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20B1 -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20B1
KR102448020B1 KR1020210090191A KR20210090191A KR102448020B1 KR 102448020 B1 KR102448020 B1 KR 102448020B1 KR 1020210090191 A KR1020210090191 A KR 1020210090191A KR 20210090191 A KR20210090191 A KR 20210090191A KR 102448020 B1 KR102448020 B1 KR 10244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receptor
tray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464A (ko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28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2241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KR102021009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74B1/ko
Priority to JP2023524472A priority patent/JP2023547851A/ja
Priority to CN202180074450.3A priority patent/CN116546909A/zh
Priority to PCT/KR2021/011325 priority patent/WO2022097887A1/ko
Publication of KR2022006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및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각각 지니고, 상기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용기{VACUUM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용기로서, 음식을 진공에서 보관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서 보관해야 한다.
구내식당이나 음식점과 같이 대량으로 쌀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창고가 구비되어 있거나 짧은 시간 내에 쌀을 소비하기 때문에 쌀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규모가 작은 식당이나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는 쌀을 쌀통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통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도자기로 만든 쌀통에 쌀을 보관하고 있다.
정미한 쌀의 보존기간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쌀이 수확되는 가을부터 이듬해 3월경까지는 쌀 자체가 햅쌀이기 때문에 신선하고 기온도 낮기 때문에 2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지만, 봄이 되면 수확기로부터 반년 정도 지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쌀은 점차 묵은쌀이 되고 기온도 올라가 보존환경이 나빠져서 4-5월경의 보존 기간은 1개월 정도이고, 시간이 더 지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보존기간은 더 줄어든다.
즉, 기온이 30℃를 넘으면 쌀이 산화되면서 쌀의 질은 뚝 떨어지고 흰 가루가 생기고 맛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한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밀폐용기에 보존하는 것이 제일 좋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가 항상 따뜻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더라도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조금만 지나면 쌀통에 보관된 쌀이 변색이 된다든가 쌀통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쌀벌레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는 기능만 있을 뿐 실질적으로 쌀을 장기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는 쌀벌레가 발생될 수 있으며 쌀통에 장기간 보관된 쌀로 밥을 지을 경우 밥맛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쌀 이외에도, 보리나 조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곡물에 동시에 발생된다.
따라서 가정에서 곡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쌀통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75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음식을 진공에서 보관할 수 있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및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각각 지니고, 상기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면에 상부커버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며,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된 격벽이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복수 개의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인입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테이블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케이스의 측면에는 정량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량개구부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정량트레이를 가진 정량수용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수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로서, 상기 측부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일례로서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정량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커버가 형성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정량트레이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상기 정량트레이에 장착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정량트레이에 연동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폐쇄하는 배출구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이 내장된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마개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정량트레이의 측부홀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정량트레이가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핀이 상기 걸림홈부에 인접 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걸림홈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정량트레이의 이동이 계속 시 상기 배출구마개가 상기 정량트레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트레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트레이의 전면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정량개구부는 정량커버로 개폐되며,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상부수용체와 정량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는 계량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덮개와, 상기 통덮개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통덮개에 회전되게 구성되고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가 형성된 통본체를 가진 계량통; 및 상기 용기케이스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본체의 종동기어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량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작동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케이스에 대한 상기 작동레버의 체결부분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수직하강된 상기 작동레버의 손잡이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가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내부에 종방향으로 순차적 배치되어 각각 음식이 수용되며, 진공펌프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수용체에 음식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하부수용체에도 별도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가 턴테이블과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에 여러 가지 음식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고,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그 중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빼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정량수용체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커버를 열지 않고도 상부수용체 내에 있는 음식을 정량씩 빼낼 수 있음에 따라, 상부수용체에 남은 음식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진공용기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정량수용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배출구마개가 걸림홈부까지 이동된 후 이동이 제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진공용기에서 계량유닛에 의해 음식물이 계량되어 정량트레이에 담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용기케이스(100), 상부수용체(200), 및 하부수용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진공펌프(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진공펌프는 외부물체와의 간섭을 피하고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펌프는 작동 시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이 진공 하에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열기, 습기를 포함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내부의 공기 또한 제거됨으로써, 박테리아의 증식에 따른 부패와 산소에 노출됨에 따른 영양소 파괴를 방지하고, 나아가 맛과 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음식의 신선도를 오랜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진공펌프는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통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개략도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는 하부수용체(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P), 상부수용체(200), 및 하부수용체(300)는 밸브유닛(9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밸브유닛(900)은 삼방밸브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
