탄성 밀봉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벽의 저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섹션을 구비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덮개가 상기 폐쇄 챔버의 외부로 공기를 축출하도록 가압될 때 높이가 변하도록 구성되고, 덮개가 가압되지 않을 때 그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여 폐쇄 챔버 내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체는 상기 기밀 밀봉을 개선시키도록 상기 탄성 밀봉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미니(mini)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미니 개스킷은 상기 탄성 밀봉체의 저부 표면 아래에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덮개가 용기 상에 세워질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부 표면과 접촉하게 하도록 접혀지게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탄성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 아래의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폐쇄 챔버 내의 공기가 제거될 때 상기 탄성 멤브레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폐쇄 챔버를 대기와 소통시키기 위한 밸브 개구와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개구는 기밀 밀봉을 유발하도록 상기 밸브 밀봉체에 대한 마찰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사전결정된 길이의 밸브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마찰 결합의 적어도 부분적 소실을 유발하도록 상기 밸브 개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폐쇄 챔버를 대기와 소통시키기 위한 밸브 개구와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밸브 개구에 대해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 개구 위에 존재하는 제2 위치와,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서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 개구 아래에 존재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꼭지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지 헤드는 상기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밸브 밀봉체를 이동시켜 상기 폐쇄 챔버 내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게 하도록 가압되게 구성되고, 상기 폐쇄 챔버 내의 진공을 해제하여 덮개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밸브 밀봉체를 이동시키도록 당겨지게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그 주연 섹션이 상기 측벽에 함께 연결되는 상태로 하나의 적층체로 복수의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멤브레인은 연장된 심한 사용(heavy use) 이후 탄성 멤브레인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 공정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6.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로서,
    상단 플레이트와,
    상단 플레이트에 연결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용기 사이에 폐쇄 챔버를 형성하도록 용기에 대한 밀봉을 위해 탄성 밀봉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밀봉체는 용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 및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 중 적어도 일부는 덮개가 사용중이 아닐 때 또는 용기에 적용되지 않을 때 수평 평면에 대해 각지게 대체로 경사지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상기 측벽의 저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상기 측벽의 상기 저부 표면 아래에 상기 탄성 멤브레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과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밀 밀봉을 향상시키도록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상기 측벽의 외부 표면의 사전결정된 높이를 덮도록 구성된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상기 측벽의 상기 외부 표면의 외측에 상기 탄성 멤브레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밀봉 멤브레인 사이의 공기와 액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체의 층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체는 상기 측벽과 상단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상단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수평 평면에 대해 15도보다 큰 각도로 상기 상단 베이스에 연결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아래의 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은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측벽 부근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저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상기 측벽 부근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저부 표면 또는 상기 측벽을 덮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는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용기에 대해 적용되지 않을 때 수평 평면에 대해 적어도 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는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용기에 대해 적용되지 않을 때 수평 평면에 대해 적어도 4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5.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 위치된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덮개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평에 대해 상기 각도로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서 경사지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6.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체는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상기 탄성 밀봉체의 저부 표면 아래에서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경사져서 위치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상기 탄성 밀봉체에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탄성 밀봉체의 저부 표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단부를 가지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탄성 밀봉체의 외부 에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밀봉 림에 인접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일부보다 더 두꺼운 밀봉 림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대략 L, C, 경사진 V, 반전된 T, 반전된 Y, U 및 경사진 I 형상 중 하나로 구성되고, 용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상기 밀봉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표면 상의 만입부 또는 돌출부에 합치하도록 충분히 얇고 탄성적인,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주름을 가지고, 상기 탄성 주름은 덮개가 가압될 때 접혀져서 상기 폐쇄 챔버의 외부로 공기를 축출하도록 구성되고, 덮개가 가압되지 않을 때 그 원래의 높이로 되돌아가 폐쇄 챔버 내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2.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로서,
    상단 플레이트와,
    상단 플레이트에 연결된 측벽과,
    상기 상단 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꼭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용기 사이에 폐쇄 챔버를 형성하도록 용기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꼭지는 상기 폐쇄 챔버를 대기와 소통시키기 위한 밸브 개구와 밸브 밀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개구는 기밀 밀봉을 유발하도록 상기 밸브 밀봉체에 대해 마찰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사전결정된 길이의 밸브 측벽을 가지며,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마찰 결합의 적어도 부분적 소실을 유발하도록 상기 밸브 개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밸브 측벽에 대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연장부 내로 이동할 때 상기 공기 통로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찰 결합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 소실을 유발하기 위해 채널을 구비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사고 또는 노화에 기인한 보관 동안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약 0.5 mm 내지 15 mm의 상기 밸브 밀봉체를 위한 운동 밀봉 거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이동되어 상기 마찰 결합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 소실이 상기 공기 통로를 생성하는 것을 유발한 이후, 상기 마찰 결합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상기 밸브 개구 내로 상기 밸브 밀봉체가 복귀하게 하기에 충분히 강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꼭지의 본체에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밸브 밀봉체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이동하여 상기 마찰 결합을 소실하게 하기에 충분히 굴곡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밸브 밀봉체를 하향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과, 상기 밸브 밀봉체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은 보관 동안 상기 밸브 개구 내에서 상기 밸브 밀봉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보관 동안 덮개의 밀봉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스프링보다 강한,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호스팅되는 꼭지 본체와 밸브 샤프트를 통해 상기 밸브 밀봉체에 연결되는 꼭지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밸브 개구 내에서 상기 밸브 밀봉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꼭지 헤드에 대해 부동화된 제1 단부와 상기 꼭지 본체에 대해 부동화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0.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폐쇄 챔버를 배기시키도록 진공 펌프에 연결된 배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밸브 개구의 상류에 위치된 제2 개구와, 배기 장치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마찰 결합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 소실을 유발하도록 배기 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꼭지 헤드를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1.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꼭지 헤드와, 상기 밸브 개구 위에 챔버를 갖는 꼭지 본체와, 그리고 상기 꼭지 헤드와 밸브 밀봉체에 연결된 밸브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2.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밸브 개구에 대한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 개구 위에 있는 제2 위치와, 그리고 상기 밸브 밀봉체가 상기 폐쇄 챔버와 대기 사이에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 개구 아래에 있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꼭지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밀봉체는 상기 꼭지 헤드를, 이에 따라 덮개를 누를 때 상기 폐쇄 챔버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꼭지 헤드를 당길 때 용기로부터 덮개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64. 덮개 사용 방법에 있어서,
    용기 상에 덮개를 배치하는 단계와,
    용기를 배기시켜 덮개를 용기에 대해 진공 밀봉하기 위해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덮개의 꼭지를 하향 가압하는 단계와,
    진공을 해제하여 용기로부터 덮개를 들어올리도록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꼭지를 상방으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덮개 사용 방법.
KR1020137023718A 2011-02-07 2012-02-07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KR20140064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31,638 2011-02-07
US12/931,638 US20120199582A1 (en) 2011-02-07 2011-02-07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PCT/US2012/000064 WO2012108952A1 (en) 2011-02-07 2012-02-07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716A true KR20140064716A (ko) 2014-05-28

Family

ID=4659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718A KR20140064716A (ko) 2011-02-07 2012-02-07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99582A1 (ko)
EP (1) EP2673209A1 (ko)
KR (1) KR20140064716A (ko)
CA (1) CA2825633A1 (ko)
WO (1) WO20121089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9274A1 (en) * 2015-04-22 2016-10-27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Vacuum food stor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74729Y (es) * 2011-05-03 2011-09-26 Lekue S L Utensilio para coccion de huevos sin cascara
US8827098B2 (en) * 2011-09-23 2014-09-09 Daniel Glanz Collapsible lid handle for cookware
US10562690B2 (en) * 2017-02-07 2020-02-18 Sunbeam Products, Inc. Valve assembly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WO2018165203A1 (en) * 2017-03-06 2018-09-13 Unovo Llc Jar sealing and unsealing device
RU2019135369A (ru) * 2017-04-07 2021-05-07 Хантсман Эдванст Матириалз Лайсенсинг (Свитзеленд) Гмбх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ка в сборе, контейнер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US10266291B1 (en) * 2017-10-21 2019-04-23 Thomas Calvin Cannon, Jr.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food containers
US10793325B2 (en) * 2018-04-17 2020-10-0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US11607075B2 (en) * 2018-04-17 2023-03-21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USD889260S1 (en) 2018-12-21 2020-07-07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losure for a container
US11292642B2 (en) 2018-12-21 2022-04-05 H. 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CA3124183A1 (en) 2018-12-21 2020-06-25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CA3154688A1 (en) 2019-09-20 2021-03-25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US20230145139A1 (en) * 2021-11-08 2023-05-11 Two Pillars, Llc Microwave coo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6552A (en) * 1983-08-08 1984-08-21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terilization container formed of nonwoven material
US5558243A (en) * 1994-11-07 1996-09-24 Chiun Pao Enterprise Co., Ltd. Sealing cap for vacuum containers
US5979688A (en) * 1997-02-26 1999-11-09 Container Development, Ltd. Vacuum container with reclosable sealing closure having a vacuum release sealing button
US6789690B2 (en) * 2002-04-19 2004-09-14 Tilia International, Inc. Hose direct canister lid
US7048136B2 (en) * 2002-11-05 2006-05-23 Tilia International, Inc.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WO2006009345A1 (en) * 2004-07-23 2006-01-26 Cse Co., Ltd. Vacuum vessel having improved airtightness
US20060032852A1 (en) * 2004-08-12 2006-02-16 Cai Edward Z Airtight lid fo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060151511A1 (en) * 2005-01-07 2006-07-13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 Suction cup lid
KR100759487B1 (ko) * 2006-10-02 2007-09-20 리엔리하이테크(주)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CN101412457B (zh) * 2007-10-19 2010-06-02 谢国金 真空保鲜外罩
CN201729350U (zh) * 2007-11-28 2011-02-02 格拉德产品公司 真空储存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9274A1 (en) * 2015-04-22 2016-10-27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Vacuum food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5633A1 (en) 2012-08-16
EP2673209A1 (en) 2013-12-18
US20120199582A1 (en) 2012-08-09
WO2012108952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JP5033877B2 (ja) 真空容器用の多用途閉鎖装置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JP3143343U (ja) 吸着カップ蓋
JP5216775B2 (ja) 真空カバー
US5944211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n air evacuation valve
KR20090051001A (ko) 부패 가능 제품을 위한 진공 생성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101272819B1 (ko) 음식 용기용 진공 패킹
WO2010121295A1 (en) Sealable container
US8186533B1 (en) Food storage device
AU2020336056B2 (en)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JP3171600U (ja) 蓋体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JP2014510678A (ja) 鍋、プレート、ボウル類の蓋
TWI702356B (zh) 真空容器閥
CN103241445B (zh) 一种用于密封器皿的盖子及其使用方法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100894726B1 (ko) 용기용 밀폐커버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JP3038410U (ja) 密閉容器
JPH0734861Y2 (ja) 食品包装用容器
JP3025607U (ja) 蒸熟物の長期保管が可能な鍋
CA2508856A1 (en) Suction cup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