상기 밸브유닛(900)은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으로부터 에어흡입만 가능하도록,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결된 부위에 체크밸브(91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크밸브(910)는 상부수용체(200)가 개방 시 하부수용체(300)의 진공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하부수용체(300)가 개방 시 상부수용체(300)의 진공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상부수용체(200)의 상부커버(도 2의 110)를 열어서 상부개구부(도 2의 100a)를 통해 음식이 출입 시, 상부개구부(100a)를 통해 상부수용체(200)로 들어온 공기가 밸브유닛(900)을 통해 하부수용체(3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하부수용체(300)의 하부커버(도 2의 110)를 열어서 하부개구부(도 2의 100a)를 통해 음식이 출입 시,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하부수용체(300)로 들어온 공기가 밸브유닛(900)을 통해 상부수용체(2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진공펌프(P)가 작동 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에서 진공상태가 아닌 것으로부터만 밸브유닛(90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신속하게 진공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공펌프(P)의 부하도 저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밸브유닛(900)에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통된 부위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92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는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순차적 이격배치되는데, 각각 음식이 수용되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는 내부에 보관된 음식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바람직하게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은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고, 후술되는 정량수용체(400)도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며, 이때의 연통구조는 일례로서 진공펌프에 연결된 튜브들이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측으로 용기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연통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가 용기케이스(100)에 설치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상면에 상부커버(110)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100a)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120)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100b)가 형성된다.
이때, 용기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는 용기케이스(100)의 상부개구부(100a)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용기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수용체(300)는 용기케이스(100)의 하부개구부(100b)에 의해 외부에 개방된 구조를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장착된 상부커버(11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개구부(100a)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110)가 회전되어 상부개구부(100a)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장착된 하부커버(12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2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개구부(100b)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커버(120)가 회전되어 하부개구부(100b)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S)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하부수용체(300)는 수용된 복수 개의 음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수용체(300)는 텐테이블과, 테이블트레이(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310)은 용기케이스(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일례로서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도 8의 310a)에 용기케이스(100)의 원형 축기둥(도 8의 100d)이 삽입됨으로써, 축기둥(100d)을 중심으로서 원활하게 회전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310)은 상부에 격벽(3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311)은 중앙홀(310a)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아울러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트레이(320)는 음식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부재로서,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에 인입되어 배치되고, 턴테이블(3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안착된다.
이러한 테이블트레이(320)는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에 인입되어 턴테이블(310)에 안착될 때에는 턴테이블(3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사용자가 하부커버(120)를 열고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낼 때에는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로부터 빼져서 탈거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에는 각각 별도의 음식이 담길 수 있는데, 일례로서 여러 가지 잡곡류가 종류별로 수용될 수 있고, 또는 여러 가지 과일이 종류별로 수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310)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310b)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부커버(120)를 열고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 중 하나를 고르기 위해 턴테이블(3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되는 걸림돌기(310b)가 턴테이블(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310b)는 턴테이블(3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턴테이블(3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원하는 테이블트레이(320)를 마주할 때까지 턴테이블(310)을 돌린 후, 원하는 테이블트레이(320)를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낸 다음, 테이블트레이(320)에 수용된 음식을 꺼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턴테이블(310)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걸림돌기(310b) 대신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걸림홈도 걸림돌기(310b)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걸림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턴테이블(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진공용기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4의 도면부호 중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상술되었기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3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390)가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턴테이블(310)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310c)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모터(390)는 턴테이블(310)의 측부기어(310c)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390a)를 가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모터(3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케이스(100)의 측부에 장착된 제어판(C)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판(C)에는 테이블트레이(320)의 번호가 새겨진 복수 개의 버튼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번호의 테이블트레이(320)가 하부개구부(100b)와 마주보도록 턴테이블(310)을 회전시키게 된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수용체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수용체는 서랍 타입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하부개구부를 통해 나오게 되고, 밀어지면 하부개구부를 통해 들어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수용체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십자가 형태의 격벽에 의해 나눠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수용체에는 개방된 상면을 덮는 수용체마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체마개에는 하부수용체 내부 공기의 유출은 허여하고 역유입은 차단하는 에어체크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하부수용체는 내부 수용공간이 여러 개로 나누어진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수용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부수용체(200)에 쌀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가 상부커버(110)를 열어서 상부개구부(100a)를 통해 쌀을 꺼낼 때마다, 상부수용체(200) 내에 있는 나머지 쌀은 외기와 접촉됨으로써 눅눅해지거나 변질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외기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나아가 쌀을 설정된 양만큼 정량씩 꺼낼 수 있도록 정량수용체(400)가 구성된다.
도 6 및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정량수용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정량수용체에서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수용체(200)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200a)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측면에 정량개구부(도 8의 100c)가 형성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수용체(40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정량개구부(100c) 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정량수용체(400)는 정량트레이(410)와, 배출구마개(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는데,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낙하하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인입되어 담겨진다.
이러한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하는 전면커버(410a)가 형성된다.
즉,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나오지 않고 정량개구부(100c)의 내측에 머물 때, 다시 말해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 시, 앞부분인 전면커버(410a)가 정량개구부(100c)와 대응되는 크기를 지님으로써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정량트레이(410)의 내부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정량트레이(410)가 설치된 설치공간이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즉 정량트레이(410)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된다.
이러한 배출구마개(420)는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하부배출구(200a)를 개방하고, 정량트레이(410)에 연동되어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 시 하부배출구(200a)를 폐쇄한다.
즉,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됨에 따라,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나오지 않고 정량개구부(100c)의 내측에 머물 때, 다시 말해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 시에는, 배출구마개(420)도 전측으로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전측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막지 않게 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정량트레이(410)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정량트레이(410)의 이격거리는 크지 않음에 따라, 쌀과 같은 음식이 설정된 정량만큼만 정량트레이(410)에 떨어져서 경사지게 쌓이게 된다.
또한,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이동 시에는, 이와 함께 전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측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막게 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술된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빼낼 수 있는데, 이때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된 배출구마개(420)가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되어 용기케이스(100) 내에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위치고정된 배출구마개(42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을 막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용기케이스(100)는 자석(M)이 내장된 걸림홈부(100e)가 형성되고, 배출구마개(420)는 잠금핀(421)과 탄성부재(42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정량개구부(100c)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M)이 내장된 걸림홈부(100e)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마개(420)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421)과, 상기 잠금핀(421)을 상기 정량트레이(410)의 측부홀(410b)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4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6의 우측 도면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잠금핀(421)이 걸림홈부(100e)에 인접 시, 잠금핀(421)이 걸림홈부(100e)에 내장된 자석(M)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걸림홈부(100e)에 인입됨으로써 배출구마개(420)가 전측방향(정량트레이(410)가 빼내지는 방향) 이동제한되어 위치고정됨에 따라, 정량트레이(410)의 이동이 계속 시 배출구마개(420)가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된다.
즉, 배출구마개(420)가 위치고정된 상태로, 정량트레이(410)가 계속해서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량트레이(410)는 배출구마개(420)로부터 분리되어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빼내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량트레이(410)의 전면커버(410a)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량개구부(100c)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면커버(410a)가 후진되어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S)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진공용기에서 계량유닛에 의해 음식물이 계량되어 정량트레이에 담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정량수용체(400)는 다른 일례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와, 계량유닛(MU)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지니며, 정량개구부(100c) 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계량유닛(MU)에 낙하한 후, 계량유닛(MU)의 작동 시 계량유닛(MU)으로부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인입되어 담겨진다.
그리고, 상기 계량유닛(MU)은 상부수용체(200)와 정량트레이(41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정량트레이(4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량유닛(MU)은 계량통(450)과 작동레버(4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계량통(450)은 통덮개(451)와, 통본체(45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된 통덮개(451)와 통본체(452)의 내부에는 음식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수용공간을 지닌다.
여기에서, 상기 통덮개(451)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통본체(452)는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회전하면서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구조를 취하기만 한다면, 통덮개(451)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본체(452)는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452a)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후술되는 작동레버(460)의 수직방향 구동기어(460a)에 의해 종동기어(452a)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통본체(45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계량통(45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덮개(451)는 상부에 연통구(451a)가 형성되어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통하는 구조를 이루며, 일측부에는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가 인입배치되고 종동기어(452a)가 작동레버(460) 측으로 노출되는 기어홀(45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60)는 용기케이스(100)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460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작동레버(46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하여 용기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460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460)는 계량통(450) 방향의 부분에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와 대응되는 구동기어(460a)가 배치되고, 반대 측인 정량개구부(100c) 방향의 부분에는 손잡이(460b)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계량유닛(MU)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통본체(452)가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통덮개(451)의 연통구(451a)를 통해 계량통(450) 내부 수용공간에 인입되어 수용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460)의 손잡이(460b)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내리게 되면, 작동레버(460)에서 손잡이(460b)의 반대 측에 위치된 구동기어(460a)가 올려짐으로써,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를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통본체(452)를 회전시켜 통덮개(451)의 하부를 개방시킴에 따라, 계량통(450) 내부의 음식을 하측의 정량트레이(410) 내부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정량트레이(410)를 잡아당겨 외부로 꺼내게 되면, 정량트레이(410)에 수용된 음식을 빼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용기케이스(100)에 대한 작동레버(460)의 체결부분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됨으로써, 수직하강된 작동레버(460)의 손잡이(460b)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사용자가 손잡이(460b)를 누르지 않게 되면) 손잡이(460b)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정량트레이(410)를 꺼내기 전에 손잡이(460b)를 여러 번 누르게 되면, 계량통(450)에 수용된 음식의 양에 손잡이(460b)를 누른 횟수만큼 곱해진 음식의 양이, 정량트레이(410)에 들어가게 됨에 따라, 상부수용체(2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음식을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량개구부(100c)는 정량커버(130)로 개폐되는데, 정량커버(13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미도시)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C)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스위치(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커버(13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량개구부(100c)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정량커버(130)가 회전되어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C)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C)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100) 내부에 종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각각 음식이 수용되며, 진공펌프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는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음식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하부수용체(300)에도 별도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300)가 턴테이블(310)과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에 여러 가지 음식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고, 턴테이블(310)을 회전시켜 그 중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정량수용체(400)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커버(110)를 열지 않고도 상부수용체(200) 내에 있는 음식을 정량씩 빼낼 수 있음에 따라, 상부수용체(200)에 남은 음식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용기케이스 100a : 상부개구부
100b : 하부개구부 100c : 정량개구부
100d : 축기둥 C : 제어판
M : 자석 100e : 걸림홈부
110 : 상부커버 120 : 하부커버
130 : 정량커버 S : 잠금스위치
200 : 상부수용체 200a : 하부배출구
300 : 하부수용체 310 : 턴테이블
310a : 중앙홀 310b : 걸림돌기
310c : 측부기어 311 : 격벽
320 : 테이블트레이 390 : 테이블모터
390a : 구동축기어 400 : 정량수용체
410 : 정량트레이 410a : 전면커버
401b : 측부홀 420 : 배출구마개
421 : 잠금핀 422 : 탄성부재
MU : 계량유닛 450 : 계량통
451 : 통덮개 451a : 연통구
451b : 기어홀 452 : 통본체
452a : 종동기어 460 : 작동레버
460a : 구동기어 460b : 손잡이

Claims (16)

  1.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및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각각 지니고, 상기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면에 상부커버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며,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된 격벽이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복수 개의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인입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테이블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케이스의 측면에는 정량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량개구부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정량트레이를 가진 정량수용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로서, 상기 측부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정량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커버가 형성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정량트레이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상기 정량트레이에 장착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정량트레이에 연동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폐쇄하는 배출구마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이 내장된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마개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정량트레이의 측부홀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정량트레이가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핀이 상기 걸림홈부에 인접 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걸림홈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정량트레이의 이동이 계속 시 상기 배출구마개가 상기 정량트레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트레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트레이의 전면커버가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개구부는 정량커버로 개폐되며,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상부수용체와 정량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는 계량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덮개와, 상기 통덮개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가 형성된 통본체를 가진 계량통; 및
    상기 용기케이스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본체의 종동기어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량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작동레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케이스에 대한 상기 작동레버의 체결부분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수직하강된 상기 작동레버의 손잡이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용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 상부수용체, 및 하부수용체는 밸브유닛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 각각으로부터 공기흡입만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 각각과 연결된 부위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KR1020210090191A 2020-02-25 2021-07-09 진공용기 KR10244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92A KR102448374B1 (ko) 2020-11-04 2021-07-09 진공용기
JP2023524472A JP2023547851A (ja) 2020-11-05 2021-08-25 真空容器
CN202180074450.3A CN116546909A (zh) 2020-11-05 2021-08-25 真空容器
PCT/KR2021/011325 WO2022097887A1 (ko) 2020-11-05 2021-08-25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74A KR20200022419A (ko) 2020-02-25 2020-02-25 열전 모듈과 히트 파이프 결합 구조의 냉동기
KR1020200146450 2020-11-04
KR20200146450 2020-11-05
KR1020210082475A KR20210082147A (ko) 2020-02-25 2021-06-24 열전 모듈과 히트 파이프 결합 구조의 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64A KR20220060464A (ko) 2022-05-11
KR102448020B1 true KR102448020B1 (ko) 2022-09-28

Family

ID=8165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91A KR102448020B1 (ko) 2020-02-25 2021-07-09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783B2 (ja) * 1997-06-20 2001-07-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制振材料
KR200258608Y1 (ko) * 2001-10-08 2001-12-29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식 밀폐형 용기
US20080011697A1 (en) * 2006-06-21 2008-01-17 Berg David G Rotary food storage system
KR100883776B1 (ko)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KR200460867Y1 (ko) * 2011-10-18 2012-06-13 이행우 진공 쌀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61U (ko) * 1995-06-24 1997-01-21 김종록 앨범 내지
KR20080001187U (ko) * 2006-11-15 2008-05-20 주식회사 제로팩 수납형 진공보관장치
CN102627174B (zh) * 2012-04-17 2014-04-02 宁波泰尔斯电子实业有限公司 真空储米箱
KR102147530B1 (ko)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783B2 (ja) * 1997-06-20 2001-07-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制振材料
KR200258608Y1 (ko) * 2001-10-08 2001-12-29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식 밀폐형 용기
US20080011697A1 (en) * 2006-06-21 2008-01-17 Berg David G Rotary food storage system
KR100883776B1 (ko)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KR200460867Y1 (ko) * 2011-10-18 2012-06-13 이행우 진공 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64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76B1 (ko) 진공쌀통
US8443620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CN102116553B (zh) 具有变温和/或真空保鲜系统的冰箱及其控制方法
AU2016433678B2 (en) A crisper
JP7459255B2 (ja) 引出しの蓋、ならびに引出し内室を監視する方法
KR102448020B1 (ko) 진공용기
CN211740358U (zh) 一种智能米桶
EP3250863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that has a tilting crisper and a removable filter
CN116546909A (zh) 真空容器
CN105996846B (zh) 一种干货储藏装置及该储藏装置的控制方法
KR102448374B1 (ko) 진공용기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KR102465937B1 (ko) 자동배출 진공 쌀통
KR20220134503A (ko) 진공용기
US20230056014A1 (en) Coffee storage container
CN206080336U (zh) 一种干货储藏装置
US7677165B2 (en) Food storage device
WO2017039555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KR200198163Y1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김치저장고
KR102142613B1 (ko) 가구형 복합 냉장고
KR20220141816A (ko) 진공 하에서 보존을 위한 박스 및 이러한 박스를 포함하는 진공 적용 시스템
KR102288691B1 (ko) 진공 쌀통
KR100391874B1 (ko) 음식물 진공 보관 용기용 진공기
KR101688617B1 (ko) 쌀 냉장고용 저장용기의 커버 개폐구조
KR100621055B1 (ko) 복합형 김치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